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144A -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144A
KR20180032144A KR1020160121016A KR20160121016A KR20180032144A KR 20180032144 A KR20180032144 A KR 20180032144A KR 1020160121016 A KR1020160121016 A KR 1020160121016A KR 20160121016 A KR20160121016 A KR 20160121016A KR 20180032144 A KR20180032144 A KR 2018003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end wall
bag
garb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트
Priority to KR102016012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144A/ko
Publication of KR2018003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1Blocks, stacks or like assemblie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벽과 후단벽 및 상기 상부면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단벽을 포함하되, 내부에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중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전단벽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쓰레기 봉투 인출공이 형성되어 폴딩된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 끝부분이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 측에 배치된 쓰레기 봉투의 폴딩부가 상기 전단벽에 걸려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함께 인출되지 않도록 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Case for packing waste envelope}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쓰레기 봉투를 일체로 보관하면서 사용시 필요한 매수만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활용품의 분리 배출을 촉진하고 쓰레기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이, 캔, 유리, 비닐, 스티로폼 등의 재활용품은 종류별로 분리하여 배출하고, 그 외의 쓰레기는 유료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이하, '쓰레기 봉투'라 함)에 넣어 배출하는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쓰레기 배출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특허 제10-0734423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압착기), 특허 제10-0823231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압착기), 특허 제10-1548723호(발명의 명칭: 압축 쓰레기통) 등과 같은 압축 쓰레기통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한 상태로 배출하고 있다.
한편, 쓰레기 봉투는 현재 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여러 장을 일방향으로 수회 접어 끝부분을 테이프로 접착한 묶음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쓰레기 봉투 묶음을 구입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면서 필요시마다 한 장씩 꺼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를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 사용하면 쓰레기 봉투가 분실될 염려가 있다. 또한, 한 장의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봉투 묶음을 전부 펼쳐 한 장의 쓰레기 봉투를 분리한 후 다시 나머지 쓰레기 봉투를 접어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쓰레기 봉투가 일방향으로만 접혀져 있기 때문에 한 장의 쓰레기 봉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나머지 쓰레기 봉투가 펼쳐져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낱장으로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쓰레기 봉투를 일체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 필요한 매수만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벽과 후단벽 및 상기 상부면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단벽을 포함하되, 내부에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중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전단벽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쓰레기 봉투 인출공이 형성되어 폴딩된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 끝부분이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 측에 배치된 쓰레기 봉투의 폴딩부가 상기 전단벽에 걸려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함께 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단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단벽의 저지력이 향상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직상단 폴딩부와, 상기 직상단 폴딩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딩부들이 상기 걸림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감소하여 쓰레기 봉투가 보다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중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져 수납되되,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은 쓰레기 봉투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그 상부에 적층되는 폴딩부들은 전단벽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폴딩부들이 전단벽에 걸려 의도치 않은 쓰레기 봉투까지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전단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편이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에 삽입되어 전단벽의 저지력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쓰레기 봉투의 전단 폴딩부들이 걸림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감소하여 쓰레기 봉투가 보다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에 쓰레기 봉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전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에 쓰레기 봉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는 바닥을 이루는 하부면(110)과, 하부면(110)과 대향되도록 하부면(1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면(120)과, 상부면(120)과 하부면(1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벽(130)과, 상부면(120)과 하부면(110)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단벽(140) 및 상부면(120)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단벽(15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단벽(150)은 하부면(110)까지 연장되지 않고 측벽(130)과 후단벽(140)보다 짧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전단벽(150)과 하부면(110) 사이에 쓰레기 봉투 인출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쓰레기 봉투(10)가 수납된다.
쓰레기 봉투(10)는 다수가 마련되어 중첩된 형태로 제공되며, 중첩된 쓰레기 봉투(10)는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고 다단 폴딩된 상태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 경우, 폴딩된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 끝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 가능하도록 쓰레기 봉투 인출공(17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쓰레기 봉투 인출공(170) 측에 적층되는 폴딩부, 즉, 전단 폴딩부들(B)(C)은 전단벽(15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복수로 중첩된 쓰레기 봉투(10)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져 있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10)를 1매 또는 필요한 매수만큼 잡아당길 경우 해당 쓰레기 봉투의 후단 폴딩부와 전단 폴딩부가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펼쳐짐으로써 쓰레기 봉투 인출공(170)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다만,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10)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다수 중첩된 쓰레기 봉투(10)가 상하방향으로 압착됨으로써 쓰레기 봉투(10)와 인접한 쓰레기 봉투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쓰레기 봉투(10)의 인출시 불필요한 쓰레기 봉투까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단벽(150)이 쓰레기 봉투의 전단 폴딩부(B)(C)들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10)의 인출시 전단 폴딩부(B)(C)가 전단벽(150)에 걸려 다른 쓰레기 봉투는 수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해당 쓰레기 봉투만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전단벽(150)의 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쓰레기 봉투(10)가 보다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전단벽(150)에 걸림편(16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60)은 전단벽(150)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폴딩된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과, 최하단(A)의 직상단 폴딩부(B)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과 직상단 폴딩부(B) 사이에 끼워진 걸림편(160)은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고정력에 의해 전단벽(150)의 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쓰레기 봉투(10)의 직상단 폴딩부(B)와, 직상단 폴딩부(B)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딩부들(C)이 걸림편(16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과 직상단 폴딩부(B)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고, 그 결과 최하단(A)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감소하여 다수의 쓰레기 봉투(10)가 압착된 상태에서도 쓰레기 봉투(10)를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면(120)과 전단벽(150), 그리고 전단벽(150)과 걸림편(160)이 이루는 각도는 중첩된 쓰레기 봉투(10)의 두께나 접혀진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걸림편(160)이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과 직상단 폴딩부(B)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10)의 두께나 폴딩 상태에 따라 상부면(120), 전단벽(150), 걸림편(160) 사이의 각도가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전단벽(150)과 상부면(120)을 스테이플러, 클램프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단벽(150)이 상부면(120)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보다 확실하게 쓰레기 봉투(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벽(150)과 걸림편(160)의 양측단부는 전단벽(150)에서 걸림편(16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단벽(150)과 걸림편(160)의 양측단부가 각진 형태를 가지면 연질의 비닐 소재인 쓰레기 봉투(10)가 인출 과정에서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20)의 양측에 측벽(130)이 각각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측벽(130)에 하부면(110)과 접합부(P)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부면(120)의 상하에 후단벽(140) 및 끼움부(I)와, 전단벽(150) 및 걸림편(160)이 각각 연결된 플라스틱 원판을 성형하고, 각각의 연결부를 접어 다른 측벽과 접합부(P)를 접착한 다음 끼움부(I)를 하부면(110)의 내측으로 끼워 넣은 후 전단벽(150)과 걸림편(160)을 절곡시키면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가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색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10)의 잔여량이나 수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쓰레기 봉투(10)를 다수 중첩하여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길이에 맞게 지그재그 형태로 접는다. 이 경우, 쓰레기 봉투(10)의 일단부는 쓰레기 봉투 인출공(17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이후,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의 전단벽(150)과 걸림편(160)을 완전히 개방하고, 앞서 마련된 쓰레기 봉투(10)를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집어넣는다.
마지막으로, 전단벽(150)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걸림편(160)을 폴딩된 쓰레기 봉투(10)의 최하단(A)과 직상단 폴딩부(B) 사이로 삽입하면 실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시에는 상술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쓰레기 봉투(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쓰레기 봉투부터 차례대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며, 쓰레기 봉투(10)가 전부 소진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새로운 쓰레기 봉투(10)를 수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100)를 압축 쓰레기통의 내부나 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쓰레기의 배출 후 바로 새로운 쓰레기 봉투(10)를 인출하여 압축 쓰레기통에 삽입,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쓰레기 봉투 100 :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110 : 하부면 120 : 상부면
130 : 측벽 140 : 후단벽
150 : 전단벽 160 : 걸림편
170 : 쓰레기 봉투 인출공
A :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 B : 쓰레기 봉투의 직상단 폴딩부
C : 쓰레기 봉투의 상단 폴딩부 I : 끼움부
P : 접합부

Claims (3)

  1.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벽과 후단벽 및 상기 상부면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단벽을 포함하되,
    내부에 다수의 쓰레기 봉투가 중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전단벽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쓰레기 봉투 인출공이 형성되어 폴딩된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 끝부분이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공 측에 배치된 쓰레기 봉투의 폴딩부가 상기 전단벽에 걸려 다수의 쓰레기 투가 함께 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과 직상단 폴딩부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단벽의 저지력이 향상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직상단 폴딩부와, 상기 직상단 폴딩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딩부들이 상기 걸림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쓰레기 봉투의 최하단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감소하여 쓰레기 봉투가 보다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KR1020160121016A 2016-09-21 2016-09-21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KR20180032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16A KR20180032144A (ko) 2016-09-21 2016-09-21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16A KR20180032144A (ko) 2016-09-21 2016-09-21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44A true KR20180032144A (ko) 2018-03-29

Family

ID=6190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016A KR20180032144A (ko) 2016-09-21 2016-09-21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3700A (zh) * 2020-04-26 2020-08-07 广州舜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变体积的储米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3700A (zh) * 2020-04-26 2020-08-07 广州舜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变体积的储米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263C2 (ru) Контейнер
US20020130224A1 (en) Collapsible trash bag stand with punch tab bag retainers
KR100475749B1 (ko) 수납상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CA2002244A1 (en) Flexible package having main compartment and ancillary compartment
US7275657B2 (en) Bag dispenser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US4895296A (en) Sleeve carton with flaring lips
US11097870B2 (en) Display container
KR20180032144A (ko) 쓰레기 봉투 수납용 케이스
JP7133296B2 (ja) 包装用箱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EP2557046A1 (en) Packing case
US10246214B1 (en) Package box and foldable sheet material
KR101537283B1 (ko) 인출구가 구비된 포장상자
CN108163370B (zh) 液晶面板保护盖板及液晶面板包装组件
KR101132652B1 (ko) 서랍형 포장용상자
KR100569111B1 (ko) 가방겸용 포장상자
JP7330499B2 (ja) 袋収容容器
KR200474670Y1 (ko) 칸막이가 구획된 포장박스
KR200476097Y1 (ko) 간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JP3217096U (ja) ポリエチレン袋の包装袋
KR101879638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79801Y1 (ko) 이종 손잡이 겸용 간지 자동성형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