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26Y1 -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26Y1
KR200487826Y1 KR2020160003025U KR20160003025U KR200487826Y1 KR 200487826 Y1 KR200487826 Y1 KR 200487826Y1 KR 2020160003025 U KR2020160003025 U KR 2020160003025U KR 20160003025 U KR20160003025 U KR 20160003025U KR 200487826 Y1 KR200487826 Y1 KR 200487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lower body
guide member
garbag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156U (ko
Inventor
유송희
Original Assignee
유송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송희 filed Critical 유송희
Priority to KR2020160003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2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형태의 비닐봉지가 구비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은 롤(roll) 형태의 비닐봉지가 수납된 하부 몸체, 하부 몸체로부터 공급된 비닐봉지를 수납하되 쓰레기를 담기 위해 비닐봉지가 펼쳐진 상태로 수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격벽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 몸체로부터 상부 몸체로 이동하는 비닐봉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몸체에는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비닐봉지의 교체가 간편하고 비닐봉지 파손 시 오물 등의 이물질이 쓰레기통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Garbage can with vinyl roll-pack}
본 고안은 롤 형태의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써, 롤 비닐봉지의 교체가 간편하고 비닐봉지 파손 시 비닐봉지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질을 배출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통은 실내 및 실외에 배치되어 쓰레기를 담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쓰레기통의 내부에 쓰레기를 채우면 이물질이 쓰레기통 내부에 묻어나 자주 씻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쓰레기통의 내부에 일회용 비닐봉지를 씌워 쓰레기를 채운 후, 비닐봉지의 입구를 묶어 배출한다.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면, 쓰레기통의 내부를 자주 세척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나, 비닐봉지 배출 후 비닐봉지를 쓰레기통에 다시 씌워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있다.
도 1 및 도 3은 종래 기술의 쓰레기통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853호는 쓰레기통 일측면에 비닐롤팩(30)을 탑재하고, 쓰레기통(10) 내부에 배치된 고리(14)에 비닐롤팩을 펼쳐 고정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4-0003390호는 쓰레기통(1)의 바닥면에 비닐수납공간(6)을 구비하고, 비닐봉지(4)가 연속적으로 쓰레기통(1) 상부로 토출되는 연속공급식 쓰레기통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1992-0015091호는 쓰레기통(1)의 하부에 롤 형태의 비닐봉지(4)를 탑재하여 쓰레기통(1) 상부에서 비닐봉지(4)를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연속공급식 쓰레기통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들은 비닐봉지 배출 후 비닐봉지를 쓰레기통의 내부에 다시 씌워야 하는 불편함은 제거하였다. 그러나 비닐봉지의 소재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강도에 따라 소재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비닐봉지는 두께가 0.013 ~ 0.04mm로 매우 얇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비닐봉지의 파손은 비닐봉지에 담긴 쓰레기 또는 오물과 같은 이물질을 쓰레기통 내부에 고이게 하여 악취와 위생상 불결함을 초래한다.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비닐봉지 파손에 따른 오물과 같은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닐봉지가 쓰레기통의 내부에서 펼쳐지기 위해서는 비닐봉지가 수납된 공간에서 쓰레기통의 내부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잡아당겨 뽑는 과정에서 비닐봉지가 쓰레기통 내면과의 마찰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잡아당겨 뽑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롤 형태의 비닐봉지에 전달되어 의도하지 않게 많은 비닐봉지가 쓰레기통 내부로 토출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853호(비닐롤팩이 구비된 쓰레기통)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4-0003390호(수거비닐 연속공급식 쓰레기통)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1992-0015091호(비닐봉지가 연속공급되는 쓰레기통)
본 고안은 비닐봉지의 교체가 간편하면서 비닐봉지 파손 시 오물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잡아당겨 뽑는 과정에서 비닐봉지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다량의 비닐봉지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롤(roll) 형태의 비닐봉지가 수납된 하부 몸체, 하부 몸체로부터 공급된 비닐봉지를 수납하되 쓰레기를 담기 위해 비닐봉지가 펼쳐진 상태로 수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격벽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 몸체로부터 상부 몸체로 이동하는 비닐봉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은 가이드부재 및 하부 몸체와 연결되고, 격벽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격벽이 “∧” 형상으로 빗각을 가질 수 있고, 하부 몸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홀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격벽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로 비닐봉지가 통과하는 제1 가이드링과 제2 가이드링; 및 비닐봉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가 쉽게 토출되거나, 비닐봉지의 외면을 따라 이물질이 하부 몸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은 비닐봉지의 교체가 간편하고 비닐봉지 파손 시 오물 등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잡아당겨 뽑는 과정에서 비닐봉지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다량의 비닐봉지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의 쓰레기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몸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롤 형태의 비닐봉지를 평평한 평면에 펼친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100)은 몸체(110), 비닐봉지(120), 샤프트(130) 및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쓰레기통(100)의 골격을 이루는데,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가 수납되는 하부 몸체(112), 하부 몸체(112)로부터 공급된 비닐봉지(120)가 펼쳐진 상태로 수납되는 상부 몸체(111) 및 격벽(113)을 포함한다.
상부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된 비닐봉지(120)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비닐봉지(120)는 소재를 불문하고 두께가 0.013 ~ 0.04mm로 매우 얇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이 경우, 파손된 비닐봉지(120)에서 오물이 새어 나와 쓰레기통(10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비닐봉지(120) 파손 시 오물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몸체(110)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홀(H)은 몸체(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120)가 파손된 부분(X)로부터 오물이 액체 상태로 낙하하거나 비닐봉지(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 몸체(112)로 이동하게 된다. 비닐봉지(120)의 파손된 부분(X)으로부터 낙하된 오물은 몸체(110)의 내면에 묻어나거나 몸체(11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100)은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분리하되,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격벽(113)을 포함한다. 격벽(113)은 오물이 하부 몸체(112)에 수납된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비닐봉지(120) 파손 시 발생된 오물을 쓰레기통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쓰레기통(10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몸체(110)에 형성된 홀(H)까지 연장된 격벽(113)의 형태가 빗각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격벽(113)의 단면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격벽(113)은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물은 비닐봉지(120)의 파손 부위(X)로부터 낙하하여 격벽(113)을 따라 몸체의 홀(H)로 이동하고, 홀(H)을 통과한 오물은 하부 몸체(112)의 외면을 따라 낙하하게 된다.
상부 몸체(111)의 상단부에는 비닐봉지 고정부(111A)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펼쳐진 비닐봉지(120)의 형태를 유지하고 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비닐봉지(120)가 쓰레기통(100)의 하부로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몸체(111)의 상단부는 “L”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비닐봉지(120)의 단부를 일부 감아 비닐봉지 고정부(161)의 내측에 끼울 수 있다.
하부 몸체(112)의 내부에는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비닐봉지(120)의 내측을 관통하는 샤프트(130)가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몸체(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샤프트(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샤프트 고정부(112A)가 배치될 수 있다.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부 몸체(112)의 일측면은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몸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몸체(112)는 샤프트 고정부(112A)와 연결된 제1 하부 몸체(112B), 슬라이딩부(112C), 제2 하부 몸체(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몸체(112B)는 비닐봉지(120)의 일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딩부(112C)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12C)는 제1 하부 몸체(112B)와 연결되어 제2 하부 몸체(112D)의 내부에 슬라이딩(Sliding)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하부 몸체(112B)를 당겨 샤프트(130)와 샤프트 고정부(112A)가 분리할 수 있고, 하부 몸체(112)에 수납된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비닐봉지(120)의 교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하부 몸체(112B)를 비닐봉지(120)가 위치한 내측으로 밀어 완전히 닫은 후, 고정장치(T)를 내려 제1 하부 몸체(112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격벽(113)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 몸체(112)로부터 상부 몸체(111)로 이동하는 비닐봉지(120)를 가압함으로써, 비닐봉지(120)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부재(140)는 하우징(141), 제1 가이드링(142), 제2 가이드링(143), 연결부재(144) 및 탄성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1)은 가이드부재(140)의 골격을 이루고 제1 및 제2 가이드링(142, 143)과 연결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링(142, 143)의 위치를 고정한다. 격벽(113)에 하우징(141)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격벽(113)의 외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링(142, 143)은 고리(Ring) 형상을 가져 내부에 비닐봉지(120)가 통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링(142)과 제2 가이드링(143)은 연결부재(14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연결부재(144)는 연성을 갖되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않는 고강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링(145)은 제1 가이드링(142)과 제2 가이드링(1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재(144)의 외면을 가압한다. 탄성링(145)은 연결부재(144)와 함께 연결부재(144)의 내부를 통과하는 비닐봉지(120)를 가압한다.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여 비닐봉지(120)를 상부로 잡아당길 경우, 의도하지 않게 많은 비닐봉지가 토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탄성링(145)이 비닐봉지(1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오물의 점성이 높은 경우, 오물은 격벽(113)으로 곧바로 낙하하지 않고, 비닐봉지(120)의 외면을 따라 흘러 가이드부재(140)의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까지 도달된 오물은 비닐봉지(120)와 연결부재(144)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부 몸체(112)에 배치된 롤 형태의 비닐봉지(120)까지 흐를 수 있는데, 탄성링(145)은 비닐봉지(120)와 연결부재(144)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여 오물이 하부 몸체(11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링(145)은 탄성을 가진 소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고무를 포함한다. 비닐봉지(120)와 연결부재(144)의 사이에는 오물이 고일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40)는 격벽(113)과 탈부착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오물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해, 가이드부재(140)는 하부 몸체(11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몸체(110)에 형성된 홀(H)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롤 형태의 비닐봉지를 평평한 평면에 펼친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비닐봉지(120)는 샤프트(130)를 따라 회전하면서 펼쳐질 수 있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쓰레기가 담길 수 있도록 밀봉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힘을 가해 비닐봉지(120)를 단위별로 뜯을 수 있도록 밀봉부(121)의 하부에는 절취선(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은 받침(150) 및 덮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150)은 몸체(110)에 형성된 홀(H)을 통과한 오물 등의 이물질을 담는다. 받침(150)은 하부 몸체(1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 몸체(112)의 바닥면과 받침(150)의 상면이 서로 이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받침(150)은 하부 프레임(151), 지지부(152), 측면 프레임(153) 및 측면 돌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51)의 상면에는 하부 프레임(151)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152)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1)의 바닥면은 지지부(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51)의 양 단부에는 측면 프레임(153)이 연결되고, 측면 프레임(153)의 말단에는 상부 몸체(111)의 외면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돌출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150)은 오물이 하부 몸체(112)의 외면에 흐르는 것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시야를 가림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160)는 상부 몸체(111)의 상단부를 덮어 청결함을 유지하고, 펼쳐진 비닐봉지(120)의 단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 고정부(111A)에 고정된 비닐봉지(12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160)의 단부에는 비닐봉지 고정부(111A)와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61)는 비닐봉지 고정부(111A)의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은 비닐봉지의 교체가 간편하고 비닐봉지 파손 시 오물 등의 이물질이 쓰레기통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잡아당겨 뽑는 과정에서 비닐봉지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다량의 비닐봉지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100: 쓰레기통
110: 몸체 111: 상부 몸체
111A: 비닐봉지 고정부 112: 하부 몸체
112A: 샤프트 고정부 112B: 제1 하부 몸체
112C: 슬라이딩부 112D: 제2 하부 몸체
113: 격벽
120: 비닐봉지 121: 밀봉부
122: 절취선
130: 샤프트
140: 가이드부재 141: 하우징
142: 제1 가이드링 143: 제2 가이드링
144: 연결부재 145: 탄성링
150: 받침 151: 하부 프레임
152: 지지부 153: 측면 프레임
154: 측면 돌출부
H: 홀
T: 고정장치

Claims (10)

  1. 롤(roll) 형태의 비닐봉지가 수납된 하부 몸체, 하부 몸체로부터 공급된 비닐봉지를 수납하되 쓰레기를 담기 위해 비닐봉지가 펼쳐진 상태로 수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격벽의 중심에 배치되고 하부 몸체로부터 상부 몸체로 이동하는 비닐봉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격벽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로 비닐봉지가 통과하는 제1 가이드링과 제2 가이드링; 및
    비닐봉지를 가압하여 비닐봉지가 쉽게 토출되거나, 비닐봉지의 외면을 따라 이물질이 하부 몸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가이드부재 및 하부 몸체와 연결되고, 격벽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격벽이 “∧” 형상으로 빗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 가이드링과 제2 가이드링을 연결하여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링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연결부재와 함께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납된 비닐봉지를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몸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홀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격벽의 중심에 끼워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롤 형태의 비닐봉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비닐봉지의 내측을 관통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샤프트의 양 단부를 수납하는 샤프트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와 연결된 제1 하부 몸체;
    상기 비닐봉지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하부 몸체; 및
    제1 하부 몸체와 연결되어 제2 하부 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수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부에는 펼쳐진 비닐봉지의 단부가 삽입되어 비닐봉지의 위치를 고정하는 비닐봉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이물질을 담는 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20160003025U 2016-06-02 2016-06-02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KR200487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25U KR200487826Y1 (ko) 2016-06-02 2016-06-02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25U KR200487826Y1 (ko) 2016-06-02 2016-06-02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56U KR20170004156U (ko) 2017-12-12
KR200487826Y1 true KR200487826Y1 (ko) 2018-11-09

Family

ID=6125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25U KR200487826Y1 (ko) 2016-06-02 2016-06-02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2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3A (ja) * 1999-02-26 2000-09-19 Meigen O ごみ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390B1 (ko) 1991-12-28 1994-04-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저주파수 발진기를 이용한 고해상도 비디오신호 처리장치
JPH0659303U (ja) * 1992-05-19 1994-08-19 文 桂 陳 ゴミ袋収納式ゴミ箱
KR101079199B1 (ko) * 2009-04-08 2011-11-03 서돈식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KR101010853B1 (ko) 2010-04-28 2011-01-26 백승엽 비닐롤팩이 구비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3A (ja) * 1999-02-26 2000-09-19 Meigen O ごみ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56U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017A (en) Recycle and refuse container with continuous supply of bags
US7546930B2 (en) Hermetic wipe container
US8544673B1 (en) Dual bin waste receptacle
JP5715322B2 (ja) カセット及び使い捨て物を可撓性材料の細長いチューブに詰めるための装置
US5375860A (en) Recycling cart
KR102237146B1 (ko) 위생 용기 또는 그에 관련된 개량
RU2638039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усора и отходов, в частности подгузников
US8844725B2 (en) Test strip container with strip retain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tilization thereof
US20120261284A1 (en) Clean Bag Deploying Trash Receptacle
KR200487826Y1 (ko)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130019692A (ko) 쓰레기봉투 거치대
US20150375934A1 (en) Trash can assembly
KR10172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102241981B1 (ko) 실내용 쓰레기통
KR200487348Y1 (ko)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 수거용 쓰레기통
KR200443070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구비된 쓰레기통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KR101857877B1 (ko) 여성용품용 폐기통
JP6739203B2 (ja) 広口容器
JP2006282371A (ja) 分別用ごみ収納棚
KR102422315B1 (ko) 이동식 개수대
KR200372760Y1 (ko) 일회용 컵 회수장치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JP2002308401A (ja) 生ゴミ収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