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11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115B1
KR101335115B1 KR1020130069474A KR20130069474A KR101335115B1 KR 101335115 B1 KR101335115 B1 KR 101335115B1 KR 1020130069474 A KR1020130069474 A KR 1020130069474A KR 20130069474 A KR20130069474 A KR 20130069474A KR 101335115 B1 KR101335115 B1 KR 10133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ood waste
inner cylind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라주
Original Assignee
김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라주 filed Critical 김라주
Priority to KR102013006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시 적당한 조건에서 발생되는 자연 발효에 의해 분해 처리가 가능함과 아울러, 별도의 전력 에너지를 요구하지 않고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며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면에 개폐가능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갖는 뚜껑이 마련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내통과,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통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상기 뚜껑의 개폐동작시 상기 외통과 내통의 공간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갖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부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보관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분리하기 위한 보관망과, 상기 보관망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과, 상기 내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발효 및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전력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함과 아울러, 쓰레기의 용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단순 구조로 악취 발생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선보였던 기존의 처리장치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압축시켜 이의 부피를 축소시키거나 아예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시켜 하수구로 직접 배출하는 압축장치 또는 디스포져로부터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시키는 퇴비화 장치까지 무수히 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예는 그만큼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및 환경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 중 가장 바람직안 것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완전히 발효시켜 이를 완전 퇴비화 하므로써 이를 유익한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발효 퇴비화 하는 장치가 속출되고 있다.
기존 유기물 퇴비화장치는 발효조내부에 교반기와 스크류 및 히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발효조의 용적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부피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189697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소멸방법"(등록일자 : 1999.01.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투입되는 발효조, 발효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기, 흡기부, 배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발효조의 상부 내측에는 발효조 내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세라믹 히터를 설치하고, 교반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도 이송시키면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발효조의 둘레에는 흡기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도입되어 발효조 내부가 미생물이 증식하기 적합한 조건인 온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중의 수분을 신속히 제거하며 미생물이 생장하는데 필수적인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챔버를 형성하고, 발효조에서 발효되면서 발생된 악취와 배기가스는 배기부의 배기관을 통과하기 전 연소실에서 세라믹히터의 고열에 의하여 탈취 및 연소되어 무해한 배기가스만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발효 및 소멸처리를 미생물의 투입여부/교반기의 구동조건/세라믹 히터의 가동조건의 적절한 조절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40619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등록일자 : 2002.05.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육면체로 내체(內體)와 외체(外體)로 이중 구성되고, 상방에는 뚜껑을 가지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방 일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지지다리를 형성한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내부에는 양측에 격벽을 돌출시키고 중앙에는 개방부를 형성하여 지그재그로 음식물쓰레기가 자연스럽게 낙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끝단부에는 다음의 가이드로 음식물쓰레기의 낙하를 도울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보조가이드; 상기 배출구의 상방에 설치되어 자연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자연낙하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고 이 과정에 열풍을 공급하여 최종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함량이 후처리가 용이한 20∼30%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후처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기, 모터 또는 히터 등의 설비가 요구되므로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되어 에너지낭비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벌레가 꼬일 뿐만 아니라,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189697호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소멸방법" (등록일자 : 1999.01.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40619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등록일자 : 2002.05.3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 에너지의 소모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 쓰레기 처리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개폐가능한 뚜껑을 가지며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내통과,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통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상기 뚜껑의 개폐동작시 상기 외통과 내통의 공간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갖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부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보관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분리하기 위한 보관망과,
상기 보관망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과,
상기 내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과,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누름 동작시 하강동작되며 복귀스프링이 권회되어 복귀 가능한 개폐버튼과, 상기 개폐버튼의 하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버튼의 하강동작시 회전되는 회전바아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바아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아의 회전시 상기 개폐판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동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판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보관망은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고 바닥면에 망사형태의 투과망이 마련되는 제 1보관망과, 상기 제 1보관망의 내부에 수납되고 망사형 구조로 구성된 제 2보관망을 구비하되,
상기 내통은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관망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한다.
상기 내통의 바닥에 고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오수량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오수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오수량 표시수단은 상기 오수에 부력으로 부유하며 상기 오수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부표부재와, 상기 부표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통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표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승강되는 표시봉과, 상기 외통의 상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표시봉의 상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캡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면 테두리에 물 또는 살충액이 담겨지도록 테두리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하측에 연장되고 상기 뚜껑의 닫힘동작시 상기 테두리 홈부내에 수용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의 닫힘동작시 상기 내통 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특정 조건(15~30℃의 온도, 습도 60% 정도)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최소 6개월이상 내지 1년정도) 경과시키면, 음식물 쓰레기의 오수가 찌거기와 분리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분해 처리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수작업으로 보관망(410,420)을 내통(200)으로부터 분리시켜 발효 및 분해 처리된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가지는 히터, 모터 등의 장비가 생략되어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용적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테두리 홈부(315)에 물 또는 살충제 등의 액체가 담겨지고, 뚜껑(110)이 닫힌 상태에서 연장부(115)가 테두리 홈부(315)내에 수용되므로, 뚜껑(110)이 닫혀진 상태에서 내통(200)의 악취가 뚜껑(110)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전 개폐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해 개폐수단을 동작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악취 차단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시 적당한 조건에서 발생되는 자연 발효에 의해 분해 처리가 가능함과 아울러, 별도의 전력 에너지를 요구하지 않고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며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면에 개폐가능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115)를 갖는 뚜껑(110)이 마련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외통(100)과, 상기 외통(100)의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내통(200)과, 상기 외통(100)과 내통(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통(20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상기 뚜껑(110)의 개폐동작시 상기 외통(100)과 내통(200)의 공간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부(310)를 갖는 개폐부재(300)와, 상기 개폐부(310)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내통(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보관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분리하기 위한 보관망(410,420)과, 상기 보관망(410,42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과, 상기 내통(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통(200)을 지지하는 지지대(5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통(100)은 상면에 뚜껑(110)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하측이 개구된 원통체 형태로 구성된다.
내통(200)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된 원통체 형태로 구성된다.
외통(100)과 내통(200)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에 필요한 온도 유지(보온)를 위해 스치로폼 소재를 채택할 수 있다.
내통(200)은 바닥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보관망(410,42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보관망(410,420)은 내통(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바닥면에 망사형태의 투과망(415)이 마련되는 제 1보관망(410)과, 상기 제 1보관망(410)의 내부에 수납되고 망사형 구조로 구성된 제 2보관망(420)으로 구성된다.
즉, 보관망(410,420)은 제 1보관망(410)의 하부 테두리가 내통(200)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받침턱에 안착되고 제 1보관망(410)의 중앙 부위가 받침부(2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 2보관망(420)은 제 1보관망(410) 내에 투입되어 개폐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대부분이 담겨져 보관되며, 제 1보관망(41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도록 손잡이(422)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재(300)는 내통(20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테두리가 원판형 구조로 구성되고, 중앙에 상,하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의 개폐부(310)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3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연통되는 통공(312)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물이나 살충액이 담겨지도록 테두리 홈부(31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장부(115)는 뚜껑(110)의 닫힘 동작시 연장부(115)의 단부가 테두리 홈부(315)의 내부에 삽입되어 테두리 홈부(315) 내에 담겨진 물, 살충액 또는 방충액과 함께 악취 차단막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배기수단은 내통(200)의 상부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내통(200)의 내부에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1배기구(610)와, 외통(100)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 1배기구(610)가 끼워져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제 2배기구(620)로 구성된다.
제 2배기구(620)는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거나, 단부가 별도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악취를 제거한 후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외통(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내통(200)의 하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출입구(120)가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부(310)의 내부에 힌지축(71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경사진 각도로 설치되는 개폐판(710)과,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누름 동작시 하강동작되며 복귀스프링(725)이 권회되어 복귀 가능한 개폐버튼(720)과, 상기 개폐버튼(720)의 하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버튼(720)의 하강동작시 연결핀(73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바아(730)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바아(730)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판(7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아(730)의 회전시 상기 개폐판(710)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동부재(740)와,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7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판(71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750)로 구성된다.
연동부재(740)는 끈이나 줄 또는 와이어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핀이나 가이드봉을 채택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750)는 일단부가 개폐판(7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폐부(310)의 통공(312) 내측면에 고정되어 개폐판(710)에 일방향 탄성력을 부여하여 개폐판(71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200)의 바닥에 고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오수량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오수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수량 표시수단은 상기 오수에 부력으로 부유하며 상기 오수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부표부재(810)와, 상기 부표부재(810)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통(200)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표부재(81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승강되는 표시봉(820)과, 상기 외통(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표시봉(820)의 상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캡(830)으로 구성된다.
즉, 오수량 표시수단은 내통(200)의 바닥에 고이는 오수의 양 변화에 따라 부표부재(810)가 승강되고, 부표부재(810)의 승강 동작시 연동되는 표시봉(820)이 내통(200)을 관통하여 외통(100)의 표시캡(830) 내부로 승강되므로, 사용자는 표시캡(830) 내에서 승강되는 표시봉(820)의 단부를 확인하여 오수의 외부 배출시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통(200)의 하부에는 내통(200)의 하부에 고이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850)가 마련되어 있다.
도 5a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전 개폐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해 개폐수단을 동작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개폐버튼(720)은 외부의 상면 상측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개폐버튼(720)의 하부에 연결핀(735)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회전바아(730)의 일측 부위에 접촉되며, 회전바아(730)의 타측 단부와 개폐판(710)이 연동부재(740)를 매개로 연동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통(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개폐버튼(720)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개폐버튼(720)의 누름동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복귀스프링(725)이 수축되면서 개폐버튼(720)이 하강동작되고, 개폐버튼(720)의 하단부와 접촉된 회전바아(730)의 일측 부위가 하측으로 내려가고 회전바아(730)의 타측 부위가 올라가면서 연결핀(73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연동부재(740)가 회전바아(730)의 회전동작시 개폐판(710)의 하부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개폐판(710)의 하부가 힌지축(715)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부(310)의 통공(312)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방된 개폐부(310)의 통공(312)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으며, 이어서 음식물 쓰레기는 제 1,2보관망(410,420) 내부로 투입되고 찌거기와 오수가 분리되고,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 찌거기는 제 1,2보관망(410,420) 내에서 발효 및 분해 처리된다.
즉.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보관망(410,420)을 통해 찌거기와 분리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특정 조건(15~30℃의 온도, 습도 60% 정도)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최소 6개월이상 내지 1년정도) 경과시키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분해 처리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수작업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찌거기가 담겨진 제 1,2보관망(410,420)을 내통(200)으로부터 외부로 빼낸 후에 발효 및 분해 처리된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기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가지는 히터, 모터 등의 장비가 생략되어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용적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홈부(315)에 물,살충제,방향제 등의 액체가 담겨지게 되고, 뚜껑(110)이 닫힌 상태에서 연장부(115)가 테두리 홈부(315) 내에 삽입되면서 악취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기능을 가지므로, 뚜껑(110)이 닫혀진 상태에서 내통(200)의 악취가 뚜껑(110)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 외통 110 : 뚜껑
120 : 출입구 200 : 내통
210 : 받침부 300 : 개폐부재
310 : 개폐부 312 : 통공
315 : 테두리 홈부 410 : 제 1보관망
420 : 제 2보관망 422 : 손잡이
500 : 지지대 610 : 제 1배기구
620 : 제 2배기구 710 : 개폐판
715 : 힌지축 720 : 개폐버튼
725 : 복귀스프링 730 : 회전바아
735 ; 연결핀 740 : 연동부재
750 : 스프링부재 810 : 부표부재
820 : 표시봉 830 : 표시캡
850 : 밸브

Claims (5)

  1. 상면에 개폐가능한 뚜껑(110)을 가지며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외통(100)과,
    상기 외통(100)의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내통(200)과,
    상기 외통(100)과 내통(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통(20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상기 뚜껑(110)의 개폐동작시 상기 외통(100)과 내통(200)의 공간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부(310)를 갖는 개폐부재(300)와,
    상기 개폐부(310)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내통(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보관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분리하기 위한 보관망(410,420)과,
    상기 보관망(410,42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과,
    상기 내통(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통(200)을 지지하는 지지대(500)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부(310)의 내부에 힌지축(71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710)과,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누름 동작시 하강동작되며 복귀스프링(725)이 권회되어 복귀 가능한 개폐버튼(720)과, 상기 개폐버튼(720)의 하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버튼(720)의 하강동작시 회전되는 회전바아(730)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바아(730)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판(7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아(730)의 회전시 상기 개폐판(710)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동부재(740)와,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7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판(71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부재(7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망(410,420)은 상기 내통(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바닥면에 망사형태의 투과망(415)이 마련되는 제 1보관망(410)과, 상기 제 1보관망(410)의 내부에 수납되고 망사형 구조로 구성된 제 2보관망(420)을 구비하되,
    상기 내통(200)은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관망(410,4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통(200)의 바닥에 고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오수량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오수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오수량 표시수단은 상기 오수에 부력으로 부유하며 상기 오수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부표부재(810)와,
    상기 부표부재(810)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통(200)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표부재(81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승강되는 표시봉(820)과,
    상기 외통(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표시봉(820)의 상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캡(8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10)는 상면 테두리에 물 또는 살충액이 담겨지도록 테두리 홈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110)의 하측에 연장되고 상기 뚜껑(110)의 닫힘동작시 상기 테두리 홈부(315)내에 수용되는 연장부(115)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110)의 닫힘동작시 상기 내통(200) 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130069474A 2013-06-18 2013-06-1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33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74A KR101335115B1 (ko) 2013-06-18 2013-06-1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74A KR101335115B1 (ko) 2013-06-18 2013-06-1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115B1 true KR101335115B1 (ko) 2013-12-03

Family

ID=4998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74A KR101335115B1 (ko) 2013-06-18 2013-06-1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63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티아이런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36A (ko) * 1997-05-17 1998-12-05 임영하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소멸 및 이를 이용한 액상유기질비료 제조장치
KR200308553Y1 (ko) * 2003-01-03 2003-03-28 박윤택 공동주택의 하수배출장치
JP3096345U (ja) * 2003-03-07 2003-09-12 株式会社トーエー 生ゴミの堆肥化一次処理器
JP2006181547A (ja) * 2004-12-28 2006-07-13 Akimitsu Koga 生ご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36A (ko) * 1997-05-17 1998-12-05 임영하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소멸 및 이를 이용한 액상유기질비료 제조장치
KR200308553Y1 (ko) * 2003-01-03 2003-03-28 박윤택 공동주택의 하수배출장치
JP3096345U (ja) * 2003-03-07 2003-09-12 株式会社トーエー 生ゴミの堆肥化一次処理器
JP2006181547A (ja) * 2004-12-28 2006-07-13 Akimitsu Koga 生ごみ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63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티아이런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4919B (zh) 一种环保的厨余垃圾处理装置
CN212892040U (zh) 一种环保型垃圾收集车
US7863039B2 (en)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800978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3351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9224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2040860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e dechets par lombricompostage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292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506535B1 (ko) 탈취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4735439U (zh) 一种小型蚯蚓连续堆肥装置
KR20160004100U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KR100323467B1 (ko) 하수슬러지 및 축분의 퇴비화장치
KR200485115Y1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CN207016678U (zh) 一种气箱式小型厨余机
KR200401286Y1 (ko)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74886B1 (ko) 바퀴벌레를 이용한 친환경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KR102588331B1 (ko)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CN210966351U (zh) 一种环境监测用垃圾处理设备
TW202022103A (zh) 禽糞發酵處理設備
KR0175792B1 (ko) 경사판 유동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7240760B2 (ja) 有機物ごみ処理装置
CN211585640U (zh) 一种小型餐余垃圾处理器
KR20000038511A (ko) 음식물쓰레기 발효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