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2675A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2675A1
WO2021002675A1 PCT/KR2020/008599 KR2020008599W WO2021002675A1 WO 2021002675 A1 WO2021002675 A1 WO 2021002675A1 KR 2020008599 W KR2020008599 W KR 2020008599W WO 2021002675 A1 WO2021002675 A1 WO 20210026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flow path
ai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5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준형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48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051575B/zh
Priority to JP2021577594A priority patent/JP2022540354A/ja
Priority to US17/618,800 priority patent/US20220235954A1/en
Publication of WO20210026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26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capable of selectively discharging purified air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turns it into fresh air. It passes the introduced air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to remove dust and bacteria and remove odors.
  • a general air purifier includes a blower fan (blowing unit) that inhales the air to be purified,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purifies the air,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hrough a single outlet located on the front or top of the housing. .
  • blower fan blower fan
  •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purifies the air
  • an air purifier has been proposed that provides discharge ports on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a housing, and selectively discharges air through som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atent Publication No. 2017-0066025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rectangle in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outlet or the second outlet in the Sungpung fan,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is rotated around a horizontal axis. By parti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ross-sectional flow path, air flow to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formed.
  • the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nd the design of the housing.
  • the air purifier since the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rotates over a range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around an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 portion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is large,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nd the discharge port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space to do so.
  •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turns it into fresh air. It passes the introduced air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to remove dust and bacteria and remove odors.
  • a general air purifier includes a blower fan (blowing unit) that inhales the air to be purified,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purifies the air,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hrough a single outlet located on the front or top of the housing. .
  • blower fan blower fan
  •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purifies the air
  • an air purifier has been proposed that provides discharge ports on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a housing, and selectively discharges air through som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atent Publication No. 2017-0066025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rectangle in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outlet or the second outlet in the Sungpung fan,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is rotated around a horizontal axis. By parti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ross-sectional flow path, air flow to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formed.
  • the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nd the design of the housing.
  • the air purifier since the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rotates over a range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around an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 portion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is large,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nd the discharge port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space to do so.
  • Patent Document 1 KR2017-0066025 A (published on June 14, 201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a discharge port portion and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purified ai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through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after passing through a ring-shaped air flow path. To do.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s while simultaneously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s.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capable of implementing a shape of a discharge port and a design of a housing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by allowing the purified air to pass through a ring-shaped air channel. The purpos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 inhaling air,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in a second direction; An ai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 blower for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flows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for switching a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wherei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includes: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An elevating member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part opened to flow in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a blocking part blocking flow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mov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 the housing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is introduced, a discharge port side housing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re formed, and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includes the inlet port
  •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formed base member and a cover member provided above the base member and having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formed therein.
  • the opening/closing member may slid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slid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mber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wherein the opening/closing member slide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s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rotates by driving of the driving member. You can move.
  • 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driving motor and a driving gear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body part, a driven gear part formed on the body pa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driving gear part, and the An arc-shaped guide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n gear portion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ormed in a plurality
  • the arc-shaped guide groove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are radially outer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Or it can slide inward at the same tim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guided by the arc-shaped guide groove and a second protrusion guided by a linear guide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memb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may be slidably mov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 the inlet has a ring shape
  •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elevating member
  •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surrounds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Can be formed.
  • the base member includes an inclined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s the body portion rotates, guided by the inclined guide portion to have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slope to elevate. I can.
  •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may be guided by an elevation guid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member.
  •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flow path separation unit that divides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 the base member, the air purifier having a seating portion in the center for seat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the inlet is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the seating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 inhaling air,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in a second direction;
  • An ai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 a blower for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flows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for switching a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wherei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comprises: the flow passage changing member from the blowing part An elevating member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part opened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located below the inlet flows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nd a blocking part blocking the flow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 an opening/closing member mov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wherein the inlet has a ring
  • the purified ai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fter passing through the ring-shaped air flow path.
  •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design of the housing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by allowing the purified air to pass through the ring-shaped air flow path.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by separating the housing on the discharge port side.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shown in FIG. 3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ccommodated therein from an upward direc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shown in FIG. 4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accommodated therein from a lower direc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shown in FIG. 4 from an upward direc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shown in FIG. 5 from a downward direc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s expanded i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shown in FIG. 6 from an upward direc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shown in FIG. 8 from a downward direction.
  • FIG.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a first discharge port (top discharge port), and FIG. 11 is a second discharge port (front/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separated from the air purifier 10 shown in FIG. 4, and FIG. 4 is a disassembled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shown in FIG. 3 and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accommodated therei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from the upper direc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accommodated therein shown in FIG. 4 from the lower direc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shown in FIG. 4 from an upward direc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shown in FIG. 5 from a lower direc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21 i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shown in FIG. 6 from an upward direction
  • FIG. 9 is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shown in FIG.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a first discharge port (upper discharge port) A51
  • FIG.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s (front/side discharge ports) A52.
  • the air purifier 10 includes a housing (H) forming the exterior of a product, an air purification filter 20 that filters and purifies air, and a blowing force.
  • a control unit 50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30 providing a flow path and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for switching a flow path, and a control unit 40 that is operated by a user and controls the air purifier 10 It may further include.
  • the housing (H)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product of the air purifier 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inlet (A1) for inhaling external air and the housing (H) are processed in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A5)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5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port A51 for discharging ai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scharge port A52 for discharging air in a second direction.
  •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H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H
  •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is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H.
  •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1, and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flow path structure or required discharge performance. .
  • the housing H is a suction port side housing 150 having a suction port A1, a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ease of manufacturing the housing body and assembly of parts.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manufactured by being separated into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in which the A52 is formed and then assembled with each other.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is provided in the housing (H) is configured to filter (purif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1), as an example, in the air flow path at the rear end of the inlet (A1). Can be placed.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lowing unit 30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1 is filter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blowing unit 30.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flow path at the rear end of the inlet A1.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may be formed of a three-dimensional filter having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having a space therein.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may be selected from known filters having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and the type, number, and shape of the filters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leaning function and the shape of the flow path.
  • the blowing unit 30 provides a blowing for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A1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the blower 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fan and a fan motor, as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10, and has a fan casing to supply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1 to the outlet A5. You may.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20 is formed of a three-dimensional filter having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space formed therein, a turbo fan or an axial fan may be used as a fan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30 is supplied to the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00 through an inlet A2 located below the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00 (a front end of the flow path conversion member on the air flow path), and The member 200 may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by changing the flow path.
  •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blower 3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so that the air from the blower 3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t least one of A52) should be discharged.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is a flow path such that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or discharged through bot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Can be configured to switch.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a ratio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whether air is to be discharged through any of the discharge ports A51 and A52 among the discharge ports A5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but may be performed by a user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40.
  •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port side housing (150 in FIG. 1), and the inlet port A2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unit 30 is introduced,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A discharge port A52 may be provided.
  •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includes a base member 130 having an inlet A2 formed thereon, and a cover member 11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member 130. ) Can be provided.
  • the air from the inlet A2 flows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n FIGS. 10 and 11) and the air from the inlet A2 are provided with the second discharge port.
  • a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n FIGS. 10 and 11) flowing toward A52) may be formed.
  • the cover member 110 is disposed outside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to divide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to separate the flow path.
  • the cover member 110 shown in FIGS. 4 and 5 shows a configuration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members: a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 side cover part 115, and an upper cover part 111.
  •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cover member 110 can be variously changed.
  • the cover member 110 may be formed by dividing into two or four or more members, or may be formed in an integral structure.
  • the upper cover part 111 has a first discharge port A51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cover part 111a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driving member ( 240) is configured to cover the installed part.
  •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is located under the upper cover part 111 and divides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as shown in FIGS. 10 and 11. Is done.
  •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113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first discharge port-side flow path A3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 wall portion 113a
  • a second discharge port-side flow path A4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portion 113a.
  • the side wall part 113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so as to close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formed on the side of the lifting member 210 to be described later.
  • a side cover part 115 may be provided below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 the side cover part 115 is coupled to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nd a second discharge port A52 may be formed between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nd the side cover part 115.
  •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115a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nd the side cover part 115.
  •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may be configured as a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extension bars 115a.
  • the extension bar 115a is shown to be formed on the side cover portion 115, but may be formed on the flow path separation portion 113.
  • the side cover portion 115 has an opening 115c through which air flows in the cent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rrounding the opening 115c corresponds to a side surface of the air passage formed inside the housing H. 10 and 11, a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rrounding the opening 115c of the side cover part 115 and the sidewall part 113a of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 Accordingly, when air flow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is block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rrounding the opening 115c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locking portion 215 of the lifting member 21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ide cover part 115 may include a discharge limiting part 115b that partially blocks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so that air is discharged only through a part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discharge port side housing 100.
  • the discharge limiting part 115b is configured to block about half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so th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H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corresponding to.
  • the discharge limiting part 115b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ide cover part 115, a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limiting part 115b may be fitted into a mounting groove 113c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have.
  • the base member 130 includes a base portion 131 and a side guide portion 135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31 and forms an air passage therein together with the side cover portion 115. I can.
  • the base portion 131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31a in the center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 a ring-shaped inlet A2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shaft portion 131a.
  • the seating portion 131a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body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31 through a support bar 131b.
  • the inlet A2 may have a circular or angular ring shape.
  • the inlet A2 is shown to have a circular ring shape, but the shape of the inlet A2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polygonal ring shape (eg, a polygon such as a quadrangle). It is also possible.
  • the upper side of the side guide part 13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cover part 115 to form an air passage therein,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guide part 135 is It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31.
  • the opening 135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ide guide part 135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oves up and down,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ischarge flow path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vating member 21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a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and a driving member 240, and The cap member 2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mission member 230.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entirely within the housing (H).
  • the lifting member 210 includes a lifting body 211 and a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opened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30 through the inlet A2 flows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Wow, it may have a blocking portion 215 that blocks the flow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s formed inside the lifting body 21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surrounds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t is formed on the outside.
  • the lifting member 210 has a lower surface part 21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part 214.
  •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djacen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part 214, and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be.
  • the blocking portion 215 of the lifting member 21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low path separation portion 113 and the side cover portion 115 so that the air from the inlet port A2 flows into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t blocks the flow.
  • the blocking portion 215 may be formed extending radially outwar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body 211.
  • the lifting member 210 of the lifting body 211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A2 from the blower 30 as well as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flows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213 formed through the side portion.
  •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may be formed of an opening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212 on the side of the lifting body 211.
  •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wall part 113a of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may be closed when it contacts the sidewall part 113a of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 it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by sli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that is, inward a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210 and the upp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S. 4 to 11.
  •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is shown for an embodiment of closing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at a radially outer position (extended position), but by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is formed It may be changed to open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t the outer position (extended position).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so as to be slidable inward a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2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 216) is opened and closed.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240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for moving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and/or lifting the lifting member 210.
  • the driving member 2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241 and a driving gear part 242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41, and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and/or the lifting member 210 It provides driving force for lifting.
  • the driving member 240 may be fixed to the motor mounting portion 219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210 and configured to lift together with the lifting member 210.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mber 240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 Such a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opens and clos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ody part 231 and the driven gear part 232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driving gear part 242 of the driving member 240, and the driven gear part 232 It may be provided with an arc-shaped guide groove 233 formed in the body portion 231 to be transmitted to the member 220.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body 221.
  • a first protrusion 222 guided by an arc-shaped guide groove 233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body 221.
  • a second protrusion 223 guided by a linear guide groove 217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210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21.
  •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20, and the first protrusion 222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may be inserted into each arc-shaped guide groove 233.
  • the first protrusion 222 may pass through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and be guided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lower guide groove 13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31 of the base member 130.
  • the first protrusion 22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penetrates through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limited by the lower guide groove 133, and/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limited to the linear guide groove 2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210. Therefor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rotates, the first protrusion 222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is guided by an arc-shaped guide groove 233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31 is increased.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moves linearly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linear arrows in FIGS. 6 and 9) of the elevating member 210. Thereby,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can close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of the lifting member 210.
  • the driving gear part 242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described above,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moves in the radial direction inward of the lifting member 210, and accordingly,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is opened. Become a state.
  •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gear part 242 is determined. It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6 can be adjusted.
  •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unit 242 and the driven gear unit 232 )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lide outward or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has a space between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an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31. 231) may form an arc shape that is larger in the outer portion than in the inner portion.
  • the cap member 2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the cap body 251 of the cap member 250,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elevating guide member (G)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 252) can be formed.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entirely within the housing H, particularly the discharge-side housing 100.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may be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131 of the base member 130 to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 the base portion 131 of the base member 130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side housing 100 may include an inclined guide portion 132 having an inclination to guide the elevation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34 in FIGS. 7 and 9) having a slop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guide portion 132 so as to be guided by the inclined guide portion 132 to elevate and descend. have.
  • an elevating guide member (G in FIGS. 4, 5, 10 and 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110 and the base member 130.
  • the elevating guide member (G) is fixed to the cover member 110 and the base member 130 by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252 of the cap member 250 and the through hole (not provided with reference numeral) of the elevating member 21 Can be installed.
  •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fting of the lifting member 210 and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is located at a radially outer position (extended position) of the elevating member 21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is raised as a whole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210 is in the raised position of FIG. Will be located.
  •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contacts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to close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and accordingly, the inlet A2 and the lifting member 210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side flow path A3 formed inside is not made.
  • the blocking portion 215 when the lifting member 210 is located in the raised position, the blocking portion 215 is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 cover portion 115, and the flow path separation portion 113 and the side cover portion The space between 115 is opened. Accordingly,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may be opened, and discharg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is located at a radially inner position (reduced position) of the elevating member 21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descends as a whole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210 is in the descending position of FIG. Will be located.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6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6 is in an open state, and accordingly, inside the inlet A2 and the elevating member 210 Communication may be made between the formed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discharg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 the blocking unit 215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and the side cover unit 115, so that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 And the space between the side cover portion 115 is closed. Accordingly,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ort A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s not made.
  • the lifting member 210 of the lifting body 211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A2 from the blower 30 as well as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flows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213 formed through the side portion.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is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at the raised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and the expanded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the outer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It is closed in contact with 2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213 is closed in contact with the flow path separation portion 113. Accordingly,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is not made between the inlet port A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t the raised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 the blocking portion 215 is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 cover portion 115 to open a space between the flow path separation portion 113 and the side cover portion 115, thereby Accordingly,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s opened, and discharg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216 in the lowered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is opened without cont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and also the second communication The part 213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nd has an open state. Accordingly, communication is made between the inlet A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and discharge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when the lifting member 210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the blocking unit 215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and the side cover unit 115, so that the flow path separation unit 113 and the side cover unit 115 )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m. Accordingly,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ort A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s not made.
  •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are partially opened, and therefore,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It can all be done.
  •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nd/or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according to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member 210 according to the driving angle of the driving member 240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open and the degree of open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of the lifting member 210 are in an open state. A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r from the inlet A2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 the arrow on the left in FIG. 10 indicates a state in which air from the inlet A2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Shows.
  • the arrow on the right in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air from the inlet A2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 the limiting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passage separating portion 113 and the side cover portion 115, so that the passage separating portion 113 and the side cover portion ( 115) is closed, and thu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ort A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is blocked, so that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is not performed.
  • the driving gear part 242 and the driven gear part 232 meshing therewith are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241. It rotates, and accordingly,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rotates as a whol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0 has a first protrusion 22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rough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and is formed in a linear direction by a lower guide groove 13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31 of the base member 130.
  • the rotational motion is limited by being guided to, and/or the second protrusion 2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guided in a linear direction by a linear guide groove 2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210 to limit the rotational motion.
  • the arc-shaped guide groove 233 has a shape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31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20 simultaneously mov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S. 8, 9 and 11,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216 is closed. In the state of FIG. 11, air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is restricted.
  • the body portion 231 and the inclined portion 234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230 also rotate, and accordingly, the inclination of the fixedly installed base member 130
  • the inclined part 234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part 132.
  •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200 also moves upward as a whole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lifting guide member G.
  • the blocking portion 215 of the elevating member 210 moves upward 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cover portion 115. Accordingly, the space between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nd the side cover part 115 is opened so that the inlet A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air from the inlet A2 is The discharge is made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via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213 of the lifting member 210 moves up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part (113a of FIGS. 4 and 5) of the flow path separation part 113. Accordingly,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A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as well a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6 and the flow path A3 on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is not establishe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Is not done.
  • the opening/closing member 220 It is located radially inside the lifting member 210 and the lifting member 210 may be located in a descending position.
  • the lifting member 210 may be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lowering position of FIG. 10 and the raising position of FIG. 11.
  • the supply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3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side flow path A4 You can also adjust the amount of air produc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51 and the discharg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A52.
  • cover member 111. upper cover part, 111a... cover part

Abstract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A1)와, 공기를 제1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A51)와, 제2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A52)가 형성된 하우징(H);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A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20); 상기 흡입구(A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A51)와 상기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30); 및 상기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A51)와 상기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토출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부재(200)는, 상기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제1 연통부(216)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215)를 갖는 승강부재(210); 및 상기 제1 연통부(2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220);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210)의 승강 및 개폐부재(220)의 이동에 의해 제1 토출구측 유로(A3)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A4)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된 공기를 복수 개의 토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유입된 공기를 공기정화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정화할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송풍부)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필터 등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전면 또는 상면에 위치한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에 각각 토출구를 설치하고, 복수의 토출구 중 일부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공기청정기가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66025호에는 하우징에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를 설치하고, 송풍팬에 의해 토출하는 공기를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다.
전술한 특허공개 제2017-0066025호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숭풍팬에서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직사각형과 유사한 단면구조를 가지며, 유로전환부재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켜 이러한 직사각형 단면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로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기청정기는 유로전환부재가 직사각형 단면의 유로를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유로전환부재에 연결되는 토출구의 형상 및 하우징의 디자인에 제약이 많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공기청정기는 유로전환부재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대략 180도 범위에 걸쳐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토출구 부분과 유로전환부재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유로전환부재와 토출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유입된 공기를 공기정화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정화할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송풍부)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필터 등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전면 또는 상면에 위치한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에 각각 토출구를 설치하고, 복수의 토출구 중 일부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공기청정기가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66025호에는 하우징에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를 설치하고, 송풍팬에 의해 토출하는 공기를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다.
전술한 특허공개 제2017-0066025호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숭풍팬에서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직사각형과 유사한 단면구조를 가지며, 유로전환부재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켜 이러한 직사각형 단면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로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기청정기는 유로전환부재가 직사각형 단면의 유로를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유로전환부재에 연결되는 토출구의 형상 및 하우징의 디자인에 제약이 많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공기청정기는 유로전환부재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대략 180도 범위에 걸쳐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토출구 부분과 유로전환부재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유로전환부재와 토출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KR2017-0066025 A (2017.06.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토출구 부분과 유로전환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화된 공기가 링 형상의 공기유로를 거친 후 유로전환부재를 통해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화된 공기가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동시에 토출됨과 동시에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화된 공기가 링 형상의 공기유로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형상 및 하우징의 디자인을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와는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공기를 제1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와, 제2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토출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제1 연통부와, 제2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갖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1 연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및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구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측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연통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호형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호형가이드홈은 복수 개의 상기 개폐부재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호형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선형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와 동력전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링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유로전환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된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승강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를 구획하는 유로분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중앙에 상기 유로전환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상기 유입구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공기를 제1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와, 제2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토출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상기 유로전환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제1 연통부와, 제2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갖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1 연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는 링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및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제2 토출구측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구 부분과 유로전환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된 공기가 링 형상의 공기유로를 거친 후 유로전환부재를 통해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된 공기가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동시에 토출됨과 동시에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된 공기가 링 형상의 공기유로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형상 및 하우징의 디자인을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와는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토출구측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출구측 하우징 및 그 안에 수용된 유로전환부재를 분해하여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출구측 하우징 및 그 안에 수용된 유로전환부재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를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에서 개폐몸체가 확장된 상태를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I-I'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로서, 도 10은 제1 토출구(상면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토출구(전면/측면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0)에서 토출구측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출구측 하우징(100) 및 그 안에 수용된 유로전환부재(200)를 분해하여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출구측 하우징(100) 및 그 안에 수용된 유로전환부재(200)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200)를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200)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200)에서 개폐몸체(221)가 확장된 상태를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유로전환부재(200)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0은 제1 토출구(상면토출구)(A51)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토출구(전면/측면토출구)(A52)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는,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 공기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20),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30) 및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40)와, 공기청정기(10)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H)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게 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A1)와, 하우징(H)의 내부에서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A5)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구(A5)는 공기를 제1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A51)와 제2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A52)를 포함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출구(A51)는 하우징(H)의 상면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H)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토출구(A52)는 하우징(H)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일부의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H)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토출구(A51) 및 제2 토출구(A52)의 형상 및 설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의 유로구조나 요구되는 토출성능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H)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 제작의 용이성, 부품의 조립성 등을 위하여 흡입구(A1)가 형성된 흡입구측 하우징(150)과 제1 토출구(A51) 및 제2 토출구(A52)가 형성된 토출구측 하우징(100)으로 분리하여 제작된 후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정화필터(20)는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구(A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정화)하도록 구성되며, 일 예로서 흡입구(A1) 후단의 공기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20)는 흡입구(A1)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필터(20)에서 여과된 후 송풍부(30)에 유입되도록 송풍부(3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필터(20)는 흡입구(A1) 후단의 공기유로의 형상 및 단면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A1)가 하우징(H)의 여러면에 걸쳐 형성된 경우 공기정화필터(20)는 원형이나 각형 단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형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20)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공지의 필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필터의 종류와 개수, 형태 등은 요구되는 청정기능, 유로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송풍부(30)는 흡입구(A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송풍부(30)는 통상의 공기청정기(10)와 마찬가지로 송풍팬과 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흡입구(A1)에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A5) 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팬케이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공기정화필터(20)가 원형이나 각형 단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형 필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팬모터로서 터보팬이나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송풍부(30)에서 송풍된 공기는 유로전환부재(200)의 하측(공기 유로상 유로전환부재의 전단)에 위치한 유입구(A2)를 통해 유로전환부재(200)로 공급되며, 유로전환부재(200)의 유로전환에 의해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송풍부(30)와 유로전환부재(2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송풍부(30)로부터의 공기가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로전환부재(200)는 공기가 제1 토출구(A51)를 통해 토출되거나 제2 토출구(A52)를 통해 토출되거나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 모두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다. 유로전환부재(200)는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토출구(A5) 중에서 어느 토출구(A51, A5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것인지 여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토출구측 하우징(100) 및 유로전환부재(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토출구측 하우징(100)은 흡입구측 하우징(도 1의 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A2), 제1 토출구(A51) 및 제2 토출구(A5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구측 하우징(100)은 유입구(A2)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30)와, 베이스부재(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버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에는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가 제1 토출구(A51) 측으로 유동하는 제1 토출구측 유로(도 10 및 도 11의 A3)와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가 제2 토출구(A52) 측으로 유동하는 제2 토출구측 유로(도 10 및 도 11의 A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A3)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를 구획하는 유로분리부(113)와, 상기 유로분리부(1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로분리부(113)와의 사이에 제2 토출구측 유로(A4)를 형성하는 측면커버부(115)와, 상기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토출구(A51)가 형성된 상측커버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커버부재(110)는 유로분리부(113), 측면커버부(115), 상측커버부(111)의 3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커버부재(110)의 분할 구조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10)를 2개 또는 4개 이상의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하거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측커버부(111)는 상면을 관통하여 제1 토출구(A51)가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는 덮개부(111a)가 설치되어 구동부재(240)가 설치된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로분리부(113)는 상측커버부(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구측 유로(A3)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를 구획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유로분리부(1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측벽부(113a)의 내측에는 제1 토출구측 유로(A3)가 형성되고, 측벽부(113a)의 외측 둘레에는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부(113a)는 후술하는 승강부재(21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연통부(213)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2 연통부(21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로분리부(113)의 중앙에는 개구부(113d)가 형성되므로 제1 토출구측 유로(A3)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1 토출구(A5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유로분리부(113)의 하측에는 측면커버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115)는 유로분리부(113)와 결합되며,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의 사이에는 제2 토출구(A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바(115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토출구(A52)는 연장바(115a)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연장바(115a)가 측면커버부(115)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유로분리부(113)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측면커버부(115)는 중앙에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115c)가 형성되며, 개구부(115c)를 둘러싸는 내주면은 하우징(H)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의 측면에 대응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측면커버부(115)의 개구부(115c)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유로분리부(113)의 측벽부(113a) 사이에는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토출구(A52)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는 경우 개구부(115c)를 둘러싸는 내주면은 후술하는 승강부재(210)의 차단부(215)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부(115)는 토출구측 하우징(100)의 전후좌우 중 일부분을 통해서만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제2 토출구(A52)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토출제한부(115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제한부(115b)는 제2 토출구(A52)의 절반 정도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H)의 전면과 좌우측면 중 전면에 인접한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토출구(A52) 부분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제한부(115b)의 구성을 통하여 공기의 토출이 필요한 영역에 집중적으로(강한 송풍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제한부(115b)는 측면커버부(115)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토출제한부(115b)의 상단은 유로분리부(113)의 하면에 형성된 장착홈(113c)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우징(H)의 전후좌우면 모두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경우 전술한 토출제한부(115b)를 설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베이스부재(130)는 베이스부(131)와, 상기 베이스부(1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측면커버부(115)와 함께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측면가이드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31)는 중앙에 후술하는 유로전환부재(200)의 동력전달부재(230)가 안착되는 안착부(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축부(131a)의 둘레에는 링 형상의 유입구(A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A2)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착부(131a)는 베이스부(131)의 외측 몸체 부분에 지지바(131b)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A2)는 원형 또는 각형의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유입구(A2)가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유입구(A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형(예를 들어,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링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가이드부(135)의 상측은 측면커버부(115)의 하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며, 측면가이드부(135)의 하측은 베이스부(131)에 결합된다.
또한, 측면가이드부(135)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35a)는 유로전환부재(200)가 승강하는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유로전환부재(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유로전환부재(200)는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A51)와 제2 토출구(A52)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토출 유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부재(200)는 승강부재(210), 개폐부재(220), 동력전달부재(230) 및 구동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230)의 하측에는 캡부재(2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재(200)는 하우징(H)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10)는 승강몸체(211)와, 송풍부(30)로부터 유입구(A2)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제1 연통부(216)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215)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구측 유로(A3)는 승강몸체(211)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2 토출구측 유로(A4)는 제1 토출구측 유로(A3)를 둘러싸는 형태로 승강몸체(211)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승강부재(210)는 승강몸체(211)의 하면에 하면부(214)가 형성되며, 제1 연통부(216)는 하면부(214)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부(21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214)의 둘레에 인접하여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개폐부재(2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부재(210)의 차단부(215)는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가 제2 토출구측 유로(A4)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부(215)는 승강몸체(211)의 상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부재(210)는 제1 연통부(216)뿐만 아니라 송풍부(30)로부터 유입구(A2)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유동하도록 승강몸체(211)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제2 연통부(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부(213)는 승강몸체(211)의 측부에 복수의 연결바(212)를 통해 형성된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통부(213)는 유로분리부(113)의 측벽부(113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통부(213)는 유로분리부(113)의 측벽부(113a)와 접촉하는 경우 폐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부재(220)는 제1 연통부(2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으로, 즉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연통부(216)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220)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의 하측과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2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통부(216)의 개폐가 가능하다면 그 설치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개폐부재(220)는 반경방향 외측 위치(확장위치)에서 제1 연통부(216)를 폐쇄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제1 연통부(216)가 형성된 위치를 변경하여 반경방향 외측 위치(확장위치)에서 제1 연통부(216)를 개방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구동부재(24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연통부(216)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전환부재(200)는 개폐부재(220)의 이동 및/또는 승강부재(210)의 승강을 위하여 구동부재(240)와 동력전달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240)는 구동모터(241)와, 상기 구동모터(241)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폐부재(220)의 이동 및/또는 승강부재(21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재(240)는 승강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모터장착부(219)에 고정되어 승강부재(210)와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230)는 구동부재(240)의 구동력을 개폐부재(220)에 전달하게 되며, 개폐부재(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230)는, 몸체부(231)와, 구동부재(240)의 구동기어부(242)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부(232)와, 상기 종동기어부(232)의 회전력을 개폐부재(220)에 전달하도록 몸체부(231)에 형성된 호형가이드홈(23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220)는 개폐몸체(221)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몸체(221)의 하면에는 호형가이드홈(233)에 의해 안내되는 제1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몸체(221)의 상면에는 승강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선형가이드홈(217)에 의해 안내되는 제2 돌기(2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형가이드홈(233)는 복수 개의 개폐부재(220)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호형가이드홈(233)에는 개폐부재(220)의 제1 돌기(22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222)는 호형가이드홈(233)을 관통하여 베이스부재(130)의 베이스부(131)의 상면에 형성된 하측가이드홈(133)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240)의 구동기어부(242)가 회전하는 경우, 구동기어부(242)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부(23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30)가 전체적으로 일측 방향(도 9의 곡선 화살표)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개폐부재(220)의 제1 돌기(222)가 호형가이드홈(233)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개폐부재(22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돌기(222)는 호형가이드홈(233)을 관통하여 하측가이드홈(133)에 의해 회전운동이 제한되므로, 그리고/또는 개폐부재(220)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돌기(223)가 승강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선형가이드홈(217)에 회전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230)가 회전하는 경우, 개폐부재(220)의 제1 돌기(222)는 몸체부(231)의 중심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을 갖는 호형가이드홈(233)에 의해 안내되고,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외측 방향(도 6 및 도 9의 직선 화살표)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20)의 개폐몸체(221)는 승강부재(210)의 제1 연통부(216)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기어부(242)를 전술한 것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220)가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연통부(216)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호형가이드홈(233)의 호 형상과 제1 연통부(216)의 반경방향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구동기어부(242)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연통부(216)의 개방 정도 및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연통부(216)를 통한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폐부재(220)에 대응하여 호형가이드홈(233) 및 제1 돌기(222)를 설치함으로써 구동기어부(242) 및 종동기어부(232)의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개폐부재(220)가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승강부재(210)가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호형가이드홈(233)은 호형가이드홈(233)과 몸체부(231) 중심 사이의 간격이 몸체부(231)의 내측부분보다 외측부분에서 더 크게 형성되는 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캡부재(250)는 동력전달부재(2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캡부재(250)의 캡몸체(251)에는 후술하는 승강가이드부재(G)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부재(200)는 하우징(H), 특히 토출측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전환부재(200)는 베이스부재(130)의 베이스부(131)에 안착 설치되어 동력전달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측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부재(130)의 베이스부(131)는 유로전환부재(20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가이드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230)는 경사가이드부(13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도록 경사가이드부(132)에 대응하는 경사와 형상을 갖는 경사부(도 7 및 도 9의 234)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재(24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기어부(242) 및 이에 맞물리 종동기어부(232)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230)의 몸체부(231) 및 경사부(234)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사부(234)는 고정설치된 베이스부재(130)의 경사가이드부(13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로전환부재(200)의 승강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10)와 베이스부재(130) 사이에는 승강가이드부재(도 4, 도 5, 도 10 및 도 11의 G)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부재(G)는 캡부재(250)의 안내홀(252) 및 승강부재(21)의 관통홀(도면부호 미부여)를 관통하여 커버부재(110)와 베이스부재(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재(24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기어부(242) 및 이에 맞물리 종동기어부(232)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230)의 몸체부(231), 호형가이드홈(233) 및 경사부(234)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220)가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하고, 또한 동력전달부재(230)의 경사부(234)가 베이스부재(130)의 경사가이드부(132)를 따라 승강(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승강부재(21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210)의 승강 및 개폐부재(220)의 이동에 의해 제1 토출구측 유로(A3)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240)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동력전달부재(230)의 호형가이드홈(233) 및 경사부(234)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외측의 위치(확장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유로전환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승강하여 승강부재(210)는 도 11의 상승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개폐부재(220)의 개폐몸체(221)는 제1 연통부(216)와 접촉하여 제1 연통부(216)를 폐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입구(A2)와 승강부재(2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토출구측 유로(A3)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가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차단부(215)는 측면커버부(115)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개방되어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상태에서 구동부재(240)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동력전달부재(230)의 호형가이드홈(233) 및 경사부(234)가 역방향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내측의 위치(축소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유로전환부재(20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승강부재(210)는 도 10의 하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개폐부재(220)는 제1 연통부(216)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제1 연통부(216)가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유입구(A2)와 승강부재(2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토출구측 유로(A3)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져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가 하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차단부(215)는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A2)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승강부재(210)는 제1 연통부(216)뿐만 아니라 송풍부(30)로부터 유입구(A2)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유동하도록 승강몸체(211)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제2 연통부(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구측 유로(A3)는 제1 연통부(216) 및 제2 연통부(213)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의 상승위치 및 개폐부재(220)의 확장 위치(반경방향 외측 위치)에서 제1 연통부(216)는 개폐부재(220)의 개폐몸체(221)와 접촉하여 폐쇄되고, 또한 제2 연통부(213)는 유로분리부(113)와 접촉하여 폐쇄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210)의 상승위치에서 유입구(A2)와 제1 토출구측 유로(A3) 사이에서 제1 연통부(216) 및 제2 연통부(213)를 통한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210)의 상승위치에서 차단부(215)는 측면커버부(115)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며, 이에 따라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개방되어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의 하강위치에서 제1 연통부(216)는 개폐부재(220)의 개폐몸체(221)와 접촉하지 않아 개방되고, 또한 제2 연통부(213)는 유로분리부(113)와 접촉하지 않아 개방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연통부(216) 및 제2 연통부(213)를 통해 유입구(A2)와 제1 토출구측 유로(A3)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져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강부재(210)가 하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차단부(215)는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A2)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승강부재(210)의 하강위치에서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지는 반면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제한되고, 도 11에 도시된 승강부재(210)의 상승위치에서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이 제한되는 반면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승강부재(210)가 도 10의 하강위치와 도 11의 상승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토출구측 유로(A3)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과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호형가이드홈(233)의 위치/형상, 베이스부재(130)의 경사가이드부(131) 및 동력전달부재(220)의 경사부(234)의 경사각, 제1 연통부(216) 및/또는 제2 연통부(213)의 설치위치 및 크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재(240)의 구동각도에 따른 승강부재(210)의 승강높이, 그리고 개폐부재(220)의 이동거리에 따른 제1 연통부(216) 및/또는 제2 연통부(213)의 개방여부 및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토출구(A51)를 통한 공기토출량과 제2 토출구(A52)를 통한 공기토출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유로전환부재(2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10)가 하강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승강부재(210)의 제1 연통부(216) 및 제2 연통부(213)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므로 유입구(A2)와 제1 토출구측 유로(A3)가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는 제1 토출구측 유로(A3)를 거쳐 제1 토출구(A51)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도 10에서 좌측의 화살표는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가 제1 연통부(216)를 통하여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도입된 후 제1 토출구(A51)를 통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서 우측의 화살표는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가 제2 연통부(213)를 통하여 제1 토출구측 유로(A3)로 도입된 후 제1 토출구(A51)를 통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승강부재(210)의 하강위치에서, 승강부재(210)의 제한부는 유로분리부(113) 및 측면커버부(115)와 접촉하므로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A2)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므로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10의 상태에서 유로전환부재(200)의 구동부재(240)가 작동하는 경우, 구동모터(241)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부(242) 및 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부(2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3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개폐부재(220)는 하면에 형성된 제1 돌기(222)가 호형가이드홈(233)을 관통하여 베이스부재(130)의 베이스부(131)의 상면에 형성된 하측가이드홈(133)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안내되어 회전운동이 제한되고, 및/또는 상면에 형성된 제2 돌기(223)가 승강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선형가이드홈(217)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안내되어 회전운동이 제한된다. 호형가이드홈(233)은 동력전달부재(23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몸체부(231)의 중심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230)의 회전에 의해 호형가이드홈(223)이 제1 돌기(223)를 가압함에 따라 복수 개의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통부(216)를 폐쇄하게 된다. 도 11의 상태에서는 제1 토출구(A51)를 통한 공기 토출이 제한된다.
또한, 도 10의 상태에서 구동모터(241)가 정방향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230)의 몸체부(231) 및 경사부(234)도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고정설치된 베이스부재(130)의 경사가이드부(132)를 따라 경사부(23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230)의 상측 방향 이동에 따라 유로전환부재(200)도 승강가이드부재(G)의 안내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부재(210)가 상승하여 도 11에 도시된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승강부재(210)의 차단부(215)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측면커버부(115)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로분리부(113)와 측면커버부(115)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유입구(A2)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서로 연통된 상태가 되며, 유입구(A2)로부터의 공기는 제2 토출구측 유로(A4)를 거쳐 제2 토출구(A52)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승강부재(210)의 제2 연통부(213)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로분리부(113)의 측벽부(도 4 및 도 5의 113a)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연통부(216)뿐만 아니라 제2 연통부(213)를 통한 유입구(A2)와 제1 토출구측 유로(A3)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승강부재(210)의 상승위치에서 구동모터(24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이동이 이루어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승강부재(210)는 하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241)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승강부재(210)가 도 10의 하강위치와 도 11의 상승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중간 위치의 경우, 승강부재(210)의 제1 연통부(216) 및/또는 제2 연통부(213)가 부분적으로 개방(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유입구(A2)와 제1 토출구측 유로(A3)가 부분적으로 연통된다. 또한, 승강부재(210)의 제한부가 측면커버부(115)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유입구(A2)와 제2 토출구측 유로(A4)가 부분적으로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토출구(A51)를 통한 토출과 제2 토출구(A52)를 통한 토출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210)의 제1 연통부(216) 및/또는 제2 연통부(213)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토출구측 유로(A3)과 제2 토출구측 유로(A4)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토출구(A51)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과 제2 토출구(A5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공기청정기, 20... 공기정화필터, 30... 송풍부
40... 조작부, 50... 제어부, 100... 토출구측 하우징
110... 커버부재, 111... 상측커버부, 111a... 덮개부
113... 유로분리부, 113a... 측벽부, 113c... 장착홈
113d... 개구부, 115... 측면커버부, 115a... 연장바
115b... 토출제한부, 115c... 개구부, 130... 베이스부재
131... 베이스부, 131a... 안착부, 131b... 지지바
132... 경사가이드부, 133... 하측가이드홈, 135... 측면가이드부
135a... 개구부, 150... 흡입구측 하우징, 200... 유로전환부재
210... 승강부재, 211... 승강몸체, 212... 연결바
213... 제2 연통부, 214... 하면부, 215... 차단부
216... 제1 연통부, 217... 선형가이드홈, 219... 모터장착부
220... 개폐부재, 221... 개폐몸체, 222... 제1 돌기
223... 제2 돌기, 230... 동력전달부재, 231... 몸체부
232... 종동기어부, 233... 호형가이드홈, 234... 경사부
240... 구동부재, 241... 구동모터, 242... 구동기어부
250... 캡부재, 251... 캡몸체, 252... 안내홀
A1... 흡입구, A2... 유입구, A3... 제1 토출구측 유로
A4... 제2 토출구측 유로, A5... 토출구
A51... 제1 토출구(전면/측면 토출구)
A52... 제2 토출구(상면 토출구)
G... 승강가이드부재, H... 하우징

Claims (15)

  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공기를 제1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와, 제2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하도록 토출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제1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제1 연통부와, 제2 토출구측 유로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갖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1 연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및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구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측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연통부를 개폐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호형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가이드홈은 복수 개의 상기 개폐부재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기청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호형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선형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유로전환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호형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제1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 돌기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하측가이드홈이 형성된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된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는 공기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를 구획하는 유로분리부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유로분리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분리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를 형성하는 측면커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2 토출구측 유로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차단부는 상기 유로분리부와 상기 측면커버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하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연통부와, 측부에 형성된 제2 연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1 토출구측 유로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연통부는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하여 폐쇄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상기 유로분리부와 접촉하여 폐쇄되는 공기청정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유로분리부와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토출구가 형성된 상측커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PCT/KR2020/008599 2019-07-02 2020-07-01 공기청정기 WO20210026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48514.8A CN114051575B (zh) 2019-07-02 2020-07-01 空气净化器
JP2021577594A JP2022540354A (ja) 2019-07-02 2020-07-01 空気清浄機
US17/618,800 US20220235954A1 (en) 2019-07-02 2020-07-01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74 2019-07-02
KR1020190079674A KR20210003623A (ko) 2019-07-02 2019-07-02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75A1 true WO2021002675A1 (ko) 2021-01-07

Family

ID=7410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599 WO2021002675A1 (ko) 2019-07-02 2020-07-01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5954A1 (ko)
JP (1) JP2022540354A (ko)
KR (1) KR20210003623A (ko)
CN (1) CN114051575B (ko)
WO (1) WO2021002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2257S1 (en) * 2020-12-01 2024-01-23 Coway Co., Ltd. Air purifier
JP1715411S (ja) * 2020-12-07 2022-05-19 空気清浄機
JP1705212S (ja) * 2020-12-11 2022-01-17 空気清浄機
USD1023271S1 (en) * 2021-07-08 2024-04-16 Shenzhen Chenbei Technology Co., Ltd. Air purif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944U (ja) * 1993-12-06 1995-07-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空調用空気吹出しボックス
KR20100062121A (ko) * 2008-12-01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158581B1 (ko) * 2005-06-15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50082969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251832B1 (ja) * 2017-06-23 2017-12-20 株式会社Cmc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46B1 (ko) * 2008-09-19 2015-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82126B1 (ko) * 2008-11-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698842B1 (ko) *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333531A (zh) * 2015-11-30 2016-02-17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KR101837621B1 (ko) 2015-12-04 2018-03-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190075721A (ko) * 2017-12-21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944U (ja) * 1993-12-06 1995-07-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空調用空気吹出しボックス
KR101158581B1 (ko) * 2005-06-15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00062121A (ko) * 2008-12-01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50082969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251832B1 (ja) * 2017-06-23 2017-12-20 株式会社Cmc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0354A (ja) 2022-09-15
US20220235954A1 (en) 2022-07-28
CN114051575B (zh) 2023-11-24
CN114051575A (zh) 2022-02-15
KR20210003623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2675A1 (ko) 공기청정기
WO2018106032A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7146354A1 (ko) 공기 청정기
WO2019190112A1 (ko)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WO2017146356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215842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17146353A1 (ko) 공기 청정기
WO2017026761A1 (ko) 공기청정기
WO2021015519A1 (ko)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18038360A1 (ko) 청소기
WO2018062671A1 (ko) 진공 청소기
WO2017150902A1 (ko) 송풍장치
WO2021153855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01334A1 (en) Air cleaner
WO2021153852A1 (ko) 송풍기
WO2011059168A2 (ko) 필터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필터어셈블리
WO2022181990A1 (ko) 공기청정기
WO2023018048A1 (ko)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0226223A1 (ko) 공기 청정기
WO2021025231A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WO2018038373A1 (ko) 청소기
WO2016208890A1 (en) Air purifier
WO2021201363A1 (en) Air cleaner
WO2021167439A1 (ko) 공기청정기
WO2023113225A1 (ko) 집진 장치, 진공 청소기 및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4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7759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34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