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655A -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655A
KR20200024655A KR1020180101589A KR20180101589A KR20200024655A KR 20200024655 A KR20200024655 A KR 20200024655A KR 1020180101589 A KR1020180101589 A KR 1020180101589A KR 20180101589 A KR20180101589 A KR 20180101589A KR 20200024655 A KR20200024655 A KR 2020002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ntainer body
container
separation groove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357B1 (ko
Inventor
이정미
장용희
Original Assignee
이정미
장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장용희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801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3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도록 구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의 네 모서리와 분리용 홈부에서 일정높이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닥면 및 네 측면의 중심부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돌출부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를 좌우로 비틀어서 바닥면에 틈을 발생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용기몸체부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용이하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Food waste freezer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도록 구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의 네 모서리와 분리용 홈부에서 일정높이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닥면 및 네 측면의 중심부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돌출부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를 좌우로 비틀어서 바닥면에 틈을 발생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용기몸체부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용이하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버려지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대충 물기를 제거한 후 비닐봉투나 수거통 등에 담아두었다가 외부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등에 버리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에 의해 부패되고, 부패로 인한 악취와 각종 벌레 및 세균 번식 등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각종 식품재료의 조리 부스러기나 먹다 남은 것에서 유래하는 전분, 단백질, 유지류, 섬유류 등의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이 많아 소각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많아지고, 소각시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지 않고 동물들의 사료로 사용하게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는 시간에 따른 부패의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동물들의 사료에 사용할 때는 통상 많은 항생제를 섞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부패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여 악취 발생 억제는 물론이고 사료 등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냉각 보관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냉각보관하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321호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보관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체, 일단이 상이 용기본체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분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쓰레기의 견인수단인 끈부재를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얼려 함께 처분하도록 하거나, 생분해성 소재의 이형필름을 용기본체의 내벽과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끈부재 또는 이형필름을 계속적으로 준비하고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확인할 수 없어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미흡한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0567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을 출원하였으며, 상기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표시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은 냉동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아 수거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에 붙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치게 됨으로써, 버릴 때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478321 (등록번호) 2015.09.11. KR 10-2017-0070567 (공개번호) 2017.06.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도록 구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의 네 모서리와 분리용 홈부에 들어간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닿는 부분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닥면 및 네 측면의 중심부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를 좌우로 비틀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몸체부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용이하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닥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용기몸체부 내부에서 냉동시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용기몸체부를 비틀었을 때 바닥면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틈이 발생되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 바닥면의 꼭지점 및 꼭지점과 연결된 측면 모서리가 경질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꼭지점이 아닌 바닥 모서리 부분(측면 하단부)이 연질로 이루어져 바닥면 모서리를 쉽게 눌러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면서 바닥면의 꼭지점 부분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아 외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정도가 바닥면 전체에서 불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부를 잡아 비틀고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슬라이딩하여 버릴 수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되, 바닥면(110)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 측면(120)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30)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00)와;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덮고,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부(130)가 내측으로 삽설되는 패킹테두리부(210)가 형성되는 덮개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 측면(120)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네 측면모서리부(140)와 분리용 홈부(121)에서 일정높이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110) 및 측면 중심부(122)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면(110)에는 네 모서리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12)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용기몸체부(100)는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부(15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덮개부(200)는 모서리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손잡이(2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용기몸체부(100) 측면(120) 일측에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표시부(1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 들어간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닿는 부분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도록 구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의 네 모서리와 분리용 홈부에서 일정부분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닥면 및 네 측면의 중심부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를 좌우로 비틀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몸체부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용이하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용기몸체부 내부에서 냉동시 바닥면에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용기몸체부를 비틀었을 때 바닥면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틈이 발생되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사각 바닥면의 꼭지점 및 꼭지점과 연결된 측면 모서리가 경질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닥면 꼭지점이 아닌 바닥 모서리 부분(측면 하단부)이 연질로 이루어져 바닥면 모서리를 쉽게 눌러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면서 바닥면의 꼭지점 부분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아 외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정도가 바닥면 전체에서 불연속적으로 번갈아가며 발생되어 음식물 잔반이 용기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상기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분리용 홈부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부를 잡아 비틀고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슬라이딩하여 버릴 수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측면 일측에 상기 용기몸체부의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몸체부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을 뚜껑을 열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의 용기몸체부와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몸체부를 상부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의 용기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의 용기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의 용기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뒤집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식물 쓰레기(잔반) 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되, 바닥면(110)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양 측면(120)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30)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00)와,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덮고,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부(130)가 내측으로 삽설되는 패킹테두리부(210)가 형성되는 덮개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는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질 수 있는 합성수질 재질로 구비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기는 용기로서, 바닥면(110)와 상기 바닥면(110)으로부터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네 측면(120)과, 상기 측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네 측면모서리부(140), 상기 측면(120) 상부에서 절곡형성되는 테두리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바닥면(110a)으로부터 외측 바닥면(110b)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측 바닥면(110a)에 오목한 홈으로, 외측 바닥면(110b)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1)는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며 그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구비한다.
이에 상기 돌출부(111)는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될 때 내측 바닥면(110a)에 공기층(틈)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110)은 두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바닥면(110b)의 네 모서리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바닥면(110b)에는 상기 돌기부(112) 외에도 가장자리의 중심부에 도넛형태의 돌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11)보다 돌기부(112)의 높이를 높게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111)에 의해 바닥면(110)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냉동실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00)는 상기 바닥면(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네 측면(120)으로 둘러쌓여 있고, 상기 측면(120)은 내측 바닥면(110a)에서 이어지는 내측 측면(120a)과 외측 바닥면(110b)에서 이어지는 외측 측면(120b)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110)의 네 변에서 길이가 짧은 두 변의 외측 측면(120b)에서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며 내측 측면(120a)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용 홈부(121)는 두 개 내지 네 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구비되고, 그 깊이는 손가락 첫번째 마디의 반 정도 들어갈 수 있는 깊이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용 홈부(121)가 내측 측면(120a)에서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측면(120)은 측면모서리부(140)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측면모서리부(140)가 상기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된 측면(1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면(120)은 내측 측면(120a)과 외측 측면(120b)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일측면이 측면 중심부(122), 상기 측면 중심부(122)의 주변부, 즉 측면 가장자리부(123) 및 상기 측면 중심부(122)의 하단에 구비되는 측면 하단부(12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 측면(120)에는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되되, 상기 네 측면모서리부(140)와 분리용 홈부(121)에서 일정높이(손가락 첫번째 마디가 닿는 부분까지)가 단단한 재질(경질)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110)과 측면 중심부(122)는 부드러운 재질(연질)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비틀었을 때 쉽게 용기몸체부(100)가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서 일정높이 부분은 상기 측면 중심부(122)를 둘러싼 측면 가장자리부(123)의 일부분으로 상기 측면 중심부(122)의 상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용 홈부(121)는 상기 내측 측면(120a)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외측으로 이중 절곡되어 상부로 볼록한 홈으로 형성되고, 분리용 홈부(121)의 외측으로 분리용 홈부(121) 보다 높이가 낮은 테두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 들어간 손가락이 상기 테두리면에 닿아 상기 분리용 홈부(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 중심부(122)는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면서 닿는 부분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몸체부(100)를 비틀었을 때 쉽게 휘어지면서 공기가 바닥면(110)까지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 하단부(124)는 상기 바닥면(110)과 닿는 부분으로 바다면 모서리부로 볼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중심부(122)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몸체부(100)를 비틀었을 때 바닥면(110)을 지지하며 측면모서리부(140)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 하단부(124), 즉 바닥면 모서리부는 측면 중심부(122) 보다는 단단한 재질이나, 기본적으로 연성의 재질로 외력이 가해졌을때에 쉽게 휨이 발생된다. 한편, 측면 하단부(124)과 측면 하단부가 만나는 바닥면 꼭지점은 측면모서리부(140)의 일요소로 경성의 재질(경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면(110)은 상기 측면 하단부(124)보다 부드럽게 구비되거나 측면 하단부(124)와 비슷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눌렀을 때 쉽게 찌그러지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네 측면(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되는 양 측면(120)의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일측이 경사가 완만하여 경사가 완만한 쪽으로 냉동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테두리부(131)와 상기 내측테두리부(131)의 단부에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외측테두리부(132)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테두리부(210)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31)와 상기 외측테두리부(132)에 각각 대향되는 내측패킹부(211)와 외측패킹부(212)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패킹부(211)는 상기 덮개부(20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패킹부(212)는 상기 내측패킹부(211)의 단부에서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31)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210)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2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이 내측 상부로 볼록하고, 하부측이 내측 하부로 볼록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측테두리부(132)에는 용기 외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210)를 구성하는 상기 외측패킹부(2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이 외측 상부로 볼록하고, 하부측이 외측 하부로 볼록하게 구비된다.
상기 패킹테두리부(210)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211)에는 내측테두리부(131)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내측 상부가 오목하고, 내측 하부가 오목하게 구비되고, 또 상기 외측패킹부(212)에는 상기 외측테두리부(132)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외측 상부가 오목하고, 내측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상기 덮개부(200)를 눌러 덮어주게 되면,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상기 내측테두리부(131)에 이중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상, 하부로 볼록한 부분이 각각 상기 덮개부(200)의 상기 내측패킹부(211)에 내측상, 하부로 오목한 부분에 서로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외측테두리부(132)에 이중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상, 하부로 볼록한 부분이 각각 상기 덮개부(200)의 상기 외측패킹부(212)에 외측상, 하부로 오목한 부분에 서로 밀착되면서 패킹되어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저장물이 밀봉되도록 하여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상기 덮개부(200)가 덮혀질 때 상기 테두리부(130)에 상기 패킹테두리부(210)가 삽설되어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 2중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용기의 기밀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는 모서리에 덮개부 손잡이(220)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부(100)로부터 열기 쉽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덮개부 손잡이(220)는 네 모서리 중에서 한 모서리에만 있거나, 둘 또는 네 모서리 모두에 돌출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00)는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부(15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 측면(120)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측면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마련되는바,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150)를 잡고 비틀어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내측 바닥면(110a) 및 내측 측면(120a)로부터 분리시켜 떨어지게 하여 경사가 더 완만한 측면(120) 방향으로 기울여서 음식물 쓰레기가 슬라이딩되며 용기몸체부(100)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고, 내측 측면(120a)에 절곡된 부분이 없어 용기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측면(120a)은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붙지 않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150)는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끝이 아래로 절곡됨으로써 손으로 잡았을 때 손잡이부(15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측면(120) 일측에는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표시부(16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내측 바닥면(110a) 및 내측 측면(120a)은 매끄럽게 처리되어 내용물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측 바닥면(110b) 및 외측 측면(120b)은 거칠게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손에서 상기 용기몸체부(100)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덮개부(200)에 월일을 표시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재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다수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를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실에 적재해 두었다가 버릴 때에는 상기 덮개부(200)가 용기몸체부(10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00)가 들리지 않도록 용기몸체부(100)의 분리용 홈부(121)에 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으로 손잡이부(150)를 잡고 비튼 후 상기 용기몸체부(10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가 떨어지면서 경사가 완만한 측면(120)을 따라 자연스럽게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으로 미끌어지며 쏟아버리게 마련되어 비닐봉지 등에 담아둔 일반 음식물 쓰레기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는 부패가 방지되므로 사료 등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100)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200)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도록 구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측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네 측면모서리부(140)와 분리용 홈부(121)에서 일정부분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닥면(110) 및 네 측면 중심부(122)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좌우로 비틀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몸체부(100)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용이하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110)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용기몸체부(100) 내부에서 냉동시 바닥면(110)에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비틀었을 때 바닥면(110)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틈이 발생되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측에 형성된 분리용 홈부(121)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부(150)를 잡아 비틀고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슬라이딩되며 버릴 수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는 측면(120) 일측에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표시부(16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몸체부(10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을 뚜껑을 열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100 : 용기몸체부 110 : 바닥면
110a : 내측 바닥면 110b : 외측 바닥면
111 : 돌출부 112 : 돌기부
120 : 측면 120a : 내측 측면
120b : 외측 측면 121 : 분리용 홈부
122 : 측면 중심부 123 : 측면 가장자리부
124 : 측면 하단부 130 : 테두리부
131 : 내측테두리부 132 : 외측테두리부
140 : 측면모서리부 150 : 손잡이부
160 : 용량표시부
200 : 덮개부 210 : 패킹테두리부
211 : 내측패킹부 212 : 외측패킹부
220 : 덮개부 손잡이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되, 바닥면(110)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 측면(120)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30)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00)와;
    상기 용기몸체부(100)를 덮고,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부(130)가 내측으로 삽설되는 패킹테두리부(210)가 형성되는 덮개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양 측면(120)에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분리용 홈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네 측면모서리부(140)와 분리용 홈부(121)에서 일정높이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110) 및 측면 중심부(122)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에는 네 모서리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12)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부(100)는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부(15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덮개부(200)는 모서리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손잡이(220)가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부(100) 측면(120) 일측에 상기 용기몸체부(10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표시부(1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홈부(121)에 들어간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닿는 부분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0180101589A 2018-08-28 2018-08-28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11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89A KR102115357B1 (ko) 2018-08-28 2018-08-28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89A KR102115357B1 (ko) 2018-08-28 2018-08-28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655A true KR20200024655A (ko) 2020-03-09
KR102115357B1 KR102115357B1 (ko) 2020-06-05

Family

ID=6980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589A KR102115357B1 (ko) 2018-08-28 2018-08-28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3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17A (ko) * 2000-06-28 2002-01-16 박영식 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JP2012068003A (ja) * 2010-09-27 2012-04-05 Kashiwagi Mold:Kk 製氷容器
KR20150003192U (ko) * 2014-02-17 2015-08-26 김준기 다용도 냉동용기
CN204587491U (zh) * 2015-03-30 2015-08-26 无锡市第二人民医院 防漏型病理标本存放杯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9-17 전형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170070567A (ko) 2015-12-14 2017-06-22 이정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17A (ko) * 2000-06-28 2002-01-16 박영식 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JP2012068003A (ja) * 2010-09-27 2012-04-05 Kashiwagi Mold:Kk 製氷容器
KR20150003192U (ko) * 2014-02-17 2015-08-26 김준기 다용도 냉동용기
CN204587491U (zh) * 2015-03-30 2015-08-26 无锡市第二人民医院 防漏型病理标本存放杯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9-17 전형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170070567A (ko) 2015-12-14 2017-06-22 이정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101888040B1 (ko) * 2015-12-14 2018-08-13 이정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357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40B1 (ko)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US9533817B2 (en) Self air evacuating system
EP1666368A1 (en) Smart lid
AR046521A1 (es) Un envase para alimento para mascotas y metodo para envasar un alimento pre-envasado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KR20200024655A (ko)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US20200377297A1 (en) Bag with ventilation hole and reinforced area to adapt to a receptacle
CN208086411U (zh) 熟食包装装置
KR101306572B1 (ko) 반찬용기 보관케이스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WO2005115860A1 (en) Elastic cover for foodstuff or other
KR20170002872U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형 쓰레기통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KR20210016743A (ko) 음식물 쓰레기통
JP3549821B2 (ja) ハム等のスライス食品の保存容器
CN213169225U (zh) 一种蛋类保鲜净化纸箱
KR102626807B1 (ko) 주름진 측벽을 가진 음식물 취출 용기
KR970002138Y1 (ko) 일회용 다용도 식품포장용기
KR200427742Y1 (ko) 쓰레기통
US20230322480A1 (en) Front unloading trash receptacl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1996843B1 (ko) 화장품용 포장 박스
KR200271461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분리 수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