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673B1 -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673B1
KR101729673B1 KR1020150106356A KR20150106356A KR101729673B1 KR 101729673 B1 KR101729673 B1 KR 101729673B1 KR 1020150106356 A KR1020150106356 A KR 1020150106356A KR 20150106356 A KR20150106356 A KR 20150106356A KR 101729673 B1 KR101729673 B1 KR 10172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garbage
drainage
low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563A (ko
Inventor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런
Priority to KR102015010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6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리액 및 악취를 최소화하고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쓰레기를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단이 개방된 탄성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단은 플렉시블한 연결면(21)이 형성되어 연결되는 내부보관부(20)와,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부(10) 및 상기 내부보관부(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배출되는 하부배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수부(30)는 싱크대 배수구에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탈리액이 버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을 이용하면, 음식물쓰레기를 실내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보관기간 동안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리액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을 통해 발생하는 악취 및 물기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GARB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리액 및 악취를 최소화하고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쓰레기를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의 주요 발생원은 가정 및 소형음식점이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상별로 채소류가 50%이상으로 주종을 나타내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중에 채소류가 많은 만큼 음식물쓰레기에 수분 함량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가 쉽게 부패 되거나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많은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함유되고 있는 오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자연환경파괴의 요인으로 사회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폐기 및 매립을 제한하고,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
기를 버리기 위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있는 거름망에 일정시간 음식물쓰레기를 체류시켜 수분을 제거한 뒤에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려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배수구의 음식물쓰레기를 모았다가 버린 경우, 배수구에 악취가 나고 벌레들이 모여들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배수구의 거름망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에 계속해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를 채우기 위해 수일간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시킴으로 쓰레기 봉투바닥에 오수가 생겨 악취가 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봉투가 찢어지는 경우, 음식물쓰레기 오수가 흘러나와 심한 악취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있는 배수구의 거름망을 쓰레기봉투에 넣기 위해 손을 사용해서 거름망의 이물질과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만져야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예로 전기로 구동되는 탈수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고가의 탈수기를 구입하는 초기 구입비 및 운용을 위해 별도의 전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운영유지비가 계속적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통 봉투의 입구가 벌어져 있지 않으므로 봉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봉투의 입구를 손으로 일일이 벌려야 하고 또는 별도의 지지기구에 입구를 지지시켜 벌려 놓거나 아니면 쓰레기봉투를 벌려 쓰레기통 내에 넣고 그 입구부를 쓰레기통 테두리에 지지시켜 놓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쓰레기봉투를 지지기구나 쓰레기통의 테두리에 지지시켜 놓더라도 쓰레기봉투의 터지거나 찢어지는 문제를 막을 수 없고 봉투내에 쓰레기를 넣기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17548호(가정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공개일자 1999년03월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9141호(쓰레기봉투 지지구, 등록일자 2004년06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115호(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록일자 2013년11월25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전용 비닐봉투를 채우기 위하여 수일간 음식물쓰레기를 적재시킴에 따라 봉투 밑바닥에 음식물쓰레기의 탈리액 고임 현상으로 인해 악취 및 물기가 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름망 안의 음식물쓰레기를 고정되지 않은 봉투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위생적인 처리과정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단이 개방된 탄성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단은 플렉시블한 연결면(21)이 형성되어 연결되는 내부보관부(20)와,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부(10) 및 상기 내부보관부(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배출되는 하부배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수부(30)는 싱크대 배수구에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탈리액이 버려진다.
이때, 상기 하부배수부(30)에 착탈 가능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싱크대의 인접한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보조받침부(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10) 및 하부배수부(3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내부보관부(20)과 결합시 고정시키며,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링(5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보관부(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21)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인해 규격이 서로 다른 쓰레기 봉투를 사용시 크기에 따라 내부보관부(20)의 너비가 변형된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중앙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함유된 수분이 빠져나가는 배출구(33)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는 수분이외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탈수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수부(30)는 내측면에서 상기 배출구(33)가 있는 위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배수부손잡이가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보조받침부(40) 및 싱크대 배수구의 위치로 이동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을 이용하면, 음식물쓰레기를 집안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보관기간 동안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리액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을 통해 발생하는 악취 및 물기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되지 않은 비닐에 음식물을 넣거나 배수 거름망에 손을 넣어 음식물쓰레기를 봉투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손 또는 비닐 외부에 뭍거나 삐져나와 발생하는 불편함 및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투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으로 인해 쓰레기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보관부(2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배수 지지대의 투시투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개사시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보관부(20)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실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3은 내부보관부(20)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 배수 지지대의 투시투상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개사시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보관부(20)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실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은 일측단이 개방된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단에 플렉시블한 연결면(21)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내부보관부(20)와,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부(10) 및 상기 내부보관부(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배출되는 하부배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수부(30)는 싱크대(2) 배수구에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탈리액이 버려진다.
이때, 상기 하부배수부(30)에 착탈 가능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싱크대(2)의 인접한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보조받침부(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보조받침부(40)는 싱크대(2) 배수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싱크대(2)를 사용하는 중에는 보조받침부(4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배수부(30)를 통해 흘러나오는 탈리액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부(10) 및 하부배수부(3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내부보관부(20)과 결합시 고정시키며,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링(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10) 및 하부배수부(30)는 상기 내부링(50)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내벽면에 홈이 형성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실내에서 보관하면 실온에 방치되어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막기위해 고무재질과 같은 마찰력이 있는 내부링(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외부로 악취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보관부(20)과 결합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내부보관부(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21)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인해 규격이 서로 다른 쓰레기 봉투를 사용시 크기에 따라 내부보관부(20)의 너비가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보관부(20)는 접합면이 상기 연결면(21)과 접합되는 양끝 부분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여 상기 연결면(21)의 양끝단에도 접합면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면은 접착성이 강한 접착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보관부(20)의 너비가 변형될 경우 상기 연결면(21)이 내부보관부(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면(21)의 재질은 플렉시블한 형태의 플라스틱, 고무재질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재질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내부보관부(20)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각각의 규격이 다른 쓰레기 봉투를 사용할 경우 탄성이 있는 내부보관부(20) 및 플렉시블한 연결면(21)을 통해 수축된 후 쓰레기 봉투를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외부면에 씌워 보관되어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쓰레기 봉투로 인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고정되지 않은 비닐에 음식물을 넣거나 배수 거름망에 손을 넣어 음식물쓰레기를 봉투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손 또는 비닐 외부에 뭍거나 삐져나와 발생하는 불편함 및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중앙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함유된 수분이 빠져나가는 배출구(33)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는 수분이외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탈수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수부(30)는 내측면에서 상기 배출구(33)가 있는 위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4 참조)
이때, 배출구(33)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배출구(33)가 아랫쪽으로 배치되어 경사면을 따라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이 흐르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배수부손잡이가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보조받침부(40) 및 싱크대(2) 배수구의 위치로 이동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부는 상기 하부배수부와 결합시 배출구가 인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탈리액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의 내부보관부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A)와 같은 형태로 유지 될 수 있으며, 상단면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덮을 경우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플렉시블한 연결면이 안쪽으로 휘어져 내부보관부의 지름이 작게 조절되는 것이다.(도6 (B)참조)
이와 같은 작용으로 내부보관부 상단 지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연결면이 안쪽으로 휘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나 냄새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의 사용방법은 사용자가 싱크대(2)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배수부손잡이를 이용하여 싱크대(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보조받침부르 이동하여 설치하게 되며, 싱크대(2)를 미사용시 싱크대(2)의 배수구에 하부배수부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싱크대(2)의 상단에 하부배수부의 배출구를 통해 내부보관부에 적재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리액이 자연적으로 탈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집안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보관기간 동안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리액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을 통해 발생하는 악취 및 물기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2 : 싱크대
10 : 뚜껑부(10) 11 : 뚜껑 손잡이
20 : 내부보관부(20) 21 : 연결면(21)
30 : 하부배수부(30) 31 : 배수부손잡이
40 : 보조받침부(40) 50 : 고정링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실내에 보관하는 보관통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단이 개방된 탄성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단은 플렉시블한 연결면(21)이 형성되어 연결되는 내부보관부(20)와;
    상기 내부보관부(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부(10); 및
    상기 내부보관부(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배출되는 하부배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보관부(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면(21)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옆면이 밀폐된 구조를 가져 크기 조절이 가능한 내부보관부(20)를 통해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봉투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고,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옆면으로 새지 않으며,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배수부손잡이(31)가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보조받침부(40) 및 싱크대 배수구의 위치로 이동변경을 통해 탈리액이 버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부(30)에 착탈 가능하며,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싱크대의 인접한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기 보조받침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 및 하부배수부(3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내부보관부(20)과 결합시 고정시키며,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링(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부(30)의 중앙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함유된 수분이 빠져나가는 배출구(33)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는 수분이외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탈수공(3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부(30)는 상기 배출구(33)가 있는 위치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7. 삭제
KR1020150106356A 2015-07-28 2015-07-28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10172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56A KR101729673B1 (ko) 2015-07-28 2015-07-28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56A KR101729673B1 (ko) 2015-07-28 2015-07-28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63A KR20170013563A (ko) 2017-02-07
KR101729673B1 true KR101729673B1 (ko) 2017-04-25

Family

ID=5810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56A KR101729673B1 (ko) 2015-07-28 2015-07-28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89Y1 (ko) * 2017-12-18 2018-06-08 이호현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CN113562363B (zh) * 2021-08-20 2022-07-08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理垃圾桶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19Y1 (ko) * 2004-02-09 2004-04-2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포트형 조립식 음식물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984B1 (ko) 1999-05-17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밀도가 향상되는 광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광기록/재생장치
KR100439141B1 (ko) 2001-09-15 2004-07-05 고종남 쓰레기봉투 지지구
KR101335115B1 (ko) 2013-06-18 2013-12-03 김라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19Y1 (ko) * 2004-02-09 2004-04-2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포트형 조립식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63A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US9643777B2 (en) Inflatable refuse containers and methods of use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CN104326192A (zh) 双层沥水防臭垃圾桶结构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KR20120068652A (ko) 냄새 역류 방지부와 봉투 적치대가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81671Y1 (ko) 개량형 쓰레기 봉투
JP6328396B2 (ja) 流し台用生ごみ脱水装置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0814088B1 (ko) 음식물쓰레기 수분제거장치
KR200485690Y1 (ko) 야외용 쓰레기통
KR20140101555A (ko) 음식물 쓰레기통
JP3146234U (ja) 食品容器
KR200476465Y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KR102039835B1 (ko)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KR200487826Y1 (ko)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KR101955400B1 (ko) 쓰레기통
KR200481812Y1 (ko) 음식물 분리 수거통이 결합된 싱크볼 조립체
KR200486589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KR20100002054A (ko) 전동회전 핸들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0958712B1 (ko) 음식물쓰레기용기
KR1019459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