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338A - 용량가변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용량가변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338A
KR20050081338A KR1020040009539A KR20040009539A KR20050081338A KR 20050081338 A KR20050081338 A KR 20050081338A KR 1020040009539 A KR1020040009539 A KR 1020040009539A KR 20040009539 A KR20040009539 A KR 20040009539A KR 20050081338 A KR20050081338 A KR 2005008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ontainer
locking
capacity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한
송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338A/ko
Publication of KR2005008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Abstract

저장될 식품의 크기나 양에 따라 내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용량가변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밀폐용기는 제 1 몸체와, 제 1 몸체의 내부에 위치가변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덮개를 구비한다. 제 2 몸체의 양측면의 외측에는 위치가변 부재가 일체로 마련되고, 제 1 몸체의 외측면에는 위치가변 부재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다.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걸림턱들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져서 제 2 몸체가 제 1 몸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용량가변 밀폐용기{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저장될 식품의 크기나 양에 따라 내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 용량가변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김치나 야채류, 또는 과일 등과 같은 각종 식품들을 밀폐된 상태에서 일반 냉장고나 김치 냉장고에 보관하여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밀폐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그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식품이 저장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몸체의 저장공간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는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덮개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밀폐용기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덮개의 테두리와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덮개를 몸체에 착탈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에 식품을 저장한 후에 몸체에 덮개를 덮어서 몸체의 상단 테두리가 덮개에 결합되도록 하면 몸체에 담겨진 식품이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저장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밀폐용기는 몸체가 일정한 크기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식품의 크기와 양에 대응하여 저장공간을 적절하게 가변시킬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저장되는 식품의 크기가 작거나 양이 많지 않아서 밀폐용기의 내부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는 경우에도 밀폐용기가 가변되지 않는 내용적을 갖게 되므로 식품의 크기나 양에 관계없이 냉장고에서 일정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저장되는 식품의 크기가 크거나 양이 많게 되면 하나의 밀폐용기에 모두 보관할 수 없게 되어서 또 다른 밀폐용기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밀폐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 또는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될 식품의 크기나 양에 따라 내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용량가변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을 구비한 제 1 몸체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위치가변 가능하게 끼워져서 내용적을 가변시키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덮개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에 위치되는 높이에 따라 내용적이 가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부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된 위치가변 부재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위치가변 부재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턱들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져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제 1 몸체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 1 걸림턱과, 상기 제 1 몸체의 상단부에 배치된 제 3 결림턱과,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3 걸림턱 사이에 배치된 제 2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걸림턱의 상단은 상기 걸림돌기가 받쳐지도록 평탄면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의 상단 아래부분은 상기 걸림돌기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외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는 제 1 밀폐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제 2 몸체의 하단부와 상기 제 1 몸체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밀폐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 2 밀폐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의 비닐재질이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코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의 비닐재질이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가 최대의 내용적을 갖도록 가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는 밀폐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용량이 가변되는 동작을 보이기 위해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이하에서는 '밀폐용기'라 칭함)(1)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면(11)과 전후면(12)과 양 측면(13)을 구비하여 식품이 담겨질 수 있게 형성된 제 1 몸체(10)와,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전후면(22)과 양 측면(23)만을 구비하여 밀폐용기(1)의 내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제 1 몸체(10)에 끼워지는 제 2 몸체(20)와, 제 2 몸체(20)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어서 밀폐용기(1)가 밀폐되도록 하는 덮개(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위치가변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용기(1)의 저장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 몸체(20)의 양 측면(23)에는 위치가변 부재(40)가 제 2 몸체(20)와 일체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는 제 1 몸체(10)의 양 측면(13)에는 상기 위치가변 부재(4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가변 부재(40)는 제 2 몸체(20)의 각 측면(23)의 상단부로부터 제 2 몸체(20)의 측면(23)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그 하단이 제 2 몸체(20)의 하단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가변 부재(40)는 그 상단만이 제 2 몸체(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설치구조에 의해 그 하단부가 가요성을 갖게 되며, 따라서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을 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손쉽게 하기 위해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손잡이(4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위치가변 부재(40)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위치 고정됨에 따라 밀폐용기(1)의 전체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밀폐용기(1)의 내용적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제 1 걸림턱(51)은 제 1 몸체(10)의 일 측면(13)의 하단부에 배치되어서 위치가변 부재(40)가 이 제 1 걸림턱(51)에 위치 고정되게 되면 밀폐용기(1)의 내용적이 최소로 되며, 제 3 걸림턱(53)은 제 1 몸체(10)의 일 측면(13)의 상단부에 배치되어서 위치가변 부재(40)가 이 제 3 걸림턱(53)에 위치 고정되게 되면 밀폐용기(1)의 내용적이 최대로 된다.
또한, 제 2 걸림턱(52)은 제 1 몸체(10)의 일 측면(13)에서 상기 제 1 및 제 3 걸림턱(51)(53) 사이에 배치되어서 위치가변 부재(40)가 이 제 2 걸림턱(52)에 위치 고정되게 되면 밀폐용기(1)는 중간정도의 내용적을 갖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 걸림턱(52)을 복수개로 하여 제 1 걸림턱(51)과 제 3 걸림턱(53)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면 밀폐용기(1)가 다양한 크기의 내용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위치가변 부재(40)를 상기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 중의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한 쌍의 걸림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42)는 손잡이(41)의 양측에 배치되어 역시 한 쌍으로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의 배열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걸림턱(51)(52)(53)의 상단은 상기와 같은 걸림돌기(42)가 받쳐져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평탄면의 아래 부분은 제 2 몸체(2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작(도 5 참조)이 진행될 때 걸림돌기(42)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몸체(20)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외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43)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43) 사이에는 제 1 밀폐부재(44)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끼워지게 되면 제 2 몸체(20)의 하단 외측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상기 제 1 밀폐부재(44)가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에 밀착되어서 제 2 몸체(20)의 하단부와 제 1 몸체(10)가 밀폐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밀폐부재(44)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 2 몸체(20)의 상단을 덮개(30)에 분리가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덮개(30)의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30)의 각 모서리에는 덮개(30)를 제 2 몸체(20)에서 쉽게 벗기게 하기 위한 덧살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와 덮개(3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몸체(20)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 2 밀폐부재(45)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밀폐부재(45)는 일정 두께의 비닐재질이 상기 제 2 몸체(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코팅되어 형성되어 제 2 몸체(20)의 상단에 고정형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제 2 몸체(20)의 상단 테두리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제 2 몸체(20)의 상단에 교체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밀폐부재(44)와 동일하게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서 덮개(30)의 끼움홈(31)에 끼워져서 제 2 몸체(20)와 덮개(3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폐용기(1)가 위치가변 부재(40)에 의해 내용적이 가변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그리고 덮개(3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의 각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에 마련된 손잡이(41)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약간 힘을 가하면서 제 2 몸체(20)를 제 1 몸체(10)에 끼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각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42)가 제 1 몸체(10)의 양 측면(13)에 형성된 제 1 걸림턱(51)과 제 2 걸림턱(52) 사이에 이를 때까지 취한 후에 손잡이(41)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 위치가변 부재(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제 2 몸체(20)를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42)들이 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1 걸림턱(51)에 걸려져서 위치가변 부재(40)가 제 1 걸림턱(51)에서 위치 고정되게 된다.
계속해서 덮개(30)를 제 2 몸체(20)의 상단에 씌워서 덮개(30)의 테두리를 누르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의 상단 테두리에 덮개(30)가 결합되어 밀폐용기(1)가 밀폐되게 되며, 이렇게 위치가변 부재(40)의 걸림돌기(42)가 제 1 걸림턱(51)에 걸려지게 되면 밀폐용기(1)는 최소한의 내용적을 갖게 되어서 냉장고나 다른 수납공간을 작게 차지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제 2 몸체(20)의 하단부는 제 1 밀폐부재(44)에 의해 제 1 몸체(10)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또한 제 2 몸체(20)의 상단부는 제 2밀폐부재(45)에 의해 덮개(30)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몸체(20)를 제 1 몸체(10)에서 분리시키거나 또는 밀폐용기(1)가 더 큰 내용적을 갖도록 위치 조정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덮개(30)의 각 모서리에 마련된 덧살부(32)를 잡아당겨서 덮개(30)를 제 2 몸체(2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계속해서 각 위치가변 부재(40)의 손잡이(41)를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각 위치가변 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42)가 제 1 몸체(10)의 양 측면(13)에 형성된 제 3 걸림턱(53) 위에 이를 때까지 취한 후에 손잡이(41)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 위치가변 부재(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제 2 몸체(20)를 다시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42)들이 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3 걸림턱(53)에 걸려져서 위치가변 부재(40)가 제 3 걸림턱(53)에서 위치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가변 부재(40)의 걸림돌기(42)가 제 3 걸림턱(53)에 걸려지게 되면 밀폐용기(1)는 최대한의 내용적을 갖도록 용량이 가변되게 되어서 그 안에 크기가 큰 식품이나 많은 양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는 저장될 식품의 크기나 양에 따라 간편하고 신속하게 내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식품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밀폐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나 다른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가 최대의 내용적을 갖도록 가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밀폐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용량이 가변되는 동작을 보이기 위해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밀폐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밀폐용기 10: 제 1 몸체
20: 제 2 몸체 30: 덮개
40: 위치가변 부재 41: 손잡이
42: 걸림돌기 51: 제 1 걸림턱
52: 제 2 걸림턱 53: 제 3 걸림턱
44: 제 1 밀폐부재 45: 제 2 밀폐부재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을 구비한 제 1 몸체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위치가변 가능하게 끼워져서 내용적을 가변시키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덮개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에 위치되는 높이에 따라 내용적이 가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부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된 위치가변 부재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위치가변 부재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턱들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져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제 1 몸체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 1 걸림턱과, 상기 제 1 몸체의 상단부에 배치된 제 3 결림턱과,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3 걸림턱 사이에 배치된 제 2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턱의 상단은 상기 걸림돌기가 받쳐지도록 평탄면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의 상단 아래부분은 상기 걸림돌기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부재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외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는 제 1 밀폐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제 2 몸체의 하단부와 상기 제 1 몸체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 2 밀폐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의 비닐재질이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코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의 비닐재질이 상기 제 2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20040009539A 2004-02-13 2004-02-13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50081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39A KR20050081338A (ko) 2004-02-13 2004-02-13 용량가변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39A KR20050081338A (ko) 2004-02-13 2004-02-13 용량가변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338A true KR20050081338A (ko) 2005-08-19

Family

ID=3726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39A KR20050081338A (ko) 2004-02-13 2004-02-13 용량가변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33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16Y1 (ko) * 2009-12-07 2010-03-18 노성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 케이스
KR100981395B1 (ko) * 2008-08-27 2010-09-14 유승곤 휴대용 의자
KR101011106B1 (ko) * 2010-03-26 2011-01-25 황형근 아이스박스
KR101056485B1 (ko) * 2009-05-21 2011-08-11 황재희 접철식 용기
WO2014007485A1 (ko) * 2012-07-06 2014-01-09 (주)아이디플라텍 소음저감형 껌통
KR20150099366A (ko) * 2014-02-21 2015-08-31 채진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온용기
KR101986480B1 (ko) * 2019-04-16 2019-06-19 김윤수 승강 가능한 바구니
KR20190127040A (ko) * 2018-05-03 2019-11-13 이해명 발판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95B1 (ko) * 2008-08-27 2010-09-14 유승곤 휴대용 의자
KR101056485B1 (ko) * 2009-05-21 2011-08-11 황재희 접철식 용기
KR200448116Y1 (ko) * 2009-12-07 2010-03-18 노성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 케이스
KR101011106B1 (ko) * 2010-03-26 2011-01-25 황형근 아이스박스
WO2011119010A2 (ko) * 2010-03-26 2011-09-29 Hwang Hyung Keun 아이스박스
WO2011119010A3 (ko) * 2010-03-26 2012-01-26 Hwang Hyung Keun 아이스박스
US8800795B2 (en) 2010-03-26 2014-08-12 Hyung Keun Hwang Ice chest having extending wall for variable volume
WO2014007485A1 (ko) * 2012-07-06 2014-01-09 (주)아이디플라텍 소음저감형 껌통
KR20150099366A (ko) * 2014-02-21 2015-08-31 채진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온용기
KR20190127040A (ko) * 2018-05-03 2019-11-13 이해명 발판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
KR101986480B1 (ko) * 2019-04-16 2019-06-19 김윤수 승강 가능한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103B2 (en) Diaper dispensing and disposal apparatus
US7621417B2 (en) Container with integral foam gasket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EP2982919B1 (en) Refrigerator
AU751458B2 (en) Vented container for produce
TW201141413A (en) Dual compartment sandwich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45552B2 (ja) 箱と蓋
KR2005008133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20080190933A1 (en) Sealing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528420B1 (ko) 용기 내부 누름장치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KR200342903Y1 (ko) 용기뚜껑
JP3451029B2 (ja) 米びつ
KR200300190Y1 (ko) 주름형 식품보관용기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200270693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
KR20130006173U (ko) 밀폐기능을 갖는 접이식 주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