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81A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81A
KR20170020181A KR1020150115059A KR20150115059A KR20170020181A KR 20170020181 A KR20170020181 A KR 20170020181A KR 1020150115059 A KR1020150115059 A KR 1020150115059A KR 20150115059 A KR20150115059 A KR 20150115059A KR 20170020181 A KR20170020181 A KR 20170020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garbage
main body
bag
garb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102015011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181A/ko
Publication of KR2017002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종량제 쓰레기봉투)를 내재시켜 쓰레기를 압축시켜 수납하는 경우에도 쓰레기통 본체의 상측이 분리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를 편리하면서도 파손되는 일 없이 인출해낼 수 있도록 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통은 쓰레기봉투가 내재되는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 측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접면되도록 가세(加勢)되고, 그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은 본체홀더에 의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받침통체에 제공되는 본체홀더개방페달을 밟으면 상기 본체홀더가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를 인출하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가 열리게 되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편리하면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인출해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봉투가 내재되는 본체에 대해 분할구조를 적용하고 그 분할구조의 본체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쓰레기봉투의 인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춘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쓰레기를 담아두기 위해 사용되는 쓰레기통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와 특정의 기능이 부여되는 형태로 개량이 진행되는 상황으로, 그 예에 따르면 수동식으로 개폐시키는 뚜껑에 대해서는 발로 조작하는 페달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뚜껑을 개방시켜 쓰레기를 투입하도록 자동식 뚜껑개폐구조가 적용된 쓰레기통이 대표적이다.
또다른 예로는 종종 비닐재질의 쓰레기통부를 그 쓰레기통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물기가 포함된 오물이나 쓰레기가 투입되는 경우를 대비한 구조를 갖춘 쓰레기통도 제안된 바 있다.
즉,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3459호(공개일자 : 2000년11월06일)에 개시된 '내벽에 쓰레기 봉투걸이가 형성된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본체 상부의 내벽에 다수개의 'ㄴ'-자형 내부고리를 쓰레기통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ㄴ'-자형 내부고리의 고리홈에 단면형상이 각형이나 원통형인 원형 금속링을 쓰레기봉투 상단을 감은 채로 상기 홈에 삽탈할 수 있게 쓰레기봉투걸이부를 형성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내벽에 쓰레기 봉투걸이가 형성된 쓰레기통에서는 본체 내부에 스레기봉투가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물기를 포함하는 쓰레기나 오물에 대한 대비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을 비우는 경우에도 쓰레기봉투만을 빼내면 되기 때문에 유용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쓰레기의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그 처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이 늘어나면 처리비도 그만큼 많이 부담하는 제도로서 쓰레기종량제가 도입된 상태이고, 그 제도에 따라 쓰레기처리비가 부과된 비닐재질의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도 시판되어 재활용으로 분리되지 않는 일반생활폐기 쓰레기를 담아서 배출하기 위해 그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를 구입해서 사용해야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체 내부에 쓰레기종량제봉투를 직접 수납하여 일정한 양만큼 쓰레기가 투입되면 그대로 상부를 매듭지어 배출하도록 된 쓰레기통의 구성도 제안되고 있다.
즉, 실용신안등록 제 20-0470657호(등록일자 : 2013. 12. 26)에는 내부가 빈 종량제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에 용이하게 거치시키고 그 종량제봉투내에 쓰레기가 완충전된 경우 쓰레기통 본체 내의 구조들을 적절하게 분리하여 쓰레기가 완충전된 종량제봉투를 쉽게 인출해낼 수 있는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종량제봉투를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 및,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비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와 함께 상기 종량제봉투를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종량제봉투의 개구를 벌리는 봉투 지지용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종량제봉투의 외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case body); 및,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바디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상기 종량
제봉투의 묶음날개가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케이스 네크(case neck)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봉투 지지용 깔때기는 상기 종량제봉투의 묶음날개를 사이에 두고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네크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깔때기 몸체; 및, 상기 깔때기 몸체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네크의 상단부에 걸쳐 지지되는 깔때기 지지돌기를 포함하게 되고, 힌지에 의해 상기 쓰레기통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깔때기 지지돌기에는 상기 깔때기 지지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 네크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 네크를 덮는 네크 절곡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의 바닥 영역에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종량제봉투를 지지하는 봉투 지지용 업/다운 부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측벽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페달 부재; 및, 상기 봉투 지지용 업/다운 부재와 상기 페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페달 부재를 밟을 때 상기 봉투 지지용 업/다운 부재가 업(up) 동작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3459호와 실용신안등록 제 20-0470657호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내부에 쓰레기봉투 또는 종량제쓰레기봉투를 편리하게 내재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대개는 쓰레기봉투(또는 종량제쓰레기봉투)에는 쓰레기를 더 많은 양이 담겨지도록 압축시키는 반면 쓰레기통 본체는 고정된 체적을 유지하기 때문에 정량 이상으로 쓰레기가 압축 수용된 쓰레기봉투를 인출해내기에는 불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쓰레기봉투가 파손되어 쓰레기가 흩어져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종량제 쓰레기봉투)를 내재시켜 쓰레기를 압축시켜 수납하는 경우에도 쓰레기통 본체의 상측이 분리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를 편리하면서도 파손되는 일 없이 인출해낼 수 있도록 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통본체 내부에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를 배치하고 상부에는 뚜껑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담아두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본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쓰레기봉투의 인출 시에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상부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되는 제 1 및 제 2본체와,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후단이 선회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받침통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시 상호 접면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탄성부재, 상기 받침통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인출하기 위해 조작되는 본체홀더개방페달,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의 후단에서 연설되는 홀더개폐작동간에 후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의 조작 시에만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본체홀더를 구비한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 내면은 소정 형상으로 제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 내면이 제거된 부분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받침통체의 양 측면에는 본체커버형상부가 상향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 양측을 탄성력으로 가세하는 탄성밴드와 탄성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의하면, 쓰레기봉투가 내재되는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가 복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가세(가세)되고 그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이 본체홀더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지지되는 상태에서 본체홀더개방페달을 밟으면 상기 본체홀더가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를 인출하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가 열리게 되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편리하면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인출해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싯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내부에 쓰레기봉투가 내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과 도 9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싯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10)은 내부에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사용히는 경우를 상정하여 구성되는 바, 하단에는 해당하는 쓰레기통의 형상, 예컨대 원형이나 다각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받침통체(12)가 구비되고, 그 받침통체(12) 상에는 소정 형상(예컨대, 해당하는 쓰레기통(10)의 형상을 결정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쓰레기통 본체(14)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통체(12)는 쓰레기봉투에 젖은 오물이나 쓰레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그 쓰레기봉투로부터 물기가 배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쓰레기통 본체(14)는 그 내부의 쓰레기봉투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 1 및 제 2본체(14a,14b)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그 제 1 및 제 2본체(14a,14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는 상기 받침통체(12)에 수평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 중 어느 하나(또는 양자)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받침통체(1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회동핀결합공(16)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통체(12)에도 회동핀이 경유하여 상기 회동핀결합공(16)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회동핀안내공(도시는 생략)이 주지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는 그 상측 소정위치에서 제 1 및 제 2탄성부재(20)에 의해 상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받게 되는 바, 그 제 1 및 제 2탄성부재(20)는 예컨대 고무재질의 탄력밴드라든지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탄성부재(20)가 상호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 또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20)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에서 쓰레기봉투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선회되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의 하단 내면(22)은 상호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 또는 일정한 부분만큼 제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 14b)의 하단 내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커버링하기 위해 상기 받침통체(12)의 측면에는 본체커버형상부(24)가 상향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그 형상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의 상단에는 그 제 1 및 제 2본체(14a,14b)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형상(예컨대,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본체홀더(20)가 제공되고, 그 본체홀더(20) 상에는 쓰레기봉투 내에 쓰레기를 투입하는 경우에 수동식으로 개방가능한 뚜껑(22)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홀더(30)는 쓰레기봉투에 담겨지는 쓰레기의 양이 증가되어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에 작용하더라도 그 제 1 및 제 2본체(14a,14b)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본체홀더(30)는 쓰레기봉투를 인출하기 위해 분리되지 않는 한 쓰레기봉투에 투입된 쓰레기의 양이 증가되어도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가 상호 개방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홀더(30)를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은 수동으로 행해지도록 해도 되지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받침통체(12)의 저면에는 예컨대 발로 조작가능한 본체홀더개방페달(32)이 제공되고, 그 본체홀더개방페달(32)의 종단과 상기 본체홀더(20)와의 사이에는 홀더개폐작동간(34)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 상기 본체홀더(30)의 일단은 상기 제 2본체(14b)의 상단에 선회힌지(36)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되면서, 그 본체홀더(30)로부터 연설되는 작동간연결부(32a)에는 상기 홀더개폐작동간(34)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본체홀더(30)상에는 쓰레기의 투입을 위해 수동식으로 개폐되는 뚜껑(38)이 제공되고, 그 뚜겅(38)의 일단은 상기 본체홀더(30)의 일측에 개폐지지힌지(38a)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쓰레기봉투(도 3에서 40)를 내재시키고 상기 쓰레기봉투(40)의 상단은 상기 본체홀더(2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쓰레기봉투(40)에 쓰레기를 투입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지지힌지(38a)에 의해 상기 본체홀더(30)상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기 뚜껑(38)을 열고 쓰레기를 투입하면 된다.
그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는 그 상단이 상기 본체홀더(30)에 의해 상호 개방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쓰레기봉투(40)내에 쓰레기를 압착시켜 수납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는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봉투(40)내에 어느 정도 쓰레기가 수납되어 취출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을 발로 밟으면 그 종단이 상승되면서 상기 홀더개폐작동간(34)이 상기 본체홀더(30)의 상기 작동간연결부(32a)을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본체홀더(30)가 상기 선회힌지(36)의 지원 하에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되고, 그 경우 상기 본체홀더(30)상에 배치된 상기 뚜껑(38)도 일체로 들어올려지게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상부가 매듭지은 상기 쓰레기봉투(4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가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열리게 된다(도 5 참조).
상기 쓰레기봉투(4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는 다시 닫히게 되며,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을 놓게 되면 상기 본체홀더(30)는 자중에 의해 다시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 14b)의 상단을 잠그도록 복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제 1실시예에서는 쓰레기봉투(40)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뚜껑(38)이 수동식으로 개방되는 구조가 적용되지만,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38)에 대해서도 풋페달(Foot Pedal)방식을 적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본 제 2실시예에 대한 도면에서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통체(12)에는 상기 본체홀더(30)의 개방을 위한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에 인접하여 상기 뚜겅(38)을 개방하기 위한 뚜껑개방페달(50)이 제공된다.
상기 뚜껑개방페달(50)의 종단에는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과 상기 홀더개폐작동간(34) 및 상기 본체홀더(30) 사이의 연결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뚜껑개폐작동간(52)을 매개하여 상기 뚜껑(38)의 일단에서 연설된 작동간연결부(54)가 연계된다.
본 제 2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뚜껑(38)은 상기 본체홀더(30)의 일측에 상기 개폐지지힌지(38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홀더(30)의 개방시에는 그 본체홀더(30)와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쓰레기봉투(40)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뚜껑개방페달(50)을 발로 밟으면 그 상기 뚜껑개방페달(50)의 종단이 상승되고, 그에 따라 상기 뚜껑개폐작동간(52)도 상승되면서 상기 뚜껑(38)을 들어올려 줌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40)에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게 되고(도 8 참조), 상기 뚜껑개방페달(50)을 놓으면 상기 본체홀더(30) 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봉투(40)를 인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을 발로 밟으면 그 종단이 상승되면서 상기 홀더개폐작동간(34)이 상기 본체홀더(30)의 상기 작동간연결부(32a)을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본체홀더(30)가 상기 선회힌지(36)의 지원 하에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되고, 그 경우 상기 본체홀더(30)상에 배치된 상기 뚜껑(38)도 일체로 들어올려지게 된다(도 9 참조)
따라서, 상부가 매듭지은 상기 쓰레기봉투(4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가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열리게 된다.
상기 쓰레기봉투(4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14b)는 다시 닫히게 되며,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32)을 놓게 되면 상기 본체홀더(30)는 자중에 의해 다시 상기 제 1 및 제 2본체(14a, 14b)의 상단을 잠그도록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10: 쓰레기통, 12: 받침통체,
14a,14b: 제 1, 제 2본체, 20: 제 1, 제 2탄성부재,
30: 본체홀더, 32: 본체홀더개방페달,
34: 홀더개폐작동간, 38: 뚜껑,
40: 쓰레기봉투, 50: 뚜껑개방페달,
52: 뚜껑개폐작동간.

Claims (3)

  1. 쓰레기통본체 내부에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를 배치하고 상부에는 뚜껑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담아두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본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쓰레기봉투의 인출 시에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상부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되는 제 1 및 제 2본체와,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후단이 선회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받침통체,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시 상호 접면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탄성부재,
    상기 받침통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인출하기 위해 조작되는 본체홀더개방페달,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의 후단에서 연설되는 홀더개폐작동간에 후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홀더개방페달의 조작 시에만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본체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 내면은 소정 형상으로 제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하단 내면이 제거된 부분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받침통체의 양 측면에는 본체커버형상부가 상향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본체의 상부 양측을 탄성력으로 가세하는 탄성밴드와 탄성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150115059A 2015-08-14 2015-08-14 쓰레기통 KR20170020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59A KR20170020181A (ko) 2015-08-14 2015-08-14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59A KR20170020181A (ko) 2015-08-14 2015-08-14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81A true KR20170020181A (ko) 2017-02-22

Family

ID=583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59A KR20170020181A (ko) 2015-08-14 2015-08-14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19A (ko) * 2017-12-21 2019-07-01 남영석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19A (ko) * 2017-12-21 2019-07-01 남영석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673B1 (en) Dual bin waste receptacle
US20160137411A1 (en) Trash can with bag dispenser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KR20110055933A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휴지통
KR200476988Y1 (ko) 압축 쓰레기통
US20050092753A1 (en) Trash bag dispenser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KR200470657Y1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101810887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KR200460648Y1 (ko)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110025280A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CN210883671U (zh) 一种隔绝异味的塑料垃圾桶
CN211253894U (zh) 家用分类垃圾桶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190068835A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200443070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구비된 쓰레기통
GB2444024A (en) A refuse bin
KR200465280Y1 (ko) 쓰레기 압축기
KR20030032710A (ko) 쓰레기 봉투 거치함
KR20026259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150002613U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JP3061601U (ja) ゴ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