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72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721A
KR20190075721A KR1020170177541A KR20170177541A KR20190075721A KR 20190075721 A KR20190075721 A KR 20190075721A KR 1020170177541 A KR1020170177541 A KR 1020170177541A KR 20170177541 A KR20170177541 A KR 20170177541A KR 20190075721 A KR20190075721 A KR 20190075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sub
guid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5721A/ko
Publication of KR2019007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 및 제 2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중심축 방향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 상기 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 상하 방향의 결합을 위한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토출가이드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서브케이스; 및 상기 서브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부스터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용량이 적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국소적인 범위에서 공기청정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이 제한되어 흡입용량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되는 공기가 보다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량과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되는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보다 용이하게 집중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중심축 방향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 상기 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 및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서브팬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팬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구보다 하류에서 재차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내부 공간인 중공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가이드벽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또한,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서브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의 일부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서브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팬은 상기 서브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팬에 의해 재차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 및 제 2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중심축 방향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 상기 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 상하 방향의 결합을 위한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토출가이드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서브케이스; 및 상기 서브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부스터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부스터팬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메인유로 및 양측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서브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제 1 송풍장치 및 제 2 송풍장치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동일한 진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서브케이스 및 상기 부스터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가이드내벽; 및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 내벽을 둘러싸는 가이드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내벽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서브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와 제 2 송풍장치의 결합을 위한 브릿지결합부; 및 상기 브릿지결합부를 지지하는 브릿지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내벽 형성되는 제 1 홀과 상기 브릿지지지부에 형성되는 제 2 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홀은 상기 서브흡입구보다 상류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결합부에는 상기 부스터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서브토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브토출구는 상기 제 2 홀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중심부에서 공기유동이 합쳐지므로 더욱 먼 거리까지 쾌적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능이 향상되므로 공기청정기의 정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구조적인 접촉이 없이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풍량과 풍속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서브팬(부스터팬)에 의한 공기 유동을 통하여 기류의 방향 및 풍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팬(부스터팬)에 의하여 중앙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 및 하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중앙부에서 동일한 반경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며, 쉽게 합쳐져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쉽게 집중시킬 수 있고, 풍량이 증가하여 실내에서 보다 먼 거리까지 상기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서브팬(부스터팬)에 의하여 서브유로로 흡입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팬(부스터팬)의 동작에 따라 서브유로로 흡입된 공기는 다시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됨으로써, 중앙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부스터 효과)이 있다. 이에 의하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이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전, 후방에서 가이드할 수 있는 동시에, 기류를 보다 멀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에서 공기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에서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가 결합되는 브릿지부(196,296)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은 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축 방향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가상의 원의 둘레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반경방향은,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외부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210)의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브릿지부(196,296)를 중앙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토출시키는 제 1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토출시키는 제 2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설치공간의 하부에서 흡입되어 여과과정을 거치는 제 1 송풍장치(100)의 토출 공기와 및 설치공간의 상부에서 흡입되어 여과과정을 거치는 제 2 송풍장치(200)의 토출 공기는, 중심부로 집중되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 공간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케이스(101)와 제 1 브릿지부(19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반경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을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8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8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구(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가 형성하는 외경은,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스(101) 및 제 2 케이스(201)는 통일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성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케이스(101,201)를 제거한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단면도로 내부구성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을 지지하는 그릴지지부(21a)를 가지는 베이스본체(21)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지지부(21a)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부돌출부(116)는 상기 그릴지지부(21a)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1 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 1 필터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을 필터링 하는 이물제거 필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헤파필터(HEPA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160)의 흡입측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 중심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팬유입부(156)가 형성하는 직경, 즉, 상기 제 1 팬유입부(156)가 제 1 팬(160)의 흡입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개구부(156a)의 직경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개구된 상부가 형성하는 내경 보다 작으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내벽(172)이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제 1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고정하는 제 1 필터프레임(미도시)의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필터프레임이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를 거쳐서 제 1 팬(160)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상부의 외경을 따라 위치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형성하는 제 1 공기유로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된 공기는 제 1 팬하우징(150)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토출될수록 외곽을 향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 및 제 1 팬하우징(150)은, 중심 축 방향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가 축 방향의 중심에서 상방을 향하여 외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16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4) 및 상기 외벽(174)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174) 및 내벽(172)은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양측에서 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벽(174)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174)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술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공기유로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4)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며,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는, 상기 외벽(174)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에어가이드장치(170)의 내벽(172)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모터 수용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토출가이드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장치(180)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외벽(174)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가이드외벽(181) 및 제 1 가이드내벽(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 및 제 1 가이드내벽(182)을 통칭하여 제 1 가이드벽(181,182)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182)은 상기 외벽(174)에서 하류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외벽(174)과 함께 상기 제 1 공기유로의 외측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유로의 내측 벽은 상기 내벽(172)에서 하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릿지지지부(197)와 상기 내벽(172)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구(105)는 외측 벽인 제 1 가이드벽(181)의 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은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외벽(174)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181a) 및 상기 경사면(181a)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면(18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은 대략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은,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은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은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외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인 중공부(도3, 287 참고)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의 라운드진 면의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를 통해 상기 제 1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측방으로 유동되어 제 1 토출구(105)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 토출가이드장치(180)는 상기 제 1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토출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토출구(105)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내벽(17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릿지지지부(197) 및 제 1 가이드벽(181,18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장치(180)는, 제 1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공기유동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공기청정기(10) 외부로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는 제 1 브릿지부(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부(196)는, 후술할 제 2 브릿지부(296)를 결합함으로써 제 2 송풍장치(200)가 제 1 송풍장치(1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제 1, 2 브릿지부(196,296)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외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부(196)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내벽(17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릿지지지부(197) 및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2 송풍장치(20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1 브릿지결합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는 후술할 제 2 브릿지결합부(298)를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는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릿지 결합부(198)는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의 내부공간과 후술할 제 2 브릿지지지부(297)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는 후술할 서브모터(도 3 참고)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에는 상기 서브모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이 내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내벽(172)으로부터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브릿지지지부(197)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 및 제 1 브릿지결합부(198)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의 내부 공간 및 제 2 브릿지지지부(297)의 내부 공간에는 전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에 메인 피시비(PCB)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대략적으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구성과 브릿지결합부(198,298)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 유동은 상부의 제 2 흡입부(202)에서 흡입하여 하측 제 2 토출부(205)로 토출되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성에 비해 설치 위치의 상하 방향이 달라질 뿐이다.
따라서, 제 2 송풍장치(200)의 구성 중 제 1 송풍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크기는 안정적인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측에 제공되는 탑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탑부(30)의 케이스와 연결된다. 상기 탑부(30)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탑부(3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기청정기(10)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탑부(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필터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 공간의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에 의하면, 공기청정기(10)의 전체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하부에는, 제 2 토출구(3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구(305)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구비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제 2 팬하우징(250) 및 제 2 팬(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은 제 2 팬(260)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팬(260)은 제 2 팬유입부(미도시)의 하측에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260)은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유동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팬(260)의 설치방향은 상기 제 1 팬(160)과 반대되는 하방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로 흡입되어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팬(2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2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하부의 외경을 따라 위치되는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가 형성하는 제 2 공기유로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된 공기는 제 2 팬하우징(250)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외측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260) 및 제 2 팬하우징(250)은, 중심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가 축 방향의 중심에서 하방을 향하여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팬(160,260) 및 팬하우징(150,250)은, 흡입된 공기의 유동이 중심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260)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260)은, 제 2 팬모터(265), 허브(261)와, 상기 허브(2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262) 및 상기 허브(261)와 상기 쉬라우드(2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63, 도3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축은 상기 허브(261)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는 모터수용부(27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2 팬(26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는 외벽(274)과 내벽(27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80)의 내벽(272)은 상방으로 허브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모터수용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274)은 상기 내벽(272)을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274)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술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공기유로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4)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며,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는 상기 제 2 팬(260)을 거쳐 상기 제 2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장치(280)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외벽(274)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가이드외벽(281) 및 제 2 가이드내벽(2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 및 제 2 가이드내벽(282)을 통칭하여 제 2 가이드벽(281,282)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은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외벽(274)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281a, 도3) 및 상기 경사면(281a, 도3)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면(28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은,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은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은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을 둘러싸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외벽(2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의 외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인 중공부(287, 도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의 라운드진 면의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를 통해 상기 제 2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하측방으로 유동되어 제 2 토출구(205)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 2 토출가이드장치(280)는 상기 제 2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토출구(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구(205)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브릿지지지부(297) 및 제 2 가이드벽(281,28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장치(280)는, 제 2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공기유동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공기청정기(10) 외부로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브릿지부(196)와 결합되는 제 2 브릿지부(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부(296)는, 제 1 브릿지부(196)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제 1, 2 브릿지부(196,296)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외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부(296)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브릿지지지부(297) 및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1 브릿지결합부(198)와 결합하는 제 2 브릿지결합부(2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은 제 1 브릿지결합부(198)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는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릿지 결합부(298)는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는 후술할 서브모터(3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에는 상기 서브모터(310)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이 내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의 내벽(272)으로부터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는 제 2 송풍장치(200)의 구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160)과 제 2 팬(260)은 동일한 축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합하여 "필터부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과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을 합하여 "팬하우징", 상기 제 1 팬(160)과 상기 제 2 팬(260)을 합하여,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여 제 1 팬(160)으로 흡입되고, 제 1 공기유로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하여 제 1 토출구(105)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송풍장치(100) 내부의 유로를 제 1 메인유로라고 이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흡입부(20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여 제 2 팬(260)으로 흡입되고, 제 2 공기유로를 통해 하방으로 유동하여 제 2 토출구(205)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송풍장치(200) 내부의 유로를 제 2 메인유로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인유로 및 상기 제 2 메인유로를 통칭하여 메인유로라고 이름한다.
한편,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 공기청정기(10)의 중앙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서브유로(30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유로는 다수의 서브유로(301a,301b,301c,301d)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중앙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구(105) 및 제 2 토출구(2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하부토출공기로 이름하며, 제 2 토출구(2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부토출공기로 이름한다.
상기 하부토출공기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형성되는 서브유로(301a,301c)에 의해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토출공기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형성되는 서브유로(301b,301d)에 의해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3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유로가 서로 상하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토출공기와 상부토출공기는 서브유로(301)의 공기유동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진행방향, 즉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토출공기와 상부토출공기는 용이하게 하나의 기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두 서브유로를 하나의 쌍(pair)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두 쌍의 서브유로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유로(301)가 총 4개의 서브유로(301a,301b,301c,301d)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상기 서브유로(301)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상부토출공기와 하부토출공기가 합쳐지는 기류를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적절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유로(301)는, 제 1 송풍장치(100)에 형성되는 제 1 서브유로(301a) 및 상기 제 1 서브유로(301a)의 상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형성되는 제 2 서브유로(30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서브유로(301a) 및 제 2 서브유로(301b)는 상하방향으로 한 쌍을 이룬다. 이에 의하여 상기 메인유로를 통과하는 토출공기가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되며, 보다 먼 실내 공간까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301)는, 상기 제 1 서브유로(301a) 및 제 2 서브유로(301b)와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 서브유로(301c) 및 제 4 서브유로(30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서브유로(301c)는 제 1 송풍장치(100)에 형성되며, 상기 제 4 서브유로(301d)는 제 2 송풍장치(200)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하부토출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서브유로(301a,301c)에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서브팬(320a,320c) 및 서브모터(310a,3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상부토출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서브유로(301b,301d)에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서브팬(320b,320d) 및 서브모터(310b,31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서브유로(301b,301d)를 형성하는 구성과 연결관계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서브유로(301a,301c)와 설치 방향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고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서브유로(301a) 및 제 3 서브유로(301c)는, 도 2에서 브릿지결합부(198,298)를 따라 그어지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 2 서브유로(301b) 및 제 4 서브유로(301d)와 대칭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유로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서브유로(301)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반경방향인 양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서브유로(301b)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유로(301)의 구성, 연결관계 및 공기 유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서브유로(301a,301c,301d)의 구성, 연결관계 및 공기 유동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 서브유로(301b)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A’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A’에서 공기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3은 제 2 서브유로(301b)를 확대한 도면이다. 다만, 도 3은 서브유로(301)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 도면이며, 도 3을 기준으로 서브유로(301)의 구성을 설명하는바, 이하에서는 구분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도면부호의 제 1 내지 제 4 서브유로(301a,301b,301c,301d)를 나타내는 소문자 알파벳을 제외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유로(301)는,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80,280) 및 상기 브릿지부(196,296)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밀폐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유로(301)는 상기 메인유로와 분리되는 별도의 공기 유동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301)는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80,280)의 중공부(287)와 연통되도록 상기 브릿지부(196,296)로부터 연장되는 서브케이스(305,306)의 내부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케이스(305,306)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105,205)와 에어가이드(170,27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메인유로(일례로, 제 1,2 공기유로)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후술할 아웃가이드(306) 및 인가이드(305)는, 제 2 공기유로의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설치된 아웃가이드(306) 및 인가이드(305)라면, 제 1 공기유로의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서브케이스(305,306)는 상기 메인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위치하여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상기 메인유로(제 1,2 공기유로)의 단면적 대비 상기 서브케이스(305,306)가 차지하는 단면적은 매우 작도록 상기 서브케이스(305,306)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케이스의 상기 메인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영향은, 매우 미미하며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80,280) 및 상기 브릿지부(196,296)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밀폐하기 위한 인가이드(305)와 아웃가이드(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서브케이스(305,306)는 인가이드(305) 및 아웃가이드(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가이드(306) 및 인가이드(305)는,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80,280)의 중공부(287)와 연통되도록 상기 브릿지부(196,296)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서브유로(301)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아웃가이드(306)는 상기 가이드내벽(182,282)의 상류 측에서 상기 브릿지결합부(298)의 일 지점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가이드(305)는 상기 가이드내벽(182,282)의 하류 측에서 상기 브릿지지지부(197,297)의 일 지점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가이드(306)는 상기 인가이드(305) 보다 상류 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웃가이드(306)는 ‘ㄱ’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인가이드(205)는 상기 가이드내벽(182,282)에서 상기 브릿지지지부(197,297)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서브흡입구(308)는 상기 인가이드(305)보다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송풍장치(200)에서, 상기 아웃가이드(306)는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가이드(305)는, 상기 아웃가이드(30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내벽(182) 및 제 2 가이드내벽(282)에는, 상기 서브유로(301)로 토출구(105,205)의 공기가 유입되는 서브흡입구(308) 및 서브유동홀(302)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홀(28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지지부(197) 및 제 2 브릿지지지부(297)에는, 상기 서브유로(301)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서브토출구(309) 및 서브유동홀(302)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홀(297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홀(297a)은, 상술한 제 1 홀(282a)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송풍장치(200)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 및 제 2 브릿지지지부(297)에는 각각 상기 제 1 홀(282a) 및 제 2 홀(297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홀(297a)은 상기 제 1 홀(282a)보다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297a) 및 제 1 홀(282a)이 상기 서브케이스(305,306)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서브유동홀(302)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282a), 제 2 홀(297a), 아웃가이드(306) 및 인가이드(205)는, 중공부(287)와 연통되는 공기의 유동 공간인 서브유동홀(30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유동홀(302)은 상기 중공부(287)와 연통되므로 서브흡입구(308)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내벽(282)에는, 상기 제 2 토출구(20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흡입되도록 서브흡입구(3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지지부(297)에는, 서브유로(301)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서브토출구(309)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송풍장치(200)에서, 상기 서브흡입구(308)는 상기 인가이드(305)보다 하류 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인가이드(305)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토출구(309)는 상기 서브흡입구(308)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서브케이스(305, 306)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서브팬(320) 및 상기 서브팬(32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상기 서브모터(310)는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팬(310)은 상기 서브모터(3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모터(310)는 상기 제 2 브릿지결합부(298)에 결합되어 상측의 서브팬(3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 1 송풍장치(100)에서 상기 서브모터(310)는 상기 제 1 브릿지결합부(198)에 결합되어 하측의 서브팬(320)에 회전력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서브팬(320)은 서브유로(301)의 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팬(320)은 회전을 통해 유동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팬(320)은 축 방향의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팬(320)은 상기 토출구(105,20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재차 흡입하여 서브토출구(309)로 재차 토출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팬(310)은, 후술할 부스터 효과를 위하여, 상기 제 2 토출구(205)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 1 송풍장치(100)에서 서브팬(310)은 제 1 토출구(105)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팬(310)은, 상기 서브팬(31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105,10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보다 하류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브팬(310)의 회전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서브토출구(309)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토출구(105,2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여 더 해주는 부스터(booster)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팬(320)은 부스터팬(320)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팬(320)의 상단부는, 상기 서브토출구(209)의 상단부와 높이가 동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브팬(320)의 회전에 의해 서브유로(30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제 2 브릿지지지부(297)에 부딪친 공기에 의해 간섭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301)에서 공기 유동은, 토출구(105,20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서브흡입구(308)로 흡입되며, 상기 서브흡입구(308)로 흡입된 공기는 중공부(287)를 거쳐 서브유동홀(302)로 유입되고, 상기 서브유동홀(302)로 유입된 공기는 서브팬(320)을 통과함으로써 서브토출구(309)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토출구(205)로 토출되는 공기(f0)의 일부(fd1)는 낮은 압력이 형성된 상기 서브흡입구(308)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흡입구(308)로 유입되는 공기(fd1)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구(205)로부터 토출되는 나머지 공기의 진행방향은, 기존의 진행방향(f0)보다 상기 서브흡입구(308)를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즉, 기존보다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서브흡입구(208)로 유입된 공기(fd1)는, 상기 중공부(287)과 서브유동홀(320)을 거쳐 상기 서브팬(3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팬(320)을 통과한 공기(fd2)는, 상기 서브팬(320)의 회전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큰 유동 압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팬(320)을 통과한 공기(fd2)는, 상기 서브토출구(209)를 통해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토출구(309)로 토출되는 공기(fd2)는, 상기 제 2 토출구(205)로 토출되는 공기(f0)에 대해 상기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유동 압력을 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구(2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f0)는, 1차적으로 서브흡입구(308)로 공기가 흡입되는 압력 차에 의해 중앙부의 반경방향에 가까워지도록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상기 서브토출구(309)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토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중앙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은 기존의 방향(f0)보다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더욱 전환된 방향(f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브팬(320)에 의하여, 상기 공기청정기(10)는 토출되는 공기가 별도의 방향전환을 위한 구조물 없이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브팬(3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더 큰 유동 압력은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먼 실내 공간으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토출구(105,2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서브토출구(309)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합쳐져 형성되는 기류가 상대적으로 큰 유동 압력에 따라 보다 먼 거리까지 제공될 수 있는 부스터(booster)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10)의 공기 유동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되어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80)를 지나며, 제 1 토출구(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토출구(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팬(320)의 작동에 의해 진행 방향이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가이드되어 공기청정기(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송풍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되어 필터링 된 후, 하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2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하측으로 유동하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하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토출구(2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토출구(2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서브팬(320)의 작동에 의해 진행 방향이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가이드되어 공기청정기(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구(105)와 함께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토출구(305)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토출구(105,20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동일한 진행 방향, 즉, 중앙부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토출구(105) 및 제 2 토출구(20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매끄럽게(smooth) 합쳐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진행 방향의 전환에 따른 기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중앙부의 반경방향을 향해 더욱 집중적으로 토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보다 더욱 증대된 풍량 및 풍속으로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하고 실내 공기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를 거쳐 공기청정기(10)의 중심부에서 토출되고,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를 거쳐 공기청정기(10)의 중심부로 토출하므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 각각의 공기 유동경로는 이원화(dual)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듀얼(dual) 유로에 의하여, 공기청정기(10)는 실내공간의 상측과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공기정화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0: 공기청정기 100: 제 1 송풍장치
200: 제 2 송풍장치 160: 제 1 팬
260: 제 2 팬 320: 서브팬

Claims (20)

  1.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중심축 방향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
    상기 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 및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서브팬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팬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구보다 하류에서 재차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내부 공간인 중공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가이드벽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서브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의 일부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서브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팬은 상기 서브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팬에 의해 재차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 및 제 2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중심축 방향에서 하류를 향할수록 외곽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
    상기 팬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
    상하 방향의 결합을 위한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토출가이드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서브케이스; 및
    상기 서브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부스터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부스터팬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메인유로 및 양측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서브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제 1 송풍장치 및 제 2 송풍장치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동일한 진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서브케이스 및 상기 부스터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가이드내벽; 및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 내벽을 둘러싸는 가이드외벽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내벽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서브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와 제 2 송풍장치의 결합을 위한 브릿지결합부; 및
    상기 브릿지결합부를 지지하는 브릿지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내벽 형성되는 제 1 홀과 상기 브릿지지지부에 형성되는 제 2 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은 상기 서브흡입구보다 상류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결합부에는 상기 부스터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서브토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토출구는 상기 제 2 홀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70177541A 2017-12-21 2017-12-21 공기청정기 KR20190075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41A KR20190075721A (ko) 2017-12-21 2017-12-21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41A KR20190075721A (ko) 2017-12-21 2017-12-21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21A true KR20190075721A (ko) 2019-07-01

Family

ID=6725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41A KR20190075721A (ko) 2017-12-21 2017-12-21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5721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19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20210137722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0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1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EP3936775A1 (en) * 2020-07-10 2022-01-1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4051575A (zh) * 2019-07-02 2022-02-15 科唯怡株式会社 空气净化器
WO2022181990A1 (ko) * 2021-02-23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1746800B2 (en) 2020-03-04 2023-09-05 Lg Electronics Inc.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US11754090B2 (en) 2020-03-04 2023-09-12 Lg Electronics Inc. Blower
EP4368909A1 (en) * 2022-11-14 2024-05-15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device
WO2024104929A1 (en) 2022-11-14 2024-05-23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applian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1575B (zh) * 2019-07-02 2023-11-24 科唯怡株式会社 空气净化器
CN114051575A (zh) * 2019-07-02 2022-02-15 科唯怡株式会社 空气净化器
US11746800B2 (en) 2020-03-04 2023-09-05 Lg Electronics Inc.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US11994147B2 (en) 2020-03-04 2024-05-28 Lg Electronics Inc. Blower
KR20210112119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US11754090B2 (en) 2020-03-04 2023-09-12 Lg Electronics Inc. Blower
KR20210137721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0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2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EP3936775A1 (en) * 2020-07-10 2022-01-1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WO2022181990A1 (ko) * 2021-02-23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EP4368909A1 (en) * 2022-11-14 2024-05-15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device
WO2024104929A1 (en) 2022-11-14 2024-05-23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5721A (ko) 공기청정기
KR20210112653A (ko) 공기청정기
US9089248B2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705286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606890B1 (ko) 디퓨저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팬모터 장치
US11585548B2 (en) Air purifier with air outlet guider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US20060254226A1 (en) Multi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JP2006167708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WO2011096476A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7275867A (ja)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及びその空気清浄方法
JP2007175695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JP2015098028A (ja) 壁掛け式の空気清浄機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8403002A (zh) 旋风分离器及过滤组件
CN105455738A (zh) 吸尘器
KR102664427B1 (ko) 공기청정기용 광촉매 메디아모듈
CN105115050A (zh) 一种具有圆锥形进风栅的空气净化器
CN105115051A (zh) 一种具有导流板的空气净化器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CN105125143A (zh) 尘杯组件以及具有它的吸尘器
CN106402977B (zh) 抽油烟机
CN105042713A (zh) 一种出风口外接导流口的空气净化器
KR20040103627A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60026347A (ko) 공기 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