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711B1 -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 Google Patents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711B1
KR101544711B1 KR1020130149118A KR20130149118A KR101544711B1 KR 101544711 B1 KR101544711 B1 KR 101544711B1 KR 1020130149118 A KR1020130149118 A KR 1020130149118A KR 20130149118 A KR20130149118 A KR 20130149118A KR 101544711 B1 KR101544711 B1 KR 10154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envelope body
bag
food waste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421A (ko
Inventor
김헌용
김주성
Original Assignee
김헌용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용, 김주성 filed Critical 김헌용
Priority to KR102013014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7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퍼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봉투에 다중의 지퍼백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측면으로는 다중의 지퍼백을 동시에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소양의 음식물쓰레기를 각 지퍼백에 수납하여 밀봉시킬 수 있어 실내에 오래 보관하여도 쓰레기 냄새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많은 양의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서 버릴 수 있어 그 효율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a food garbage bag with zipper}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퍼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봉투에 다중의 지퍼백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측면으로는 다중의 지퍼백을 동시에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소양의 음식물쓰레기를 각 지퍼백에 수납하여 밀봉시킬 수 있어 실내에 오래 보관하여도 쓰레기 냄새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많은 양의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서 버릴 수 있어 그 효율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버리는 것이 법제화 되어 있다.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절차를 알아보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단지의 경우, 각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에 담아 공동 주택 단지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까지 운반하여 버리게 된다.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수거 용기를 청소해 주어야 하고, 또한 다시 집으로 가져 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해 일반적인 비닐 봉투에 담아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비닐 봉투를 이용할 경우에는 국물이나 물기 등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여 운반 도중에 이들이 외부로 흐르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에 쏟아 버릴 때는 기존 봉투는 반드시 봉투의 아랫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고 뒤집어서 버려야 하는데 이 때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의 국물이 손이나 옷 등에 묻게 되어 매우 불결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비닐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장시간 집 안에서 보관할 경우에는 봉투입구가 개방되어 악취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공지되어 있다.
그 중에 등록실용 20-0351966호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개시 되어 있는 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는 두 겹의 원통 형상으로 압출 형성된 비닐 원단과 상단과 하단 부근에 형성되는 손잡이 구멍으로 구성되는 이음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운반시에도 국물이 새어 나오지 않으며, 또 소정시간 동안 집안에 보관할 경우 봉투 입구를 봉합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등록실용 20-0351966호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이외에도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8496호의 '지퍼달린 음식물 쓰레기 봉투'와 공개특허 제10-2005-0101270호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의 봉투가 공지되어 있다.
KR 20-0351966 (등록번호) 2004.05.20. KR 20-2009-0008496 (공개번호) 2009.08.24. KR 10-2005-0101270 (공개번호) 2005.10.21.
그러나 종래의 등록실용 20-0351966호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손잡이 구멍이나 봉투 입구를 봉합할 수 있는 보조 장치 등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 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8496호의 '지퍼달린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지퍼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버리기 때문에 이 또한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퍼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봉투에 다중의 지퍼백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측면으로는 다중의 지퍼백을 동시에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소양의 음식물쓰레기를 각 지퍼백에 수납하여 밀봉시킬 수 있어 실내에 오래 보관하여도 쓰레기 냄새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다중의 지퍼백에 담은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상기 절취부를 뜯어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어 그 효율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요리하고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그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가 구비된 봉투몸체부와, 상기 봉투몸체부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가 구분되어 형성되면서 외부와 밀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퍼수단, 상기 봉투몸체부의 측단부에 절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봉투절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퍼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봉투에 다중의 지퍼백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어 실내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오래 보관하여도 이들 각 지퍼백을 닫아두기 때문에 냄새가 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의 지퍼백에 담은 쓰레기를 버릴 때에 그 측면에 구비된 절취부를 뜯어 한꺼번에 이를 버릴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또 다중의 각 지퍼백에 음식물 쓰레기를 나누어 담을 수 있어 그 효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지퍼백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버릴 수 있어 봉투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퍼백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의 모든 지퍼백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의 절취부가 절취되면서 다중 지퍼백에 수비된 모든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지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지지대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G)를 그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111)가 구비된 봉투몸체부(110)와,
상기 봉투몸체부(11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20)가 구분되어 형성되면서 외부와 밀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퍼수단(130),
상기 봉투몸체부(110)의 측단부에 절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봉투절취부(1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봉투절취부(140)는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측면에서 철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봉투절취부(140)가 절개 되면 상기 수납공간부(120)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릴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봉투절취부(140)에는 절취선(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취선(141)을 따라 절개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 기술에 의거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상기 봉투몸체부(110)의 하부측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층(다중)으로 구비되고 그 상부측 경계면상에 상기 지퍼수단(130)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봉투몸체부(110)에 다중의 지퍼백이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상기 봉투몸체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수납공간부(120a),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120b),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3수납공간부(120c),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4수납공간부(120d)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납공간부(120)가 상기 제1수납공간부(120a) 내지 상기 제4수납공간부(120d)의 4중 지퍼백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퍼수단(130)은 비닐의 일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볼목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삽설해 줌으로써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단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지퍼수단(130)은 상기 봉투절취부(140)에 구비되는 상기 절취선(141)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가장 먼저 상기 봉투몸체부(110)의 맨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수납공간부(120a)에 수납 저장된다.
즉, 상기 제1수납공간부(120a)에 음식물 쓰레기가 찰 때까지 이에 구비되는 상기 지퍼수단(130)을 반복적으로 개폐하면서 이용한다.
이어 상기 제1수납공간부(120a)에 음식물 쓰레기가 차게 되면 상기 지퍼수단(130)을 닫은 다음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수납공간부(120b)에 동일한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3수납공간부(120c)와 상기 제4수납공간부(120d)까지 음식물 쓰레기가 차게 되면 이를 들고 건물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수거통(미도시)으로 가지고 간 다음 상기 봉투절취부(140)를 절개 시키면서 수거통으로 그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리게 된다.
그리고 절개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빈 봉투는 별도로 분리 수거하여 폐기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제1수납공간부(120a)에 수납 저장한 뒤 이를 상기 지퍼수단(130)으로 밀봉한 다음 상기 제2수납공간부(120b) 내지 상기 제4수납공간부(120d)로 차례로 같은 방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보관하게 되어도 실내로 음식물 냄새가 새어나가지 않게 되고 하나의 봉투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저장하여 버릴 수가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즉, 상기 봉투몸체(110)에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로 방향의 지지대(112)가 다 수 개 설치되고, 상기 봉투몸체(110)의 외부면에는 상기 지지대(112)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리부(113)가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봉투몸체(110)는 상기 지지대(112)가 이를 세워 지지시킬 수 있어 그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과정에서 넘어지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봉투몸체(110)의 가장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고리부(113)와 이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대(112)는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봉투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봉투몸체(110)의 가장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고리부(113)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상기 끼움고리부(113)는 상기 지지대(112)가 헐겁게 끼워져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12)가 구비되는 상기 봉투몸체(110)는 상기 지지대(112)가 이를 견고하게 지지해 주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때 넘어지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2)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퍼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봉투에 다중의 지퍼백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측면으로는 다중의 지퍼백을 동시에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소양의 음식물쓰레기를 각 지퍼백에 수납하여 밀봉시킬 수 있어 실내에 오래 보관하여도 쓰레기 냄새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다중의 지퍼백에 담은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상기 절취부를 뜯어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어 그 효율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될 수 있게 된다.
100: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110:봉투몸체 111:입구부 112:지지대 113:끼움고리부
120:수납공간부
130:지퍼수단
140:봉투절취부 141:절취선

Claims (5)

  1. 가정이나 식당에서 요리하고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그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가 구비된 봉투몸체부와,
    상기 봉투몸체부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으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가 구분되어 형성되면서 외부와 밀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퍼수단,
    상기 봉투몸체부의 측단부에 절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봉투절취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납공간부는 상기 봉투몸체부의 하부측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구비되고 그 상부 경계면상에 상기 지퍼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봉투몸체부에 다중의 지퍼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봉투절취부는 상기 다중의 지퍼백 측면에 연이어 구비되어 한 번의 절개로 상기 다중의 지퍼백 모두가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몸체에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로 방향으로 된 지지대가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봉투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지지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리부가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 구비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몸체의 가장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고리부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상기 끼움고리부는 상기 지지대가 헐겁게 끼워져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는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20130149118A 2013-12-03 2013-12-03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154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18A KR101544711B1 (ko) 2013-12-03 2013-12-03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18A KR101544711B1 (ko) 2013-12-03 2013-12-03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21A KR20150064421A (ko) 2015-06-11
KR101544711B1 true KR101544711B1 (ko) 2015-08-21

Family

ID=5350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18A KR101544711B1 (ko) 2013-12-03 2013-12-03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81B1 (ko) * 2019-02-15 2021-01-1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봉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84Y1 (ko) * 2004-01-10 2004-06-04 이환석 봉투형 포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84Y1 (ko) * 2004-01-10 2004-06-04 이환석 봉투형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21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0082A (en) Waste receptacle
US20130188888A1 (en) Environmental-protection kitchen-waste composting bag
KR101454109B1 (ko) 침출수 역류방지 밸브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용기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KR100685446B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04280428U (zh) 一种具有防倒功能的垃圾桶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KR10172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JP2007204233A (ja) コーナー水切り袋支持具
KR200262599Y1 (ko)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KR200486589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KR20040026454A (ko) 포대 걸이대
KR20150001245U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CN102813476A (zh) 家用式智能调料柜
KR200375826Y1 (ko) 규격봉투 다량설치 쓰레기통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GB2482690A (en) A collapsible insert for a dustbin
KR200476465Y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KR200345419Y1 (ko) 수분 제거용 파스너 부착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자립 봉투
KR102039835B1 (ko)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JP2001199502A (ja) 懸吊式袋
KR101996506B1 (ko)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