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069A - 냉장고의 서랍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서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069A
KR20060112069A KR1020050034470A KR20050034470A KR20060112069A KR 20060112069 A KR20060112069 A KR 20060112069A KR 1020050034470 A KR1020050034470 A KR 1020050034470A KR 20050034470 A KR20050034470 A KR 20050034470A KR 20060112069 A KR20060112069 A KR 2006011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efrigerator
cover
link
c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407B1 (ko
Inventor
오준환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4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 냉장고의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 커버와, 상기 서랍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제공한다.
냉장고,서랍

Description

냉장고의 서랍 구조{Drawer structure in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를 서랍이 닫힌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를 서랍이 열린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냉장고의 서랍 120 : 연결장치
121 : 캠 부재 122 : 링크
123 : 회전 지지부재 125 : 링크 장치
130 : 서랍 커버 141 : 밀봉 부재
본 발명은 냉장고의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 냉장고의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서랍은 냉장고의 내부에서 식품을 분리 보관하는 기능을 하며, 이용자가 냉장고의 서랍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식품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도어(2), 식품 보관실(3), 서랍(4), 파티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도어(2)의 개폐에 따라 외부 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식품들은 식품 보관실(3)이나 서랍(4)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파티션(5)은 식품 보관실(3)을 구획하거나, 상기 냉장고의 서랍(4)의 받침대의 기능을 하거나, 상기 서랍의 커버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종래의 냉장고의 서랍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장고의 서랍은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4)이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자가 개방된 서랍의 상부 개부를 통하여 식품을 넣고, 다시 냉장고 내부의 서랍이 수용되는 공간(6)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냉장고의 서랍(4)은 상기 서랍의 상부 개부와 상기 서랍의 커버 기능을 수행하는 파티션(5)과의 사이를 통하여 냉기가 입출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4)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냉장고의 서랍은 상기 서랍과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냉장고 내부 사이의 공간과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단지 식품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둘째, 상기 냉장고의 서랍이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서랍에 보관되는 식품의 신선도의 유지와 습도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냉장고의 서랍이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냉장고의 냄새를 유발시키거나, 냉장고의 냄새가 상기 서랍에 보관되는 식품에 배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의 서랍을 제공하는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밀폐가 가능한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 커버와, 상기 서랍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랍과 상기 서랍 커버의 접촉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커버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서랍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서랍의 양쪽 외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서랍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캠 부재와, 일단은 상기 캠 부재와 상기 서랍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장치는 상단은 상기 캠 부재와 접촉하고 하단은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와 접촉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를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장치는 상기 링크의 상단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링크의 상단은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랍과 상기 서랍 커버 간에 밀봉이 가능하여 밀폐가 가능한 냉장고의 서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 구조의 구성은 냉장고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110)과, 상기 서랍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 커버(130)와, 상기 서랍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냉장고의 서랍(110)은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식품을 넣거나 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은 참조부호로 참조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와 전후 벽면 및 양측 벽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의 상단 테두리 부분(111)은 상기 벽면의 두께 이상으로 넓은 수평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이 밀봉 가능한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밀봉되는 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서랍의 전면부(112)에는 사용자가 상기 서랍(110)을 넣거나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파티션(105)의 하부에 상기 서랍의 상부 개부를 커버하게 되는 서랍 커버(130)가 구비된다. 상기 서랍 커버는 상기 서랍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수평한 면적을 갖게 되며, 상기 서랍(110)과 상기 서랍의 커버(130)는 상기 서랍의 상단 테두리 부분(111)의 수평면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랍의 커버(130)가 상기 냉장고의 파티션(105)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파티션이 없는 냉장고 내에서 상기 서랍이 다른 서랍이나 다른 수용 공간과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서랍의 커버(130) 와 상기 냉장고의 파티션(105)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냉장고 내에 식품 저장 공간을 늘리기 위하여 최소화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랍의 상측 수평면(111)과 상기 서랍 커버(130)의 아랫 면의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밀봉 부재(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 부재로는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의 상측 수평면(111)과 상기 서랍 커버(130)의 아랫 면이 상기 밀봉 부재(141)로 서로 접촉되고, 상기 서랍 커버(130)가 일정한 무게로 상기 서랍(110)과 상기 서랍 커버(130) 사이에서 상기 밀봉 부재(141)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서랍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밀폐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랍의 커버를 상기 서랍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1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장치(120)는 상기 서랍의 양쪽 외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상기 서랍 커버(130)가 자체 무게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서랍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가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120)는 상기 서랍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캠 부재(121)와 일단은 상기 캠 부재(121)와 상기 서랍 커(130)버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장치(1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 부재(121)는 상기 서랍의 양측면 외벽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랍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소정 두께로 돌출되게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서랍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서랍의 제작 후에 별도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캠 부재(121)의 단면 형상은 중앙 부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우측에는 수평선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좌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 부재(121)의 상부 면과 접촉하게 되는 상기 링크 장치(125)는 상단은 상기 서랍 커버(130)의 측부와 접촉하고 하단은 상기 캡 부재(121)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링크(122)와, 상기 링크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를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122)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소정 각도로 꺽인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바 형태의 리지드 바디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의 양 단은 라운드 진 형상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링크의 양 단은 각각 상기 서랍 커버와 상기 캠 부재의 상면과 원활히 접촉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의 하단에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122)의 하단과 상기 캡 부재(121)의 상단이 서로 롤러에 의하여 접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링크(122)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지지부재(123)에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122)가 상기 회 전 지지부재(12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을 반시계 방향으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의 하부와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측벽의 소정 부분을 탄성체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링크의 상단은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와 힌지(미도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의 상단이 상기 서랍 커버의 아랫 면와 일정한 경로로 슬라이딩되게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욱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상기 서랍 커버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링크의 상단과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링크(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13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지만, 동시에 상기 서랍 커버(130)는 전후 이동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공간(106)의 전면과 후면에 충분한 간격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서랍 커버(130)의 상하 이동 간격을 최소화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랍 커버(130)의 전후 이동도 최소활 될 것이므로 냉장고 내의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 구조의 작동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를 서랍이 닫힌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구조를 서랍이 열린 상태에서 개략적 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이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122)의 하단은 상기 캠 부재(121)의 홈 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의 상측 수평면(111)과 상기 서랍 커버(130)는 밀봉 부재(1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130)의 무게에 의하여 서랍 내부는 밀폐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이 열리게 되면, 상기 서랍이 열림과 동시에 상기 캠 부재(121)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의 하단은 상기 캡 부재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12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122)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의 상단 부분은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링크의 상단 부분은 상기 서랍 커버(130)의 측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링크의 상단 부분이 상승하면서 상기 서랍 커버(130)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을 빼내면 자동적으로 상기 서랍의 커버(13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서랍의 밀폐가 해제되며, 반대로 사용자가 서랍을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상기 서랍의 커버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서랍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통하여 냉장고의 서랍을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랍에 분리 보관되는 식품의 신선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냉장고의 서랍 구조를 통하여 냉장고의 서랍을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랍에 보관되는 식품을 통하여 냉장고 내에 냄새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냉장고 내의 냄새가 상기 서랍에 보관되는 식품에 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냉장고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 커버와;
    상기 서랍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과 상기 서랍 커버의 접촉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커버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서랍이 밀폐되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서랍의 양쪽 외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서랍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캠 부재와;
    일단은 상기 캠 부재와 상기 서랍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장치를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장치는,
    상단은 상기 캠 부재와 접촉하고 하단은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와 접촉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를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장치는,
    상기 링크의 상단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단은 상기 서랍 커버의 측부와 힌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
KR1020050034470A 2005-04-26 2005-04-26 냉장고의 서랍 구조 KR10066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70A KR1006624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장고의 서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70A KR1006624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장고의 서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69A true KR20060112069A (ko) 2006-10-31
KR100662407B1 KR100662407B1 (ko) 2007-01-02

Family

ID=3762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70A KR1006624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장고의 서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4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01B1 (ko) * 2007-07-30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10023530A1 (en) * 2008-04-07 2011-02-03 Jong-Wook An Refrigerator having drawer cover
WO2016187255A1 (en) * 2015-05-18 2016-11-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system including cover
WO2018121664A1 (zh) * 2016-12-28 2018-07-0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721B2 (ja) * 2008-09-16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01B1 (ko) * 2007-07-30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10023530A1 (en) * 2008-04-07 2011-02-03 Jong-Wook An Refrigerator having drawer cover
WO2016187255A1 (en) * 2015-05-18 2016-11-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system including cover
US9869506B2 (en) 2015-05-18 2018-01-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system including cover
WO2018121664A1 (zh) * 2016-12-28 2018-07-0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407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09B1 (ko) 냉장고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ES2794103T3 (es) Refrigerador
EP2594874B1 (en) Refrigerator
KR100662407B1 (ko) 냉장고의 서랍 구조
US20130119846A1 (en) Refrigerator
ITVA20100007U1 (it) Frigorifero con contenitore di stoccaggio
KR20170124239A (ko) 냉장고
KR100875427B1 (ko) 냉장고의 캔 수납장치
CN112119274B (zh) 冰箱
KR20060118897A (ko) 냉장고의 서랍형 홈바 장치
KR2005008133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110006604U (ko) 냉장고
US9074807B2 (en) Reclosable compartment for refrigerator
CN101231112B (zh) 电冰箱门的倾斜结构
KR101339922B1 (ko) 냉장고
KR200290941Y1 (ko) 반찬 냉장고의 도어
KR200411662Y1 (ko) 압력제거 기능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JPS6021752Y2 (ja) 冷蔵庫用収納容器
KR101083694B1 (ko) 슬라이드형 김치냉장고 도어구조
KR100424107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개폐 장치
WO2022208651A1 (ja) 冷蔵庫
JP2013036675A (ja) 冷蔵庫
KR200463488Y1 (ko) 냉장고
KR10122893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