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947A -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947A
KR20100106947A KR1020100089768A KR20100089768A KR20100106947A KR 20100106947 A KR20100106947 A KR 20100106947A KR 1020100089768 A KR1020100089768 A KR 1020100089768A KR 20100089768 A KR20100089768 A KR 20100089768A KR 20100106947 A KR20100106947 A KR 2010010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inclined surfa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봉제
Original Assignee
(주)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 filed Critical (주)지원
Priority to KR102010008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947A/ko
Publication of KR2010010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co-operating peripheral ribs an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65D43/065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the peripheral channel having an inverted U-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탈되지 않고 위아래로 적층 결합이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측과 뚜껑측 간의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용기들을 상호 이탈없이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새로운 적층타입의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용기의 취급 및 사용과 관련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Stacked type food preservation vessel}
본 발명은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이탈되지 않고 위아래로 적층 결합이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의 본체는 식품 보관용으로 허가된 재질의 합성수지, 내열유리, 내열도 자기 등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은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 이외에도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통의 식품 저장용기는 유리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식품저장 또는 섭취자의 기호 등 필요에 따라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일회용 용기, 또는 밀폐형 캡을 가지며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밀폐 용기가 사용된다.
보통 대부분의 보관용기는 단순히 보관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설치한 형태로서, 보관용기들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운반할 수가 없었으며, 다른 용기를 적층할 경우 용기들이 흔들려 쓰러지게 됨으로써, 뚜껑이 열려 내용물이 업질러지게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여러 개의 용기를 일정한 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용기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큰 케이스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반찬을 담는 용기와 물을 담는 용기 등이 구분되어 있어서 이를 운반할 경우 각각 별도로 포장하여 운반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본죽이나 치킨점 등의 판매점에서 각종 소스를 담아주거나 반찬 등을 담아주는 반찬통은 원형의 용기로 반찬 수대로 2∼3개씩 사용된다.
이러한 기존의 용기는 낱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판매점에서 보관 등의 보관성이 나쁘고, 이동시 자주 전도되며, 포장백의 부피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남은 음식의 냉장 보관시 냉장고 내부에 똑바로 세워서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등 주부들의 신경을 자극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최근 가정에서 식사하는 횟수가 줄고 가족수가 감소함에 따라, 가정에서는 음식물을 마련하거나 요리할 때, 한가지 음식물을 많이 요리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 음식물을 조금씩 요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장하는 음식물의 종류가 많아지는 경우, 보관용기 자체의 크기 보다는 여러 개의 보관용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렇게 보관용기를 여러 개 사용할 경우에는 냉장고 안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보통 부피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개의 보관용기를 차곡차곡 쌓아서 넣게 되지만, 음식물 수납 및 인출시 접촉 등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떨어지면서 속에 있는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는 등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측과 뚜껑측 간의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용기들을 상호 이탈없이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새로운 적층타입의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용기의 취급 및 사용과 관련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각 수납공간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각각의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덮개부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가 구비되어,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의 양쪽 끼움부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의 양쪽 가장자리의 덮개부에 있는 홈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용기 상호 간의 이탈없이 견고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하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와,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덮개부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가 구비되어,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의 양쪽 끼움부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의 덮개부에 있는 홈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각 수납공간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각각의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덮개부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가 구비되는 한편, 하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와,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덮개부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용기 본체를 가지는 용기 위에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있는 용기 본체를 가지는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의 양쪽 끼움부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의 덮개부에 있는 홈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의 측면 하단 및 저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부와 뚜껑의 상면에 있는 돌기수용부 간의 끼움구조를 통해 용기들을 상호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갖는다.
첫째, 용기들을 적층시켜 보관 및 운반할 때 용기가 전도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둘째, 소스 용기 여러 개를 적층 보관할 때 편리하다.
셋째, 매장 보관 및 진열시에 용기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넷째, 여러 개를 견고히 적층 고정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시 쇼핑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이동시 안정감있는 적층구조로 인해 전도를 방지할 수 있어 소스 등과 같은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용기 본체에 있는 걸립돌기부를 걸어주기 위한 뚜껑측의 돌기수용부를 별개의 구조나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뚜껑 상면의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는 홈 성형부분을 활용함으로써, 설계 및 제작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복잡한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외관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11)측과 뚜껑(13)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끼움부(16)와 홈부(17) 간의 끼움 및 해제 작용을 통해 용기 간의 적층상태를 상호 간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적층상태의 해제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용기의 보관, 운반 등과 같은 취급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는 보통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11)와 뚜껑(13)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용기 본체(11)의 상부에 뚜껑(13)을 닫음으로써 밀폐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식품 보관용기는 소스나 양념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도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거나, 후술하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죽이나 밥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도의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10), 예를 들면 3개의 수납공간(10)이 형성되고, 각 수납공간(10)에는 소스류나 양념류 등과 같은 내용물을 넣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수납공간(10)은 각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독립된 단위 용기(19)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단위 용기(19)들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되면서 각각의 그 상단부를 통해 하나의 일체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기 본체(11)는 3개의 단위 용기(19)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모아놓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의 각 수납공간(10), 즉 각 단위 용기(19)에는 용기 내측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가면서 형성되는 단차진 구조의 턱부(20)가 마련되고, 이때의 턱부(20)에는 후술하는 뚜껑(13)의 홈부(17)의 가장자리 저면이 걸려져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에 뚜껑(13)을 닫게 되면, 뚜껑(13)의 홈부(17)가 용기 본체(11)의 턱부(20)에 안착됨과 동시에 그 홈부(17)의 측면 둘레가 용기 본체(11)의 내측 벽면에 꽉 끼워지듯이 밀착되므로서, 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 본체(11)에는 용기 적층시 뚜껑(13)측과의 끼워지는 구조를 통해 적층상태를 고정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 본체(11)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용기 바닥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의 끼움부(16)가 마련되며, 이때의 끼움부(16)는 안쪽면이 경사면(14a)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바깥면은 용기 측면보다도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5)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양쪽의 끼움부(16)가 가지는 내측의 경사면(14a)은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을 이루는 형상, 즉 "/"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11)의 양쪽 측하단부에 마련되는 끼움부(16)는 용기 본체(11)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용기(19) 중에서, 예를 들면 3개의 단위 용기(19) 중에서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각 단위 용기(19)의 바깥쪽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용기 적층시 상기 용기 본체(11)는 양쪽의 끼움부(16)를 이용하여 아래쪽에 배치되는 용기 뚜껑(13)의 덮개부(12)에 있는 홈부(17) 내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11)와 짝을 이루는 뚜껑(13)은 용기 본체(11)를 밀폐시키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하여 용기 본체(11)가 가지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10)에 일대일 대응되면서 구획되어 각 수납공간(10)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각각의 덮개부(12)를 갖추게 된다.
특히, 상기 덮개부(12)는 뚜껑 상면보다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17)와 이 홈부(17)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로 구성되며, 결국 덮개부(12)는 융기부(18)를 가운데 두고 그 둘레를 따라 폭이 좁은 길다란 홈부(17)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경사면(14b)은 융기부(18)의 4면 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면으로서, 이 중에서 뚜껑 길이방향 단부쪽의 경사면(14b)이 용기 본체(11)에 있는 경사면(14a)과 꼭 맞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3)에는 일측 모서리 부분에 손잡이(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뚜껑(13)을 열 때 손잡이(21)를 잡고 젖히면 손쉽게 뚜껑을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3개의 수납공간(10), 즉 3개의 단위 용기(19)를 가지면서 소스류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2개의 용기를 위아래로 적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2개의 용기를 위아래로 배치한 다음, 윗쪽의 용기를 살짝 누르게 되면,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11)에 있는 양쪽의 끼움부(16)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13)에 있는 역시 양쪽의 홈부(17) 내에 진입하면서 끼워지게 되고, 이때 끼움부(16)의 저면과 안쪽의 경사면(14a)은 홈부(17)의 바닥면과 융기부(18)가 갖는 경사면(14b)에 밀착됨과 동시에 끼움부(16)의 바깥쪽 돌출부(15)가 홈부(17)의 벽면에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되므로, 위아래 용기는 인위적으로 떼어내지 않는 한 서로 간의 이탈없이 견고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끼움 고정식의 적층상태는 용기 본체(11)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끼움부(16)가 발휘하는 고정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끼움부(16)가 가지는 돌출부(15)의 압착작용을 통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이므로, 뚜껑측에는 별도의 걸림돌기나 걸림홈 등과 같은 걸림수단의 성형을 배제할 수 있고, 결국 뚜껑 제작을 위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3개의 수납공간(10), 즉 3개의 단위 용기(19)를 가지면서 소스류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1개의 용기와 하나의 수납공간(100)을 가지면서 죽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1개의 용기를 위아래로 적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수납공간(100)이 형성되어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와,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의 수납공간(100)을 덮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30)을 포함하는 형태의 용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의 경우에도 소스류 등을 담는 소용량의 용기 본체(11)와 마찬가지로 그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140a)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150)로 이루어진 끼움부(160)를 갖추게 되고, 또 이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130)의 덮개부(120)에도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형태로 형성되는 홈부(170)와 이 홈부(17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면서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0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0)가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죽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를 가지는 용기와 소스류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소용량의 용기 본체(11)를 가지는 용기를 적층하는 경우, 하나의 수납공간(100)이 있는 용기 본체(110)를 가지는 용기 위에 복수 개의 수납공간(10)이 있는 용기 본체(11)를 가지는 용기를 배치한 다음, 윗쪽의 용기를 살짝 누르게 되면,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11)에 있는 양쪽의 끼움부(16)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130)에 있는 양쪽의 홈부(170) 내에 진입하면서 끼워지게 되고, 이때 끼움부(16)의 저면과 안쪽의 경사면(14a)은 홈부(170)의 바닥면과 융기부(180)가 갖는 경사면(140b)에 밀착됨과 동시에 끼움부(16)의 바깥쪽 돌출부(15)가 홈부(170)의 벽면에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되므로, 2개의 용기가 한 세트의 형태로 견고하게 적층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수납공간 11 : 용기 본체
12 : 덮개부 13 : 뚜껑
14a,14b : 경사면 15 : 돌출부
16 : 끼움부 17 : 홈부
18 : 융기부 19 : 단위 용기
20 : 턱부 21 : 손잡이

Claims (5)

  1.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10)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각 수납공간(10)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각각의 덮개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3)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11)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14a)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15)로 이루어진 끼움부(16)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13)의 덮개부(12)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17)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가 구비되어,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의 양쪽 끼움부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의 양쪽 가장자리의 덮개부에 있는 홈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의 각 수납공간(10)은 독립된 단위 용기(19)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 용기(19)는 상단부를 통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의 각 수납공간(10)에는 내측 상단부 둘레를 따라 턱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턱부(20)에 뚜껑(13)의 홈부 가장자리 저면이 안착되면서 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4. 하나의 수납공간(100)이 형성되어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와,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의 수납공간(100)을 덮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30)을 포함하며,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140a)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150)로 이루어진 끼움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130)의 덮개부(120)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170)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170)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0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0)가 구비되어,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의 양쪽 끼움부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의 덮개부에 있는 홈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5.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10)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각 수납공간(10)을 개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각각의 덮개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3)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11)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14a)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15)로 이루어진 끼움부(16)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13)의 덮개부(12)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17)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가 구비되는 한편,
    하나의 수납공간(100)이 형성되어 있는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와,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의 수납공간(100)을 덮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30)을 포함하며,
    상기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의 양쪽 측하단부에는 용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안쪽의 경사면(140a)과 측면보다 튀어나온 바깥쪽의 돌출부(150)로 이루어진 끼움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130)의 덮개부(120)에는 뚜껑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려간 홈부(170)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홈부(170)의 중앙부분에는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140b)으로 되어 있는 융기부(180)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용기 본체(110)를 가지는 용기 위에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있는 용기 본체(11)를 가지는 용기 적층시, 윗쪽 용기의 용기 본체(11)의 양쪽 끼움부(16)가 아래쪽 용기의 뚜껑(130)의 덮개부(120)에 있는 홈부(170)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1020100089768A 2010-09-14 2010-09-14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100106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768A KR20100106947A (ko) 2010-09-14 2010-09-14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768A KR20100106947A (ko) 2010-09-14 2010-09-14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947A true KR20100106947A (ko) 2010-10-04

Family

ID=4312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768A KR20100106947A (ko) 2010-09-14 2010-09-14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94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51B1 (ko) * 2012-10-17 2013-04-02 주식회사 썬라이즈키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WO2014061966A1 (ko)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썬라이즈키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CN104890988A (zh) * 2015-06-27 2015-09-09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天窗ecu置物盒及其存储方法
CN108163351A (zh) * 2018-02-02 2018-06-15 上海连享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纸浆包装上盖
KR20200007199A (ko) 2018-07-12 2020-01-22 (주)동양팩 부식을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용기
KR102104010B1 (ko) * 2019-07-24 2020-04-23 (주)사랑과 선행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160576B1 (ko) * 2020-05-07 2020-09-28 주식회사 대력 생고추냉이와 회 간장의 진공 포장체
CN112960239A (zh) * 2021-02-07 2021-06-15 广州一盒科技有限公司 一种防移滑饭盒
KR102351533B1 (ko) * 2020-07-31 2022-01-17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220107603A (ko) * 2021-01-25 2022-08-02 김정희 의료기구용 트레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51B1 (ko) * 2012-10-17 2013-04-02 주식회사 썬라이즈키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WO2014061966A1 (ko)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썬라이즈키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US9522762B2 (en) 2012-10-17 2016-12-20 Sunrise Co., Lt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CN104890988A (zh) * 2015-06-27 2015-09-09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天窗ecu置物盒及其存储方法
CN108163351A (zh) * 2018-02-02 2018-06-15 上海连享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纸浆包装上盖
KR20200007199A (ko) 2018-07-12 2020-01-22 (주)동양팩 부식을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용기
KR102104010B1 (ko) * 2019-07-24 2020-04-23 (주)사랑과 선행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191985B1 (ko) * 2019-07-24 2020-12-16 (주)사랑과 선행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160576B1 (ko) * 2020-05-07 2020-09-28 주식회사 대력 생고추냉이와 회 간장의 진공 포장체
KR102351533B1 (ko) * 2020-07-31 2022-01-17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220107603A (ko) * 2021-01-25 2022-08-02 김정희 의료기구용 트레이
CN112960239A (zh) * 2021-02-07 2021-06-15 广州一盒科技有限公司 一种防移滑饭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US9156587B2 (en) Multiple sealed beverage vessels in a case
US5220999A (en) Nestable hinged container for the display and storage of consumer articles
US9266646B2 (en) Cutlery utensil dispensing package
JP4953986B2 (ja) 包装用容器、蓋、蓋付き包装用容器、および食品包装体
US20090200301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Assemblies
KR102029767B1 (ko)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US11186427B2 (en) Container for comestible products
KR20150015573A (ko)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US9505523B2 (en) Food package
KR101417382B1 (ko) 용기
JP4925083B2 (ja) 容器
KR101092853B1 (ko) 신축구성을 갖는 일회용 용기
CN205738729U (zh) 容器
US20140263384A1 (en) Food package
KR20100008031U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JP5912284B2 (ja) 指掛け部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101097807B1 (ko) 일회용 용기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JPH0449075Y2 (ko)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RU142540U1 (ru) Пищевой двухкамерный контейнер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