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88Y1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888Y1 KR200489888Y1 KR2020170006358U KR20170006358U KR200489888Y1 KR 200489888 Y1 KR200489888 Y1 KR 200489888Y1 KR 2020170006358 U KR2020170006358 U KR 2020170006358U KR 20170006358 U KR20170006358 U KR 20170006358U KR 200489888 Y1 KR200489888 Y1 KR 2004898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d
- drinking
- circumferential direction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내용물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상단과 하단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제 1 용기, 제 1 뚜껑, 제 2 용기 및 제 2 뚜껑을 기본 구성요소로써 포함하고, 제 3 뚜껑과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용물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상단과 하단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릇 등의 용기는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담는 기구를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뚜겅이나 마개 따위를 이용해 밀폐 기능을 갖는 텀블러는 컵과 같은 원통형의 밑이 편평한 잔으로써, 물이나 주스 등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된다.
종래의 텀블러와 같은 음료의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대부분 하나의 내부공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단 하나의 내부공간을 갖는 종래의 용기는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용기는 잔 형태의 텀블러와 다른 형태로써, 서로 분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분리된 공간에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한다 할지라도, 종래의 용기를 한 손에 파지한 채, 빨대 등의 음용 수단을 이용해 음료를 음용함과 더불어 다른 내용물을 더 보관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복합적인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구분된 공간에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빨대 등의 음용 수단을 이용해 그 내용물을 동시에 음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용물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상단과 하단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제 1 용기, 제 1 뚜껑, 제 2 용기 및 제 2 뚜껑을 포함한다. 제 1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다. 제 1 뚜껑은 하부가 상기 제 1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한다. 제 2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제 1 뚜껑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에 적층된다. 제 2 뚜껑은 하부가 상기 제 2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하고, 상기 제 1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용기는 제 1 끼움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1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1 용기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하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끼움고정부는 제 1 밀림방지턱 및 제 1 밀폐돌기를 포함한다. 제 1 밀림방지턱은 상기 제 1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용기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1 밀폐돌기는 상기 제 1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용기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1 빗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뚜껑은 제 2 끼움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2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1 뚜껑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끼움고정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끼움고정부는 제 2 밀림방지턱, 제 2 밀폐돌기 및 제 1 용기 끼움홈을 포함한다. 제 2 밀림방지턱은 상기 제 2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밀림방지턱에 맞닿아 상기 제 1 뚜껑이 상기 제 1 용기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밀폐돌기는 상기 제 2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빗면에 대응되는 제 2 빗면이 형성된다. 제 1 용기 끼움홈은 상기 제 2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용기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1 뚜껑은 제 1 음용부를 포함한다. 제 1 음용부는 상기 제 1 뚜껑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음용부는 음용홀 및 제 1 돌출턱을 포함한다. 음용홀은 상기 제 1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용기를 통하도록 연결한다. 제 1 돌출턱은 상기 음용홀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용기는 제 2 음용부를 포함한다. 제 2 음용부는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면에서부터 상부면으로 향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 2 음용부는 음용통로 및 제 1 접촉홈을 포함한다. 음용통로는 상기 제 2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로 통하는 내용물이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연결한다. 제 1 접촉홈은 상기 음용통로의 하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돌출턱이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2 용기는 제 3 끼움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3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2 용기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하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3 끼움고정부는 제 3 밀림방지턱 및 제 3 밀폐돌기를 포함한다. 제 3 밀림방지턱은 상기 제 3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용기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3 밀폐돌기는 상기 제 3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용기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3 빗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뚜껑은 제 4 끼움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4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2 뚜껑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끼움고정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4 끼움고정부는 제 4 밀림방지턱, 제 4 밀폐돌기 및 제 2 용기 끼움홈을 포함한다. 제 4 밀림방지턱은 상기 제 4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3 밀림방지턱에 맞닿아 상기 제 2 뚜껑이 상기 제 2 용기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4 밀폐돌기는 상기 제 4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3 빗면에 대응되는 제 4 빗면이 형성된다. 제 2 용기 끼움홈은 상기 제 4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용기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2 음용부는 제 2 돌출턱을 포함한다. 제 2 돌출턱은 상기 음용통로의 상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음용통로의 외측 및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뚜껑은 제 3 음용부를 포함한다. 제 3 음용부는 상기 제 2 뚜껑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3 음용부는 음용관 및 제 2 접촉홈을 포함한다. 음용관은 상기 제 3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하여 상기 음용통로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용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제 2 뚜껑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한다. 제 2 접촉홈은 상기 음용관의 상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돌출턱이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3 음용부는 제 3 돌출턱을 포함한다. 제 3 돌출턱은 상기 제 2 접촉홈의 상부에서 상기 음용관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3 돌출턱은 제 5 밀폐돌기를 포함한다. 제 5 밀폐돌기는 상기 제 3 돌출턱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5 빗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제 3 뚜껑을 더 포함한다. 제 3 뚜껑은 하부가 상기 제 3 돌출턱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음용부의 상부를 밀폐한다. 상기 제 3 뚜껑은 제 5 끼움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5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3 뚜껑의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돌출턱과 결합된다. 상기 제 5 끼움고정부는 제 6 밀폐돌기 및 제 3 끼움홈을 포함한다. 제 6 밀폐돌기는 상기 제 5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3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5 빗면에 대응되는 제 6 빗면이 형성된다. 제 3 끼움홈은 상기 제 6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3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3 돌출턱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3 뚜껑은 둘레홈부를 포함한다. 둘레홈부는 상기 제 3 뚜껑의 상측에 위치하고, 둘레방향에 내측으로 만곡된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마개는 상기 제 2 용기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3 뚜껑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마개는 연장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상기 마개가 상기 제 2 용기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뚜껑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개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측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둘레홈부에 압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는 내용물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상단과 하단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된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된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10)는 각각의 상부가 개방된 제 1 용기(100)와 제 2 용기(300)가 제 1 뚜껑(200)에 의해 적층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300) 각각의 내부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10)는 제 2 용기(300)의 상부에 제 2 뚜껑(400)이 결합되어 제 2 용기(300)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만 밀폐하되, 제 1 용기(100)에 보관된 물이나 주스 등의 내용물이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2 용기(300)를 통해 다단 용기(1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10)는 제 2 뚜껑(400)의 상부에 제 3 뚜껑(500)이 결합되어 제 1 용기(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다단 용기(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이때, 제 3 뚜껑(500)의 상부에는 마개(600)가 결합되어 제 3 뚜껑(50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 3 뚜껑(500)의 분실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된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먼저, 제 1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물이나 주스 등의 음용 가능한 내용물을 보관한다. 또한 제 1 용기(100)는 상부에 제 1 뚜껑(200)이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일부 밀폐될 수 있다. 제 1 용기(100)는 상부 둘레에 위치한 제 1 끼움고정부(110)를 포함한다.
제 1 끼움고정부(110)는 제 1 용기(100)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제 1 뚜껑(200)의 하부와 결합되기 위해 제 1 밀림방지턱(111) 및 제 1 밀폐돌기(112)를 포함한다. 제 1 밀림방지턱(111)은 제 1 끼움고정부(110)의 하측에서 제 1 용기(100)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제 1 용기(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1 밀폐돌기(112)는 제 1 밀림방지턱(111)의 상측에서 제 1 용기(100)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1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제 1 뚜껑(200)은 하부가 제 1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제 1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한다. 제 1 뚜껑(200)은 하부 둘레에 위치한 제 2 끼움고정부(210)와 상부면에 위치한 제 1 음용부(220)를 포함한다.
제 2 끼움고정부(210)는 제 1 뚜껑(20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제 1 끼움고정부(110)와 결합되기 위해 제 2 밀림방지턱(211), 제 2 밀폐돌기(212), 제 1 용기 끼움홈(213) 및 걸림턱(214)을 포함한다. 제 2 밀림방지턱(211)은 제 2 끼움고정부(210)의 하측에서 제 1 뚜껑(200)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제 1 뚜껑(20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1 밀림방지턱(111)에 맞닿아 제 1 뚜껑(200)이 제 1 용기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밀폐돌기(212)는 제 2 밀림방지턱(211)의 상측에서 제 1 뚜껑(200)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1 빗면에 대응되는 제 2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즉, 제 2 빗면이 형성된 제 2 밀폐돌기(212)는 제 1 빗면이 형성된 제 1 밀폐돌기(112)와 나선형으로 대응되도록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제 1 용기 끼움홈(213)은 제 2 밀폐돌기(212)의 상측에서 제 1 뚜껑(200)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고, 제 1 용기(100)의 상측 둘레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만곡된 내측에 제 1 용기(100)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걸림턱(214)은 제 1 용기 끼움홈(213)의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 2 용기(300)의 둘레돌출부(320)가 걸림턱(214)을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제 1 음용부(220)는 제 1 뚜껑(20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제 1 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제 2 용기를 통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음용홀(221) 및 제 1 돌출턱(222)을 포함한다. 음용홀(221)은 제 1 음용부(22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제 1 용기(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제 2 용기(300)를 통하도록 연결한다. 제 1 돌출턱(222)은 음용홀(221)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제 1 뚜껑(2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 2 용기(300)는 상부가 개방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내용물은 보관한다. 이때, 제 2 용기(300)의 내부공간에는 제 1 용기(100)와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이 보관되어 사용자가 제 1 용기(100)로부터 음용 가능한 내용물을 섭취하되, 제 2 용기(300)로부터 다른 음식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용기(300)는 하부가 제 1 뚜껑(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1 용기(100)의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용기(300)는 상부에 제 2 뚜껑(400)이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일부 밀폐될 수 있다. 제 2 용기(300)는 하부면에서부터 상부면으로 향하게 위치한 제 2 음용부(310)와 하부 둘레에 위치한 둘레돌출부(320) 및 상부 둘레에 위치한 제 3 끼움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제 2 음용부(310)는 제 2 용기(300)의 하부면에서부터 상부면으로 향하게끔 위치하여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2 용기(300)로 통하는 내용물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음용통로(311) 및 제 1 접촉홈(312)을 포함한다. 음용통로(311)는 제 2 음용부(31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2 용기(300)로 통하는 내용물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연결한다. 즉, 음용통로(311)는 제 2 용기(3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1 뚜껑(200)의 음용홀(221)을 통해 제 2 용기(300)의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접촉홈(312)은 음용통로(311)의 하부 둘레방향에 위치하고, 제 1 돌출턱(222)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만곡된 내측에 제 1 돌출턱(222)이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즉, 제 1 접촉홈(312)은 제 1 용기(100)에 보관된 내용물이 음용통로(311)를 통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더라도 제 1 뚜껑(200) 및 제 2 용기(300)의 이음새 부분을 다단 용기(10)의 수직방향으로 밀폐함으로써, 이동되는 내용물이 다단 용기(10)의 수평방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잇다.
둘레돌출부(320)는 제 2 용기(30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한다. 또한 둘레돌출부(320)는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둘레돌출부(320)는 제 2 용기(300)가 제 1 뚜껑(200)의 상부에 결합되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 형성된 내측공간에 제 1 뚜껑(200)의 상부 둘레가 위치하도록 하되, 제 1 뚜껑(200)의 걸림턱(214)에 내측 둘레가 지지되어 제 2 용기(300)가 제 1 뚜껑(200)의 상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제 3 끼움고정부(330)는 제 2 용기(300)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제 2 뚜껑(400)의 하부와 결합되기 위해 제 3 밀림방지턱(331) 및 제 3 밀폐돌기(332)를 포함한다. 제 3 밀림방지턱(331)은 제 3 끼움고정부(330)의 하측에서 제 2 용기(300)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제 2 용기(3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3 밀폐돌기(332)는 제 3 밀림방지턱(331)의 상측에서 제 2 용기(300)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3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제 2 뚜껑(400)은 하부가 제 2 용기(3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제 2 용기(300)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한다. 또한 제 2 뚜껑(400)은 제 1 용기(100)에 보관된 내용물이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2 용기(300)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 2 뚜껑(400)은 하부 둘레에 위치한 제 4 끼움고정부(410)와 상부면에 위치한 제 3 음용부(420)를 포함한다.
제 4 끼움고정부(410)는 제 2 뚜껑(40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제 3 끼움고정부(330)와 결합되기 위해 제 4 밀림방지턱(411), 제 4 밀폐돌기(412) 및 제 2 용기 끼움홈(413)을 포함한다. 제 4 밀림방지턱(411)은 제 4 끼움고정부(410)의 하측에서 제 2 뚜껑(400)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제 2 뚜껑(40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3 밀림방지턱(331)에 맞닿아 제 2 뚜껑(400)이 제 2 용기(300)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4 밀폐돌기(412)는 제 4 밀림방지턱(411)의 상측에서 제 2 뚜껑(400)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3 빗면에 대응되는 제 4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즉, 제 4 빗면이 형성된 제 4 밀폐돌기(412)는 제 3 빗면이 형성된 제 3 밀폐돌기(332)와 나선형으로 대응되도록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제 2 용기 끼움홈(413)은 제 4 밀폐돌기(412)의 상측에서 제 2 뚜껑(400)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고, 제 2 용기(300)의 상측 둘레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만곡된 내측에 제 2 용기(300)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제 3 음용부(420)는 제 2 뚜껑(40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음용통로(311)를 통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내용물이 제 2 뚜껑(40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기 위해 음용관(421) 및 제 2 접촉홈(422)을 포함한다. 음용관(421)은 제 3 음용부(42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하여 음용통로(311)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음용관(421)은 음용통로(311)를 통해 제 2 용기(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내용물이 제 2 뚜껑(40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한다. 이때, 음용관(421)은 다단 용기(10)의 구성요소 외에 별동의 빨대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제 2 접촉홈(422)은 음용관(421)의 상부 둘레방향에 위치하고, 제 2 돌출턱(313)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만곡된 내측에 제 2 돌출턱(313)이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제 3 음용부(420)는 제 2 뚜껑(400)의 상부에 제 3 뚜껑(500)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 3 돌출턱(423)을 포함한다. 제 3 돌출턱(423)은 제 2 접촉홈(422)의 상부에서 음용관(421)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제 2 뚜껑(4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 3 돌출턱(423)은 제 5 밀폐돌기(423a)가 형성된다. 제 5 밀폐돌기(423a)는 제 3 돌출턱(423)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5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제 3 뚜껑(500)은 하부가 제 3 돌출턱(423)에 결합되어 제 3 음용부(420)의 상부를 밀폐한다. 또한 제 3 뚜껑(500)은 제 3 음용부(42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둘레에 위치한 제 5 끼움고정부(510)와 상측에 위치한 둘레홈부(520)를 포함한다.
제 5 끼움고정부(510)는 제 3 뚜껑(500)의 둘레에 위치하여 제 3 돌출턱(423)과 결합되기 위해 제 6 밀폐돌기(511) 및 제 3 끼움홈(512)을 포함한다. 제 6 밀폐돌기(511)는 제 5 끼움고정부(510)의 하측에서 제 3 뚜껑(500)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5 빗면에 대응되는 제 6 빗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즉, 제 6 빗면이 형성된 제 6 밀폐돌기(511)는 제 5 빗면이 형성된 제 5 밀폐돌기(423a)와 나선형으로 대응되도록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제 3 끼움홈(512)은 제 6 밀폐돌기(511)의 상측에서 제 3 뚜껑(500)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고, 제 3 돌출턱(423)의 상측 둘레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만곡된 내측에 제 3 돌출턱(423)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한다.
둘레홈부(520)는 제 3 뚜껑(500)의 상측에 위치하고, 둘레방향에 내측으로 만곡된 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마개(600)의 고정부(620)와 결합된다.
마개(600)는 제 2 용기(300)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마개(600)는 제 3 뚜껑(5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 3 뚜껑(5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 3 뚜껑(5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610) 및 고정부(620)를 포함한다.
연장부(610)는 제 2 용기(300)의 일측으로 연장된 마개(600)의 단부가 둘레홈부(520)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620)는 연장부(6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마개(600)의 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고정부(620)는 둘레홈부(520)에 압입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내측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621)가 형성된다. 즉, 고정부(620)는 고정돌기(621)에 의해 둘레홈부(520)에 압입됨으로써, 마개(600)가 제 3 뚜껑(500)과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10)는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300) 각각의 내부공간에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제 1 용기(100)의 내부공간에 보관된 음용 가능한 액체가 제 1 뚜껑(200)을 통해 다단 용기(10)의 수직방향으로 곧장 이동되게끔 함으로써, 제 1 용기(100)로부터 제 2 용기(300)로 이동되는 내용물이 제 1 뚜껑(200) 및 제 2 용기(300)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100 : 제 1 용기
110 : 제 1 끼움고정부
111 : 제 1 밀림방지턱
112 : 제 1 밀폐돌기
200 : 제 1 뚜껑
210 : 제 2 끼움고정부
211 : 제 2 밀림방지턱
212 : 제 2 밀폐돌기
213 : 제 1 용기 끼움홈
214 : 걸림턱
220 : 제 1 음용부
221 : 음용홀
222 : 제 1 돌출턱
300 : 제 2 용기
310 : 둘레돌출부
320 : 제 2 음용부
321 : 음용통로
322 : 제 1 접촉홈
323 : 제 2 돌출턱
330 : 제 3 끼움고정부
331 : 제 3 밀림방지턱
332 : 제 3 밀폐돌기
400 : 제 2 뚜껑
410 : 제 4 끼움고정부
411 : 제 4 밀림방지턱
412 : 제 4 밀폐돌기
413 : 제 2 용기 끼움홈
420 : 제 3 음용부
421 : 음용관
422 : 제 2 접촉홈
423 : 제 3 돌출턱
423a : 제 5 밀폐돌기
500 : 제 3 뚜껑
510 : 제 5 끼움고정부
511 : 제 6 밀폐돌기
512 : 제 3 끼움홈
520 : 둘레홈부
600 : 마개
610 : 연장부
620 : 고정부
621 : 고정돌기
100 : 제 1 용기
110 : 제 1 끼움고정부
111 : 제 1 밀림방지턱
112 : 제 1 밀폐돌기
200 : 제 1 뚜껑
210 : 제 2 끼움고정부
211 : 제 2 밀림방지턱
212 : 제 2 밀폐돌기
213 : 제 1 용기 끼움홈
214 : 걸림턱
220 : 제 1 음용부
221 : 음용홀
222 : 제 1 돌출턱
300 : 제 2 용기
310 : 둘레돌출부
320 : 제 2 음용부
321 : 음용통로
322 : 제 1 접촉홈
323 : 제 2 돌출턱
330 : 제 3 끼움고정부
331 : 제 3 밀림방지턱
332 : 제 3 밀폐돌기
400 : 제 2 뚜껑
410 : 제 4 끼움고정부
411 : 제 4 밀림방지턱
412 : 제 4 밀폐돌기
413 : 제 2 용기 끼움홈
420 : 제 3 음용부
421 : 음용관
422 : 제 2 접촉홈
423 : 제 3 돌출턱
423a : 제 5 밀폐돌기
500 : 제 3 뚜껑
510 : 제 5 끼움고정부
511 : 제 6 밀폐돌기
512 : 제 3 끼움홈
520 : 둘레홈부
600 : 마개
610 : 연장부
620 : 고정부
621 : 고정돌기
Claims (13)
- 상부가 개방된 제 1 용기;
하부가 상기 제 1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하는 제 1 뚜껑;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제 1 뚜껑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상단에 적층되는 제 2 용기; 및
하부가 상기 제 2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밀폐하고, 상기 제 1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뚜껑은, 상기 제 1 뚜껑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 1 음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음용부는, 상기 제 1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용기를 통하도록 연결하는 음용홀; 및 상기 음용홀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기는,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면에서부터 상부면으로 향하게 위치하는 제 2 음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용부는, 상기 제 2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로 통하는 내용물이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음용통로; 상기 음용통로의 하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돌출턱이 압입되도록 지지하는 제 1 접촉홈; 및 상기 음용통로의 상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음용통로의 외측 및 상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뚜껑은, 상기 제 2 뚜껑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 3 음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음용부는, 상기 제 3 음용부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하여 상기 음용통로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용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용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제 2 뚜껑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음용관; 상기 음용관의 상부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돌출턱이 압입되도록 지지하는 제 2 접촉홈; 및 상기 제 2 접촉홈의 상부에서 상기 음용관의 둘레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 3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돌출턱은, 상기 제 3 돌출턱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5 빗면이 형성되는 제 5 밀폐돌기;를 포함하고
하부가 상기 제 3 돌출턱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음용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제 3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뚜껑은, 상기 제 3 뚜껑의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돌출턱과 결합되는 제 5 끼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5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3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5 빗면에 대응되는 제 6 빗면이 형성되는 제 6 밀폐돌기; 및 상기 제 6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3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3 돌출턱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하는 제 3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는,
상기 제 1 용기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 1 끼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1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용기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밀림방지턱; 및
상기 제 1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용기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1 빗면이 형성되는 제 1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뚜껑은,
상기 제 1 뚜껑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끼움고정부와 결합되는 제 2 끼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2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뚜껑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밀림방지턱에 맞닿아 상기 제 1 뚜껑이 상기 제 1 용기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밀림방지턱;
상기 제 2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빗면에 대응되는 제 2 빗면이 형성되는 제 2 밀폐돌기; 및
상기 제 2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1 용기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하는 제 1 용기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는,
상기 제 2 용기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 3 끼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3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용기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3 밀림방지턱; 및
상기 제 3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용기의 외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제 3 빗면이 형성되는 제 3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뚜껑은,
상기 제 2 뚜껑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끼움고정부와 결합되는 제 4 끼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끼움고정부는,
상기 제 4 끼움고정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뚜껑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3 밀림방지턱에 맞닿아 상기 제 2 뚜껑이 상기 제 2 용기의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 4 밀림방지턱;
상기 제 4 밀림방지턱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에 나선형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3 빗면에 대응되는 제 4 빗면이 형성되는 제 4 밀폐돌기; 및
상기 제 4 밀폐돌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뚜껑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용기의 상측 둘레가 압입되도록 지지하는 제 2 용기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뚜껑은,
상기 제 3 뚜껑의 상측에 위치하고, 둘레방향에 내측으로 만곡된 홈이 형성되는 둘레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3 뚜껑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가 상기 제 2 용기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뚜껑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개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측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둘레홈부에 압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358U KR200489888Y1 (ko) | 2017-12-11 | 2017-12-11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358U KR200489888Y1 (ko) | 2017-12-11 | 2017-12-11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483U KR20190001483U (ko) | 2019-06-19 |
KR200489888Y1 true KR200489888Y1 (ko) | 2019-08-26 |
Family
ID=6700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6358U KR200489888Y1 (ko) | 2017-12-11 | 2017-12-11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88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382A (ko) | 2022-11-03 | 2024-05-10 | 이정미 | 손잡이로 개폐되는 텀블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882B1 (ko) * | 2020-01-15 | 2020-10-27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
CN113133701A (zh) * | 2020-01-19 | 2021-07-20 |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 料理机和料理机的控制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4853B1 (ko) * | 2013-12-16 | 2015-08-17 | 주식회사 신흥 | 이종의 내용물 배출을 위한 용기 마개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80079A (en) * | 1992-04-06 | 1993-01-19 | John Jeng | Combined cup |
KR200453875Y1 (ko) | 2009-09-16 | 2011-06-01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변형 텀블러 |
KR20110006696U (ko) * | 2009-12-28 | 2011-07-06 | 김은유 | 빠짐방지 와셔를 구비한 위조방지 마개 조립체 |
KR200471748Y1 (ko) | 2012-07-20 | 2014-03-11 | 정태원 |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
KR20140018679A (ko) * | 2012-08-03 | 2014-02-13 | 박지원 | 시료 성분 분석용 휴대용 카트리지 |
KR200475534Y1 (ko) | 2013-08-20 | 2014-12-08 | 김은옥 | 휴대용 다단 신축 텀블러 |
KR200475821Y1 (ko) | 2013-09-10 | 2015-01-12 | 주식회사 타무 | 스트로 삽입이 가능한 텀블러 |
-
2017
- 2017-12-11 KR KR2020170006358U patent/KR20048988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4853B1 (ko) * | 2013-12-16 | 2015-08-17 | 주식회사 신흥 | 이종의 내용물 배출을 위한 용기 마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382A (ko) | 2022-11-03 | 2024-05-10 | 이정미 | 손잡이로 개폐되는 텀블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483U (ko) | 2019-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9888Y1 (ko) |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 |
US8083056B1 (en) | Container | |
US20160150902A1 (en) | Multipurpose drink and snack container set | |
TWI725411B (zh) | 食品罐 | |
US4909437A (en) | Telescoping straw assembly for drinking beverages | |
KR20080016771A (ko) |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 |
KR101348415B1 (ko) | 2액형 음료용기 | |
FR3045581A1 (fr) | Dosette de boisson | |
KR101349435B1 (ko) | 다중 컵 | |
KR101376289B1 (ko) | 혼합음료제조키트 | |
KR101056485B1 (ko) | 접철식 용기 | |
CN103781709A (zh) | 盖 | |
CN208447150U (zh) | 一种杯盖 | |
US10624501B2 (en) | Self-contained beverage unit for transporting and creating a mixed beverage | |
KR200494563Y1 (ko) | 결합형 텀블러 용기 | |
KR20090008895U (ko) |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 |
KR20090009093U (ko) |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 |
KR101893184B1 (ko) |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 |
CN204207491U (zh) | 一种休闲食品吸管杯 | |
JP4431552B2 (ja) | 汁物用密閉容器 | |
KR101956915B1 (ko) | 다용도 페트병 | |
KR200259252Y1 (ko) |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 |
CN220363601U (zh) | 两端各有开口的容器和随行杯 | |
KR101391783B1 (ko) | 이중 컵 | |
WO2015186876A1 (ko) |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