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870U -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870U
KR20110011870U KR2020100006430U KR20100006430U KR20110011870U KR 20110011870 U KR20110011870 U KR 20110011870U KR 2020100006430 U KR2020100006430 U KR 2020100006430U KR 20100006430 U KR20100006430 U KR 20100006430U KR 20110011870 U KR20110011870 U KR 20110011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ver
container
binding
bind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용
Original Assignee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용 filed Critical 권오용
Priority to KR2020100006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870U/ko
Publication of KR20110011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bottom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closure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적층시 미끄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저면에 제1결착돌기를 구비한 용기본체와; 상면에 제2결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에 덮개를 닫아서 복수의 용기본체를 적층하는 경우에 상측에 위치한 용기본체의 제1결착돌기가 하측에 위치한 덮개의 제2결착돌기를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상측의 용기본체를 누름으로써, 상측의 용기본체를 하측의 덮개에 고정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관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적층시 용기본체가 덮개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의 용기본체는 식품 보관용으로 허가된 재질의 합성수지, 내열유리, 내열도자기 등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다루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관용기의 용기본체와 덮개에는 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저장하고,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보관용기들은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그 중에는 동일한 디자인과 형태의 보관용기를 적층시켜 판매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밥과 반찬을 각각 따로 저장하는 도시락통, 이유식을 저장하는 용기, 다이어트를 위해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들은 대체로 동일한 디자인과 형태를 가지며, 동일한 디자인과 형태를 갖는 여러개의 보관용기를 적층시켜 진열하여 판매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등록디자인공보 30-0536747호에는 식품류, 특히 이유식이나 기타 화장품 또는 자그만한 부품 등을 담아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식품보관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디자인공보에 개시된 식품보관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용적을 갖는 용기본체(1)와, 용기본체(1)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품보관용기는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여러개의 용기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덮개(2)의 가장자리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용기본체(1)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도 체결부가 형성되어, 덮개(2)의 체결홈이 용기본체(1)의 체결부를 감싸도록 덮개(2)를 용기본체(1)에 닫아 꼭 누르면 덮개(2)가 용기본체(1)에 체결됨으로써, 용기본체(1)에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2)의 각 모서리부에는 걸림홈(3)이 형성되고, 용기본체(1)의 저면 각 모서리부에는 걸림돌기(4)가 형성되어, 덮개(2)가 용기본체(1)에 닫힌 상태로 여러개의 보관용기를 적층시킬 경우 상측에 위치한 용기본체(1)가 하측에 위치한 덮개(2)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와 덮개(2)의 일측모서리에는 각각 제1 및 제2손잡이부(5,6)가 원형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덮개(2)를 좀 더 쉽게 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용기본체(1)의 걸림돌기(4)와 덮개(2)의 걸림홈(3)이 완전하게 결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층된 보관용기를 약간(예 30도 정도) 기울이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보관용기에 가해진 경우 적층된 용기본체(1)의 걸림돌기(4)가 덮개(2)의 걸림홈(3)에서 쉽게 이탈되어 상측의 용기본체(1)가 하측의 덮개(2)에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4445호에는 밥과 반찬이 저장된 2개 이상의 용기를 간편하게 적층시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체 급식용 도시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뚜껑의 상면에 적층용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고, 용기의 저면에 이탈방지편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를 뚜껑 위에 적층할 경우 상기 이탈방지편이 적층용 테두리를 감싸면서 슬라이드 되면서 고정됨으로써, 상측의 용기가 하측의 뚜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탈방지편은 용기의 저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형성되어,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적층용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도시락의 크기에 비해 용기의 이탈방지편과 뚜껑의 적층용 테두리 사이의 체결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용기가 뚜껑에서 이탈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용기본체의 걸림돌기가 외부 충격에 의해 덮개의 걸림홈에서 쉽게 이탈되던 것을 개선하여 용기본체와 덮개에 각각 결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이 결착돌기에 의해 상측의 용기본체가 하측의 덮개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에 제1결착돌기를 구비한 용기본체와; 상면에 제2결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에 덮개를 닫아서 복수의 용기본체를 적층하는 경우에 상측에 위치한 용기본체의 제1결착돌기가 하측에 위치한 덮개의 제2결착돌기를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상측의 용기본체를 누름으로써, 상측의 용기본체를 하측의 덮개에 고정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결착돌기는 원형으로 연속해서 형성됨으로써, 이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모서리와 덮개의 일측모서리에 각각 제1 및 제2손잡이부를 서로 엇갈리게 형성함으로써, 덮개를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관용기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덮개를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닫은 후 보관용기를 적층하는 경우, 용기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제1결착돌기를 덮개의 상면에 형성된 제2결착돌기와 동심원상으로 일치시키고 상측의 보관용기를 누름으로써, 제1결착돌기가 제2결착돌기를 감싸면서 제1결착돌기와 제2결착돌기가 체결되어, 상측의 용기본체가 하측의 덮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제1 및 제2결착돌기에 의해 상측의 용기본체가 하측의 덮개에 결합된 경우 적층된 복수의 보관용기를 흔들거나 뒤집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적층된 보관용기를 운반하기가 편리하고, 가게에서 보관용기를 진열하기가 편하다.
3.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의 일측모서리에 각각 제1 및 제2손잡이부를 서로 엇갈리게 형성함으로써, 덮개를 용기본체로부터 용기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관용기가 적층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관용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관용기의 조립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도 4에서 덮개를 여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4에서 덮개와 용기본체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8은 도 4의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4의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4에서 제1결착돌기에 형성된 절개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보관용기의 조립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덮개를 여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덮개와 용기본체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11)와 덮개(12)에 결착수단이 구비되어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보관용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본체(11)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용적을 가지고,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재이다.
상기 용기본체(11)의 측면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개구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통시 덮개(12)를 연 상태에서 복수의 용기본체(11)를 포개지도록 적층시켜, 보관되는 용기의 부피를 줄이면서 보다 많은 수의 용기를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1)의 측면에는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게이지 표시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11)에 채워진 내용물이 유체인 경우 표시눈금으로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덮개(12)의 가장자리부는 용기본체(11)의 상단부 둘레면을 감싸면서 일정 길이로 절곡형성되어, 덮개(12)가 용기본체(11)의 상단부 둘레면을 감싸면서 커버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12)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체결홈(19)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12)를 용기본체(11)의 상단부에 닫아 꾹 누르면, 덮개(12)의 체결홈(19)에 용기본체(11)의 상단부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용기본체(11)에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12)의 재질은 용기본체(11)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첨부한 도 8은 도 4의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의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1)와 덮개(12)에 각각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를 형성하여, 복수의 보관용기(10)를 적층할 경우 상측의 용기본체(11)가 하측의 덮개(1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돌기(13)는 용기본체(11)의 저면에 원형으로 연속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결착돌기(14)는 덮개(12)의 상면에 원형으로 연속하여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는 보관용기(10)의 적층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고, 제1결착돌기(13)가 제2결착돌기(14)를 감싸도록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를 동심원상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본체(11)를 덮개(12) 위에 놓고 누르면, 제1결착돌기(13)가 제2결착돌기(14)를 감싸며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측의 용기본체(11)가 하측의 덮개(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기본체(11)의 저면과 덮개(1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14)의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착돌기(13)의 직경을 제2결착돌기(1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제1결착돌기(13)가 제2결착돌기(14)의 둘레면을 감쌀 수도 있지만, 제1결착돌기(13)의 직경을 제2결착돌기(14)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제2결착돌기(14)가 제1결착돌기(13)의 둘레면을 감싸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의 결합에 의해 상측 용기본체(11)가 하측 덮개(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착돌기(13) 또는 제2결착돌기(14)의 일측에 절개부(20)를 형성하여,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제1결착돌기(13)가 너무 작아 제2결착돌기(14)가 제1결착돌기(13)의 내측 둘레면에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제1결착돌기(13)의 절개부(20)를 벌림으로써,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와 덮개(12)에 각각 제1 및 제2손잡이부(15,16)를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거나, 덮개에만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덮개(12)를 용기본체(11)에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단 외측에는 제1돌기부(17)가 둘레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7)의 일측 모서리에 제1손잡이부(15)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덮개(12)의 가장자리부에는 제2돌기부(18)가 둘레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18)의 일측 모서리에 제2손잡이부(16)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12)를 용기본체(11)에 닫으면, 용기본체(11)의 상단부가 덮개(12)의 둘레면 안쪽에 삽입되어 제2돌기부(18)가 제1돌기부(17)의 상부에 포개진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는 예를 들어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고,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는 용기본체(11)의 일측 모서리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으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를 벌려서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용기본체(11)와 덮개(12)의 일측모서리에 모이도록 덮개(12)를 용기본체(11)에 닫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개방시킬 경우, 검지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덮개(12) 위에 살짝 올려놓고 검지손가락으로 제2손잡이부(16)를 누르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제2손잡이부(16)를 들어올려 덮개(12)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용기본체(11)와 덮개(12)의 일측모서리에 모이도록 덮개(12)를 용기본체(11)에 닫은 상태에서 두 손으로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개방시킬 경우, 왼손으로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용기본체(11)를 감싸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제1손잡이부(15)를 누르고, 오른손으로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덮개(12)의 가장자리부에 놓고 엄지손가락으로 제2손잡이부(16)를 들어올림으로써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용기본체(11)와 덮개(12)의 일측모서리에 모이지 않게 덮개(12)를 용기본체(11)에 닫은 상태에서 두 손으로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개방시킬 경우, 왼손으로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용기본체(1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제1손잡이부(15)를 누르고, 오른손으로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덮개(12)의 가장자리부에 놓고 엄지손가락으로 제2손잡이부(16)를 들어올림으로써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용기(10)의 내부에는 식품류, 특히 이유식이나 기타 화장품 또는 자그마한 부품 등을 담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관용기(10)에 의하면, 각각의 덮개(12)를 용기본체(11)의 상단부에 닫은 후,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보관용기(10) 또는 이의 크기가 다른 경우 용기가 큰 순서로 보관용기(10)를 적어도 두개 이상 적층하는 경우 제1결착돌기(13)를 제2결착돌기(14)와 동심원상으로 일치시키고 상측의 보관용기(10)를 누름으로써, 제1결착돌기(13)가 제2결착돌기(14)를 감싸면서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가 체결되며, 상측의 용기본체(11)가 하측의 덮개(1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에 의해 상측의 용기본체(11)가 하측의 덮개(12)에 결합된 경우 적층된 복수의 보관용기(10)를 흔들거나 뒤집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적층된 보관용기(10)를 운반하기가 편리하고, 가게에서 보관용기(10)를 진열하기가 편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1)와 덮개(12)의 일측모서리에 각각 제1 및 제2손잡이부(15,16)를 서로 엇갈리게 형성함으로써, 덮개(12)를 용기본체(11)로부터 용기하게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관용기(10)는 용기본체(11)와 덮개(12)에 각각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용기(10)의 적층시 각각의 용기본체(11)가 덮개(12)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용기의 적층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데 유용하지만, 각각의 보관용기(10)를 별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 보관용기 11 : 용기본체
12 : 덮개 13 : 제1결착돌기
14 : 제2결착돌기 15 : 제1손잡이부
16 : 제2손잡이부 17 : 제1돌기부
18 : 제2돌기부 19 : 체결홈
20 : 절개부

Claims (5)

  1. 저면에 제1결착돌기(13)가 형성된 용기본체(11); 및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단부를 커버하고, 상면에 제2결착돌기(14)가 형성된 덮개(12);
    를 포함하고, 복수의 용기를 적층할 경우 상측의 용기본체(11)를 눌러 상기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를 체결함으로써, 상측의 용기본체(11)를 하측의 덮개(12)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착돌기(13,14)는 각각 원형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돌기(13)는 제2결착돌기(14)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포개져서 제2결착돌기(14)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돌기(13) 또는 제2결착돌기(14)에 절개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단 일측 모서리와 덮개(12)의 일측 모서리에 각각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를 엇갈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용기.
KR2020100006430U 2010-06-18 2010-06-18 보관용기 KR20110011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430U KR20110011870U (ko) 2010-06-18 2010-06-18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430U KR20110011870U (ko) 2010-06-18 2010-06-18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70U true KR20110011870U (ko) 2011-12-26

Family

ID=4556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430U KR20110011870U (ko) 2010-06-18 2010-06-18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87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62Y1 (ko) * 2016-10-25 2017-03-13 김영신 미술용 팔레트
KR20200024655A (ko) *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104010B1 (ko) * 2019-07-24 2020-04-23 (주)사랑과 선행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62Y1 (ko) * 2016-10-25 2017-03-13 김영신 미술용 팔레트
KR20200024655A (ko) *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104010B1 (ko) * 2019-07-24 2020-04-23 (주)사랑과 선행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KR102191985B1 (ko) * 2019-07-24 2020-12-16 (주)사랑과 선행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한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738A (en)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US20090236255A1 (en) Stackable Independent Container System
US11649087B2 (en) Multi-compartment rigid tray with recloseable rigid dome lid
US20080000795A1 (en) Stackable containers
CA2890254C (en) Food storage apparatus
KR200488219Y1 (ko) 다층식 찬합세트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KR101417382B1 (ko) 용기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JP5020413B1 (ja) 容器セット
CN207029948U (zh) 容器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JP5461922B2 (ja) フレア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CN208119645U (zh) 一种食品容器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07055657A (ja) 包装用容器
JP5912284B2 (ja) 指掛け部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200483289Y1 (ko) 밀폐형 식품 포장용기
KR20110030019A (ko) 계단형 샌드위치 포장용기
KR200366851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JP3183850U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