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66Y1 - 적층 가능형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66Y1
KR200311166Y1 KR20-2003-0003289U KR20030003289U KR200311166Y1 KR 200311166 Y1 KR200311166 Y1 KR 200311166Y1 KR 20030003289 U KR20030003289 U KR 20030003289U KR 200311166 Y1 KR200311166 Y1 KR 200311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cked
containers
stack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수
Original Assignee
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수 filed Critical 강정수
Priority to KR20-2003-0003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발이나 뚝배기와 같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같은 종류의 용기를 여러층 포개 놓아도 안정성 있게 적층할 수 있는 적층 가능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식점 등에서 사발이나 뚝배기와 같은 용기를 여러층 포개어 적층하여 두게 되는데, 이 때, 용기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들이 지그재그로 적층되어 보기에도 불안정할 뿐만아니라 종종 전복되어 용기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며, 좁은 면적에 여러개의 용기를 적층할 수 없었으며 많은 용기를 관리하는데 많은 노력이 들어 갔으나, 본 고안은 용기의 측면 상방부의 일부에 테두리부를 형성하되, 그 테두리부의 일부에 2개 이상의 개소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하여서 같은 종류의 용기를 여러층 적층할 수 있는 적층형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 가능형 용기{Stackable Vessel}
본 고안은 사발이나 뚝배기와 같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같은 종류의 용기를 여러층 포개 놓아도 안정성 있게 적층할 수 있는 적층 가능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사발이나 뚝배기와 같은 용기는 윗부분이 넓고 아래 부분이 좁은 상광 하협 형태의 것이 대부분 이었다. 음식점 등에서 사발이나 뚝배기와같은 용기를 여러층 포개어 적층하여 선반 등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용기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들이 지그재그로 적층되어 보기에도 불안정할 뿐만아니라 좁은 면적에 여러개의 용기를 적층하기가 곤란 하였으며, 이러한 용기를 관리하는 데 많은 노력이 들어 가며, 종종 쌓아 둔 용기들이 전복되어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용기 측면의 상부 일부에 테두리부를 형성하므로서 여러개의 같은 종류의 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2개 이상의 파지부가 형성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발이나 뚝배기와 같은 용기의 측면의 상부 일부에 테두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에는 손으로 용기를 잡을 수 있는 2개 이상의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용기의 측면벽 살 두께 보다 약간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파지부는 다른 측면벽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한다.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약간 파인 홈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테두리부
3 : 파지부
이하에서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 가능형 용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용기(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용기(1)를 여러층 적층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1)는 상부측은 넓고 하방측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부측의 일부에는 용기의 살 두께보다 두꺼운 테두리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2)의 일부에 손으로 용기(1)를 잡기 위한 파지부(3)가 2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3)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3)는 용기(1)가 작을 경우에는 두개만 형성해도 되나, 용기(1)가 클 경우에는 4, 6, 8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응하는 파지부(3)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 하면 된다. 파지부(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살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여도 좋고, 약간 오목한 홈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3은 용기(1)를 여러층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는 상기 테두리부(2)에 의해 용기(1)를 여러층 적층하더라도 용기(1)가 가지런히 적층 정렬되기 때문에 여러층을 적층하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적층 가능형 용기(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같은 종류의 적층 가능형 용기(1)를 여러층 포개어 쌓아도 테두리부(3)끼리접촉되어 용기(1)를 안정되게 보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여러층 적층 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용기(1)의 테두리부(2)의 일부에 형성된 파지부(3)에 의해 용기(1)의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2)는 사용자가 쉽게 용기(1)를 잡고 음식물을 먹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

Claims (3)

  1. 상광하협 형상의 적층 가능형 용기(1)에 있어서,
    상기 용기(1) 상부의 일부에 상기 용기(1)의 살두께보다 두꺼운 테두리부(2)를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부(2)의 일부에 상기 용기(1)의 살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파지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파지부(3)는 18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형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가 용기(1)의 살두께보다 얇은 홈 형상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형 용기.
KR20-2003-0003289U 2003-02-05 2003-02-05 적층 가능형 용기 KR200311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289U KR200311166Y1 (ko) 2003-02-05 2003-02-05 적층 가능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289U KR200311166Y1 (ko) 2003-02-05 2003-02-05 적층 가능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66Y1 true KR200311166Y1 (ko) 2003-04-21

Family

ID=4940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289U KR200311166Y1 (ko) 2003-02-05 2003-02-05 적층 가능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769B2 (en) Nestable containers
US3369659A (en) Tray for stacking of cups and the like
JPH10278952A (ja) 包装用容器
US20170013980A1 (en) Disposable Divided Bowls
US20070045213A1 (en) Stackable plastic container
KR102191985B1 (ko)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200311166Y1 (ko) 적층 가능형 용기
JP5156411B2 (ja) 包装用容器
JP2005517596A (ja) コンテナの蓋並びに蓋とボウルとの組合せ
US20180290799A1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With Utility Lid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US20170280903A1 (en) Foodservice system
JP7474483B2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0190141Y1 (ko) 다단계로 조립가능한 양념통
KR200199929Y1 (ko) 적층가능한 냄비
KR200264320Y1 (ko) 돌비빔기 세트용 포장 케이스
KR200291003Y1 (ko) 김밥용 도시락
KR101100928B1 (ko) 조리용품 적층용 스페이서
JP2002012211A (ja) 食品容器
KR200242284Y1 (ko) 다단 적층되는 식기
JP3054499U (ja) 回転寿司用皿カバー
JP3006329U (ja) 寿司入れ容器
KR200380951Y1 (ko) 음식물 배달용 용기
KR200240954Y1 (ko) 회전 개폐식 뚜껑 및 이 뚜껑을 구비한 병
JPH07327805A (ja) 多機能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