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047B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047B1
KR101306047B1 KR1020130050669A KR20130050669A KR101306047B1 KR 101306047 B1 KR101306047 B1 KR 101306047B1 KR 1020130050669 A KR1020130050669 A KR 1020130050669A KR 20130050669 A KR20130050669 A KR 20130050669A KR 101306047 B1 KR101306047 B1 KR 10130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ontainer
pl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박영순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3005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로 제조비용의 절감 되고, 파트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몸체부(10), 용기부(20), 커버부(30), 개폐부(40), 용수공급부(50) 및 지지대(60)로 구성된다.
몸체부(10)의 내측에 개폐부(40)가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40)의 상단 일측에 용기부(20)가 위치하며, 상기 용기부(20)의 상단 일측에 용수공급부(50)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용기부(20)의 상단에 커버부(30)가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TOLIET APPARATUS FOR SAVING WATER}
본 발명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로 제조비용의 절감 되고, 파트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며, 그 특성상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조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핸드레버가 주로 사용되고, 용수조의 밸브를 단속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고 도기의 특성상 일체형으로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파손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보수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양변기는 배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압을 이용하여 세척을 해야 하는 구조때문에, 많은 양의 용수를 사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용수조의 사용없이 직수로 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이를 위해,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사용하는 방법이 다수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기술들은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절수효과가 저감되는 단점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754호(2005. 02. 04.) 미국 특허공보 US3932901(1976. 01. 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968호(2007. 06. 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629호(2006.09.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제조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풋패달을 이용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몸체부(10), 용기부(20), 커버부(30), 개폐부(40), 용수공급부(50) 및 지지대(6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하단부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되는 용수배출구(12)가 형성되며, 내측상단부 일측에는 지지대결합홀(13)이 형성되며, 개구부(11)와 인접한 내측하단부에는 패달받침턱(14)이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와 상기 용기(21)를 내삽하고 있는 케이스(22)로 구성되며, 용기(21)의 하단부 중심부에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3)가 형성되는 용기부(20)와 상기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몸체부(10)의 개구부(11)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과 상기 상판(44)의 상측에 위치하며, 용기부(20)의 배출구(23)에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실링링(45)으로 구성된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에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공급밸브(52)와 상기 용수공급밸브(52)와 일측이 결합되고 또다른 일측은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링크(53) 및 상기 용수공급밸브(52)와 결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로 이루어진 용수공급부(5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링크(53)와 결합되어 있는 용수공급밸브(52)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제조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케이스부(30)를 제거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용수공급관(51)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와 용수공급부(50)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케이스부(30)를 제거한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용수공급관(5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몸체부(10), 용기부(20), 커버부(30), 개폐부(40), 용수공급부(50) 및 지지대(60)로 구성된다.
몸체부(10)의 내측에 개폐부(40)가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40)의 상단 일측에 용기부(20)가 위치하며, 상기 용기부(20)의 상단 일측에 용수공급부(50)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용기부(20)의 상단에 커버부(30)가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는 전면하단부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용수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부(40)의 패달(41)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달(41)은 용기부(20)와 커버부(3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미관 및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부(20)와 커버부(30)의 전장보다 패달(41)이 짧게 형성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상단부 일측에는 지지대결합홀(13)이 형성되어 지지대(60)를 결합할 수 있으며, 개구부(11)와 인접한 내측하단부에는 패달받침턱(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패달받침턱(14)은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부(40)의 패달(4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용기부(20)는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와 상기 용기(21)를 내삽하고 있는 케이스(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21)는 통상적인 변기의 보울로서 하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심부에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21)의 내주면 상단에는 다수개의 돌기(21a)가 형성되어, 용수공급부(50)의 용수공급관(51)이 결합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부(20)의 상단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커버부(30)는 통상적인 변기 커버로서 뚜껑 및 시트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용기부(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개폐부(40)는 용기(21)에 담지되는 용수 및 오물의 배출 및 용수공급부(5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폐부(40)는 패달(41), 하부판(42), 개폐판(43), 상부판(44) 및 실링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40)에 의해 제어되는 용수공급브(50)는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에 공급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공급밸브(52)와 상기 용수공급밸브(5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패달(41)과 연동되는 링크(53) 및 용수를 재공급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로 구성된다.
상기 용수공급관(51)은 용기(21)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수공급관(5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노즐(51a)을 통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즐(51a)은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밀도가 다른데, 예를 들어, 소면 및 대변이 직접접촉하는 용기의 앞쪽과 뒤쪽에는 많은 양의 용수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노즐(51a)이 형성되고, 용기(21)의 측면쪽은 앞쪽과 뒤쪽에 비해 적은 수의 노즐(51b)이 형성되어, 용기(21)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수를 선택적으로 집중 공급하여 용수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용수공급밸브(52)는 일측에 레버(52a)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52a)를 구동시키게 되면, 외부에서 용수가 공급되어, 용수공급관(51) 및 용수저장탱크(54)에 용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52a)의 일측에 링크(53)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53)의 반대측은 패달(41)에 결합되어 패달(41)과 레버(52a)가 연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패달(41)이 회동되면 이와 연동되는 레버(52a) 또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수공급밸브(52)에 의해, 직수방식으로 용수공급관(51)에 용수가 공급된 후, 용수저장탱크(54)에 일정량의 용수가 더 저장된다.
상기 용수저장탱크(54)에 저장되는 용수는 개폐부(40)의 동작에 의해, 용기(21)의 배출구(23)가 밀폐됨과 동시에 용수공급밸브(52)가 차단되면, 용기(21)에 일정량의 용수가 담지되어 봉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봉수란 통상적으로 변기 등의 용기에 일정량의 용수가 담지되어, 배출구(23)를 통하여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차기에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할 경우, 오물 등에 의해 용기(21)의 내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용수를 공급하여 용기(21)를 세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부에는 용수저장홀(54a)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용수저장홀(54a)은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정량의 용수가 상시 저장되어 있다.
이는 용수저장탱크(54)에 새로운 용수가 유입될 때, 낙하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용수저장홀(54a)에 일정량의 용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에서 낙하되는 용수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40)는 패달(41), 하부판(42), 개폐판(43), 상부판(44) 및 실링링(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 개폐판(43)이 위치하고, 상부판(44)의 상단부분에 실링링(45)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판(42)의 하단부에 패달(41)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상기 패달(4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발로 가압할 수 있는 발판(41a)과 상기 발판(41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축(41b)과 상기 지지축(41b)과 연장되여 형성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42)은 측면일측에 한쌍의 레일홀(42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홈(42b)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42)의 상측에 결합되는 개폐판(43)은 하단부에 한쌍의 암(43a)이 형성되고, 상기 암(43a)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측면에는 한쌍의 돌기(43c)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43a) 및 돌기(43b)와 연장되어 단속판(43c)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속판(43c)은 하부판(42)의 배출홈(42b)에 대응하여 용수 및 오물의 배출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42)과 대응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판(44)은 일측면에 한쌍의 레일홈(44a)이 형성되고, 또다른 일측에는 배출홈(44b)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44)의 배출홈(44b)의 상단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링(45)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링(45)은 용기(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상기 개폐판(43)이 결합될 때, 용수 및 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판(4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암(43a)은 하부판(42)의 일측에 형성된 레일홀(42a)에 내삽되고, 개폐판(4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돌기(43b)는 상부판(44)의 레일홈(44a)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 개폐판(43)이 결합될 때,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개폐판(43)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일홀(42a)과 레일홈(44a)의 단속에 의해, 개폐판(43)의 이동거리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판(44)과 하부판(42)을 결합하게 되면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공간에 개폐판(43)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개폐판(43)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개폐판(43)은 평면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44b, 42b)를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판(43)이 배출홀(44b, 42b)이 위치하는 곳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폐판(43)의 단속판(43b)이 배출홀(44b, 42b)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b, 42b)이 개방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단속판(43b)이 배출홀(44b, 42b)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홀(44b, 42b)이 패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43)은 패달(41)에 의해 연동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패달(41)을 동작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개폐판(43)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판(43)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암(43a)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패달(41)의 크랭크암(41c)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내삽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한쌍의 암(43a)의 공간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달(41)은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패달(41)의 발판(41a)이 사용자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크랭크암(41c)도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암(41c)은 상측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는 개폐판(43)의 암(43a)또한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b, 42b)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개폐판(43)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가압한 압력이 제거되면 지지축(41b)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패달(41)의 발판(41a)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크랭크암(41c)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암(41c)과 연동되는 개폐판(43) 또한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b, 42b)를 패쇄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개폐부(40)와 용수공급부(50)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용기(21)에 담지되는 용수 및 오물을 개폐부(40)의 동작에 의해 배출함과 동시에 용수공급부(50)의 동작에 의해 직수로 용수를 용기(21)에 공급하여 세척하고, 용수저장탱크(54)에 저장된 일정량의 용수를 용기(21)에 다시 채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40)와 용수공급부(50)는 연동되어 동작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a)을 가압하게 되면, 크랭크암(41c)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41c)과 연결되는 링크(53)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53)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링크(53)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용수공급밸브(52)의 레버(52a)가 회동하게 되어, 용수를 용수저장탱크(54) 및 용수공급관(5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수공급관(51)에 용수가 공급되면,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형성된 노즐(51a)을 통하여 용기(21)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패달(41)의 동작과 함께, 개폐판(43)도 동작하게 되여, 배출홀(44b, 42b)가 개방되어, 용기의 내측에 담지되어 있던 용수 및 오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되어 있던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하고 나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었던 패달(41)에서 발을 이격시키면 압력이 제거되며, 패달(41)이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되는 개폐판(43)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b, 42b)가 패쇠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홀(44b, 42b)가 패쇠됨과 동시에 용수공급부(50)에 공급되는 용수도 단속되고, 용수공급탱크(54)에 잔존하는 일정량의 용수가 용기(21)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등을 방지하는 봉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부 11 : 개구부 12 : 용수배출구
13 : 지지대결합홀 14 : 패달받침턱 20 : 용기부
21 : 용기 22 : 케이스 23 : 배출구
30 : 커버부 40 : 개폐부 41 : 패달
42 : 하판 43 : 개폐판 44 : 상판
45 : 실링링 50 : 용수공급부 51 : 용수공급관
52 : 용수공급밸브 53 : 링크 54 : 용수저장탱크

Claims (10)

  1.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에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공급밸브(52)와 상기 용수공급밸브(52)와 일측이 결합되고 또다른 일측은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링크(53) 및 상기 용수공급밸브(52)로 이루어진 용수공급부(5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링크(53)와 결합되어 있는 용수공급밸브(52)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는 개폐부(40)를 지지하고 결속하기 위한 지지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 상판(44)의 상측에는 용기부(20)와 결합되어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될 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링(4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5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고, 용기(21)에서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된 후, 용기(21)에 용수를 제공급하여 봉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저장탱크(5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1)의 내주면 상단에는 용수공급관(51)을 결합하고 결속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21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는 용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51a)이 형성되데, 용수공급관(51)의 앞쪽과 뒤쪽에 형성되는 노즐(51a)의 수가 옆쪽에 형성되는 노즐(51a)의 수보다 많이 형성되어 앞쪽과 뒤쪽에 더 많은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부에는 용수가 공급될 때,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량의 용수를 상시 저장할 수 있는 용수저장홀(54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패달(4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발로 가압할 수 있는 발판(41a)과 상기 발판(41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축(41b)과 상기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부판(42)는 측면 일측에 개방된 한쌍의 레일홀(42a)이 형성되고, 또다른 일측에 개방된 배출홈(42b)이 형되며, 상기 하부판(42)의 상측에 결합되는 개폐판(43)은 하단부에 패달(41)의 크랭크암(41c)을 내삽하기 위한 한쌍의 암(43a)이 형성되고, 반대측면에는 한쌍의 돌기(43c)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암(43a) 및 돌기(43b)와 연장되어 하부판(42)의 배출홈(42b)에 대응하여 용수 및 오수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판(43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42)과 대응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판(44)은 일측면에 한쌍의 레일홈(44a)이 형성되며, 또다른 일측에는 배출홈(44b)이 형성되며, 상기 패달(41)의 발판(41a)을 사용자가 발로 가압하면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이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41c)을 내삽하고 있는 한쌍의 암(43a)이 형성된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며, 하부판(42)의 배출홈(42b)과 상부판(44)의 배출홈(44b)을 개방하여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3)의 암(43a)은 하부판(42)의 레일홀(42a)에 내삽되고, 돌기(43b)는 상부판(44)의 레일홈(44a)에 각각 내삽되며,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판(43)은 패달(41)에 의해 직선이동할 때, 레일홀(42a)과 레일홈(44a)에 의해 그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의 패달(41)은 미관 및 공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부(20)와 커버부(30)의 전방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KR1020130050669A 2013-05-06 2013-05-06 절수형 양변기 KR10130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69A KR101306047B1 (ko) 2013-05-06 2013-05-06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69A KR101306047B1 (ko) 2013-05-06 2013-05-06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047B1 true KR101306047B1 (ko) 2013-09-09

Family

ID=4945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669A KR101306047B1 (ko) 2013-05-06 2013-05-06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3564A (zh) * 2013-04-27 2013-10-09 钟琍琳 便器水箱脚踏排水阀
KR200470888Y1 (ko) 2012-09-27 2014-01-16 (주)종합해사 좌변기
KR101393135B1 (ko) 2014-02-13 2014-05-08 이승재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901A (en) 1973-08-28 1976-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sh toilet bowl
KR200374754Y1 (ko) 2004-11-18 2005-02-04 구충서 개량 좌변기
KR100618629B1 (ko) 2006-03-17 2006-09-06 (주)에이치앤지 변기의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KR101281902B1 (ko) 2013-01-17 2013-07-03 이승재 절수형 수세식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901A (en) 1973-08-28 1976-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sh toilet bowl
KR200374754Y1 (ko) 2004-11-18 2005-02-04 구충서 개량 좌변기
KR100618629B1 (ko) 2006-03-17 2006-09-06 (주)에이치앤지 변기의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KR101281902B1 (ko) 2013-01-17 2013-07-03 이승재 절수형 수세식 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88Y1 (ko) 2012-09-27 2014-01-16 (주)종합해사 좌변기
CN103343564A (zh) * 2013-04-27 2013-10-09 钟琍琳 便器水箱脚踏排水阀
CN103343564B (zh) * 2013-04-27 2016-03-23 钟琍琳 便器水箱脚踏排水阀
KR101393135B1 (ko) 2014-02-13 2014-05-08 이승재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WO2015122589A1 (ko) * 2014-02-13 2015-08-20 (주)에코하이테크 절수형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306047B1 (ko) 절수형 양변기
CN101343890A (zh) 用于分配清洁材料的装置和方法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KR101393135B1 (ko)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KR20120026794A (ko) 스팀청소기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US3023427A (en) Device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oilet bowls
KR101669639B1 (ko) 버킷 샤워기
CN210582342U (zh) 一种儿童马桶
KR101145228B1 (ko)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CN103362195A (zh) 马桶清洁剂分阶控制装置
KR20090120163A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N108951799A (zh) 使用方便的紫外线消毒马桶
KR20210118568A (ko) 이동식 개수대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2043466B1 (ko) 변기세정장치
CN219118307U (zh) 一种可根据用户需求调节浓度配比的水箱清洁结构
KR20140115506A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
KR101020101B1 (ko) 수압 및 인체 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
KR20070103275A (ko) 중력에 의하여 물이 나오며 세척하는 소변기.
CN104264763B (zh) 挂式节水座便器
CN208917951U (zh) 使用方便的紫外线消毒马桶
CN212715215U (zh) 一种智能真空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