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86Y1 -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86Y1
KR200401286Y1 KR20-2005-0024408U KR20050024408U KR200401286Y1 KR 200401286 Y1 KR200401286 Y1 KR 200401286Y1 KR 20050024408 U KR20050024408 U KR 20050024408U KR 200401286 Y1 KR200401286 Y1 KR 200401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bars
disposed
soil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이광희
이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이동균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20-2005-0024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오니(슬러지)를 지렁이 등 토양생물을 이용해 퇴비화하여 분변토로 만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및 분변토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부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았다가 필요 시 하부로 떨어뜨려줄 수 있는 개폐식 패널; 상기 개폐식 패널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폐식 패널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스키머를 포함하는 급이용 스크레이퍼; 및 상기 개폐식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생물이 생장하는 산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GARBAGE USING SOIL WORM}
본 고안은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오니(슬러지)를 일정 용적의 처리장치에 투입한 후, 지렁이 등 토양생물을 이용해 퇴비화하여 분변토로 만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점차 증가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비용 및 퇴비 등으로의 재활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지렁이와 같은 토양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방법은 처리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지렁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숙성이 완료된 후에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노지 또 는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음식물 등을 분변토로 처리하는 양은 대략 100평당 1톤 규모로 비효율적이었으며, 그 수집, 운반 및 저장(숙성) 기간 동안 많은 악취와 유해충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처리방식은 처리할 음식물 쓰레기를 어느 정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에 지렁이 등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처리공정이 늘어나고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등을 실내에서 분해 처리할 수 있는 실내용 처리장치가 제시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859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07266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3609호 등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및 등록실용신안에서는 환기, 온도 및 급배수 시설 등을 구비하는 사육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용기에 음식물을 투입 후 처리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주변에 많은 악취를 발산할 뿐만 아니라 지렁이와 같은 토양생물이 사육용기에서 탈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토양생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용기를 밀폐시킬 경우 호기성 생물인 지렁이 등이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렁이 등의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율(처리면적 대 처리량)을 높이고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될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투입하여 처리가 가능하며, 지렁이 등 토양생물의 탈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의,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및 분변토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부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았다가 필요 시 하부로 떨어뜨려줄 수 있는 개폐식 패널;
상기 개폐식 패널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폐식 패널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스키머를 포함하는 급이용 스크레이퍼; 및
상기 개폐식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생물이 생장하는 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열을 발산하는 탈출방지선이 산실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탈출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탈출방지장치는, 산실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U자형 홈, 소정 pH의 용액이 담기는 탈출방지 용액통, 용액을 탈출방지 용액통으로부터 U자형 홈으로 배출시키는 파이프, 및 파이프를 통한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이 경우는 지렁이들이 강산성 용액에의 접촉을 싫어하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개폐식 패널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서로 유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제1바아를 구비하는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 및 다수의 제2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바아들이 상기 제1바아들과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바아들 사이의 유격이 제2바아들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컨트롤 패널이 이동하여 상기 제1바아들과 제2바아들이 포개짐에 따라 상기 유격이 개방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아래로 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개폐식 패널은 에어컨 송풍구의 개폐식 덮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개폐식 패널은 다수의 바아를 포함하며, 각 바아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쪽 단부가 다른 바아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각 바아가 동시에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인접하는 바아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아 위에 쌓였던 쓰레기가 상기 공간으로 투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산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로 물이 흐르고, 밑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급수관을 구비하는 수분공급장치, 산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배출구를 통해 산실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어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에 의해 산실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변토를 담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 그리고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더 구비하며, 산실 바닥은 전열선이 배치된 전기장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산실 바닥 위에 배치되고, 횡방향 운동에 의해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스키머를 포함하는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는 분변토가 옆으로 새는 것 및 체인에 분변토가 끼여서 체인의 구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에 배치되어 보호대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캐비넷과, 상기 구멍의 상부에 배치되며 분변토 및 악취제거제의 혼합물로 도포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그 상부에 배치되는 악취제거장치(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장치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쪽 면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펴주는 급이용 스크레이퍼(20), 급이용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차적으로 담아서 골고루 편 후 하부로 배출하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30),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기 위한 지렁이나 토양생물을 사육하는 산실(50), 산실(50)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40), 산실 내의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밖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출방지장치(55), 산실 바닥 위에 배치되어 산실에 쌓인 분변토를 배출하는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 산실(5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에 의해 배출되는 분변토를 담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80), 및 산실의 하부에 배치되며 산실에 흡수되지 않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85)를 구비한다.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은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악취제거장치는 급이용 스크레이퍼(20)의 상부,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전체 구성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을 위해 한쪽에 개방 형성된 투입구 및 분변토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른 한 쪽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다.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각 구성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부 및 배기부의 사시도이다.
악취제거장치(10)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 및 배출하는 장치로서, 캐비넷(11)의 밑면 및 측면(15)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12, 16)을 구비한다. 밑면에 형성된 구멍의 상부로는 십자형의 격판(13) 및 부직포(14)가 배치된다. 캐비넷(11)의 밑면 및 측면(15)에 형성된 구멍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유입된다. 또 부직포(14)의 상부에는 온도를 가하여 가공된 분변토(19) 및 물에 용해된 악취제거제를 혼합하여 도포한다. 상기 분변토(19)에는 인공 화초 등을 심어줌으로써 악취제거 효과 및 친환경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악취제거장치(10)의 상부에는 흡기부(17) 및 배기부(18)가 배치되는데, 흡기부는 외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 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며, 배기부는 악취제거장치(10)로부터 외부로 악취를 배출한다. 흡기부(17) 및 배기부(18)의 내부에는 벌레 등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로 유입되거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 내부의 유해충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17a, 18a)이 각기 설치된다. 배기부(18)는 한 쪽은 악취제거장치(10)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실외로 연장하여 배치하거나 별도의 정화장치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또 흡기부(17)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흡기팬(17b)이 구비된다. 배기부(18) 역시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팬(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급이용 스크레이퍼의 사시도이다. 급이용 스크레이퍼(20)는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에 담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펴주는 구성부로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1),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2),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24), 축에 감겨 회전하는 체인(23), 체인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체인 지지대(25) 및 판형을 이루며 체인에 의해 횡방향으로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펴주는 스키머(26)를 구비한다. 급이용 스크레이퍼(20)는 구동모터(21)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와 연결된다.
도 5a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사시도이다.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은 다수의 플라스틱제 바아(31)가 일정 간격(32)을 이루며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은 상하로 2개가 설치되는데, 상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의 한쪽에는 레버(33)가 구비된다. 또 상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은 하부에 배치되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보다 유격(32)이 하나 적게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각 바아(31)가 서로 엇갈리며 배치된다.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5 에서는 상부와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이 좌우로 배치된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명확한 도시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상부와 하부의 컨트롤 패널이 중첩되어 상하로 배열된다.
급이용 스크레이퍼(20)와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급이용 스크레이퍼(20)에 제어장치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21)가 구동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기어(22)와 축(24)에 의해 체인(23)이 횡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스키머(26)가 체인을 따라 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하우징에 형성된 투입구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부와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바아(31)와 유격(32)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50) 위에 쌓인다. 또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어느 한 쪽 부분에 집중적으로 쌓인 음식물 쓰레기는 급이용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반대편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전면에 골고루 펴진다.
음식물 쓰레기가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전면에 골고루 펴진 후,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레버(33)를 당기면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이 전방으로 움직이면서 상부와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바아(31)가 서로 포개지고, 그에 따라 유격(32)이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급이용 컨트롤 패널에 골고루 퍼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떨어져, 지렁이 등 토양생물이 투입되어 있는 산실(5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는 산실(50)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전체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조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30) 대신 도 5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에어컨 덮개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된 개폐식 패널(3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개폐식 패널(35)은 다수의 바아(37)를 포함한다. 각 바아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쪽 단부가 다른 바아(37)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아(37)들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는 바아(37)들에 의해 형서오디는 개폐식 패널(35)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판재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 개폐식 패널(35)들 위에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바아(37) 위에 쌓이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의 산실(50)로 투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각 바아(37)를 그 자신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모두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5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바아(37)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유격을 통해, 하부의 산실(50)로 투입된다. 도면에서 각 바아(37)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그 회전 동작이 체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바아(37)를 회전시키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수분공급창치의 사시도이다. 수분공급장치(40)는 산실(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산실에 공급하는 구성부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급수관(41), 급수관을 연결하는 조인트(42), 급수관으로의 물 유입을 온/오프시키는 급수밸브(43), 급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담는 급수통(44) 및 솔레노이드 밸브(45)를 구비한다. 급수관(41)의 밑면에는 유입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산실(5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44)에 물을 채운 후 솔레노이드 밸브(45)와 급수밸브(43)를 열어주면 급수통(44)의 물이 급수관(41)으로 유입된다. 급수관(41)으로 유입된 물은 급수관(41)을 지나면서 급수관(41) 밑면의 구멍들을 통해 분출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와 같이 산실(50)에 골고루 수분을 공급해주므로, 장기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지 않거나 실내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 산실이 건조해져도 지렁이 등이 죽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도 7은 산실의 사시도이다. 산실(50)은 위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서는 토양생물(51)과 지렁이(52)가 성장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급이용 스크레이퍼(20) 및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에 의해 산실(50)로 공급되며, 지렁이 및 토양생물에 의해 소화 및 분해되어 분변토(53)로 가공된다. 또 산실(50)은 그 바닥의 한쪽 면 끝부분이 개방되어 있어, 이후 설명될 분변도 배출 스크레이퍼(70)의 스키머(76)에 의해 밀려온 분변토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에 담기게 된다.
한편 산실(50)에 보관된 지렁이 및 토양생물은 산실(50)의 개방된 윗면을 통해 산실(50) 밖으로 탈출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실(50)의 주변을 감싸는 탈출방지장치(55)를 구비한다.
도 8은 탈출방지장치(55)의 사시도이다. 탈출방지장치(55)는 열을 이용해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산실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탈출방지장치(55)는 산실의 측면 전체를 감싸며, 열을 발생하는 탈출방지선(56), 탈출방지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7), 탈출방지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장치(58) 및 탈출방지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59)을 구비한다. 온도조절장치(58)는 온도센서(57)에 의해 탈출방지선(56)의 온도를 감지하고 탈출방지선에 공급되는 전류량 등을 조절함으로써 탈출방지선이 일정 온도로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탈출방지선이 산실(50)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지렁이 및 토양생물의 탈출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탈출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산실(50)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탈출방지장치(60)는, 산실의 측면부 전체를 감싸는 U자형 홈(61), 일정 용적을 갖는 탈출방지 용액통(62), 탈출방지 용액통의 용액을 U자형 홈으로 배출시키는 파이프(63) 및 상기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64)를 포함한다. 또 탈출방지장치(60) 내 용액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눈금표(65)도 구비한다.
탈출방지 용액통(62) 내에는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용액이 담기며, 조절밸브(64)에 의해 그 배출량이 조절되어 파이프(63)를 통해 U자형 홈(61)으로 배출되어 고인다. 산실(50) 내부의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탈출하기 위해 상부로 올라올 경우 U자형 홈(61)에 고여 있는 용액에 접촉한다. 따라서 일부는 산실(50)로 돌아가고 일부는 강산 또는 강염기성 용액에 의해 녹거나 죽게 되므로, 산실(50) 내부의 지렁이 또는 토양생물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의 사시도이다.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는 산실(50) 바닥 위에 배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어 생성되는 분변토를 배출하는 구성부이다. 구동모터(7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72),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74), 축에 감겨서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73),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 지지대(75), 체인에 의해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분변토를 배출구로 밀어내는 스키머(7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체인(73) 바로 위의 산실(50) 벽에서 소정 각도로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분변토가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로부터 투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체인(73)에 접하여 체인(73)의 작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77)를 구비한다. 배출된 분변토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에 담긴다.
도 11은 분변토 배출 캐비넷의 사시도이다.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은 위가 개방된 통이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가장 밑부분, 구체적으로는 산실(50)의 한쪽 끝에 형성된 배출구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스크레이퍼(70)에 의해 산실(50)로부터 배출되는 분변토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에 담긴다.
도 12는 배수장치(85)의 사시도이다. 배수장치(85)는 산실(50)하부에 형성되며 산실(50)에 흡수되고 남은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부이다. 배출된 물이 모이는 캐비넷(86), 물이 배출되는 유출부(87), 캐비넷에 담긴 물의 배출을 온/오프하는 조절밸브(88) 및 유출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파이프(미도시)를 구비한다. 캐비넷(86)은 산실(50)의 바닥을 형성한다. 수분공급장치(40)에 의해 공급되어 산실(50)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캐비넷(86)에 모인다. 캐비넷(86)에 모인 물이 일정량이 되면 조절밸브(88)를 열어 유출부(87) 및 배출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물을 배출한다. 배수장치(85)는 캐비넷(86)에 담긴 물의 양, 즉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캐비넷(85)의 바닥에는 전열선이 구비된 전기장판(89)을 배치한다. 전기장판(89)은 전열선을 내부에 구비하며, 산실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분변토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전기장판(89)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산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판(89)은 산실(50)로 열을 발산함으로써 산실의 온도를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 온도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지렁이 및 토양생물에 의해 생성된 분변토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양질의 분변토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3은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제어장치(90)에는 흡기부(17), 배기부(18), 급이용 스크레이퍼(20), 탈출방지장치(55) 및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장치들에 전기를 공급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흡기부(17)와 배기부(18)의 흡기팬(17b) 및 배기팬을 동작시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 급이용 스크레이퍼(20)와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의 구동모터(21, 71)를 동작시켜 스키머(26, 76)를 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펴주거나 분변토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아울러, 탈출방지장치(55)의 온도조절장치(58)를 제어하여 탈출방지선(56)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제어장치(90)는 수분공급장치(40)의 급수밸브(43) 및 솔레노이드밸브(45), 그리고 배수장치(85)의 조절밸브(88)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고,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레버(33)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배수장치(85)에 구비되는 전기장판(89)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산실의 온도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하우징에 형성된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에 쌓인다.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은 바아(31) 및 유격(32)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패널(30) 위에 쌓인다.
제어장치(90)를 통해 급이용 스크레이퍼(20)의 구동모터(21)를 동작시키면, 체인(23)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키머(26)가 횡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펴진다.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펴진 후에 상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30)의 레버(33)를 당기면 상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이 움직인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의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각 바아(31) 및 유격(32)이 일치하므로 음식물 쓰레기는 넓어진 유격(32)을 통해 아래쪽의 산실(50)에 투입된다.
산실(50)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지렁이(52) 및 토양생물(51)에 의해 분해되어 분변토가 생성된다.
산실(50)에 분변토가 일정량 쌓이면 제어장치(90)를 통해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70)의 구동모터(71)를 동작시킨다. 체인(73)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키머(76)가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산실의 상부에 쌓인 분변토를 한쪽으로 밀어낸다. 스키머(76)에 의해 밀린 분변토는 산실(50)의 한쪽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의 분변토 배출 캐비넷(80)에 담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분변토 제거는 날마다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나 산실의 용적에 따라 적절히 이루어지면 된다. 한 실시예에서는 1 내지 2개월에 1회 정도 가동된다.
한편 장기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지 않거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수분공급장치(40)의 솔레노이드밸브(45) 및 급수밸브(43)를 열어주어 수분을 산실(50)에 공급함으로써 산실(50)의 수분 함유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때 산실(50)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배수장치(85)의 캐비넷(86)에 모인다. 캐비넷(86)에 모인 물의 양이 일정량이 되면 조절밸브(88)를 열어주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 제어장치(90)는 전기장판(89)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전기장판을 적정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가장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온도로 산실(50)의 온도를 유지하고 분변토의 수분을 제거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급이용 스크레이퍼를 이용해 골고루 펴준 후에 산실로 투입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한쪽에만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로, 산실의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로, 전기장판을 이용해 산실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므로 지렁이 및 토양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변토 등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줄여서 배출할 수 있다.
넷째로, 산실이 건조한 경우 수분공급장치를 이용해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고 흡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므로 호기성 생물인 지렁이 및 토양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악취제거장치 및 배기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 및 배출하므로 악취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뿐만 아니라, 분변토에 인공 화초 등을 재배함으로써 악취제거 효과 및 친환경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하우징의 한쪽 면이 제거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부 및 배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이용 스크레이퍼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분공급창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산실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탈출방지장치를 한쪽 면이 제거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탈출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한쪽 면이 제거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변토 배출 캐비넷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를 하우징의 한쪽 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악취제거장치 20: 급이용 스크레이퍼
30: 급이용 컨트롤 패널 40: 수분공급장치
50: 산실 55, 60: 탈출방지장치
70: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 80: 분변토 배출 캐비넷
85: 배수장치 90: 제어장치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및 분변토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부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았다가 필요 시 하부로 떨어뜨려줄 수 있는 개폐식 패널;
    상기 개폐식 패널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폐식 패널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스키머를 포함하는 급이용 스크레이퍼; 및
    상기 개폐식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생물이 생장하는 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는 탈출방지선을 포함하는 탈출방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패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서로 유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제1바아를 구비하는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 및
    다수의 제2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바아들이 상기 제1바아들과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바아들 사이의 유격이 제2바아들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컨트롤 패널이 이동하여 상기 제1바아들과 제2바아들이 포개짐에 따라 상기 유격이 개방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패널이 다수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바아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쪽 단부가 다른 바아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바아가 동시에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인접 바아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공간을 통해 아래로 투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며,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이 투입되는 U자형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출방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횡방향 운동에 의해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스키머를 구비하는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 및
    상기 분변토 배출용 스크레이퍼로부터 배출되는 분변토를 수납하는 분변토 배출 캐비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산실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집중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바닥에 전열선이 배치된 전기장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급수관을 구비하는 수분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급이용 컨트롤 패널 위에 배치되며, 흡기부; 배기부;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캐비넷; 및 상기 구멍의 상부에 배치되며 분변토와 악취제거제의 혼합물이 도포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5-0024408U 2005-08-24 2005-08-24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1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08U KR200401286Y1 (ko) 2005-08-24 2005-08-24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08U KR200401286Y1 (ko) 2005-08-24 2005-08-24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818A Division KR100733604B1 (ko) 2005-08-24 2005-08-24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86Y1 true KR200401286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08U KR200401286Y1 (ko) 2005-08-24 2005-08-24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87B1 (ko) 2011-06-29 2014-03-1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 분해장치
KR102389087B1 (ko) * 2021-08-13 2022-04-25 농업회사법인 비에스에프팜 주식회사 산란목 및 산란유도배지상자의 자동 공급 및 수거가 가능한 동애등에 산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87B1 (ko) 2011-06-29 2014-03-1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 분해장치
KR102389087B1 (ko) * 2021-08-13 2022-04-25 농업회사법인 비에스에프팜 주식회사 산란목 및 산란유도배지상자의 자동 공급 및 수거가 가능한 동애등에 산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45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 waste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0733604B1 (ko)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67514A (ko)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2013014185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01286Y1 (ko)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657841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100852429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발효교반실과 축사의 악취가스제거장치
KR100506535B1 (ko) 탈취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769765A (ja) 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の再生処理方法と、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処理施設
JPH0824353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H07148479A (ja) 脱臭処置を伴う有機廃棄物の発酵乾燥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WO2010150288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t
KR100944954B1 (ko)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분뇨처리장치
KR2009003039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69071A (ko) 자연건조식 분뇨처리장을 갖는 돼지 사육용 축사
KR101875408B1 (ko) 동애등에 돔형 사육설비의 정화장치
EP06699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 waste
JPH05308869A (ja) 鶏の飼育プラント
JP2004230340A (ja) 生ゴミ処理器、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温湿度調節体、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生ゴミ処理方法
KR1017106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냄새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