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070A - 쓰레기 통 - Google Patents

쓰레기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070A
KR20010002070A KR1019990021665A KR19990021665A KR20010002070A KR 20010002070 A KR20010002070 A KR 20010002070A KR 1019990021665 A KR1019990021665 A KR 1019990021665A KR 19990021665 A KR19990021665 A KR 19990021665A KR 20010002070 A KR20010002070 A KR 2001000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door
detachab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희
Original Assignee
김재능
제이크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능, 제이크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능
Priority to KR101999002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070A/ko
Publication of KR2001000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13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fixing and mounting of the receptacle to wall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설치된 도어가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복개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덮개의 하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탈취통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수받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면에서 쓰레기 봉투를 권취 고정하는 봉투 고정링과, 상기 본체 내부의 쓰레기를 가압 하도록 손잡이를 형성시킨 가압판으로 구성되어,
악취의 비산과 오수의 누출을 적극적으로 방지하여 실내와 주거환경을 청결히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 쓰레기 봉투의 낭비없이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압박에 의한 파열이 방지되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와 관련된 소모품등을 수납보관 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의 사용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쓰레기 통{DUST BOX}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취비산과 오수누출을 방지하여 실내 또는 주거환경을 위생적으로 청결히 유지시키고, 수용된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시켜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용이하게 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 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의 일반적인 쓰레기통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복개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덮개의 중앙에는 자중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음은 주지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쓰레기통은 악취가 실내로 확산되어 실내 또는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바, 이는 쓰레기통의 내부를 밀폐시키지 못한다는 구조적 문제점에 기인하며, 따라서 악취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쓰레기통을 자주 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유발된다.
그런데, 쓰레기통을 자주 비워줄 경우에는 쓰레기 봉투도 같이 버려야 하므로 경제적 지출이 증가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유발된다.
즉, 근래에는 쓰레기 종량제의 제도적 실시에 따라 해당지역에서 판매하는 고가의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버려야 하는데, 이러한 고가의 쓰레기 봉투를 악취방지를 위해 자주버림으로써 경제적 지출이 증가 한다는 문제점이 그 것이며, 경제적 지출을 즐이기 위해 악취에도 불구하고 쓰레기 봉투를 채워서 버리는 경우에도 경제적 손실요인은 상존하게 된다.
이는, 쓰레기통 내부에 투입한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압축시키지 못함에 따라 자주 쓰레기 봉투를 교환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이 가중되는 것 이며, 사용자가 쓰레기를 압축시킬 경우에는 쓰레기 봉투 자체가 쉽게 파열 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으로 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쓰레기 봉투의 바닥에 있던 오수의 누출우려가 높아 악취는 물론 실내위생을 저해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지적되며, 이러한 악취와 오수는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서식할수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므로 가정과 요식업소, 사무실등 쓰레기가 발생되는 모든곳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유지시키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악취와 오수누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실내 또는 주거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 시키고, 수용되는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 시킬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거환경의 개선과 경제적 손실방지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된 쓰레기 봉투의 파열방지 및 용이한 인출을 도모하여 사용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쓰레기통은, 쓰레기 봉투의 용이한 인출이 가능 하도록 전면의 도어가 선택적으로 회동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복개 설치되어 악취비산을 방지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쓰레기 봉투를 수납 보관하는 뚜껑과, 상기 덮개의 하부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통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수받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안착 설치되어 쓰레기 봉투를 권취고정하는 봉투 고정링과,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쓰레기를 가압 압축시키는 가압판 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 의 부분절결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 의 조립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쓰레기통 의 작용설명을 위한 평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쓰레기통 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3 : 뚜껑 4 : 탈취통
5 : 오수받이 6 : 봉투 고정링
7 : 가압판 12 : 수용부
14 : 힌지축 15,15`: 결합부
17 : 잠금대 19 : 오수배출공
21,22 : 삽입부 23 : 패킹
24 : 착탈안내홈 31 : 착탈돌기
32 : 수납부 52 : 답판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D)의 분해사시도로서, 전면에 설치된 도어(11)가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면에 복개 설치되는 덮개(2)와, 상기 덮개(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과, 상기 덮개(2)의 하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탈취통(4)과, 상기 본체(1)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수받이(5)와, 상기 본체(1)의 내부 상면에서 쓰레기 봉투를 권취 고정하는 봉투 고정링(6)과, 상기 본체(1) 내부의 쓰레기를 가압 하도록 손잡이(71)를 형성시킨 가압판(7)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평면상 양분된 도어(11)와 함께 내부에 수용부(12)가 형성 되도록 구성되고, 본체(1)와 도어(11)의 일측 접촉면 에는 고정부(13,13')가 대응형성되어 힌지축(14)으로 결합되며, 타측 접촉면 에는 외향돌출 절곡된 결합부 (15,15')가 대향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5,15')의 외면에는 상단에 손잡이부(16)를 형성시킨 잠금대(17)가 미끄럼이동에 의해 포삽설치되며, 본체(1)의 바닥면(18)은 그 중앙이 최정점이 되도록 경사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중앙에 다수의 오수 배출공(19)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와 도어(11)의 내측 상부에는 걸림턱(1a,1a')이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를 권취고정 하는 봉투 고정링(6)이 걸림고정 된다.
상기 덮개(2)는 하면 내,외측으로 삽입부(21,22)가 적정길이로 하향연장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패킹(23)이 설치되어 본체(1)와 도어(11)의 상단이 삽입되어 악취의 비산을 방지 하도록 구성되며, 상면에는 평면상 등각 분할된 복수개소에 착탈 안내홈(24)이 "ㄴ" 형으로 절개 형성된다.
상기 뚜껑(3)은 그 하부내면에 착탈 안내홈(24)에 대응결합하는 복수개의 착탈돌기(31)가 형성되어 덮개(2)와 의 결합에 의해 그 내부에 쓰레기 봉투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32)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부(3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탈취통(4)은 그 상단에 나사부(41)가 형성되어 덮개(2)의 하면중앙에 형성된 나사부(25)에 결합 설치되고, 그 하면에는 탈취제 또는 방향제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통공(42)이형성된다.
상기 오수받이(5)는 상면 복수개소에 착탈 안내홈(51)이 형성되어 본체(1) 하부내면의 착탈돌기(1b)가 결합설치되며, 외면 양측에는 지면과 접촉하는 답판(5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봉투 고정링(6)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 바람직 하기는 탄성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의 상단이 권취고정된 상태에서 본체(1) 상단의 걸림턱(1a,11a)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는 본발명 쓰레기통(D)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 쓰레기 봉투의 도시는 생략 하였다.
본 발명 쓰레기통(D)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봉투 고정링(6)에 권취시킨 상태에서 본체(1)와 도어(11)의 걸림턱(1a,11a)에 봉투 고정링(6)을 안착고정 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2)의 삽입부(21,22)로 본체(1)와 도어(11)를 삽입시켜 패킹(23)이 압박되도록 덮개(2)를 조립시키게 된다.
이때, 덮개(2)의 하면에는 탈취제나 방향제를 투입한 탈취통(4)을 조립한 상태이며, 덮개(2)를 조립완료한 상태에서 남아있는 여분의 쓰레기 봉투 또는 탈취제등은 덮개(2)와 뚜껑(3) 사이의 수납부(32)에 수납 보관하게 된다.
이를위해 뚜껑(3)을 덮개(2)로 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뚜껑(3)의 손잡이부(33)를 잡고 도면상 반시계방향 으로 돌려주게 되는데, 이때 뚜껑(3)의 착탈돌기(31)는 덮개(2)의 착탈 안내홈(24)을 따라 그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3)을 들어 올리게 되면 착탈돌기(31)들이 착탈 안내홈(24)으로 부터 이탈되어 덮개(2)로 부터 뚜껑(3)이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쓰레기 봉투와 탈취제등을 수납부(32)에 보관하게 되며, 이후 상기의 역순에 의해 뚜껑(3)을 덮개(2)에 조립하게 된다.
한편, 본체(1)의 하면에는 오수받이(5)가 결합설치 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사용의 편의를 위해 본체(1)내에 설치한 쓰레기 봉투의 하면에는 미세한 구멍을 뚫어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양호히 배출되게 함이 바람직 하다.
이러한 조립상태 에서 사용자는 뚜껑(3)의 손잡이부(33)를 들어올려 덮개(2)를 본체(1)로 부터 분리시켜 쓰레기를 수용부(12)내로 투입하게 되는데, 도시하지 않았으나 덮개(2)와 본체(1)에 힌지결합부를 대응형성시켜 덮개(2)를 회동개폐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경우 공수와 소요부품,자재는 증가 하지만 더욱 큰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12)내에 쓰레기가 투입된 상태 에서는 악취와 오수가 발생되는데, 우선 악취는 덮개(2)의 하면에 조립된 탈취통(4) 내부의 탈취제 또는 방향제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제거되지 않은 악취는 수용부(12) 내부에 남아있게 되며, 실내로의 악취비산은 덮개(2)의 삽입부(21,22)와 본체(1)및 도어(11)의 요철형 결합,또한 패킹(23)에 의해 적극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오수는 쓰레기 봉투로 부터 누출되어 본체(1) 하면의 바닥면(18)에 낙하 하게 되는데, 상기 바닥면(18)은 중앙으로 함몰되어 있으므로 오수는 바닥면(18) 중앙으로 집중되며, 집중된 오수는 오수 배출공(19)을 통해 오수받이(5) 내부로 수거된다.
한편, 쓰레기의 투입이 반복 진행되면 쓰레기의 체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가압판(7) 으로 쓰레기를 가압 압축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본체(1)와 도어(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2)를 평면상 4등분한 형태의가압판(7)을 사용하여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 시키게 된다.
상기한 가압판(7)의 형태는, 수용부(12)와 동일한 면적의 판체로 쓰레기를 가압할 경우 압력의 분산으로 인해 쓰레기의 효과적인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결과 4등분한 형태로 가압판(7)을 구성할때 가장 우수한 압축효과를 나타냄이 입증 되었다.
도 3 은 본 발명 쓰레기 통(D)의 작용설명을 위한 평단면도 로서, 상기한 압축의 진행시에 가압력은 본체(1)와 도어(11)에 부하 되는데, 이때에도 본체(1)와 도어(11)는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체(1)와 도어(11)는 그 일측의 고정부(13,13')에 힌지축(14)이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된 상태이고, 그 타측은 결합부(15,15')의 외면에 잠금대(17)가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 이므로 내압에 의한 도어(11)의 임의개방 우려는 근본적으로 해소된다.
또한, 쓰레기의 가압시에 쓰레기 봉투의 상단은 권취된 상태로서 봉투 고정링(6)에 의해 본체(1)와 도어(11)의 걸림턱(1a,11a)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 쓰레기 봉투의 하향이동에 의한 사용의 불편요인은 원인적으로 해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시킨 상태로 악취 및 오수누출 우려없이 사용하게 되며, 쓰레기 봉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 에서는 뚜껑(3)을 포함하는 덮개(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봉투 고정링(6)을 제거하고 쓰레기 봉투 상단의 묶음부위를 결박 시킨후 본체(1)의 수용부(12)로 부터 쓰레기 봉투를 인출하게 된다.
이를위해 사용자가 오수받이(5)에 돌출형성된 답판(52)을 한쪽 또는 양쪽발로 밟고 손으로 잠금대(17)의 손잡이부(16)를 들어 올리게 되면, 잠금대(17)는 본체(1)와 도어(11)의 결합부(15,15')를 따라 미끄럼이동 한후 분리되어 도어(11)에대한 구속을 해지하게 되므로, 도어(11)는 힌지축(14)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도 4 에서와 같이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극히 용이하게 충전된 쓰레기 봉투를 인출시킬 수 있게된다.
계속해서, 쓰레기 봉투의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오수받이(5)의 답판(52)을 밟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본체(1)와 도어(11)를 잡고 도면상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시켜 그 하면의 착탈돌기(1b)가 오수받이(5)의 착탈 안내홈(51)으로 부터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오수받이(5)에 수거된 오수를 제거할 수 있게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와 오수받이(5), 덮개(2)와 뚜껑(3) 사이에 대응형성 되는 착탈 안내홈(51,24)과 착탈돌기(1b,31)등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설계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본체(1)와 도어(11)의 접촉부위 에는 악취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적 구성이 강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 쓰레기통(D)은 쓰레기 봉투의 규격에 맞추어 다양한 용적을 갖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므로 가정,요식업소, 사무실 등에서 필요한 크기를 선택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 쓰레기통은 악취의 비산과 오수의 누출을 적극적으로 방지하여 실내와 주거환경을 청결히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 쓰레기 봉투의 낭비없이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압박에 의한 파열이 방지되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와 관련된 소모품등을 수납보관 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의 사용편의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신뢰도 및 선호도를 대폭향상 시킬 수 있는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평면상 양분된 도어가 전면을 선택적으로 회동개폐 시키도록 힌지고정 설치되고, 바닥판은 그 중앙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상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킨 본체와;
    상기 본체와 도어의 상단이 삽입복개 되도록 하면 내외측 둘레에 삽입부가 연장형성되고, 삽입부의 내부에 악취비산 방지용 패킹을 삽입고정 설치한 덮개와;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안착고정되어 쓰레기 봉투를 권취고정시키는 봉투고정링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가압압축시키는 가압판으로 이루어 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에 손잡이부를 보유한 뚜껑을 착탈돌기 및 착탈안내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답판을 보유한 오수받이를 착탈돌기 및 착탈안내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판 중앙에는 다수의 오수배출공을 형성시켜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면 중앙에 탈취, 방향제가 수용되는 탈취통을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 설치하여 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쓰레기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도어의 접촉면에 외향돌출 절곡된 결합부를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손잡이부를 보유한 잠금대가 상기 결합부 외면에 포삽설치되어 미끄럼 이동에 의해 도어를 잠금/해지 시키게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19990021665A 1999-06-11 1999-06-11 쓰레기 통 KR2001000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65A KR20010002070A (ko) 1999-06-11 1999-06-11 쓰레기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65A KR20010002070A (ko) 1999-06-11 1999-06-11 쓰레기 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70A true KR20010002070A (ko) 2001-01-05

Family

ID=1959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65A KR20010002070A (ko) 1999-06-11 1999-06-11 쓰레기 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07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6Y1 (ko) * 2008-12-18 2011-02-16 김경중 쓰레기봉투 내장형 쓰레기통
KR101265987B1 (ko) * 2011-03-09 2013-06-03 주식회사 그린코리아 다기능성 보관함
CN104085633A (zh) * 2014-06-30 2014-10-0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固液分离式垃圾桶
CN106219106A (zh) * 2015-01-06 2016-12-14 苏州多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太阳能除异味垃圾桶
CN107140352A (zh) * 2017-06-27 2017-09-08 耿芳 一种消除脏水的城市环卫垃圾桶
CN107235267A (zh) * 2017-06-27 2017-10-10 耿芳 一种消除脏水的垃圾桶
KR200489107Y1 (ko) * 2018-10-05 2019-05-02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0489686Y1 (ko) * 2019-01-14 2019-07-23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CN112978271A (zh) * 2021-04-23 2021-06-18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拆机构的医疗辅材输送回收装置
CN113501229A (zh) * 2021-07-09 2021-10-15 浙江工业大学 一种新型的破袋厨余垃圾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102U (ko) * 1987-07-27 1989-02-02
KR970009616U (ko) * 1996-12-30 1997-03-27 장동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102U (ko) * 1987-07-27 1989-02-02
KR970009616U (ko) * 1996-12-30 1997-03-27 장동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6Y1 (ko) * 2008-12-18 2011-02-16 김경중 쓰레기봉투 내장형 쓰레기통
KR101265987B1 (ko) * 2011-03-09 2013-06-03 주식회사 그린코리아 다기능성 보관함
CN104085633A (zh) * 2014-06-30 2014-10-0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固液分离式垃圾桶
CN106219106A (zh) * 2015-01-06 2016-12-14 苏州多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太阳能除异味垃圾桶
CN106429103A (zh) * 2015-01-06 2017-02-22 苏州多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太阳能除异味垃圾桶的制造方法
CN107140352A (zh) * 2017-06-27 2017-09-08 耿芳 一种消除脏水的城市环卫垃圾桶
CN107235267A (zh) * 2017-06-27 2017-10-10 耿芳 一种消除脏水的垃圾桶
KR200489107Y1 (ko) * 2018-10-05 2019-05-02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0489686Y1 (ko) * 2019-01-14 2019-07-23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CN112978271A (zh) * 2021-04-23 2021-06-18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拆机构的医疗辅材输送回收装置
CN113501229A (zh) * 2021-07-09 2021-10-15 浙江工业大学 一种新型的破袋厨余垃圾桶
CN113501229B (zh) * 2021-07-09 2024-04-12 浙江工业大学 一种新型的破袋厨余垃圾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200195487Y1 (ko) 쓰레기 통
KR100637878B1 (ko) 바닥 개폐식 용기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100008855A (ko) 휴지통의 휴지 압착장치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252419Y1 (ko) 누름판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160014303A (ko) 압축용 누름판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0434958Y1 (ko) 바닥 개방형 쓰레기통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KR20000018659U (ko)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KR100297125B1 (ko)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압축 가능한 쓰레기통
KR200333690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압축식 쓰레기통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US7089853B1 (en) Portable trash compactor
KR200299191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쓰레기통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KR20110002191A (ko) 기능성 쓰레기통
CA3094196A1 (en) Waste container with bag handling assembly
JP3216676U (ja) 圧縮機能付きごみ箱
KR200434952Y1 (ko) 압축식 쓰레기통
KR20230136246A (ko) 덮개형 휴지통 누름 뚜껑
KR200362970Y1 (ko) 오물수거통
KR200267115Y1 (ko) 휴지통의 보조뚜껑 축 구조
JP3061601U (ja) ゴ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