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15B1 - 이동식 개수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개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15B1
KR102422315B1 KR1020200098908A KR20200098908A KR102422315B1 KR 102422315 B1 KR102422315 B1 KR 102422315B1 KR 1020200098908 A KR1020200098908 A KR 1020200098908A KR 20200098908 A KR20200098908 A KR 20200098908A KR 102422315 B1 KR102422315 B1 KR 10242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fresh water
sewage
water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643A (ko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원 filed Critical 정재원
Priority to KR102020009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15B1/ko
Priority to PCT/KR2021/010312 priority patent/WO2022031064A1/ko
Priority to JP2023506549A priority patent/JP2023536292A/ja
Publication of KR2022001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개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 대상을 수용하는 개수통(200); 상기 개수통(200)에 청수(C)를 공급하기 위한 수전(220); 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 및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600); 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청수(C)의 양에 따라 그 부피가 변하는 청수 저장부(300); 및 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저장하는 오수 저장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를 사용할 수록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줄어드는 대신,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개수대{Portable Sink}
본 발명은 이동식 개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인력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운반되거나, 혹은 차량에 설치될 수 있고, 청수 공급 수단과 오수 수용 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상하수도 없이도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개수대에 관한 것이다.
캠핑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야외용 조리 기구가 제품화되고, 판매되고 있다. 조리 후 설거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개수대를 이동 가능하게 만든 이동식 개수대에 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제품화되고는 있기는 하지만, 아직 다양한 제품이 나와있지 아니하며, 특히 사이즈 및 무게가 이동식으로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어 많이 보급되지는 못한 상황이다. 여기서 개수대는 주로 식기/식자재 등의 세척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만, 세면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이동식 개수대는 길다란 레그를 접어서 케이스 내에 수납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용기 자체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다. 특히 개수대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수통이 필요한데, 이러한 오수통이 케이스 내에 수납되지 않아 이동식 개수대와는 별도로 오수통을 구비해야 하므로, 이동식 개수대의 휴대성이 크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고 특1997-0005321호 (공고일:1997.04.15.) 특허공고 특1991-0001943호 (공고일: 1991.03.30.) 특허등록 제10-1068297호 (공고일: 2011.09.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시 개수대의 사이즈 및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그를 설치하지 않고, 대신 수납용 구조물 또는 공간 박스가 개수대의 높이를 유지하게끔 하는 구조의 이동식 개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수 저장부 및 청수 저장부가 이동식 개수대의 케이스 본체 내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개수대와 별도로 오수통을 구비해야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청수 및 오수 저장 공간 활용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별다른 동력 장치 없이도 수전에 청수를 높은 압력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식 개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 대상을 수용하는 개수통(200);상기 개수통(200)에 청수(C)를 공급하기 위한 수전(220);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 및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600);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청수(C)의 양에 따라 그 부피가 변하는 청수 저장부(300); 및 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저장하는 오수 저장부(400)를 포함하되,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를 사용할 수록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줄어드는 대신,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늘어나며,상기 수용부(600)는 내부에 물 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밀성 구조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와 상기 오수 저장부(400)는,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의 양과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된 오수(D)의 양에 따라 수압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유연막(610)으로 분리되며, 상기 수용부(600)를 형성하는 수밀성 구조물은 일면이 개방된 두 개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조각의 개방된 부분에 유연막(61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두 개의 조각이 좌우방향으로 결합되어 수밀성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수전(220)에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를 공급하는 수전용 튜브와 상기 개수통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오수 저장부(400)로 공급하는 오수용 튜브는 각각 상기 수용부(600)의 상단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 저장부(400)의 부피는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오수(D)의 양에 따라 변화하되,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와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각각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의 양과,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된 오수(D)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수(C)가 가득차 있을 때에는 상기 청수 저장부(3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의 공간을 모두 차지하고,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오수(D)가 가득차 있을 때에는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의 공간을 모두 차지하게 된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수용부(600)는 상기 오수 저장부(400)와 상기 청수 저장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박스(310)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박스(31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간 박스(310) 내에 상기 청수 저장부(300)와 오수 저장부(400)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수 저장부(300)는 저장된 청수(C)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화할 수 있는 물주머니이며, 상기 오수 저장부(400)는 저장된 오수(D)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화할 수 있는 물주머니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오수 저장부(40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 박스(3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공간 박스 걸림턱(170)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 박스 컬림턱(170)의 하단부가 상기 공간 박스(310)의 상단부에 맞닿아 상기 케이스 본체(110)가 상기 공간 박스(3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오수 저장부(400)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수대는 케이스 내에 오수 저장부 및 청수 저장부가 개수통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개수대와는 별도로 청수/오수 저장 수단을 휴대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청수를 사용함에 따라 필요 없게 되는 청수 저장 공간을 오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본체 내부의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개수통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중량에 의하여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 저장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도 수전에 청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청수통 자체가 개수통을 소정 높이로 유지하게끔 하는 지지 구조물로 이용됨으로써, 별다른 기능 없이 높이 유지 기능만을 얻기 위한 레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동식 개수대의 사이즈 및 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식 개수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개수대의 이동시 절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케이스 본체 내에 수납된 청수통, 오수통, 물주머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물주머니에 수전용 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청수통,오수통,물주머니가 제거된 상태에서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이동식 개수대가 사용 가능하게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오수통이 청수통에 수납된 물주머니를 누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오수통이 청수통에 수납된 물주머니를 더 강하게 압박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수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수대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상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네 개의 측벽이 서로 결합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개수통(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개수통 지지판(120)이 힌지 결합되고, 하측에는 조리대 상판(160)이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탈착 가능한 수전(220)이 수전 설치구(210)로부터 분리되어 개수통(200) 내에 보관된다.
도 3은 케이스 본체(110)에 힌지 결합된 조리대 지지판(161)이 회동하여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가 개방되고, 케이스 본체(110) 내에 보관되어 있던 공간 박스(310), 오수 저장부(400), 그리고 청수 저장부(300)가 케이스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공간 박스(310)를 케이스 본체(110) 밖으로 꺼낼 때 개수통(200)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개수통 지지판(120)에서 개수통(200)을 먼저 이탈시킨 후, 케이스 본체(110)의 측부에 형성된 케이스 측부 개폐도어(180)를 개방하고, 케이스 본체(110) 내에 보관되어 있던 공간 박스(310), 오수 저장부(400), 그리고 청수 저장부(300)를 슬라이딩 시켜서 외부로 꺼낸다. 공간 박스(310), 오수 저장부(400), 그리고 청수 저장부(300)를 외부로 꺼낸 다음에는 개수통(200)을 다시 개수통 지지판(120)에 안착시킨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수 저장부(40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만들어지되, 공간 박스(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수 저장부(400)는 공간 박스(310)보다 좌우 폭의 사이즈가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오수 저장부(400)와 공간 박스(310)는 같은 사이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삽입의 용이성 위하여 바닥부로 갈 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청수 저장부(300)는 합성수지 또는 수밀성 섬유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오수 저장부(400)와 공간 박스(310)는 케이스 본체(110) 내에 보관될 때 개수통(20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오수 저장부(400)와 공간 박스(310)의 좌우폭 사이즈는 개수통(220)의 좌우폭 사이즈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간 박스(310)과 오수 저장부(400)는 둘 다 박스 형태로 제작되되, 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혹은 바닥부로 갈수로 단면이 좁아지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오수 저장부(400)와 청수 저장부(300)는 각각 그 부피가 변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수 저장부(400)와 청수 저장부(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수용부(600)로 칭하기로 한다. 즉, 이하부터 수용부(600)는 청수와 오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오수 저장부(400)와 청수 저장부(300)를 수용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도 5는 청수 저장부(300)에 청수(C)가 채워진 상태로, 청수 저장부(300)가 공간 박스(310) 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청수 저장부(300)의 주입구(331)에는 청수를 수전(220)까지 이동시킬 경로를 제공하는 수전용 튜브(221)의 일단이 결합되고, 수전용 튜브(221)는 공간 박스(310)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튜브공(311)을 통하여 공간 박스(310) 외부로 이어진다.
도 6은 케이스 본체(110) 내에 보관되던 공간 박스(310)와 오수 저장부(400)을 제거한 상태의 이동식 개수대를 도시한 것이다.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에는 케이스 측부 개폐도어(18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추후 공간 박스(310)와 오수 저장부(400)를 케이스 본체(110) 측면으로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 본체(11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조리대 상판(160)은 회동하여 수평 상태로 펼쳐지는데, 조리대 상판(160)의 하부에 형성된 조리대 지지부(161)에 의하여 조리대 상판(160)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조리대 상판(160)은 가열기구를 비롯한 다양한 조리 기구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케이스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청수통 걸림턱(170)이 형성되는데, 추후 공간 박스(310)의 상단 부분과 맞닿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공간 박스(310)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110)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공간 박스(310)에 수납된 청수 저장부(300)의 주입구(331)와 수전(220)은 수전용 튜브(22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전(220)은 전동 펌프에 의하여 작동하는 간이 수전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 박스(310)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청수통 걸림턱(170)에 걸림으로써, 케이스 본체(110)가 공간 박스(310)에 의하여 소정 높이로 유지된다. 그리고 조리대 상판(160) 역시 조리대 지지부(161)에 의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수전(220)에 의하여 공급되는 청수를 개수통(200)에서 설거지 등의 작업에 사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a) 상태에서 수용부(600)에는 오수 저장부(400)와 청수 저장부(300)가 위치해 있는데, 청수 저장부(300)에 청수가 가득찬 상태에서 공간 박스(310)에 담겨 있고, 오수 저장부(400)는 비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용부(600) 부피의 대부분을 청수 저장부(300)가 차지하게 된다. 이 때 청수 저장부(300)는 최대 부피를 가지게 되어 오수 저장부(400)를 상승시키므로, 청수 저장부(300) 상면과 개수통(200) 하면 사이의 공간은 협소하게 되지만, 오수 저장부(400) 역시 내부에 오수가 없어서 부피가 줄어 있는 상태이므로 청수 저장부(300)와 개수통(200)의 사이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다.
(b) 상태와 같이 수전(220)을 통하여 청수 저장부(300)의 물을 사용하게 되면, 개수통(200)에서 빠져나오는 오수(D)는 오수 저장부(400)에 모이게 된다. 오수 저장부(400)에 모이는 물의 양이 많아질 수록 오수 저장부(400)은 더 무거워지고, 반대로 청수 저장부(300)는 그 부피가 줄게 되어 오수 저장부(400)가 하강하게 된다. 즉, 개수통(200) 하단과 오수 저장부(400)를 이루는 박스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h)가 증가하게 되어 오수 저장부(400)를 형성하는 공간의 부피가 증가한다.
더 나아가 오수 저장부(400)의 무게는 청수 저장부(300)를 눌러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청수 저장부(300)에 담긴 청수(C)가 더 쉽게 빠져날 수 있도록 한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수 저장부(400)에 오수(D)가 가득차게 되면, 수용부(600)의 대부분은 오수 저장부(400)가 차지하게 되고, 청수 저장부(400)가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된다. 케이스 본체(110)의 측부에 형성된 케이스 측부 개폐도어(180)를 열고 오수 저장부(400)을 케이스 본체(110)의 측방으로 꺼내에 오수(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400)가 청수 저장부(300)에 가하는 압력을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개수통(200)의 하단과 오수 저장부(400)의 상단 사이에 압축스프링(350)을 설치하여 오수 저장부(400)를 하방으로 강하게 밀착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공간 박스(310)과 오수 저장부(400)을 탄성밴드(360)로 함께 묶어서, 오수 저장부(400)을 하방으로 강하게 밀착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오수 저장부(400)를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물주머니 형태로 만든 것이다. 즉, 청수 저장부(300)와 오수 저장부(400) 모두 물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부(6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오수 저장부(400)는 오수용 튜브(421)를 통하여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공급받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없다. 도 13에는 제2 실시예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인데, 도 9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동 방식과 큰 차이는 없다. 청수를 사용하기 전인 (a) 상태에서는 청수 저장부(300)의 부피가 최대이고, 오수 저장부(400)의 부피는 최소였다가, 청수를 사용하고 오수를 배출할 수도록 청수 저장부(300)의 부피는 줄어들고 오수 저장부(400)의 부피는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수 저장부(400)의 부피와 청수 저장부(300)의 부피를 결정하는 청수와 오수의 양은 제로썸이 되므로, 개수통(200)과 공간 박스(310) 사이의 공간, 즉 수용부(600)의 체적에는 실질적인 변화가 없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수용부(600)가 밀폐된 수밀 구조물로 형성되되, 그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유연막(610)에 의해서 청수 저장부(300)와 오수 저장부(40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청수 저장부(300)와 오수 저장부(400) 내에 청수 및 오수가 저장된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청수 저장부(300)로부터는 수전용 튜브(221)를 통하여 청수가 수전(220)으로 공급되고, 개수통(200)에서 발생하는 오수는 오수용 튜브(421)을 통하여 오수 저장부(400)로 유입된다.
도 15는 수용부(600)의 구성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청수 또는 오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되는 수밀성 구조물로 형성된다. 수용부(600) 내부 공간은 유연막(610)에 의하여 분리되어 각각 청수 저장부(300)와 오수 저장부(4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유연막(610)은 청수 저장부(300) 또는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 바람직하게는 수밀성을 가지는 비닐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600)를 형성하는 수밀성 구조물은 두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오수 또는 청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밀성 패킹(6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수용부(600)에 청수가 가득차 있는 상태에서, 개수통(200)에서 청수를 사용함으로써 수용부(600)에 오수가 저장되는 상태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음에는 수용부(600)가 전체적으로 청수(C)로 채워져 있다. 유연막(610)은 유연막(610) 양쪽의 수압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청수(C)가 수용부(600) 내의 공간을 대부분 차지할만큼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유연막(610)은 수용부(600) 내 공간의 일측으로 몰리게 된다.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를 수전(220)을 통하여 공급받아 개수대(200)에서 사용하게 되면, 개수대(200)로부터 오수가 오수 저장부(400)로 유입되는데,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수(D)의 양이 늘면서 유연막(610)이 청수 저장부(300) 쪽으로 점차 밀리게 된다.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를 소진하게 되면, 오수(D)가 수용부(600) 내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연막(610)은 처음과는 반대쪽으로 몰리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600) 내에는 청수(C)와 오수(D)가 균형을 이루면서 지속적으로 채워지게 되므로, 공간 이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케이스 본체(110)의 타측면에 수납장용 구조물을 더 부가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개수통 지지판(1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수납장용 상부 평행판(530)을 펼침과 동시에, 상기 수납장용 상부 평행판(530)에 힌지 결합된 수납장용 수직판(540) 역시 펼쳐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개수통 지지판(120)의 일면은 케이스 본체(110)와 힌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110)와 힌지 결합된 면과 수직인 면은 수납장용 상부 평행판(530)의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용 상부 평행판(53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와 힌지 결합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수납장용 수직판(540)이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더 나아가 수납장용 하부 평행판(550)의 일단은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납장용 록킹 수단(55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요소들은, 수납장용 록킹 수단(551)에 의하여 수납장용 수직판(540)과 수납장용 하부 평행판(550)이 결합되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상호 간에 고정되게 된다.
110: 케이스 본체 120: 개수통 지지판
160: 조리대 상판 161: 조리대 지지부
170: 공간 박스 걸림턱 180: 케이스 측부 개폐도어
200: 개수통 210: 수전 설치구
220: 수전 221: 수전용 튜브
310: 공간 박스 311: 튜브공
400: 오수 저장부 300: 청수 저장부
421: 오수용 튜브 331: 주입구
350: 스프링 360: 탄성밴드
530: 수납장용 상부 평행판 540: 수납장용 수직판
541: 수납장용 록킹 수단 체결공 550: 수납장용 하부 평행판
551: 수납장용 록킹 수단
600: 수용부 610: 유연막
620: 수밀성 패킹
C: 청수 D: 오수

Claims (9)

  1. 세척 대상을 수용하는 개수통(200);
    상기 개수통(200)에 청수(C)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동 펌프에 의하여 작동하는 수전(220);
    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 및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600);
    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수전(220)에 공급할 청수(C)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청수(C)의 양에 따라 그 부피가 변하는 청수 저장부(300); 및
    상기 수용부(6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개수통(200)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저장하는 오수 저장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를 사용할 수록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줄어드는 대신,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늘어나며,
    상기 수용부(60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밀성 구조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와 상기 오수 저장부(400)는,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의 양과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된 오수(D)의 양에 따라 수압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유연막(610)으로 분리되며,
    상기 수용부(600)를 형성하는 수밀성 구조물은 일면이 개방된 두 개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조각의 개방된 부분에 유연막(61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두 개의 조각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어 수밀성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수전(220)에 상기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를 공급하는 수전용 튜브와 상기 개수통에서 배출되는 오수(D)를 오수 저장부(400)로 공급하는 오수용 튜브는 각각 상기 수용부(600)의 상단을 통하여 형성되며,
    청수(C)가 가득차 있을 때에는 상기 청수 저장부(3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의 공간을 모두 차지하고,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오수(D)가 가득차 있을 때에는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상기 수용부(600) 내의 공간을 모두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저장부(400)의 부피는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오수(D)의 양에 따라 변화하되,
    상기 수용부(600) 내에서 상기 청수 저장부(300)와 상기 오수 저장부(400)가 각각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청수 저장부(300)에 저장된 청수(C)의 양과, 상기 오수 저장부(400)에 저장된 오수(D)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수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98908A 2020-08-07 2020-08-07 이동식 개수대 KR10242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08A KR102422315B1 (ko) 2020-08-07 2020-08-07 이동식 개수대
PCT/KR2021/010312 WO2022031064A1 (ko) 2020-08-07 2021-08-05 이동식 개수대
JP2023506549A JP2023536292A (ja) 2020-08-07 2021-08-05 移動式流し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08A KR102422315B1 (ko) 2020-08-07 2020-08-07 이동식 개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643A KR20220018643A (ko) 2022-02-15
KR102422315B1 true KR102422315B1 (ko) 2022-07-15

Family

ID=8011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08A KR102422315B1 (ko) 2020-08-07 2020-08-07 이동식 개수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36292A (ko)
KR (1) KR102422315B1 (ko)
WO (1) WO202203106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162A (ja) 1999-08-06 2001-02-20 Central Motor Co Ltd キッチン収納ボックス
KR200321647Y1 (ko) * 2003-04-28 2003-07-31 주식회사 해피베드 세면대가 구비된 환자침대용 간이데스크
JP2015136492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Lixil 衛生設備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16B1 (en) 1989-06-30 1997-03-21 Lg Semicon Co Ltd Method of a bipolar cmos
KR0172520B1 (ko) 1995-07-12 1999-02-18 배득희 초기구동 고성능 화학 소방차
JP3197231B2 (ja) * 1997-03-28 2001-08-13 明和電気株式会社 移動式手洗器
KR200448786Y1 (ko) * 2008-03-27 2010-05-18 김홍만 이동식 세면장치
KR101068297B1 (ko) 2010-02-01 2011-09-28 문도주 야외용 조리대
JP3211230U (ja) * 2017-04-18 2017-06-29 眞由美 渡部 移動式手洗器
KR20210118568A (ko) * 2020-03-23 2021-10-01 정재원 이동식 개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162A (ja) 1999-08-06 2001-02-20 Central Motor Co Ltd キッチン収納ボックス
KR200321647Y1 (ko) * 2003-04-28 2003-07-31 주식회사 해피베드 세면대가 구비된 환자침대용 간이데스크
JP2015136492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Lixil 衛生設備機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1123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6292A (ja) 2023-08-24
KR20220018643A (ko) 2022-02-15
WO2022031064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9500A (en) Contact lens carrying case
US4570827A (en) Liquid dispenser
CA2922202C (en) Combination chamber and external suction vacuum packaging machine
KR20090051940A (ko)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070186341A1 (en) Mobile sink assembly
US9968227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KR102422315B1 (ko) 이동식 개수대
KR20210118568A (ko) 이동식 개수대
US5984440A (en) Soap bar holder with tray for cleaning
US6343845B1 (en) Multiple bar soap storage dispenser
KR101306047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60112069A (ko) 냉장고의 서랍 구조
US2989756A (en) Cosmetic kit
KR101313056B1 (ko) 음식물 수납용 밀폐용기
KR20160115336A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102456424B1 (ko) 이동식 개수대
KR101526188B1 (ko) 제습기의 물탱크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GB2365322A (en) Cleaning apparatus especially for cooking grills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KR101567826B1 (ko) 욕실용 선반
KR200476856Y1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겸용 싱크대
KR20140005944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RU2759748C1 (ru) Встраив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487826Y1 (ko)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