KR200494563Y1 - 결합형 텀블러 용기 - Google Patents

결합형 텀블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63Y1
KR200494563Y1 KR2020190004378U KR20190004378U KR200494563Y1 KR 200494563 Y1 KR200494563 Y1 KR 200494563Y1 KR 2020190004378 U KR2020190004378 U KR 2020190004378U KR 20190004378 U KR20190004378 U KR 20190004378U KR 200494563 Y1 KR200494563 Y1 KR 200494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ssel
compartment
coupled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85U (ko
Inventor
장은비
Original Assignee
(주)스텍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텍업 filed Critical (주)스텍업
Priority to KR202019000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63Y1/ko
Priority to PCT/KR2019/014556 priority patent/WO2021085677A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음료가 담기는 공간을 가지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제1 구획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 용기; 상기 결합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제2 구획 용기;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상부 용기; 및 상기 상부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용기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상부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및 제2 구획 용기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형 텀블러 용기{ASSEMBLY TYPE TUMBLER CONTAINER}
본 고안은 텀블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카페나 음식점 등에서 환경오염의 원인 중 하나인 일회용 컵의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하여 음료를 마실수 있는 텀블러 용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텀블러 용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텀블러 용기는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마시고자 하는 음료의 양과 관계 없이 항상 정해진 크기의 텀블러 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하나의 텀블러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 만을 보관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여러개의 텀블러 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텀블러 용기는 사용자가 텀블러 용기 내의 뜨거운 음료를 음용시 텀블러 용기 내의 뜨거운 음료의 유동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시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의 유동을 방지하여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텀블러 용기 내에 구획된 공간들에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이한 온도의 음료들 간에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음료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바닥면으로 차폐되고 음료가 담기는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부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원판 형상의 제1 차폐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1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구획 용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결합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1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2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결합 용기; 상기 결합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결합 용기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원판 형상의 제2 차폐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2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3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3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구획 용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상부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3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4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4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상부 용기;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4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덮개 본체에 상기 음료의 음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용기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획 용기와 상기 제2 구획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및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에 음료가 저장될 수 있는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상부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상기 제2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용기 덮개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덮개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 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획 용기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암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 또는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는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 또는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또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는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상부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및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측 개구부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외주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링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용기 덮개 본체에 마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빨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은 상기 빨대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테두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음료를 음용시, 상기 제1 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의 음용량 만큼 상기 제1 홀을 통해 공기가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에 유입되어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보조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음료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부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용기 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용기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결합 용기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를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결합 용기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제1 구획 용기 사이 또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제2 구획 용기 사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용기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또는 상기 상부 용기에 상이한 온도의 음료가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용기 내부의 공기에 의해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또는 상기 하부 용기 간의 열전달을 줄여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 용기는 상기 제1 차폐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상기 제1 원통부의 높이 만큼 상기 결합 용기의 음료 저장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획 용기는 상기 제2 차폐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제2 원통부의 높이 만큼 상기 상부 용기의 음료 저장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및 상기 상부 용기는 서로 다른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시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의 유동을 방지하여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텀블러 용기 내에 구획된 공간들에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이한 온도의 음료들 간에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음료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1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2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3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4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제3, '제4'와 같은 용어는 단지 어떤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1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2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텀블러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는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제2 구획 용기(150), 보조 용기(160), 용기 덮개(170) 및 마개(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용기(120) 및 상부 용기(130)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의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 용기(140) 및 제2 구획 용기(150)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다.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제2 구획 용기(150), 보조 용기(160) 및 용기 덮개(17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은 제1 결합 상태에서 단일 원통형의 결합형 텀블러 용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모두 같은 직경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제2 구획 용기(150) 및 보조 용기(160)는 모두 같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용기(110)는 음료가 담기는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부 용기 본체(112)를 포함한다. 하부 용기 본체(11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바닥면(114)으로 차폐되어 음료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용기(110)는 하부 용기 본체(112)의 상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음료(10)의 밀폐 보관을 위해 하부 용기 본체(112)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 링 형태의 실링부재(118)가 삽입될 수 있다. 음료(10)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118)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링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획 용기(140)는 원판 형상의 제1 차폐부(142)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용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 본체의 높이는 하부 용기(110)나 결합 용기(120) 또는 상부 용기(13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하부 용기(110)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구획 용기(140)는 제1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암나사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42)는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42)는 제1 구획 용기(140)가 하부 용기(110)의 상부에 결합시에 하부 용기(110)의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제1 구획 용기(140)는 제1 차폐부(142)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제1 원통부가 연장 형성되고, 제1 차폐부(142)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원통부의 상단부 외주면에 결합 용기(120)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수나사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42)의 상부로 연장된 제1 원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146)에 의해 결합 용기(120) 등을 결합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원통부 높이 만큼 음료(20)를 보관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결합 용기(120)의 음료 저장 공간으로부터 음료(2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획 용기(14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 링 형태의 실링부재(148)가 삽입될 수 있다. 음료(20)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148)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링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148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용기(120)는 제1 구획 용기(14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결합 용기 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용기 본체(122)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 용기(120)는 결합 용기 본체(122)의 하단부 내주면에 제1 구획 용기(140)의 제1 수나사부(146)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암나사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용기(120)는 결합 용기 본체(122)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2 구획 용기(150)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수나사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획 용기(150)의 음료 저장 공간으로부터 음료(3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용기(12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 링 형태의 실링부재(128)가 삽입될 수 있다. 음료(30)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128)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링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12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획 용기(150)는 원판 형상의 제2 차폐부(152)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용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기 본체의 높이는 하부 용기(110)나 결합 용기(120) 또는 상부 용기(13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결합 용기(120)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 구획 용기(150)는 제2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결합 용기(120)의 제2 수나사부(126)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암나사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차폐부(152)는 결합 용기(120)의 상단부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차폐부(152)는 제2 구획 용기(150)가 결합 용기(120)의 상부에 결합시에 결합 용기(120)의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제2 구획 용기(150)는 제2 차폐부(152)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제2 원통부가 연장 형성되고, 제2 차폐부(152)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의 상단부 외주면에 상부 용기(130)와 결합될 수 있는 제3 수나사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차폐부(152)의 상부로 연장된 제2 원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제3 수나사부(156)에 의해 상부 용기(130) 등을 결합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원통부 높이 만큼 음료(30)를 보관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부 용기(130)의 음료 저장 공간으로부터 음료(3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획 용기(15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 링 형태의 실링부재(158)가 삽입될 수 있다. 음료(20)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148)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링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158a)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용기(16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조 용기 본체(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용기 본체(162)는 상부가 개방되고, 음료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부에 바닥면(164)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용기 본체(162)의 상단부에는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6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용기(160)는 걸림턱(166)이 결합 용기(120)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 구획 용기(150)를 결합 용기(120)에 결합함으로써, 결합 용기(120)와 제2 구획 용기(15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보조 용기(160)는 결합 용기(120)와 제2 구획 용기(150)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나, 하부 용기(110)와 제1 구획 용기(140) 사이에 보조 용기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용기(160)는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에 저장되는 음료 외에, 추가로 음료나 음식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용기(160)는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에 상이한 온도의 음료가 저장된 경우에, 보조 용기(160) 내부의 공기에 의해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 간의 열전달을 줄여 각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부 용기(130)는 제2 구획 용기(15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상부 용기 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용기 본체(132)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용기(130)는 상부 용기 본체(132)의 하단부 내주면에 제2 구획 용기(150)의 제3 수나사부(156)와 결합될 수 있는 제4 암나사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용기(130)는 상부 용기 본체(132)의 상단부 외주면에 용기 덮개(170)와 결합될 수 있는 제4 수나사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용기(130)의 음료 저장 공간으로부터 음료(3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용기(13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 링 형태의 실링부재(138)가 삽입될 수 있다. 음료(30)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138)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링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138a)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덮개(170)는 상부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덮개 본체(172)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 덮개 본체(172)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 덮개 본체(172)는 그 하단부 내주면에 상부 용기(130)의 제4 수나사부(136)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 덮개 본체(172)는 음료의 음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74, 176)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용기(120)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음료가 저장될 수 있는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선택적으로 하부 용기(110) 또는 제1 구획 용기(140)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용기(130)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선택적으로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제1 구획 용기(140) 또는 제2 구획 용기(150)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용기(110)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제2 구획 용기(150) 또는 용기 덮개(170)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용기 덮개(170)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 용기(110), 결합 용기(120) 또는 상부 용기(13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획 용기(140)는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사이 또는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30) 사이를 구획하도록 선택적으로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사이 또는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30) 사이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구획 용기(150)는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 사이 또는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30) 사이를 구획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 사이 또는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30) 사이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는 제1 구획 용기(140)의 제1 암나사부(144), 결합 용기(120)의 제2 암나사부(124), 제2 구획 용기(150)의 제3 암나사부(154), 상부 용기(130)의 제4 암나사부(134) 또는 용기 덮개(170)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획 용기(140)의 제1 수나사부(146)는 결합 용기(120)의 제2 암나사부(124) 또는 상부 용기(130)의 제4 암나사부(134)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결합 용기(120)의 제2 수나사부(126)는 제2 구획 용기(150)의 제3 암나사부(154), 상부 용기(130)의 제4 암나사부(134) 또는 용기 덮개(170)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결합 용기(120)의 제2 암나사부(124)는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 또는 제1 구획 용기(140)의 제1 수나사부(146)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구획 용기(150)의 제3 암나사부(154)는 결합 용기(120)의 제2 수나사부(126) 또는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용기(130)의 제4 암나사부(134)는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 제1 구획 용기(140)의 제1 수나사부(146), 결합 용기(120)의 제2 수나사부(126) 또는 제2 구획 용기(150)의 제3 수나사부(156)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용기 덮개(170)의 암나사부는 하부 용기(110)의 수나사부(116), 결합 용기(120)의 제2 수나사부(126) 또는 상부 용기(130)의 제4 수나사부(136)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 덮개 본체(172)에는 마개(18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제1 홀(174)과 제2 홀(176)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74)은 용기 덮개 본체(17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74)은 선택적으로 빨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홀(174)에는 빨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74b)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패킹부재(174a)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176)은 빨대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용기 덮개 본체(172)의 테두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개(180)는 마개 본체(182)를 구비하고, 마개 본체(182)의 하면 중앙부에는 제1 홀(174)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마개(184)가 형성되고, 마개 본체(182)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는 제2 홀(176)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마개(186)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빨대를 사용하는 경우, 제2 홀(176)은 마개(180)에 의해 닫은 상태에서 제1 홀(174)만 개방하여 제1 홀(174)에 빨대를 끼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홀(176)을 통해 음료를 음용시, 제1 홀(174)이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의 음용량 만큼 제1 홀(174)을 통해 공기가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유입되어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뜨거운 음료를 음용시에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유동에 의한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는 하부 용기(110) 상에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및 제2 구획 용기(150)를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하여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형 용기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자유롭게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구획 용기(140)와 제2 구획 용기(150)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다.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및 상부 용기(130)는 서로 같은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및 상부 용기(130)의 음료 저장 공간 크기(용기 높이)가 동일한 경우,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전체 음료 저장 공간을 총 3개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으나,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및 상부 용기(130)의 음료 저장 공간 크기(용기 높이)를 다르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전체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4개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용기(110)와 결합 용기(120) 및 상부 용기(130)의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다르게 하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전체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사용예로, 사용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용기(110) 상에 제1 구획 용기(140), 결합 용기(120), 제2 구획 용기(150), 상부 용기(130) 및 용기 덮개(170)를 차례로 결합하여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는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에 의해 확장된 크기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가지게 되고, 제1 구획 용기(140) 및 제2 구획 용기(150)에 의해 3개의 음료 저장 공간들로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된 음료 저장 공간들에 물이나 커피, 쥬스 등 3종류의 다양한 음료(10, 20, 30)를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사용예로, 사용자는 제1 구획 용기(140)와 결합 용기(120)를 결합하지 않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용기(110) 상에 제2 구획 용기(150), 상부 용기(130) 및 용기 덮개(170)를 차례로 결합하여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는 도 1 및 도 2의 사용예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게 되어 휴대, 보관이 용이해지며, 제2 구획 용기(150)에 의해 2개의 음료 저장 공간들로 구획되어 구획된 음료 저장 공간들에 물이나 커피, 쥬스 등의 2 종류의 음료(10, 30)를 보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3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사용예에서, 사용자는 결합 용기(120),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 및 제2 구획 용기(150)를 결합하지 않고, 하부 용기(110) 상에 용기 덮개(170)를 결합하여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텀블러 용기(100)는 필요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게 되어 작은 가방에도 휴대 가능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를 휴대하여 음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제4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결합형 텀블러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사용예에서, 사용자는 제1 구획 용기(140)와 제2 구획 용기(150)를 결합하지 않고, 하부 용기(110) 상에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 및 용기 덮개(170)를 차례로 결합하여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 내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형 텀블러 용기(100)는 한 종류의 음료(10)를 넓은 음료 저장 공간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긴 빨대(190)를 삽입하여 다량의 음료(10)를 음용하거나 용기 덮개(170)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음료(10)를 음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텀블러 용기는 이상에서 도시되지 않은 보다 다양한 사용 형태로 결합 용기(120)와 상부 용기(130), 제1 구획 용기(140)와 제2 구획 용기(1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0, 30: 음료 100: 결합형 텀블러 용기
110: 하부 용기 112: 하부 용기 본체
114: 바닥면 116: 수나사부
118: 실링부재 120: 결합 용기
122: 결합 용기 본체 124: 제2 암나사부
126: 제2 수나사부 128: 실링부재
130: 상부 용기 132: 상부 용기 본체
134: 제4 암나사부 136: 제4 수나사부
138: 실링부재 140: 제1 구획 용기
142: 제1 차폐부 144: 제1 암나사부
146: 제1 수나사부 148: 실링부재
150: 제2 구획 용기 152: 제2 차폐부
154: 제3 암나사부 156: 제3 수나사부
158: 실링부재 160: 보조 용기
170: 용기 덮개 172: 용기 덮개 본체
174: 제1 홀 176: 제2 홀
180: 마개 182: 마개 본체
184: 제1 마개 186: 제2 마개
190: 빨대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바닥면으로 차폐되고 음료가 담기는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부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원판 형상의 제1 차폐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1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구획 용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결합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1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2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결합 용기;
    상기 결합 용기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결합 용기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원판 형상의 제2 차폐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2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3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3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구획 용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상부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용기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3 수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4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용기 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제4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상부 용기;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4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덮개 본체에 상기 음료의 음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제1 구획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용기 내의 음료 저장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획 용기와 상기 제2 구획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및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액체상의 음료나 고체상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부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결합 용기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를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결합 용기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제1 구획 용기 사이 또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제2 구획 용기 사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또는 상기 상부 용기에 상이한 온도의 음료가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용기 내부의 공기에 의해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또는 상기 하부 용기 간의 열전달을 저감시켜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에 음료가 저장될 수 있는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 또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확장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상부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상기 제2 구획 용기 또는 상기 용기 덮개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용기 덮개는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상기 음료 저장 공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 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2 구획 용기는,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결합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암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 또는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는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 또는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또는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암나사부는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상기 제1 구획 용기의 제1 수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제3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용기 덮개의 암나사부는 상기 하부 용기의 수나사부, 상기 결합 용기의 제2 수나사부 또는 상기 상부 용기의 제4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 상기 결합 용기, 상기 상부 용기, 상기 제1 구획 용기 및 상기 제2 구획 용기의 상측 개구부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외주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링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덮개 본체에 마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빨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빨대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덮개 본체의 테두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음료를 음용시, 상기 제1 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의 음용량 만큼 상기 제1 홀을 통해 공기가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에 유입되어 상기 결합형 텀블러 용기 내의 음료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 용기는 상기 제1 차폐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높이 만큼 상기 결합 용기의 음료 저장 공간이 확장 가능하고,
    상기 제2 구획 용기는 상기 제2 차폐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통부의 높이 만큼 상기 상부 용기의 음료 저장 공간이 확장 가능한 결합형 텀블러 용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결합 용기 및 상기 상부 용기는 서로 다른 음료 저장 공간 크기를 가지는 결합형 텀블러 용기.
KR2020190004378U 2019-10-30 2019-10-30 결합형 텀블러 용기 KR200494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78U KR200494563Y1 (ko) 2019-10-30 2019-10-30 결합형 텀블러 용기
PCT/KR2019/014556 WO2021085677A1 (ko) 2019-10-30 2019-10-31 결합형 텀블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78U KR200494563Y1 (ko) 2019-10-30 2019-10-30 결합형 텀블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85U KR20210000985U (ko) 2021-05-10
KR200494563Y1 true KR200494563Y1 (ko) 2021-11-09

Family

ID=7571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78U KR200494563Y1 (ko) 2019-10-30 2019-10-30 결합형 텀블러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4563Y1 (ko)
WO (1) WO2021085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344Y1 (ko) * 2022-07-01 2023-01-09 (주)한영코리아 듀얼 보온보냉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50987Y (zh) * 2008-12-15 2009-11-25 罗智隆 奶粉盒结构
US20160368661A1 (en) * 2015-06-19 2016-12-22 Eugene Moore Multi-Compartmented Gym Bottle with Interchangeable Com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312A (en) * 1993-04-21 1995-05-16 Aladdin Synergetics, Inc.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KR20130002763U (ko) * 2011-10-31 2013-05-08 유지형 상하 분리형 물병의 누수방지 장치
KR20180041634A (ko) * 2018-04-02 2018-04-24 공상원 보온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50987Y (zh) * 2008-12-15 2009-11-25 罗智隆 奶粉盒结构
US20160368661A1 (en) * 2015-06-19 2016-12-22 Eugene Moore Multi-Compartmented Gym Bottle with Interchangeable Compar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677A1 (ko) 2021-05-06
KR20210000985U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868B1 (en)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494563Y1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US5102000A (en) Drink Mug
US20210267393A1 (en) Compartment Technology for Lids of Beverage Container
WO2006126832A1 (en)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KR102165020B1 (ko) 음료용기용 빨대
KR200489888Y1 (ko)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20180041634A (ko) 보온병
KR101056485B1 (ko) 접철식 용기
JP5276383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用小物ケース
KR20230001158U (ko) 음식물 포장 용기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JP2000060624A (ja) 保温容器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20200019521A (ko) 용기용 뚜껑
CN220363601U (zh) 两端各有开口的容器和随行杯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EP3960040B1 (en) Multifunctional mug
JP3336956B2 (ja) 保温弁当箱
KR200296730Y1 (ko) 냉동 보관 도시락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AU2019204796B2 (en) Beverage cup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