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485B1 - 접철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철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485B1
KR101056485B1 KR1020090044235A KR20090044235A KR101056485B1 KR 101056485 B1 KR101056485 B1 KR 101056485B1 KR 1020090044235 A KR1020090044235 A KR 1020090044235A KR 20090044235 A KR20090044235 A KR 20090044235A KR 101056485 B1 KR101056485 B1 KR 10105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rotrusion
flange por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488A (ko
Inventor
황국현
황재희
Original Assignee
황재희
황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희, 황국현 filed Critical 황재희
Priority to KR102009004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상측용기와,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바닥으로 폐색된 컵 형상의 하측용기로 이루어지고, 상측용기는,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내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측돌기를 구비하고, 하측용기는, 상측돌기의 선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통과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측벽과, 하측용기의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외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하측플랜지부와, 하측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측벽에, 외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측돌기를 구비하고, 각 하측돌기의 원주방향 크기는, 상측돌기가 형성된 간격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크기이고, 각 하측돌기의 상면의 위치는, 상측돌기의 하면의 직경방향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이며, 각 하측돌기의 상면과 하측플랜지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측돌기(110)의 상면에 의하여 하측플랜지부(220)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하측돌기(210)의 상면이 상측돌기(1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된다.
접철, 용기, 다단, 무게중심

Description

접철식 용기{Foldable Vessel}
본 발명은 접철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컵이나 반찬그릇, 물병 등의 용기를 상하로 나누어서 접철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접철된 부분을 연장시켜서 돌리면 체결되도록 하여 견고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반대로 돌려서 체결을 풀어서 접철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편리성을 살리면서 사용시의 누수방지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 물기가 있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는, 원래 만들어진 형태에서 변형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밥그릇, 물컵, 김치통 등과 같이 미리 만들어진 형상 그대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에 물이나 음식물이 담겨 있다면 용기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문제가 없으나, 비어있는 용기는 그 속성상 내부공간이라는 부피적 요소가 존재한다. 이는 보관시에 낭비적 요소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자바라식 물통과 같이, 종래에 비어있을 때에 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가 나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예컨대 커피를 담는 컵에 대하여 자바라식 물통의 기술을 적용하면, 커피를 담는 순간에 그대로 쓰러져버리고 말아서, 커피가 쏟아져버린다. 즉, 자바라식 물통의 경우에는, 반드시 뚜껑을 밀폐시켜서 닫지 않으면 형상을 유지할 수가 없다.
식당이나 가정의 부엌에 있어서 빈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은 매우 크다. 이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등산과 같이 짐을 싸서 이동하는 경우에, 빈 용기가 공간을 차지한다면, 짐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어서 불편하다. 이 거추장스러운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빈 용기라 하더라도 용기 자체의 부피가 줄어들 수가 없어서, 빈 용기들을 크기별로 포개어 보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등산용 코펠의 경우가 그러하다.
그러나, 예컨대 10개의 용기가 차례로 포개져서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 중간의 용기가 하나만 필요하다고 한다면, 10개의 용기를 모두 꺼내서 그 중에서 필요로 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0개의 용기가 한 세트가 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라도 분실하면 세트의 개념이 약해져서 가치가 떨어지고, 10개의 용기 모두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세트는 거추장스럽기 짝이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하나의 용기마다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액체를 담아도 넘어지지 않는 기능이 담보되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에 대한 기술은 아직까지 출현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단, 3단 등 다단으로 분할된 다수의 용기를 마치 망원경과 같이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이 다단의 용기를 순차로 연결시켜서 단순한 비틀림 동작에 의하여 견고한 강성을 가지는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철식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뚜껑에 다단의 다수의 용기들이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철되어 보관하고자 할 때에 다수의 용기들이 마음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접철식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구비하는 경우에, 뚜껑의 무게 때문에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의 무게중심을 용기의 중심축 가까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접철식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상측용기와,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바닥으로 폐색된 컵 형상의 하측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용기는, 상기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용기는, 상기 상측돌기의 선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통과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측벽과, 상기 하측용기의 상단의 개 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하측플랜지부와, 상기 하측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상기 측벽에,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원주방향 크기는, 상기 상측돌기가 형성된 간격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크기이고,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의 위치는,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직경방향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이며,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상측돌기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 내향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돌기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을 통과하는 직경방향 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에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경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상측용기의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또는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상측플랜지부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상측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홈을 가지는 뚜껑부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뚜껑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하측플랜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뚜껑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홈이 형성된 뚜껑결착부와, 상기 뚜껑결착부에 대하여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결착부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개폐동작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개폐동작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동작부는, 상기 뚜껑결착부에 고착되는 결착부지지편과, 상기 뚜껑에 고착되는 뚜껑지지편과, 상기 결착부지지편과 상기 뚜껑지지편을 연결하고, 상기 결착부지지편의 설치위치와 상기 뚜껑결착부의 외주단의 위치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에 의하면, 2단, 3단 등 다단으로 분할된 다수의 용기를 마치 망원경과 같이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이 다단의 용기 를 순차로 연결시켜서 단순한 비틀림 동작에 의하여 견고한 강성을 가지는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뚜껑에 다단의 다수의 용기들이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철되어 보관하고자 할 때에 다수의 용기들이 마음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구비하는 경우에, 뚜껑의 무게 때문에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의 무게중심을 용기의 중심축 가까이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조에 의하여 동일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순히 2단으로 분할된 용기를 기본형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3단, 4단 등 보다 다단으로 분할된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3단, 4단 등 다단의 경우에, 상측용기와 하측용기는, 각 단의 결합에 있어서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물론, 최상측의 상측용기와 최하측의 하측용기는 2단 구성에 있어서 설명된 그대로이며, 중간단의 용기(중간용기)들은, 그 상측의 용기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하측용기로서의 구성(상단의 하측프랜지부와 하측돌기)을 가지고, 그 하측의 용기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측용기로서의 구성(하단의 상측돌기)을 동시에 가짐은 원리상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에 끼워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상방에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 하단이 상측용기 하방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의 개구를 통하여 최대로 뻗어나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의 플랜지부와 돌기 사이에 상측용기의 돌기가 끼워져서 완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상측용기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하측용기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는, 기본적으로, 상측용기(100)와, 하측용기(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측용기(100)는,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구된 원통 형상의 용기이다.
상기 하측용기(200)는,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바닥으로 폐색된 컵 형상의 용기이다.
상기 상측용기(100) 및 하측용기(200)의 측벽은 모두 직원통형일 수도 있으 나, 사출성형시의 가공성이나 사용상의 편의성, 견고성 등을 고려할 때 하향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측용기(100)는, 다수개의 상측돌기(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측돌기(110)는, 상기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 형성되는 돌기이다. 이때,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용기(200)는, 측벽과, 하측플랜지부(220)와, 하측돌기(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상측돌기(110)의 선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통과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벽체이다. 상기 통과를 위한 마진은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플랜지부(220)는, 상기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는 상측용기의 하단에서 더이상 하측용기가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기능과 함께, 상측용기와의 긴밀 접촉에 의하여 수밀성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하측돌기(210)는, 상기 하측플랜지부(220)보다 하방의 상기 측벽에,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이다. 이는 상기 상측돌기와의 마찰결합에 의하여 견고한 강성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용기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수밀성의 밀폐기능과 함께, 강성 이 높은 지지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상측용기(100)와 하측용기(200)는 견고하고 수밀하게 결합되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하측돌기(210)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원주방향 크기는, 상기 상측돌기(110)가 형성된 간격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크기일 필요가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돌기는 상측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하강하여 상측돌기의 높이보다 밑으로 빠져나가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하측돌기(210)의 상면의 위치는, 상기 상측돌기(110)의 하면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직경방향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일 필요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측돌기의 하면이 접촉에 의하여 마찰결합하기 위해서는 이들 두 면이 서로 만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하측돌기(210)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11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210)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110)의 하면과 접촉에 의하여 마찰결합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측돌기의 하면이 견고하게 마찰결합하기 위해서는, 상측돌기가 하측플랜지부와 하측돌기 사이에서 하측돌기 쪽으로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하측용기(200)가 상측용기(100)의 하방의 개구로 빠져나가면서, 하측돌기(210)가 상측돌기(110) 사이로 빠져나가고, 상측돌기(110)의 상 면과 하측플랜지부(220)의 하면이 접촉되면서 빠져나가는 동작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측용기(100)와 하측용기(200)를 상대운동시켜서 회전시키면, 상측돌기(110)의 하면과 하측돌기(210)의 상면이 접촉되면서 하측플랜지부(220)와 하측돌기(210) 사이에서 상측돌기(110)가 하측돌기와 강하게 접촉하는 형상이 된다. 이에 의하여 상측용기(100)와 하측용기(200)는 액체가 주입되더라도 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이 발생되도록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플랜지부(220)의 외주단이 상측돌기(110)의 뿌리쪽의 상측용기(100) 내벽이나 이에 이어지는 바닥부(수밀성 패킹을 개재시켜도 좋음)와의 밀착 등에 의하여 수밀성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면에 실리콘 패킹 등 수밀성 소재를 개재시켜도 좋다.
여기서, 상측용기(100)는, 내향플랜지부를 더욱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향플랜지부는, 상기 상측용기(100)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상측돌기(110)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8의 (c)의 상측용기(100)의 용기 측벽과 상측돌기(110) 사이의 좌측으로 뻗은 부분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상측돌기(110)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아도 좋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상면의 높이가, 상기 상측돌기(1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에 수밀성 패킹 등을 끼워넣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하측돌기(210)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을 통과하는 직경방향 위치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다수의 하측돌기들이 상기 내향플랜지부를 통과하여 하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보다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하측플랜지부는 하측용기의 하강에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내향플랜지부와 접촉하면서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하측플랜지부(220)의 하면과 내향플랜지부의 상면 사이의 넓은 면적의 연속 면접촉에 의하여, 보다 수밀성 강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각 하측돌기(210)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11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210)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1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 이하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측돌기(110)의 하면에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돌기(2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경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돌기와 하측돌기의 결합 초기에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끝 부분은 서로 중첩되기 쉬운 구조가 되 므로, 상측용기와 하측용기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먼저 끝 부분끼리가 중첩된 후에, 더욱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결합되고, 쇄기작용에 의하여 하측플랜지부(220), 상측돌기(110), 하측돌기(210)의 소재의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을 일으키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에 의한 억지 체결력이 발생되므로, 보다 견고한 강성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도면으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뚜껑부와 상측용기 사이 결합부의 확대단면도, (c)는 상측용기와 하측용기 사이 결합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가 뚜껑부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뚜껑부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정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정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오고, 뚜껑부가 수직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측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오고, 뚜껑부가 수직상방 및 수직하방(이점쇄선)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다.
상기 기본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에는 뚜껑이 더욱 결합된 뚜껑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측용기(100)에, 상측플랜지부(120)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플랜지부(120)는, 상기 상측용기(100)의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또는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이다.
이때, 상기 상측플랜지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홈(315)을 가지는 뚜껑부( 30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플랜지부와 홈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뚜껑부(300)란, 하기하는 바와 같이 뚜껑(320)과 뚜껑결착부(310)로 2가지 부재로 구성되는 것 뿐 아니라, 이들이 일체로 구성된 것, 즉 단순히 뚜껑에 홈(315)이 형성된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하면, 다단의 접철식 용기에 뚜껑부(300)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어서, 먼지침입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뚜껑부(300)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뚜껑부(300)에는, 뚜껑돌 기(3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돌기(340)는, 상기 하측플랜지부(220)가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돌기이다. 상기 하측플랜지부가 연속돌기이므로, 상기 뚜껑돌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접철되어 있는 시간동안, 하측플랜지부(220)가 뚜껑부(300) 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게 되므로, 하측용기(200)가 상측용기(100)로부터 불필요하게 밑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방지된다. 즉, 상측용기는 뚜껑부에 홈을 통하여 결합되고, 하측용기는 뚜껑부에 뚜껑돌기를 통하여 결합되므로, 이들이 모두 어느 정도의 충격에 의해서는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는, 상기 뚜껑부(300)는, 뚜껑결착부(310)와, 뚜껑(320)과, 개폐동작부(33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결착부(310)는, 상기 홈(315)이 형성된 부분이다. 이 홈을 통하여 상측용기의 상측플랜지부와 결합된다.
상기 뚜껑(320)은, 상기 뚜껑결착부(310)에 대하여 개폐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결착부는 상기 상측용기에 결착된 채로 그대로 있고, 상기 뚜껑만이 개폐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 개폐동작부(330)는, 상기 뚜껑결착부(310)와 상기 뚜껑(32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결착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뚜껑의 개폐동작에 하기하는 바와 같은 일정한 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뚜껑이 분리되어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개폐동작부(330)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동작부(330)는, 결착 부지지편( 332)과, 뚜껑지지편(334)과, 연결편(336)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 기 결착부지지편, 뚜껑지지편 및 연결편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서로 결합되어도 좋지만, 예컨대 플라스틱 등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결착부지지편(332)은, 상기 뚜껑결착부(310)에 고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뚜껑지지편(334)은, 상기 뚜껑(320)에 고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연결편(336)은, 상기 결착부지지편(332)과 상기 뚜껑지지편(334)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그 길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지지편(332)의 설치위치와 상기 뚜껑결착부(310)의 외주단의 위치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다.
상기 결착부지지편과 뚜껑지지편은, 예컨대 극소형의 경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뚜껑에 형성된 2개의 홈 사이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막대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뚜껑이 개방될 때, 결착부지지편, 뚜껑지지편에서 2개의 자유도를 가지게 되므로, 도 15의 예시처럼 뚜껑이 뚜껑결착부의 상면에서 연결편에 지지되어 아래로 늘어뜨려질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뚜껑과 뚜껑결착부 사이의 연결이 단순히 하나의 자유도를 가지는 경첩 구조와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뚜껑 개방에 따라서 뚜껑의 자중에 의한 무게중심 편중에 의하여 용기가 전도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2개의 자유도를 가지는 개폐동작부에 의하면, 뚜껑이 뚜껑결착부의 상면 높이에서 밑으로 늘어뜨려지므로, 무게중심이 용기의 중심선 위치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뚜껑 자중에 의한 용기의 전도가 저지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변형, 변경, 개조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나 보관이 간편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접철식 용기를 제조, 판매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에 끼워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상방에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용기 하단이 상측용기 하방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의 개구를 통하여 최대로 뻗어나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의 플랜지부와 돌기 사이에 상측용기의 돌기가 끼워져서 완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상측용기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기본형의 하측용기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도면으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뚜껑부와 상측용기 사이 결합부의 확대단면도, (c)는 상측용기와 하측용기 사이 결합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 기 하방으로 뻗어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종단면도로서, 하측용기가 뚜껑부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사시도로서, 하측용기가 뚜껑부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정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정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오고, 뚜껑부가 수직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접철식 용기의 뚜껑형의 측면도로서, 하측용기가 상측용기 하방으로 뻗어나오고, 뚜껑부가 수직상방 및 수직하방(이점쇄선)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측용기 110: 상측돌기
120: 상측 플랜지부
200: 하측용기 210: 하측돌기
220: 하측 플랜지부
300: 뚜껑부 310: 뚜껑결착부
320: 뚜껑 330: 개폐동작부
340: 뚜껑돌기

Claims (7)

  1.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상측용기와,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바닥으로 폐색된 컵 형상의 하측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용기는, 상기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용기는, 상기 상측돌기의 선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통과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측벽과, 상기 하측용기의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하측플랜지부와, 상기 하측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상기 측벽에,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원주방향 크기는, 상기 상측돌기가 형성된 간격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크기이고,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의 위치는,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의 상기 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직경방향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이며,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되고,
    상기 각 하측돌기의 상면과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측돌기(11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하측플랜지부(220)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돌기(210)의 상면이 상기 상측돌기(1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거리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돌기의 하면에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경사부가 구비됨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용기의 하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원통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상측돌기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 내향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돌기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을 통과하는 직경방향 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플랜지부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는,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선단의 직경방향 위치보다 크게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용기의 상단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컵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또는 내향하여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는 상측플랜지부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상측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홈을 가지는 뚜껑부가 결합됨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하측플랜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는 뚜껑돌기가 구비됨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홈이 형성된 뚜껑결착부와,
    상기 뚜껑결착부에 대하여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결착부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개폐동작부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동작부는,
    상기 뚜껑결착부에 고착되는 결착부지지편과,
    상기 뚜껑에 고착되는 뚜껑지지편과,
    상기 결착부지지편과 상기 뚜껑지지편을 연결하고, 상기 결착부지지편의 설치위치와 상기 뚜껑결착부의 외주단의 위치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용기.
KR1020090044235A 2009-05-21 2009-05-21 접철식 용기 KR10105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35A KR101056485B1 (ko) 2009-05-21 2009-05-21 접철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35A KR101056485B1 (ko) 2009-05-21 2009-05-21 접철식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488A KR20100125488A (ko) 2010-12-01
KR101056485B1 true KR101056485B1 (ko) 2011-08-11

Family

ID=4350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235A KR101056485B1 (ko) 2009-05-21 2009-05-21 접철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5759B1 (en) 2010-05-21 2015-01-06 Dennis L. Miller Container protector
WO2011146935A2 (en) * 2010-05-21 2011-11-24 Miller Dennis L Container protector
KR102051747B1 (ko) * 2018-05-03 2019-12-03 이해명 발판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
CN110393360A (zh) * 2019-06-25 2019-11-01 中山市希贵电器有限公司 一种折叠式便携水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901U (ko) * 1979-07-24 1981-02-24
JPH0188831U (ko) * 1987-12-02 1989-06-12
KR20050081338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901U (ko) * 1979-07-24 1981-02-24
JPH0188831U (ko) * 1987-12-02 1989-06-12
KR20050081338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488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3857B (zh) 可折叠的形状保持容器
CN107949524B (zh) 可重复使用的杯子
KR100963338B1 (ko) 접을 수 있는 용기
JP5501380B2 (ja) 飲料容器用閉鎖体及び閉鎖体を備えた飲料容器
KR100896825B1 (ko) 접을 수 있는 용기
JP3211582U (ja) 高さ調節が可能な容器
KR100840387B1 (ko) 용기마개
JP6125912B2 (ja) 二重容器
RU2613170C2 (ru) Емкость
KR101295505B1 (ko)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KR101056485B1 (ko) 접철식 용기
KR20090014699A (ko) 첨가물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513154B1 (ko)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US9038851B2 (en) Cover for container
JP3143855U (ja) 容器及び食品容器
KR101417382B1 (ko) 용기
CA2800703A1 (en) An expandable container
KR20190001483U (ko)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20180041634A (ko) 보온병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559820B1 (ko) 자동 개폐가 가능한 식품용기
KR101134236B1 (ko) 용기
JP4840568B2 (ja) キャップ
KR200494563Y1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