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24Y1 -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24Y1
KR200237024Y1 KR2020010010420U KR20010010420U KR200237024Y1 KR 200237024 Y1 KR200237024 Y1 KR 200237024Y1 KR 2020010010420 U KR2020010010420 U KR 2020010010420U KR 20010010420 U KR20010010420 U KR 20010010420U KR 200237024 Y1 KR200237024 Y1 KR 200237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frigerator
stacked
lid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01001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24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냉장고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용기의 하면 모서리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용기가 냉장고의 개폐에 의해 넘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냉장고 문의 음료수 수납용 포켓으로 수납되어지는 음료수는 내용물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그 포장용기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자리를 차지하도록 됨으로서 특히 여름철과 같이 음료수의 소비가 많을 경우에는 음료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수납된 음료수 용기의 상단부로 또 다른 음료수 용기를 적층 시키거나 포장 용기의 높이가 클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의 선반에 뉘어서 수납토록 함으로서 문의 개폐에 따라 흔들리게되고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용기의 저면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내입되어질 수 있도록 뚜껑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착벽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모서리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적층된 용기의 저면이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 뚜껑의 상면에 완삽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냉장고 포켓에 적층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용기

Description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One over another case for door pocket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겅의 상면 모서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용기의 하면 모서리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용기가 냉장고의 개폐에 의해 넘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냉장고를 개폐하는 문의 내면으로는 캔이나 병속에 들어있는 음료수 등을 수납 보관하기 위하여 복층으로 구성된 포켓이 형성되어있다.
종래의 냉장고 문의 음료수 수납용 포켓으로 수납되어지는 음료수는 내용물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그 포장용기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자리를 차지하도록 됨으로서 특히 여름철과 같이 음료수의 소비가 많을 경우에는 음료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됨으로서 수납된 음료수 용기의 상단부로 또 다른 음료수 용기를 적층 시키거나 포장 용기의 높이가 클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의 선반에 뉘어서 수납토록 하였었다.
그러나 타 음료수 용기의 상단 부에 적층되게 수납된 음료수 등은 냉장고 문을 열고 닫을 때마다 흔들리게 되고 심할 경우 떨어지게 됨으로서 파손될 우려가 높았으며, 본체 선반으로 수납되어진 음료수는 냉장고 선반으로 수납된 다른 물건을 넣고 뺄 때마다 치워야 함으로서 불편함이 컸고 특히 뉘어서 수납할 경우 용기 뚜껑을 견고하게 닫지 않으면 음료수가 흘러나와 냉장고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음료수가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저장용기의 뚜껑을 지나치게 조여 놓게 됨으로서 뚜껑을 열기 위해 많은 힘을 들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용기의 저면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내입되어질 수 있도록 뚜껑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착벽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모서리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적층된 용기의 저면이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 뚜껑의 상면에 완삽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냉장고 포켓에 적층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층 상태를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용기 12: 걸림돌기
20: 뚜껑 21: 안착벽
22: 단턱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수납되어지도록 된 용기(10)의 개방면 테두리를 내측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밀폐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된 냉장고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10)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뚜껑(20)의 상면으로는 용기(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높이로 융기된 안착벽(21)을 형성하되 안착벽(21)의 이웃하는 모서리에는 상기 걸림돌기(12)가 내입되어지도록 단턱(22)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용기(10)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장방형 입면체로 성형 구성되고 그 벽면의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 개가 한 조를 이루며 상호 적층되어지도록 함으로서 담겨지는 내용물의 잔량에 따라 선별적으로 담겨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기(10)의 벽면은 개방면을 향하여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서 담겨진 내용물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며 제작 시에도 금형이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용기(10)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표면이 만곡된 걸림돌기(12)가 형성되는데 수납되어질 때 냉장고 포켓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모서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뚜껑(20)은 용기(1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짐이 바람직하며, 상면으로는 적층시 용기(1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착벽(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벽(21)의 모서리로는 걸림돌기(12)가 내입되어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적층된 상부 용기(10`)가 냉장고 문의 개폐에 따라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냉장고 포켓용 용기(10)는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담은 후 적층된 채로 냉장고 문에 형성된 포켓에 수납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담겨진 음료 등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적층된 용기(10)를 꺼내고 일측으로 꺽어 주게되면 용기의 하부면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2)가 만곡면을 따라 단턱(22)으로부터 이탈되어 뚜껑(20)을 열고 내용물을 마시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포장 용기에 담겨진 음료 등을 본 고안의 용기(10)에 담고자 할 경우에는 뚜껑(20)을 열어 내용물을 담은 후 뚜껑(20)을 재차 닫고 하부로 위치되는 용기(10`)의 뚜껑(20`)에 올려놓고 살며시 누르면 걸림돌기(12)가 단턱(22)으로 내입되어지면서 견고하게 적층되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장고 포켓용 용기는 음료수 등이 담겨진 포장 용기가 남아있는 잔량에 상관없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함으로서 수납 공간이 부족한 냉장고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면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수납되어지도록 된 용기(10)의 개방면 테두리를 내측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밀폐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된 냉장고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10)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뚜껑(20)의 상면으로는 용기(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높이로 융기된 안착벽(21)을 형성하되 안착벽(21)의 이웃하는 모서리에는 상기 걸림돌기(12)가 내입되어지도록 단턱(2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KR2020010010420U 2001-04-13 2001-04-13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KR200237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20U KR200237024Y1 (ko) 2001-04-13 2001-04-13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20U KR200237024Y1 (ko) 2001-04-13 2001-04-13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24Y1 true KR200237024Y1 (ko) 2001-10-11

Family

ID=7305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20U KR200237024Y1 (ko) 2001-04-13 2001-04-13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629B1 (ko) * 2009-04-28 2012-03-15 근 욱 이 포도박스
CN112960239A (zh) * 2021-02-07 2021-06-15 广州一盒科技有限公司 一种防移滑饭盒
KR20220144577A (ko) 2021-04-20 2022-10-27 (주)네오플램 적층식 밀폐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629B1 (ko) * 2009-04-28 2012-03-15 근 욱 이 포도박스
CN112960239A (zh) * 2021-02-07 2021-06-15 广州一盒科技有限公司 一种防移滑饭盒
KR20220144577A (ko) 2021-04-20 2022-10-27 (주)네오플램 적층식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JP2013533174A (ja) 液体容器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US2006003277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US4960254A (en) Portable holder to support a recapped container of effervescent liquidinan inverted position to retain the liquids freshness
US6843062B2 (en)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JP4586029B2 (ja) 注ぎ口を含む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JP4939599B2 (ja) 飲料パッケージ容器
KR200449757Y1 (ko) 음료 용기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100496630B1 (ko) 음료 용기
KR200386535Y1 (ko) 주류 포장용 파우치
JP7442232B1 (ja) 飲料容器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200255395Y1 (ko) 밀봉성이 뛰어난 포장병용 피티 캡
CN210540596U (zh) 一种具有储冰功能的醒酒器
KR200411882Y1 (ko) 빨대 용기마개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205316Y1 (ko)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KR200331167Y1 (ko) 음료 용기의 빨대 삽입 구조
KR100496628B1 (ko) 음료용 pet병
WO1992017374A1 (en) Water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