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987Y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987Y1
KR200449987Y1 KR2020100006511U KR20100006511U KR200449987Y1 KR 200449987 Y1 KR200449987 Y1 KR 200449987Y1 KR 2020100006511 U KR2020100006511 U KR 2020100006511U KR 20100006511 U KR20100006511 U KR 20100006511U KR 200449987 Y1 KR200449987 Y1 KR 200449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storage container
trash
p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이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영 filed Critical 이동영
Priority to KR2020100006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 및 비닐봉지가 수납되며 상부로 상기 비닐봉지가 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비닐봉지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비닐봉지를 고정하도록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용기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가 수용되는 비닐봉지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빼낼 때 비닐봉지 인출부에서 비닐봉지가 인출됨으로써 비닐봉지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위생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쓰레기통{GARBAGE BOX}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봉지의 교체가 용이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을 사용시에 악취 등의 위생문제로 인하여 쓰레기통 내부에 비닐봉지를 삽입하고, 비닐봉지 내에 쓰레기를 넣고 있다.
이와 같은, 비닐봉지는 통상 종량제의 시행과 함께 규격화된 제품이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쓰레기통은 매번 비닐봉지를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여 사용함에 따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봉지를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쓰레기통과 사용자 사이에 지나치게 많은 접촉이 발생하여 보건 위생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비닐봉지에 넣기 위하여 비닐봉지 내부에 들어있는 쓰레기를 사용자의 손 또는 발로 압축하는 경우,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비닐봉지가 파손될 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기 수용되는 비닐봉지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빼낼 때 비닐봉지가 인출되게 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닐봉지내의 쓰레기를 용이하게 압축시킬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 및 비닐봉지가 수납되며 상부로 상기 비닐봉지가 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비닐봉지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비닐봉지를 고정하도록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용기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비닐봉지는 컷팅라인이 형성된 연결테입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지는 롤 형태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닐봉지에는 분리가능한 컷팅라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비닐봉지를 커팅하는 절단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절단부재에 의해 커팅된 비닐봉지의 하단은 묶어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지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도록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누름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누름판은 덮개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에 따르면, 쓰레기가 수용되는 비닐봉지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빼낼 때 비닐봉지 인출부에서 비닐봉지가 인출됨으로써 비닐봉지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위생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반씩 접힌 비닐봉지를 서로 겹쳐놓은 상태로 인출하거나 롤 형태로 권취된 비닐봉지를 인출하여 사용함에 따라 비닐봉지의 교체에 따른 시간이 절약되고 편리성, 위생성이 향상된다.
또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누름판에 의해 쓰레기를 압축시킴으로써 비닐봉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기와 비닐봉지 인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기와 비닐봉지 인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인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비닐봉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A)은,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용기(100) 및 상기 수납용기(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비닐봉지 인출부(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부에는 덮개(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덮개(300)는 수납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덮개(300)는 수납용기(100)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지 인출부(2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비닐봉지(400) 수납되며, 상기 비닐봉지(400)는 상기 비닐봉지 인출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10)를 통해 차례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비닐봉지(400)는 수납용기(100)의 내면을 덮어씌워 쓰레기를 수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용기(100)와 비닐봉지 인출부(200)는 도 3의 (a)와 같이 착탈식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3의 (b)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와 비닐봉지 인출부(200)의 착탈식 구조는 나사결합, 외부 결합구에 의한 고정 및 억지 끼움 등과 같은 일반적인 기구결합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0) 내에 상기 비닐봉지(400)에 수용되는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주도록 압축시키는 누름판(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누름판(500)에는 복수개의 타공(5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누름판(500)의 자중에 의해 쓰레기를 압축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판(500)의 자중에 의해 쓰레기를 점진적으로 압축함으로써 비닐봉지(400)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한다. 이때, 비닐봉지(400)의 내부 공기는 타공(501)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비닐봉지(400)의 부풀어오름을 방지하고 쓰레기가 잘 압축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500)은 덮개(3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을 하지 않을때에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누름판(500)과 덮개(300)의 착탈식 구조 또한 일반적인 기구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에는 그 상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용기(100)와 고정부재(600) 사이에 비닐봉지의 상부가 끼워지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마찰력을 가지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부재(600)의 하향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0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비닐봉지 인출부(200)의 측면 또는 하면에는 개폐되는 도어(201)가 구비되어 비닐봉지(400)를 추가공급할 수 있다.
이하, 비닐봉지(400)의 수납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400)는 반씩 접어 서로 겹쳐놓은 상태로 비닐봉지 인출부(200)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닐봉지(400)를 개구부(210)를 통해 인출하면 다음 비닐봉지에도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비닐봉지(400)를 인출할 때마다 다음 비닐봉지(400)의 상단 일부가 개구부(210)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비닐봉지(400)의 인출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비닐봉지(400)는 컷팅라인(411)이 형성된 연결테입(4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컷팅라인(411)은 작은 인장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복수개의 비닐봉지(400)의 하단은 밀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40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roll) 형태로 권취된다.
또한, 롤 형태로 권취된 비닐봉지(400')에는 각각의 단위 비닐봉지(400')들 사이에 분리가능하도록 컷팅라인(4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쓰레기가 가득찬 비닐봉지(400')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빼내면, 자동으로 다음의 비닐봉지(400')의 선단이 쓰레기통의 입구까지 인출되게 되며, 이때 상기 컷팅랑인(410')을 이용해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40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roll)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개구부(210)에는 비닐봉지(400")를 커팅하는 절단부재(21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롤 형태로 권취된 비닐봉지(400")를 원하는 길이 만큼 인출한 후에 절단부재(211)로 커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커팅된 비닐봉지(400")의 하단은 묶어서 밀봉하게 된다.
즉, 상기 비닐봉지(400")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후에 커팅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쓰레기의 양에 따라 비닐봉지(4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원형 쓰레기통으로 설명하였지만 쓰레기통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A - 쓰레기통 100 - 수납용기
200 - 비닐봉지 인출부 300 - 덮개
400 - 비닐봉지 500 - 누름판

Claims (7)

  1.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 및
    비닐봉지가 수납되며 상부로 상기 비닐봉지가 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비닐봉지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비닐봉지를 고정하도록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용기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비닐봉지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도록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누름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은 덮개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비닐봉지는 컷팅라인이 형성된 연결테입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는 롤 형태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에는 분리가능한 컷팅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비닐봉지를 커팅하는 절단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절단부재에 의해 커팅된 비닐봉지의 하단은 묶어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6. 삭제
  7. 삭제
KR2020100006511U 2009-09-23 2010-06-21 쓰레기통 KR200449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11U KR200449987Y1 (ko) 2009-09-23 2010-06-21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35 2009-09-23
KR2020100006511U KR200449987Y1 (ko) 2009-09-23 2010-06-21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987Y1 true KR200449987Y1 (ko) 2010-09-01

Family

ID=4447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11U KR200449987Y1 (ko) 2009-09-23 2010-06-21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9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714B1 (ko) 2012-01-02 2012-09-07 배정용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68598Y1 (ko) * 2011-01-18 2013-08-23 김기홍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WO2019066322A1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8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7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58A (ko) * 2000-04-10 2001-10-19 김병만 쓰레기통
KR20050098558A (ko) * 2004-04-07 2005-10-12 공병원 비닐 밀봉절단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KR100740137B1 (ko) * 2006-02-23 2007-07-16 주식회사 새시대산업 쓰레기 봉투 고정 거치식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58A (ko) * 2000-04-10 2001-10-19 김병만 쓰레기통
KR20050098558A (ko) * 2004-04-07 2005-10-12 공병원 비닐 밀봉절단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KR100740137B1 (ko) * 2006-02-23 2007-07-16 주식회사 새시대산업 쓰레기 봉투 고정 거치식 쓰레기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98Y1 (ko) * 2011-01-18 2013-08-23 김기홍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101180714B1 (ko) 2012-01-02 2012-09-07 배정용 쓰레기 처리 장치
WO2019066322A1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8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7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102049921B1 (ko) 2017-09-27 2019-11-28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KR102049920B1 (ko) 2017-09-27 2019-11-28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US20080083757A1 (en) Liner replacement trash can
US20060212015A1 (en) Feminine product disposal container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KR101688466B1 (ko) 쓰레기통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CN205589827U (zh) 一种可压缩的分离式垃圾桶
KR20110055933A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휴지통
CN108974704A (zh) 垃圾袋组件及智能垃圾桶
CN208531321U (zh) 垃圾袋组件及智能垃圾桶
KR101210942B1 (ko)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물티슈케이스용 덮개
KR101790244B1 (ko) 캡형 물티슈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20110025280A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52636Y1 (ko) 조립식 쓰레기통
KR200443070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구비된 쓰레기통
CN105730922B (zh) 一种设置有垃圾袋收纳盒的垃圾桶
KR200212887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KR101098663B1 (ko) 쓰레기 압축 장치
CN2375599Y (zh) 具有循环垃圾袋的垃圾箱
KR20150002613U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CN218318709U (zh) 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