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444B1 - 압축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압축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444B1
KR101848444B1 KR1020160121014A KR20160121014A KR101848444B1 KR 101848444 B1 KR101848444 B1 KR 101848444B1 KR 1020160121014 A KR1020160121014 A KR 1020160121014A KR 20160121014 A KR20160121014 A KR 20160121014A KR 101848444 B1 KR101848444 B1 KR 10184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garbage bag
powder
cas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142A (ko
Inventor
구본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트
Priority to KR102016012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4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본체가 바닥판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을 따라 벌어지는 제1반분체와 제2반분체로 구성되어 쓰레기가 압축된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되, 일단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가 외부로 인출되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를 포함하여 쓰레기 봉투의 보관과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 쓰레기통{Press type wastebasket}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보관과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활용품의 분리 배출을 촉진하고 쓰레기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이, 캔, 유리, 비닐, 스티로폼 등의 재활용품은 종류별로 분리하여 배출하고, 그 외의 쓰레기는 유료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이하, '쓰레기 봉투'라 함)에 넣어 배출하는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쓰레기 배출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쓰레기 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손, 발, 기타 도구로 최대한 압축하여 배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특허 제10-0734423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압착기), 특허 제10-0823231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압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축 쓰레기통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압축 쓰레기통의 경우 통상 본체 내부에 쓰레기 봉투를 삽입하여 거치하고, 쓰레기가 다 채워질 때까지 압착수단으로 쓰레기를 수회 압축한 후 쓰레기가 최대로 충진되면 본체로부터 압축된 쓰레기 봉투를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은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과도하게 충진, 압착할 경우 연질의 쓰레기 봉투가 횡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본체로부터 쓰레기 봉투를 인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인출 과정에서 봉투가 찢어져 쓰레기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제10-1548723호는 하부본체가 바닥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져 압축된 쓰레기 봉투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압축 쓰레기통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수거, 배출할 경우 쓰레기 봉투는 주방이나 다용도실 등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처럼 쓰레기 봉투를 압축 쓰레기통과 별도로 보관하면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다. 예컨대,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쓰레기를 압축하여 인출하고, 미사용 쓰레기 봉투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쓰레기 봉투를 꺼낸 후 다시 압축 쓰레기통으로 돌아와 쓰레기 봉투를 거치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쓰레기 봉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장소가 필요한 것은 물론 쓰레기 봉투를 교체하는 데 동선이 길어지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쓰레기 봉투의 보관이 용이하고, 쓰레기의 배출시 바로 새로운 쓰레기 봉투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본체가 바닥판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을 따라 벌어지는 제1반분체와 제2반분체로 구성되어 쓰레기가 압축된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되, 일단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가 외부로 인출되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를 포함하는 압축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판에 대해 하방으로 요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상기 격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여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 봉투 케이스는 상기 인출공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제1반분체와 상기 제2반분체가 양측으로 벌어질 경우 상기 인출공이 상방으로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바닥판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안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압축 쓰레기통 내부에 쓰레기 봉투를 보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쓰레기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쓰레기 봉투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에 형성되는 격벽과 끼움부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인출공이 내측을 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제1반분체와 제2반분체가 양측으로 벌어질 경우 쓰레기 봉투 케이스의 인출공이 상방으로 부상하여 쓰레기 봉투 케이스의 교체나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본체가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본체의 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닥판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닥판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본체가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압축 쓰레기통의 본체의 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닥판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닥판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100)은 본체(110)와, 체결부재(120) 및 뚜껑(130)을 포함하되, 본체(110)의 바닥판(110a)에 수용부(140)가 형성되고, 수용부(140)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본체(110)와, 체결부재(120) 및 뚜껑(13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후 수용부(140)와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10)는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 다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110)가 원통형인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본체(110)의 형태가 원통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타원기둥, 다각기둥, 또는 특정 형상의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체(110)의 경우 반원통형의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로 2분할되고,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는 각각의 바닥판(111a)(112a)을 연결하는 힌지축(113)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는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상측이 양측방향을 따라 벌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110)의 내부에서 쓰레기의 충진, 압축으로 팽창된 쓰레기 봉투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체결부재(120)는 본체(110)를 원통형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형 구조를 가진다. 즉, 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양측으로 벌어지는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로 구성되므로 쓰레기의 배출 후 다시 새로운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가 벌어지지 않고 고정된 원통형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를 원통형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의 상단에 환형의 체결부재(120)를 덮어 끼우면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가 원통형으로 고정되어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뚜껑(130)은 쓰레기로 인한 냄새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쓰레기 봉투에 충진된 쓰레기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부재(1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130)의 상부에는 뚜껑(130)의 개폐와 쓰레기의 압축시 편의를 위해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체(110)와, 체결부재(120) 및 뚜껑(130)은 압축 쓰레기통(100)의 기본 구성으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제10-1548723호에 이미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압축 쓰레기통(100)의 전체적인 구조나 형태는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특허 제10-1548723호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존 구성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는 분할된 후 다시 원통형으로 결합될 경우 측단면이 서로 합치되지 않아 틈새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의 측단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111b)과 돌기(112b)가 측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요홈(111b)과 돌기(112b)를 형성하면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의 결합시 돌기(112b)가 요홈(111b)에 끼워져 결합 부위가 빈틈없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본체(110)의 원통형 구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물론 쓰레기나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131)의 하부에는 지지블록(13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131)를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130)을 본체(110) 내부로 넣어 쓰레기 봉투 안의 쓰레기를 압축하면 손잡이(131)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등으로 쓰레기를 제대로 압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31)의 하부에 지지블록(132)을 형성하고 뚜껑(130)을 가압하면 손잡이(131)가 압착되면서 지지블록(132)의 하단부가 뚜껑(130)의 상부면에 접지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이 확보되고, 이로 인해 쓰레기의 압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수용부(140)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보관을 위한 것으로 본체(110)의 바닥판(110a) 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수용부(140)는 제1반분체(111)의 바닥판(111a)과 제2반분체(112)의 바닥판(112a)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제1반분체(111)의 바닥판(111a)과 제2반분체(112)의 바닥판(112a)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부(140)는 수용부(140)의 상부에 안착되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110a)에 대해 하방으로 오목하게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가 수용부(14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외부에서 예기치 못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수용부(140)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유동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40)에 격벽(141)과 끼움부(14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격벽(141)은 수용부(14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를 가이드하고, 끼움부(142)는 격벽(141)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를 고정한다.
이 경우, 끼움부(142)는 격벽(141)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격벽(141)의 외측단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면 족하다.
따라서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를 격벽(141) 사이로 삽입하여 끼움부(142)에 밀어 넣으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가 끼움부(142)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를 고정할 때 쓰레기 봉투(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인출공(151)이 내측, 즉, 끼움부(142)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격벽(141), 끼움부(142)를 포함하는 수용부(140)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교체와 쓰레기 봉투(10)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힌지축(113)에 직교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140)를 힌지축(113)에 수직하게 형성하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 또한 힌지축(113)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일단부는 제1반분체(111)의 끼움부(142)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반분체(112)의 바닥판(112a)에 놓이게 된다(도 5 참조).
이 경우,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가 반대방향, 즉, 일단부가 제2반분체(112)의 끼움부(14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반분체(111)의 바닥판(111a)에 놓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상태에서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를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고정부(바닥판(110a)의 외측단부)는 하강하고 비고정부(바닥판(110a)의 내측단부)는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인출공(151)이 상방으로 부상함으로써 사용자가 쓰레기 봉투(10)를 인출하거나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를 교체하기가 보다 수월해진다.
반면, 수용부(140)가 힌지축(113)에 수직하게 형성되지 않아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가 힌지축(113)에 평행하거나 비스듬하게 배치되면 제1반분체(111)와 제2반분체(112)가 양측으로 벌어질 경우 인출공(151)이 하강하거나 방향이 틀어져 쓰레기 봉투(10)의 인출과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교체에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는 쓰레기 봉투(10)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박스 구조를 가진다.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에는 쓰레기 봉투(10)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15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인출공(153)은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전단벽(151)을 짧게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의 내부에는 다수의 쓰레기 봉투(10)가 중첩하여 수납되는데, 쓰레기 봉투(10)의 용이한 인출을 위해 중첩된 쓰레기 봉투(10)는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폴딩된 상태로 수납된다. 이 경우, 폴딩된 쓰레기 봉투(10) 중 최하단의 끝부분은 인출공(15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최하단의 상부에 적층된 폴딩부들은 전단벽(15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쓰레기 봉투(10)는 마찰이 거의 없는 비닐 재질이기 때문에 여러 장이 중첩되어 있더라도 비교적 원활하게 인출이 가능하나, 쓰레기 봉투(10)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 내부에서 봉투와 봉투가 압착되어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여러 장이 한 번에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단벽(151)이 쓰레기 봉투(10)의 전단 폴딩부들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쓰레기 봉투(10)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전단벽(151)에는 걸림편(152)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52)은 전단벽(15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편(152)은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에 끼워져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력에 의해 전단벽(151)의 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걸림편(152)은 쓰레기 봉투(10)의 직상단 폴딩부와 그 상부에 적층되는 폴딩부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그 결과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감소하여 쓰레기 봉투(10)를 보다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단벽(151)과 걸림편(152)의 양측단부는 쓰레기 봉투(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지 않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쓰레기 봉투 케이스(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10)의 잔여량이나 수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쓰레기 봉투 100 : 압축 쓰레기통
110 : 본체 110a : 바닥판
111 : 제1반분체 111a : 바닥판
111b : 요홈 112 : 제2반분체
112a : 바닥판 112b : 돌기
113 : 힌지축 120 : 체결부재
130 : 뚜껑 131 : 손잡이
132 : 지지블록 140 : 수용부
141 : 격벽 142 : 끼움부
150 : 쓰레기 봉투 케이스 151 : 전단벽
152 : 걸림편 153 : 인출공

Claims (4)

  1.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본체가 바닥판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을 따라 벌어지는 제1반분체와 제2반분체로 구성되어 쓰레기가 압축된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되, 일단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가 외부로 인출되는 쓰레기 봉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케이스가 상기 격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여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 봉투 케이스는 상기 인출공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제1반분체와 상기 제2반분체가 양측으로 벌어질 경우 상기 인출공이 상방으로 부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판에 대해 하방으로 요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1014A 2016-09-21 2016-09-21 압축 쓰레기통 KR10184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14A KR101848444B1 (ko) 2016-09-21 2016-09-21 압축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14A KR101848444B1 (ko) 2016-09-21 2016-09-21 압축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42A KR20180032142A (ko) 2018-03-29
KR101848444B1 true KR101848444B1 (ko) 2018-04-13

Family

ID=6190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014A KR101848444B1 (ko) 2016-09-21 2016-09-21 압축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80B1 (ko) 2020-10-21 2022-01-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 전용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389B (zh) * 2019-01-21 2023-10-13 广东利兆商贸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安装的多功能分类垃圾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80B1 (ko) 2020-10-21 2022-01-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 전용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42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215B2 (en) Trash can with bag dispenser
US20080083757A1 (en) Liner replacement trash can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US5836470A (en) Trash receptacle with expandable rim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JP3202631U (ja) ゴミ箱
KR20160014303A (ko) 압축용 누름판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1879638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JP3229278U (ja) 衛生用紙容器ホルダー
JP4870879B2 (ja) ごみ箱
KR20180032144A (ko)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KR200195487Y1 (ko) 쓰레기 통
CN212150249U (zh) 一种双层分类垃圾桶
JP3113473U (ja) 分別自在な収容箱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89933Y1 (ko) 다단 재활용 쓰레기통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JP2001080703A (ja) ゴミ類の圧縮装置
KR200427742Y1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