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22589A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22589A1
WO2015122589A1 PCT/KR2014/009266 KR2014009266W WO2015122589A1 WO 2015122589 A1 WO2015122589 A1 WO 2015122589A1 KR 2014009266 W KR2014009266 W KR 2014009266W WO 2015122589 A1 WO2015122589 A1 WO 20151225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plate
coup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2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영순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에코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에코하이테크
Publication of WO20151225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225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부분별 조립으로 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오물을 처리하는 배관의 길이가 줄어들어 절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또한 풋레버와 모든 기능들이 연동되어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 일측면에 연결되는 용수파이프(55)가 구성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차단밸브(64)와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또다른 일측에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링크축(63a)과 제2링크축(63b)으로 이루어진 용수조절부(6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1링크축(63a), 제2링크축(63b)과 결합되어 있는 용수조절부(60)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본 발명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부분별 조립으로 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오물을 처리하는 배관의 길이가 줄어들어 절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또한 풋레버와 모든 기능들이 연동되어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를 제조함에 있어 도기를 이용하여 제조를 하게 되며, 변기의 특성상 오물을 처리함에 있어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조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되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는 용수조의 일측에 핸드레버가 장착되어 용수조의 밸브를 단속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고 도기의 특성상 일체형으로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파손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보수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양변기는 배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압을 이용하여 세척을 해야 하는 구조때문에 많은 양의 용수를 사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용수조의 사용없이 직수로 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이를 위해 핸드레버 대신 풋레버를 사용하는 방법이 다수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기술들은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절수효과가 저감되는 단점들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내용물이 담지된 후 일정량의 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차단판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특성에 의해 종래의 양변기는 많은 양의 용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구조 또한 복잡하였고, 대용량의 용슈탱크를 구비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상기와 같이 대용량의 용수탱크를 구비해야 하는 이유로 인하여 실내에서만 양변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실외에서 사용되는 간이화장실의 경우 대부분 포말을 이용한 포말식 화장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용수를 이용하는 간이화장실에 대한 몇몇 기술 또한 제안되고는 있으나,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는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에 의해 용수를 직접공급하는 직수용 양변기에 대한 기술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세척효과를 위해 높은 수압을 적용해야 하는 기술들이 대부분이었고, 그 구조 또한 복잡하여 간이화장실 등에 적용하는데는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었고,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야외 즉, 간이화장실에서도 사용가능한 절수형 양변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6047호)에 대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여 소량의 용수만을 이용하여 간이화장실에서도 용수를 사용하는 양변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에 제시된 기술보다 진보된 기술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에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6047호의 기술에 적용가능하며, 제안된 절수형 양변기보다 절수효과를 극대화하고, 세정효과를 극대화하며, 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개량된 기술의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부분별 조립으로 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단순한 구조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절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는,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 일측면에 연결되는 용수파이프(55)가 구성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차단밸브(64)와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또다른 일측에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링크축(63a)과 제2링크축(63b)으로 이루어진 용수조절부(6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1링크축(63a), 제2링크축(63b)과 결합되어 있는 용수조절부(60)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40) 상부판(44)의 상측에는 용기부(20)와 결합되어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될 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링(45)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용수공급부(5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고, 용기(21)에서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된 후, 용기(21)에 용수를 재공급하여 봉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저장탱크(54)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용수공급관(50)의 전방일부분은 개방된 개방구(53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용수배출구(53)가 형성되며, 후면부 조인트(51a)와 인접한 곳에 대구경용수배출구(53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구(53a)는 용수공급관(51)의 전방부 하단면 일부분만을 용수공급관(5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형태로 형성되는 개방홀(53b)로 대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용수배출구(53) 및 대구경용수배출구(53c)는 일측폭이 타측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서 용수공급관(5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용수공급관(51)에 공급되는 용수가 용수배출구(53)와 대구경용수배출구(53c)의 개방된 부분에 오랜시간동안 접하도록 하여 배출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측면 상단부에는 용수저장탱크(54)에 잔존하는 용수의 동결 등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양변기 용기(21)에 세정이 완료된 후 봉수를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외부공기가 흡기되도록 하며, 직수형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 및 오버되는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관(52)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달(4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발로 가압할 수 있는 발판(41a)과 상기 발판(41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축(41b)과 상기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부판(42)은 상부면에 개폐판(43)이 결합되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폐판(43)의 두께만큼 결합홈(42c)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홀(42a)이 형성되며, 상부면 일측에는 상부판(44)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홀(42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개폐판(43)은 하단부에 한쌍의 암(43a)이 형성되고, 상기 암(43a)이 형성된 일측면 반대측면에는 암(43a)과 연장되어 용수 및 오수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판(43b)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판(43b)의 상부면 일측면에는 하부판(42)에 형성된 하부판 테두리(42d)에 결합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쌍의 레일홈(43c)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42)과 대응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판(44)은 일측면에 또 다른 배출홀(44a)이 형성되고, 하부판(42)의 하부고정홀(4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고정홀(44b)이 형성되며, 상기 패달(41)의 발판(41a)을 사용자가 발로 가압하면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41c)을 내삽하고 있는 한쌍의 암(43a)이 형성된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며, 하부판(42)의 배출홀(42a)과 상부판(44)의 배출홀(44a)을 개방하여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43)의 단속판(43b)은 하부판(42)의 결합홈(42c)에 위치하고, 상기 단속판(43b)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레일홈(43c)은 하부판 테두리(42d)에 내삽되며,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판(43)은 패달(41)에 의해 직선이동할 때, 하부판 테두리(42d)와 레일홈(43c)의 단속에 의해 그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이때, 상기 용수차단밸브(64)는 상측에 용수유출구(64a)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유출구(64a)의 하측에는 용수유입구(64b)가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는 용수유입구(64b)에서 유입되는 용수를 몸체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 및 차단할 수 있는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되고, 상기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된 반대방향의 일측면에 고정캡(66)이 결합되어 용수조절부재(65)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캡(66)에 의하여 고정된 용수조절부재(65)의 일측면에 회전부재(67)가 결합되고, 반대측면에는 제2링크축(63b)이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축(63b)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67)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67)에 결속되어 있는 용수조절부재(65)가 회전되어 용수가 개폐 및 차단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으로써, 오물을 처리하는 배관의 길이를 줄여 절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구성품을 유니트화 시켜 제조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풋레버와 모든 기능들이 연동되어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공급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공급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개폐부의 분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조절부의 분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써는,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 일측면에 연결되는 용수파이프(55)가 구성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차단밸브(64)와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또다른 일측에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링크축(63a)과 제2링크축(63b)으로 이루어진 용수조절부(6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1링크축(63a), 제2링크축(63b)과 결합되어 있는 용수조절부(60)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하므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를 갖출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2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공급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공급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 일측면에 연결되는 용수파이프(55)가 구성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차단밸브(64)와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또다른 일측에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링크축(63a)과 제2링크축(63b)으로 이루어진 용수조절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전면하단부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용수배출구(5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부(40)의 패달(41)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달(41)은 용기부(20)와 커버부(3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미관 및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부(20)와 커버부(30)의 전장보다 패달(41)이 짧게 형성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개구부(11)와 인접한 내측하단부에는 패달받침턱(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패달받침턱(14)은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부(40)의 패달(4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개구부(11) 전면에는 개구부커버(13)가 형성되어 몸체부(10) 내측에 패달(41)이 위치한 후, 몸체부(10) 내측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용기부(20)는 용수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와 상기 용기(21)를 내삽하고 있는 케이스(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21)는 통상적인 변기의 보울로서 하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심부에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부(20)의 상단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커버부(30)는 통상적인 변기커버로서 뚜껑 및 시트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용기부(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개폐부(40)는 용기(21)에 담지되는 용수 및 오물의 배출 및 용수공급부(5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폐부(40)는 패달(41), 하부판(42), 개폐판(43), 상부판(44) 및 실링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40)에 의해 제어되는 용수공급부(50)는 용수조절부(60)와 상기 용수조절부(60)에서 공급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파이프(55)와,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에서 저장된 용수가 용기(21)에 공급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용수공급관(5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용수공급관(51)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오버플로관(52)이 더 구비되어, 용수저장탱크(54)에 공급되는 용수 중 오버되는 용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용수공급관(51)은 용기(21)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용기(21)에 세척을 위한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용수공급관(5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용수배출구(53)가 형성되고, 전방 일부분은 개방된 개방구(5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구(53a)는 용수공급관(5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수공급관(51)의 전방부의 하단면과 측면일부분을 절취하여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용수공급관(51)의 측면에 일정한 높이까지 절취하여 개방시켜 개방구(53a)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구(53a)는 개방홀(53b)로 대체하기도 하는데, 상기 개방홀(53b)의 경우 하단면 일부분만을 천공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개방구(53a)를 형성하는 것은 소량의 용수를 이용하여 양변기를 세정하는 작업을 할 경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형성된 용수배출구(53)만으로는 용수를 배출하기 어려워 개방구(53a)를 따라 용수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구(53a)를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이유는 용수배출구(53)만을 이용할 시 용수공급관(5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용수배출구(53)로 용수가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직수형식의 용수공급 후 용기(21)에 잔존하는 봉수(내용물의 배출 후 일정량의 용수가 양변기의 용기에 잔존하도록 하는 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많은 양의 용수를 양변기 용기(21)의 앞쪽에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세정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용수를 선택적으로 집중 공급하여 용수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용수공급관(51)을 통하여 용기(21)에 공급되는 세척을 위한 용수는 몸체부(10)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달(41)을 가압하여 개폐부(40)를 구동시켜 용기(21)의 내부에 담겨지는 오수 및 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와 연동되는 용수조절부(60)를 동작시켜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관(52)은 용수저장탱크(54)에 담지되고 남는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에는 용수토출구(52a)가 형성되고, 그 단부가 용기(21)에 인접하도록 하여 오버플로 되는 용수가 용기(21)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간이화장실과 같은 야외에 설치시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때, 용수저장탱크(54)의 내부에 담겨지는 용수가 결비되어 부피가 팽창됨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외부공기가 오버플로관(52)을 통하여 흡기되어 용수저장탱크(54) 내부에 잔존하는 용수를 용기(21)에 공급하여 용수저장탱크(54)에 잔존하는 용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개폐부의 분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40)는 패달(41), 하부판(42), 개폐판(43) 상부판(44) 및 실링링(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 개폐판(43)이 위치하고, 상부판(44)의 상단부분에 실링링(45)이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43)의 하단부에 패달(41)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상기 패달(4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발로 가압할 수 있는 발판(41a)과 상기 발판(41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축(41b)과 상기 지지축(41b)과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42)은 상부면에 개폐판(43)이 결합되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폐판(43)의 두께만큼 결합홈(42c)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홀(4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판(42)은 상부판(44)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면 일측에 하부고정홀(42b)이 형성되고, 하부판(42)의 상측에 상부판(44)을 위치한 후 하부고정홀(42b)과 상부판(44)의 상부고정홀(44b)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42)의 상측에 결합되는 개폐판(43)은 하단부에 한쌍의 암(43a)이 형성되고, 상기 암(43a)이 형성된 일측면 반대측면에는 암(43a)과 연장되는 단속판(43b)이 형성된다.
상기 암(43a)은 개폐판(43)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2개의 암(43a)이 하단부가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암(43a)이 개폐판(43)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속판(43b)은 하부판(42)의 배출홀(42a)에 대응하여 용수 및 오물의 배출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며, 단속판(43b)의 상부면 일측면에는 하부판(42)에 형성된 하부판 테두리(42d)에 결합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쌍의 레일홈(43c)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42)과 대응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판(44)은 일측면에 배출홀(42a)이 형성되고, 하부판(42)의 하부고정홀(4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고정홀(44b)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44)의 배출홀(44a)의 상단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링(45)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링(45)은 용기(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상기 개폐판(43)이 결합될 때, 용수 및 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판(43)의 단속판(43b)은 하부판(42)의 결합홈(42c)에 위치하고, 단속판(43b)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레일홈(43c)은 하부판 테두리(42d)에 내삽되고, 상부판(44)은 하부판(42)의 상측으로 위치하여 하부고정홀(42b)과 상부고정홀(44b)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 개폐판(43)이 결합될 때,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개폐판(43)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판 테두리(42d)와 레일홈(43c)의 단속에 의해, 개폐판(43)의 이동거리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판(44)과 하부판(42)을 결합하게 되면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공간에 개폐판(43)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개폐판(43)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개폐판(43)은 평면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판(44)과 하부판(42)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44a,42a)을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판(43)이 배출홀(44a,42a)이 위치하는 곳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폐판(43)의 단속판(43b)이 배출홀(44a,42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a,42a)이 개방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단속판(43b)이 배출홀(44a,42a)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홀(44a,42a)이 폐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43)은 패달(41)에 의해 연동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패달(41)을 동작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개폐판(43)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판(43)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암(43a)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패달(41)의 크랭크암(41c)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내삽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한쌍의 암(43a)의 공간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달(41)은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패달(41)의 발판(41a)이 사용자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크랭크암(41c)도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암(41c)은 상측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a,42a)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개폐판(43)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가압한 압력이 제거되면 지지축(41b)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패달(41)의 발판(41a)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지지축(41b)을 중심으로 크랭크암(41c)이 하측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암(41c)과 연동되는 개폐판(43) 또한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a,42a)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조절부의 분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구성 중 용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 절수형 양변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용기(21)에 담지되는 용수 및 오물을 개폐부(40)의 동작에 의해 배출함과 동시에 용수조절부(60) 및 용수공급부(50)의 동작에 의해 직수로 용수를 용기(21)에 공급하여 세척하고, 용수저장탱크(54)에 저장된 일정량의 용수를 용기(21)에 다시 채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40)와 용수조절부(60) 및 용수공급부(50)는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패달(41)에 형성된 크랭크암(41c)의 일측에는 제1링크축(63a)이 더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축(63a)의 일측 단부는 크랭크암(41c)의 일측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용수조절부(60)에 결합되어 용수조절부(6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수조절부(60)는 지지프레임(61)과 상기 지지프레임(6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연결부재(62)와 상기 연결부재(6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링크축(63b)과, 상기 제2링크축(63b)에 의하여 동작되는 용수차단밸브(64)로 구성된다.
상기 용수차단밸브(64)는 상단부에 용수유출구(64a)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유출구(64a)의 하단부에는 용수유입구(64b)가 용수유출구(64a)와 같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수유입구(64b)에서 유입되는 용수가 용수유출구(64a)로 이동될 수 있도록 용수유입구(64b)와 용수유출구(64a)는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일측에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되고, 상기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된 반대방향의 일측면에 고정캡(66)이 결합되어 용수조절부재(65)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캡(66)에 의하여 고정된 용수조절부재(65)의 일측면에 회전부재(67)가 결합되고 반대측면에는 제2링크축(63b)이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축(63b)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67)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67)에 결속되어 있는 용수조절부재(65)도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용수조절부재(65)는 몸체의 일측면에 용수유입홀(65a)을 다수개 형성하여 회전부재(67)에 의하여 회전됨에 따라 용수유입구(64b)에서 유입되는 용수를 개폐 및 차단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타측에는 회전부재(67)와 결속될 수 있도록 결속구(65b)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67)는 일측에 용수조절부재(65)의 결속구(65b)가 내측으로 결합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67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링크축(63b)이 결합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게 되면, 크랭크암(41c)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41c)과 연결되는 제1링크축(63a)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2)의 일측에 연결된 제1링크축(63a)이 상기와 같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축(63a)의 수직방향에 연결되는 제2링크축(63b)이 연결부재(62)에 의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축(63b)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67)와 결속되어 있는 용수조절부재(65)가 함께 회동되고, 용수유입구(64b)로부터 용수가 유입되어 용수유출구(64a)를 통해 용수저장탱크 및 용수공급관(5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수공급관(51)에 용수가 공급되면,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형성된 용수배출구(53) 및 개방구(53a)를 통하여 용기(21)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패달(41)의 동작과 함께, 개폐판(43)도 동작하게 되며, 배출홀(44a,42a)이 개방되어, 용기의 내측에 담지되어 있던 용수 및 오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되어 있던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하고 나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었던 패달(41)에서 발을 이격시키면 압력이 제거되며, 패달(41)이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되는 개폐판(43)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홀(44a,42a)이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홀(44a,42a)이 폐쇄됨과 동시에 용수공급부(50)에 공급되는 용수도 단속되고, 용수저장탱크(54)에 잔존하는 일정량의 용수가 용기(21)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23)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등을 방지하는 봉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풋패달을 이용하고,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용수 및 오물을 담지할 수 있는 보울형상의 용기(21)를 구비하는 용기부(20) 및 상기 용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상의 변기 뚜껑 및 시트가 구비되는 커버부(30)로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용기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패달(41)과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판(43)과 상기 하판(42)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44)으로 구성되는 개폐부(40); 및
    상기 용기부(20)의 용기(21)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용수공급관(5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수저장탱크(54)와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하단 일측면에 연결되는 용수파이프(55)가 구성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제어하기 위한 용수차단밸브(64)와 상기 용수차단밸브(64)의 또다른 일측에 개폐부(40)의 패달(41)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링크축(63a)과 제2링크축(63b)으로 이루어진 용수조절부(60);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개폐부(40)의 패달(41)을 가압하면, 이와 연동하여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여 용기(21)의 내측에 담지된 용수 및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1링크축(63a), 제2링크축(63b)과 결합되어 있는 용수조절부(60)가 동작하여 용기(21)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 상부판(44)의 상측에는 용기부(20)와 결합되어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될 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링(4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5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고, 용기(21)에서 오물 및 용수가 배출된 후, 용기(21)에 용수를 재공급하여 봉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저장탱크(5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50)의 전방일부분은 개방된 개방구(53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용수배출구(53)가 형성되며, 후면부 조인트(51a)와 인접한 곳에 대구경용수배출구(53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53a)는 용수공급관(51)의 전방부 하단면 일부분만을 용수공급관(5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형태로 형성되는 개방홀(53b)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배출구(53) 및 대구경용수배출구(53c)는 일측폭이 타측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서 용수공급관(5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용수공급관(51)에 공급되는 용수가 용수배출구(53)와 대구경용수배출구(53c)의 개방된 부분에 오랜시간동안 접하도록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탱크(54)의 측면 상단부에는 용수저장탱크(54)에 잔존하는 용수의 동결 등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양변기 용기(21)에 세정이 완료된 후 봉수를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외부공기가 흡기되도록 하며, 직수형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 및 오버되는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관(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달(4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발로 가압할 수 있는 발판(41a)과 상기 발판(41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축(41b)과 상기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달(41)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부판(42)은 상부면에 개폐판(43)이 결합되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폐판(43)의 두께만큼 결합홈(42c)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홀(42a)이 형성되며, 상부면 일측에는 상부판(44)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홀(42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개폐판(43)은 하단부에 한쌍의 암(43a)이 형성되고, 상기 암(43a)이 형성된 일측면 반대측면에는 암(43a)과 연장되어 용수 및 오수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판(43b)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판(43b)의 상부면 일측면에는 하부판(42)에 형성된 하부판 테두리(42d)에 결합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쌍의 레일홈(43c)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42)과 대응하며 개폐판(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판(44)은 일측면에 또 다른 배출홀(44a)이 형성되고, 하부판(42)의 하부고정홀(4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고정홀(44b)이 형성되며, 상기 패달(41)의 발판(41a)을 사용자가 발로 가압하면 지지축(41b)과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암(41c)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41c)을 내삽하고 있는 한쌍의 암(43a)이 형성된 개폐판(43)이 직선이동하며, 하부판(42)의 배출홀(42a)과 상부판(44)의 배출홀(44a)을 개방하여 용수 및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3)의 단속판(43b)은 하부판(42)의 결합홈(42c)에 위치하고, 상기 단속판(43b)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레일홈(43c)은 하부판 테두리(42d)에 내삽되며, 하부판(42)과 상부판(44)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판(43)은 패달(41)에 의해 직선이동할 때, 하부판 테두리(42d)와 레일홈(43c)의 단속에 의해 그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차단밸브(64)는 상측에 용수유출구(64a)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유출구(64a)의 하측에는 용수유입구(64b)가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는 용수유입구(64b)에서 유입되는 용수를 몸체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 및 차단할 수 있는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되고, 상기 용수조절부재(65)가 내삽된 반대방향의 일측면에 고정캡(66)이 결합되어 용수조절부재(65)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캡(66)에 의하여 고정된 용수조절부재(65)의 일측면에 회전부재(67)가 결합되고, 반대측면에는 제2링크축(63b)이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축(63b)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67)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67)에 결속되어 있는 용수조절부재(65)가 회전되어 용수가 개폐 및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PCT/KR2014/009266 2014-02-13 2014-10-01 절수형 양변기 WO20151225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674 2014-02-13
KR1020140016674A KR101393135B1 (ko) 2014-02-13 2014-02-13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589A1 true WO2015122589A1 (ko) 2015-08-20

Family

ID=5089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266 WO2015122589A1 (ko) 2014-02-13 2014-10-01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3135B1 (ko)
WO (1) WO20151225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738A (zh) * 2019-06-04 2019-09-20 武汉理工大学 一种蹲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275B1 (ko) * 2017-04-03 2017-10-1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잠수함용 좌변기
KR101970460B1 (ko) * 2018-04-17 2019-04-19 (주)종합해사 절수형 변기
KR101905859B1 (ko) * 2018-05-25 2018-10-08 김별 수직트랩 양변기
KR102195119B1 (ko) * 2020-03-06 2020-12-24 신동화 발로 작동하는 직수 양변기용 절수형 무전원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294B2 (ja) * 1988-07-09 1994-08-31 株式会社木村技研 ペツト用水洗便所
JP2000102495A (ja) * 1998-09-29 2000-04-11 Notsu Unso Kk 便 器
US20080047053A1 (en) * 2002-11-30 2008-02-28 Thetford Corporation Reduced Water Consumption Flush Toilet
KR101306047B1 (ko) * 2013-05-06 2013-09-09 이승재 절수형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23B2 (ko) 1973-08-28 1976-04-01
US4974264A (en) 1989-03-20 1990-12-04 Michael Brian Manually operated vacuum flush water closet
KR200374754Y1 (ko) 2004-11-18 2005-02-04 구충서 개량 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294B2 (ja) * 1988-07-09 1994-08-31 株式会社木村技研 ペツト用水洗便所
JP2000102495A (ja) * 1998-09-29 2000-04-11 Notsu Unso Kk 便 器
US20080047053A1 (en) * 2002-11-30 2008-02-28 Thetford Corporation Reduced Water Consumption Flush Toilet
KR101306047B1 (ko) * 2013-05-06 2013-09-09 이승재 절수형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738A (zh) * 2019-06-04 2019-09-20 武汉理工大学 一种蹲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135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2589A1 (ko) 절수형 양변기
WO2017146366A1 (ko)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WO2010128813A2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5160095A1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6153291A1 (en) Wafer storage container
WO2017014575A1 (en) Dishwasher
WO2019190112A1 (ko)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WO2017034197A1 (ko) 세탁기
WO2020213801A1 (ko)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21002675A1 (ko) 공기청정기
WO2016080697A1 (ko) 물저장탱크용 블래더와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및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WO2017039291A1 (en) Robot cleaner
WO2020080684A1 (ko) 구동 모터 방수 기능을 갖는 유량 조절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가 적용된 비데 장치
WO2013065952A1 (ko) 화장품 용기
WO2022050573A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WO2020189881A1 (ko) 평평한 하부면을 갖는 비데 본체
WO2019093843A1 (ko)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WO2020246656A1 (ko) 배관고정부재
WO2020122630A1 (en) Dishwasher
WO2011059168A2 (ko) 필터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필터어셈블리
WO2020096136A1 (ko) 케미컬 필터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WO2022019717A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WO2021256741A1 (ko) 비데
WO2009116826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2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2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