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985B1 -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 Google Patents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985B1
KR102191985B1 KR1020200046694A KR20200046694A KR102191985B1 KR 102191985 B1 KR102191985 B1 KR 102191985B1 KR 1020200046694 A KR1020200046694 A KR 1020200046694A KR 20200046694 A KR20200046694 A KR 20200046694A KR 102191985 B1 KR102191985 B1 KR 10219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ver part
cover
tubular protrusion
lun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사랑과 선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랑과 선행 filed Critical (주)사랑과 선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에 관련되며, 내부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격실이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 상부에 맞물려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덮개부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본체부를 잡으면 손가락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부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가 형성되어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 가능하고, 용기본체부 바닥면과 덮개부 상면은 서로 맞물려 적층 조립되도록 음, 양각부가 구비되어, 도시락이 복수개 적층될 경우 도시락 덮개부의 음각부에 다른 도시락의 용기본체부에 형성된 양각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LUNCH BOX FOR SENIOR CARE WITH EASY REMOVAL OF THE LID}
본 발명은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가능하고, 특히 격실 바닥면에 상향 볼록부 및 덮개부의 관형 돌부에 의한 하중 지지구조로 인해 도시락을 복층 적재시 하중이 분산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 및 덮개부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하는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도시락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만든 본체 내에 다수의 구획공간을 마련한 후, 밥이나 반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본체 상단에 덮개를 결합하여 내부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도시락은 야외에서의 단체급식과 같은 전통적인 사용처는 물론,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식품용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 들어 배달이나 포장음식이 증가함에 따라 그 사용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0195호에서, 밥이나 반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획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외향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며, 저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적층시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제1,2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연장편을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음식물의 밀폐 및 음식물 수용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상부로 적층된 다른 일회용 도시락 용기의 음식물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를 각각 수용하여 적층에 따른 쓰러짐을 방지가능하도록 제1,2수용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일회용 도시락 용기는 단순히 음식물을 수용하는 기능에 충실할 뿐, 사용자 편의성이 결여되는바, 구체적으로 덮개부를 개봉시 손이 미끄러짐으로 많은 힘이 소요되고, 용기 바닥 내구성이 떨어지면, 다단 적층시 미끄러짐 현상으로 음식물이 안전하게 저장되지 못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
KR 10-2013-0080195 A (2013.07.12.)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가능하고, 특히 격실 바닥면에 상향 볼록부 및 덮개부의 관형 돌부에 의한 하중 지지구조로 인해 도시락을 복층 적재시 하중이 분산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 및 덮개부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하는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격벽(11a)에 의해 분할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격실(11)이 형성되는 용기본체부(10), 상기 용기본체부(10) 상부에 맞물려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부(10)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부(10) 가장자리부에는 용기손잡이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 가장자리부에는 용기손잡이부(10)와 불일치 하는 위치에 덮개손잡이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부(10)의 격실(11) 바닥면(16)에 상향 볼록부(11b)가 형성되거나, 바닥면(16)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바닥면(16)의 중간부는 일정 높이 상향된 곡선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관형 돌부(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이격 배치되어 하단부가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맞닿아 적층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과 덮개부(20) 상면은 서로 맞물려 적층 조립되도록 음, 양각부(24)(14)가 구비되어, 도시락이 복수개 적층될 경우 도시락 덮개부(20)의 음각부(24)에 다른 도시락의 용기본체부(10)에 형성된 양각부(14)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에는 장방향 예비절개라인(26a)에 의해 따내기 되어 형성되는 멀티플레이트(26)가 구비되며, 멀티플레이트(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관형 돌부(30)가 2개 배치되며, 상기 관형 돌부(30)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에는 요철부(32)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관형 돌부(30)에 손가락을 끼워 간이 집게로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관형 돌부(30)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관통홀(11c)이 형성되어 상기 관형 돌부(30)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관형 돌부(30) 상단부에 상방향으로 이웃하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이 지지되고, 관형 돌부(30)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덮개부(20) 상면이 지지되며, 상기 관형 돌부(30)는 4개소에 사각 배치되어, 덮개부(20)를 분리하여 바닥면(16)에 안착시, 덮개부(20)가 관형 돌부(30)에 의해 바닥면(16)으로 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면에 용기본체부(10)를 올릴 수 있는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에는 주름관 또는 자바라관형 신축 손잡이(40)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 손잡이(40)는 덮개부(20)를 뒤집어 앞 접시로 사용시 길이를 신장시켜 손잡이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가능하고, 특히 격실 바닥면(16)에 상향 볼록부 및 덮개부의 관형 돌부에 의한 하중 지지구조로 인해 도시락을 복층 적재시 하중이 분산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 및 덮개부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용기손잡이부와 덮개손잡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상향 볼록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격실 바닥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관형 돌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음, 양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간이 집게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관형 돌부 확장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의 신축 손잡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에 관련되며, 이는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가능하고, 특히 격실 바닥면에 상향 볼록부 및 덮개부의 관형 돌부에 의한 하중 지지구조로 인해 도시락을 복층 적재시 하중이 분산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 및 덮개부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용기본체부(10),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 덮개부(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부(10)는 내부 격벽(11a)에 의해 분할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격실(11)이 형성된다. 용기본체부(10)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코팅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다양한 음식물을 독립된 공간에 담을 수 있도록 복수의 격실(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실(11)은 용기본체부(10)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내부 격벽(11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20)는 상기 용기본체부(10) 상부에 맞물려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덮개부(20)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코팅지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는 용기본체부(10)를 수용하도록 확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부(10)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가 형성된다. 도 1에서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는 용기본체부(10) 측면에 횡방향 라인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덮개부(20)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본체부(10)를 잡으면 손가락이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에 걸린 상태로 이탈이 방지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덮개부(20)를 개방하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용기본체부(10) 가장자리부에는 용기손잡이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 가장자리부에는 용기손잡이부(10)와 불일치 하는 위치에 덮개손잡이부(22)가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용기손잡이부(12)는 용기본체부(10)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손잡이부(22)는 덮개부(20)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용기손잡이부(12)와 덮개손잡이부(22)가 종방향으로 불일치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각각 손으로 잡기 용이하여 덮개부(20) 개방에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3에서, 상기 용기본체부(10)의 격실(11) 바닥면(16)에 상향 볼록부(11b)가 형성된다. 상향 볼록부(11b)는 격실(11) 바닥면(16) 중앙에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격실(11) 바닥면(16) 가장자리부에는 음각골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향 볼록부(11b)로 인해 각각의 격실(11)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부(10) 전체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 격실(11)에 야채 반찬을 수용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성되는 수분이 격실(11) 바닥면(16)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음각골에 분리 포집되어 수분에 의한 야채 반찬 변질 속도를 지연시키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부(10)의 격실(11) 바닥면(16)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격실(11)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어 격실(11)에 수용된 반찬, 국물 등의 음식물이 격실(11)의 가장 깊은 부분에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수저 또는 젓가락을 이용하여 격실(11) 내부에 수용된 반찬을 집는 것에 유용하다.
이때, 경사진 형태의 격실(11) 바닥면(16)는 직선으로 경사진 형태에서 바닥면(16)의 중간부가 일정 높이 상향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저 등을 이용하여 격실(11)에 수용된 반찬 또는 국물을 집거나 퍼올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관형 돌부(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이격 배치되어 하단부가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맞닿아 적층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관형 돌부(30)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관형 돌부(30) 하단부가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맞닿아 적층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관형 돌부(30) 상부를 통하여 손가락을 집어넣어 덮개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손잡이 홈으로 이용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과 덮개부(20) 상면은 서로 맞물려 적층 조립되도록 음, 양각부(24)(14)가 구비된다. 음, 양각부(24)(14)는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되는데, 음각부(24)에 양각부(14)가 맞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도시락을 복층으로 적층 포장시,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과 덮개부(20) 상면이 음, 양각부(24)(14)에 의해 서로 맞물려 위치 고정되므로 별도의 끈, 테이프와 같은 구속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묶지 않더라도 적층 포장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즉, 도시락과 다른 도시락을 적층한 상태에서 이동할 경우, 도시락의 용기본체부(10) 바닥면에 형성된 양각부(14)가 다른 도시락의 덮개부(20)의 음각부(24)에 정확히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적층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도시락을 적층하여도 적층된 도시락이 흔들림에 의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에는 장방향 예비절개라인(26a)에 의해 따내기 되어 형성되는 멀티플레이트(26)가 구비되며, 멀티플레이트(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관형 돌부(30)가 2개 배치되며, 상기 관형 돌부(30)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에는 요철부(32)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관형 돌부(30)에 손가락을 끼워 간이 집게로 사용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덮개부(20)에 예비절개라인(26a)을 따라 멀티플레이트(26)를 분리하고, 멀티플레이트(26)에 형성된 2개의 관형 돌부(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오므리면 간이 집게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관형 돌부(30)는 외주면에 요철부(32)가 형성되어 음식물이 파지되어 미끄럼 이탈이 방지되므로, 치킨과 같이 젓가락으로 섭취가 곤란한 음식물도 손을 버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관형 돌부(30)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관통홀(11c)이 형성되어 상기 관형 돌부(30)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관형 돌부(30) 상단부에 상방향으로 이웃하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이 지지되고, 관형 돌부(30)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덮개부(20) 상면이 지지된다. 이에 도 8 (a)와 같이 도시락을 다단으로 적층시 서로 이웃하는 도시락이 복수의 관형 돌부(30)에 의해 지지되어 하중이 분산 지지되므로, 도시락에 담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10) 및 덮개부(20)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관형 돌부(30)는 4개소에 사각 배치되어, 덮개부(20)를 분리하여 바닥면(16)에 안착시, 도 8 (b)처럼 덮개부(20)가 관형 돌부(30)에 의해 바닥면(16)으로 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덮개부(20) 상면에 용기본체부(10)를 올릴 수 있는 간이 테이블로 사용된다. 이에 풀밭이나 바닥이 지저분한 야외에서도 용기본체부(10)를 바닥에 놓은 상태로 두손 자유롭게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도 9에서, 상기 덮개부(20)에는 주름관 또는 자바라관형 신축 손잡이(40)가 구비된다. 상기 신축 손잡이(40)는 도 9 (a)처럼 당기면 길이가 신장되고, 도 9 (b)처럼 덮개부(20)를 뒤집어 음식을 덜어 먹을 수 있는 앞 접시로 사용시 길이가 신장된 신축 손잡이(40)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음식을 섭취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는 용기 본체부에 맞물려 조립된 덮개부를 누구나 손쉽게 분리가능하고, 특히 격실 바닥면(16)에 상향 볼록부 및 덮개부의 관형 돌부에 의한 하중 지지구조로 인해 도시락을 복층 적재시 하중이 분산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 및 덮개부 두께의 축소 설계로 재료비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 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부 20: 덮개부
30: 관형 돌부 40: 신축 손잡이

Claims (3)

  1. 내부 격벽(11a)에 의해 분할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격실(11)이 형성되는 용기본체부(1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 상부에 맞물려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덮개부(20)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본체부(10)를 잡으면 손가락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부(10)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10a)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과 덮개부(20) 상면은 서로 맞물려 적층 조립되도록 음, 양각부(24)(14)가 구비되어, 도시락이 복수개 적층될 경우 도시락 덮개부(20)의 음각부(24)에 다른 도시락의 용기본체부(10)에 형성된 양각부(1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관형 돌부(30)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관통홀(11c)이 형성되어 상기 관형 돌부(30)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관형 돌부(30) 상단부에 상방향으로 이웃하는 용기본체부(10) 바닥면(16)이 지지되고, 관형 돌부(30)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덮개부(20) 상면이 지지되며, 상기 관형 돌부(30)는 4개소에 사각 배치되어, 덮개부(20)를 분리하여 바닥면(16)에 안착시, 덮개부(20)가 관형 돌부(30)에 의해 바닥면(16)으로 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면에 용기본체부(10)를 올릴 수 있는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20)에는 주름관 또는 자바라관형 신축 손잡이(40)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 손잡이(40)는 덮개부(20)를 뒤집어 앞 접시로 사용시 길이를 신장시켜 손잡이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관형 돌부(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이격 배치되어 하단부가 용기본체부(10)의 내부 격벽(11a) 상단부에 맞닿아 적층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관형 돌부(30) 상부를 통하여 손가락을 집어넣어 덮개를 개방할 수 있는 손잡이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의 관형 돌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에는 장방향 예비절개라인(26a)에 의해 따내기 되어 형성되는 멀티플레이트(26)가 구비되며, 멀티플레이트(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관형 돌부(30)가 2개 배치되며, 상기 관형 돌부(30)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에는 요철부(32)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관형 돌부(30)에 손가락을 끼워 간이 집게로 사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0)에 예비절개라인(26a)을 따라 멀티플레이트(26)를 분리하고, 멀티플레이트(26)에 형성된 2개의 관형 돌부(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간이 집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0200046694A 2019-07-24 2020-04-17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191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9638 2019-07-24
KR1020190089638 2019-07-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17A Division KR102104010B1 (ko) 2019-07-24 2019-08-26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985B1 true KR102191985B1 (ko) 2020-12-16

Family

ID=70472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17A KR102104010B1 (ko) 2019-07-24 2019-08-26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0200046694A KR102191985B1 (ko) 2019-07-24 2020-04-17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17A KR102104010B1 (ko) 2019-07-24 2019-08-26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04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237B1 (ko) * 2020-07-29 2022-07-07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내측면의 자체적인 복원력을 가지는 접이식 폴딩박스
WO2023195572A1 (ko) * 2022-04-07 2023-10-12 김종민 반찬 뚜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36A (ja) * 1996-07-23 1998-02-10 Risupatsuku Kk 発泡シートからなる弁当用容器
KR20100106947A (ko) * 2010-09-14 2010-10-04 (주)지원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KR20130080195A (ko) 2012-01-04 2013-07-12 에코그린 (주)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18131230A (ja) * 2017-02-14 2018-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冷菓収容用容器、冷菓入り容器及び膨出部材
JP2019037846A (ja) * 2014-03-03 2019-03-14 花王株式会社 受皿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9060A (ja) * 1988-04-23 1989-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蓋付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36A (ja) * 1996-07-23 1998-02-10 Risupatsuku Kk 発泡シートからなる弁当用容器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KR20100106947A (ko) * 2010-09-14 2010-10-04 (주)지원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130080195A (ko) 2012-01-04 2013-07-12 에코그린 (주)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19037846A (ja) * 2014-03-03 2019-03-14 花王株式会社 受皿容器
JP2018131230A (ja) * 2017-02-14 2018-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冷菓収容用容器、冷菓入り容器及び膨出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010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769B2 (en) Nestable containers
US8985382B2 (en) Food container with cup recess
KR102191985B1 (ko)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US8844739B2 (en) Food storage container
USD962719S1 (en) Storage container for food
USD990255S1 (en) Set of dishware
US20090205995A1 (en) Food serving tray
JP2004337207A (ja) 保温容器
JP5156411B2 (ja) 包装用容器
USD960664S1 (en) Storage container for food
US20120298673A1 (en) Locking stabilized carry-out food container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JP4429046B2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20170002642U (ko) 다기능 식판
JP3199845U (ja) 食品容器用中蓋及び食品容器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0240157Y1 (ko) 찬합
KR101267511B1 (ko)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JP7474483B2 (ja) 食品包装用容器
TWI826143B (zh) 紙容器結構
JP2005067632A (ja) 食品容器
KR200311166Y1 (ko) 적층 가능형 용기
JP3152922U (ja) 収納容器
TWM610992U (zh) 餐盒結構改良
JP3133036U (ja) 弁当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