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81990A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81990A1
WO2022181990A1 PCT/KR2022/000870 KR2022000870W WO2022181990A1 WO 2022181990 A1 WO2022181990 A1 WO 2022181990A1 KR 2022000870 W KR2022000870 W KR 2022000870W WO 2022181990 A1 WO2022181990 A1 WO 20221819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air cleaning
suction
clea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8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준
권형진
박규태
변나영
윤준호
이상우
조은성
조형규
주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819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81990A1/ko
Priority to US18/213,1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327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8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ir purifier having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modules.
  • An air purifier is a device used to remove pollutants from the air. Air purifiers can remove bacteria, viruses, mold, fine dust, and chemicals that cause bad odors in the inhaled air.
  • the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for purifying polluted indoor air.
  • the air sucked in by the air purifier may be purified as clean air by removing contaminant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the purifi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 Air purifiers can be used in various indoor spaces. Indoor space can be relatively large or narrow. Accordingly, air purifiers having various capacities have been released, and a user can select and purchase an air purifier having a suitable capacity for himself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indoor space.
  • a method of providing several small-capacity air purifiers may be considered, but when several air purifiers are used in one large indoor space, the area occupied by the air purifier is too large.
  • a large-capacity air purifier is provided, it is impossible to simultaneously purify a narrow indoor space and a large indoor spac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capable of minimizing airflow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 the air purifier includes a first body, a first suction unit provided under the first body,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fter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unit, the first filter module a first air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irst discharge unit passing through and discharging filtered air; and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a second body, a second suction unit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odule and includes a second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and includes, wherein the first discharge unit is dispos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uction unit is disposed.
  • the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where the sub is disposed is provided as a first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uction unit is arrang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discharge unit is arranged is provided to be opposite to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 the first suction part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and sucks air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 the first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and may discharge ai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 the second suction part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and sucks air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 the second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and may discharge ai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 the first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fan module
  • the first filter modu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ction unit,
  • the first fan module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charge unit.
  • the second body further includes a second fan module
  • the second filter module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body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uction unit,
  • the second fan module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body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 the first filter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filter member including a hollow formed along a central axis and a plate-type filter member provided with a first surface to cover one side of the hollow,
  • Air introduced through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provided to flow through the hollow to the second fan module
  •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part passes through the hollow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It may be provided to flow to the first fan module.
  • It may include a first filter fram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and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and provided to configure the first filter module by coupling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and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to each other.
  • the second filter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filter member including a hollow formed along a central axis,
  •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uction unit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uction unit passes through the hollow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Thus, it may be provided to flow to the second fan module.
  •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is provided in plurality,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frame that surrounds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and is provided to configure the second filter module by coupling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to each other.
  • the first filter module and the first fan module are coupled to form the first body
  • a first case enclosi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which the first filter module and the first fan module are coupled to form an exterior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a first suc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first case including a first outl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 the second filter module and the second fan module are coupled to form the second body
  • a second case enclosing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which the second filter module and the second fan module are coupled to form an exterior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a second suc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unit and a second case including a second discharge po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 a third body a third suction uni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body, a third suction uni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and a third body for discharging filtered air through the third filter module after air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suction unit 3
  • a third air cleaning module including a discharge unit;
  •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 a third arrangemen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suction unit is arranged to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unit is arranged is provided to face the upper 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air purifier
  • a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from a position in which the fourth suction unit is arranged to a position in which the fourth discharge unit is arranged may be provided to be opposite to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 the third suction unit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ird body, and sucks air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third body,
  • the third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body, and may discharge ai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third body.
  • the fourth suction part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and sucks air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fourth body,
  • the fourth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and may discharge ai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fourth body.
  •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the third body, and the fourth body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cylindrical shap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opposite circular fac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Fans used in the first fan module, the second fan module, the third fan module, and the fourth fan module may be centrifugal fans.
  • any one of the first fan module, the second fan module, the third fan module, and the fourth fan module is any one of the first fan module, the second fan module, the third fan module, and the fourth fan module,
  • a fan housing including a housing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o the front of the fan, and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fa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It may further include a fan moto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an to rotate the fan, and an electrical modul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 the module base is
  • a base plate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of the first filter module, and a base wall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ase plate and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 the base plate may include a base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rface.
  •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may be provided from a lower porti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air purifier.
  • the arrangement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nlet part of each air cleaning module is arranged to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art is arranged, is provid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adjacent air Airflow interference between clean modules can be minimize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to fourth air cleaning modules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n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lter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ilter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1 .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ar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module in FIG. 11 .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base module and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the fan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s an example, it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air conditioners such a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othe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vacuum cleaners can also be applied to
  • FIG.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to fourth air cleaning modules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 the air purifier 1 includes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and the third air It may include a cleaning module 30 and a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 air cleaning modul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five or more air cleaning modules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combined.
  • an inlet for sucking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are formed. , D3, D4).
  •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uction unit 101 is arrang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discharge unit 102 is arranged is from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and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uction unit 201 is arranged.
  • the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discharge unit 202 is arranged i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suction unit 301 is arranged to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unit 302 is arranged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D3 and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fourth suction unit 401 is arrang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fourth discharge unit 402 is arranged may be defined as the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D4 .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differ only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but have the same main configuration and the same shape, so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combination or separation structure between the air cleaning modules is determined. Except for the description, only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will be described.
  • reference numerals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relating to a common configuration are written together.
  • reference numerals such as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40), the first body (100, 400)', etc. will be written together.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have the same main configuration and the same shape except for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or separation structure between the air cleaning modules Otherwise, only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will be described.
  • the configuration number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relating to a common configuration is written together.
  • reference numerals such as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30) and second body (200, 300)' are written together.
  • the air purifier 1 includes a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a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and A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included.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order.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40) includes a first body (100, 400), a first suction unit (101, 401)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0, 400), the first body (100, 400) ) may include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irec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suction unit 101 is arr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discharge unit 102 is arranged faces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
  •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irec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fourth suction unit 401 is arr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discharge unit 402 is arranged faces the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D4. .
  •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in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air purifier 1 based on FIG. 3 .
  • the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D4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in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to 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ir purifier 1 based on FIG. 3 .
  • the first body 100 and 400 may includ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
  •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fter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generate a flow of air from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400 and leading to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have.
  • the first main bodies 100 and 400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combined to form the first main bodies 100 and 400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provided above the first main bodies 100 and 4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can be combined to form the first body 100 and 400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and the shape of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Specific structures of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00 and 400 .
  •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may suck air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00 or 400 .
  •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00 and 400 .
  •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may discharge air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400 .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may further include first cases 130 and 430 forming an exterior.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to which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are coupled. Since the first cases 130 and 430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 they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cases 130 and 43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include first suction ports 131 and 4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include first discharge ports 132 and 4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
  • the air is the first inlet (131, 431) of the first case (130, 430), the first intake (101, 401), the first filter module (120, 420), the first fan module (110, 410),
  •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s 132 and 432 may flow in this order.
  • first suction ports 131 and 43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they are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air purifier 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00 , 400 . can be provided as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include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and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 ) may include a second discharge unit (202, 302) provided under the.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irec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uction unit 201 is arr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second discharge unit 202 is arranged face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
  •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irec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third suction unit 301 is arr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unit 302 is arranged faces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D3. .
  •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in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to face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with reference to FIG. 3 .
  •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in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ir purifier 1 based on FIG. 3 , and the air purifier ( 1)
  •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D3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in the interior may be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leaner 1 based on FIG. 3 .
  • the term 'opposite' may mean that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are provided to face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between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respective suction unit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r respective discharge unit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may includ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
  •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fter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generate a flow of air from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300 to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have.
  • the shapes of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combined to form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be provided above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 the shape of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is approximately cylindrical.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and the shape of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Specific structures of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0 or 300 .
  •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may suck air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0 or 300 .
  •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0 or 300 .
  •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may discharge air in a radial direction of 360 degrees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300 .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may further include second cases 230 and 330 forming an exterior.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to which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are coupled. Since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they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include second suction ports 231 and 3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include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may flow in the ord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
  • the second suction ports 231 and 33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they are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 purifier 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0 and 300 . can be provided as
  • the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is no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r the outlet through which filtered air is discharged is no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inlet of one air cleaning module and the outlet of the adjacent air cleaning module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irflow interference.
  •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minimize airflow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is coupled to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the arrangement direction D1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are (D2) may be provided to face.
  • the first discharge unit 102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202 are a combin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that gathers in the center of the structure.
  • the discharg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102 and the discharg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02 are formed in an adjacent area,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concentrating both air flows, thereby making the filtered air more It is possible to blow air from the air purifier 1 to a purification space far away at a high flow rate, thereby increasing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 a first suction unit 101 or a second suction unit 201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respectively.
  • the first suction unit 10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the second suction unit 20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 the first suction unit 101 of the air purifier 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is a purification space.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cation space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olluted air remains in the lower area of the floor, especially in the area adjacent to the floor.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ck the polluted air in the lower region of the purification space and discharge the filtered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have the same main configuration and the same shape except for a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are the same.
  • the modules 30 have the same main configuration and the same shape, except for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 the structure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30 .
  •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D3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in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D2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is turned upside down.
  • the structure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D4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provided to face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D1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Accordingly,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is turned upside down.
  •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 Specifically, when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is coupled to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 the fourth arrangement direction D4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The third arrangement direction D3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 the third discharge unit 302 and the fourth discharge unit 402 are a combination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that gathers in the center of the structure.
  • the discharg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third discharge unit 302 and the discharg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ourth discharge unit 402 are formed in adjacent regions,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concentrating the air flows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blow air from the air purifier 1 to a purification space far away at a high flow rate, thereby increasing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 a third suction unit 301 or a fourth suction unit 401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respectively.
  • the third suction unit 30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the fourth suction unit 40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and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 two combined structures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structu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urification space can be purified over a wider area.
  • the second discharge unit 202 and the third discharge unit 302 may be gather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Due to this structure, the suction airflow flowing into the second suction unit 201 and the suction airflow flowing into the third suction unit 301 are formed in adjacent regions, thereby concentrating both airflows and pollutants in the purification space.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1) more quickly.
  • the air purifier 1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lowing module 500 . 1 to 3 , the auxiliary blowing module 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 the auxiliary blowing module 500 may form a blowing air flow so that air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fourth body 400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 the air purifier 1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base 600 .
  • the module base 60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module base 600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n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lter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ilter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may includ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 and first cases 130 and 430 .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main bodies 100 and 400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coupled by fastening members 100c and 400c to form the first main bodies 100 and 400 .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to which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and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are coupled. Since the first cases 130 and 430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 they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cases 130 and 43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semi-cylindrical first parts 130a and 430a and the second parts 130b and 430b to be easi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and 400 . have.
  • the first parts 130a and 430a and the second parts 130b and 430b of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so that their inner surfaces face each other.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ies 100 and 400 by a hook-type fastening member or magnetic force.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include first suction ports 131 and 4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 the first cases 130 and 430 may include first discharge ports 132 and 4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
  • the first suction ports 131 and 43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of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
  • the first discharge ports 132 and 43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grill 75 of the fan housing 70 .
  • the first inlet (131, 431) or the first outlet (132, 432) may be provided in an open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air purifier (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00, 400).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may includ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 and second cases 230 and 330 .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coupled by fastening members 200c and 300c to form the second main bodies 200 and 300 .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to which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are coupled. Since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they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s of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semi-cylindrical first parts 230a and 330a and the second parts 230b and 330b to be easi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and 300 . have.
  • the first parts 230a and 330a and the second parts 230b and 330b of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so that their inner surfaces face each other.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ies 200 and 300 by a hook-type fastening member or magnetic force.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include second suction ports 231 and 3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may include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uction units 201 and 301 , an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 the second suction ports 231 and 33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of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
  • the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grill 75 of the fan housing 70 .
  • the second suction ports 231 and 331 or the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may be provided in an open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 purifier 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0 or 300 .
  • the fan module 7 of the air cleaner 1 includes the first fan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second fan module 210 , the third fan module 310 of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 and the fourth fan module 410 of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
  • the fan module 7 may include a fan 72 , a fan housing 70 , a fan motor 80 , and an electric module 90 .
  • the fan 72 may include an inlet 72a, a blade 72b, and a base 72c.
  • the inlet portion 72a, the blade 72b, and the base 72c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an 72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se 72c coincides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72 .
  • the inlet portion 72a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 the inlet portion 72a may have a doughnut shape with an open center.
  • the inlet 72a may form a fan inlet 72aa.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n 72 through the fan inlet 72aa.
  • the inlet 72a has a shape capable of guid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an inlet 72aa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an outlet 72d.
  • the inlet portion 72a may have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 the base 72c may have a substantially disk shape.
  • the base 72c may include a fan motor accommodating part 72f (refer to FIG. 8 )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 the base 72c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rotruding toward the central inlet 72a.
  • the base center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hollow hemisphere.
  • a fan motor accommodating part 72f may b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base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base.
  • a bearing 72e into which the motor shaft of the fan motor 80 is inserted may be insert-molded in the center of the base center.
  • the fan motor accommodating part 72f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fan motor 80 .
  • the fan motor accommodating part 72f may extend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fan 72 .
  • a fan outlet 72d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72a and the base 72c.
  • the fan outlet 72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n 72 .
  • the blade 72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72a and the base 72c.
  • the blade 72b may extend from the base 72c to the inlet 72a.
  • the blades 72b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n 72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fan housing 70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the fan housing 70 may be provided in two semi-cylindrical structures like the first cases 130 and 430 or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
  • a housing opening 71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o the front of the fan 72 may be included.
  • the housing opening 71a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onut-shaped opening frame 71 .
  • the fan housing 7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nd support the circumference of the fan 7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an housing 70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circum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7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outlet 72d. can be formed.
  • the fan housing 70 may further include a fan motor 8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an 72 to rotate the fan 72 and an electric module 90 fix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70 .
  • the electric module 9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provided to apply a voltage to the fan motor 80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not shown) may be included.
  • Each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may include an electric field module 90 .
  • the electric module ( ) may include a power adapter (not shown) to apply a voltage to the fan motor 80 .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module 7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directly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the coupling module 700 .
  •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
  • Each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has a pow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adapter (not shown) of the electric module 90 at one end 70a of the fan housing 70 (not shown) may be provided.
  • a power adapter not shown
  • the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structure provided on one end 70a of the fan housing 70 of each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the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 Power connection parts (not shown) of each of the air cleaning modu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to the fourth air cleaning module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power to finally drive the fan motor 80 of each air cleaning module can be supplied.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may include a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and a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
  •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may include a hollow 51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surface 60a covers one side of the hollow.
  •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
  •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51 not covered by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may communicate with the fan inlet 72aa of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
  •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D1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s 10 and 40 .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and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and combine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and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lter frame (121, 421).
  • the first filter frames 121 and 421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include a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including a hollow 51 formed along a central axis.
  •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used in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be the same as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used in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50 .
  •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5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further include second filter frames 221 and 321 surround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50 and coupling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50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do.
  • the second filter frames 221 and 321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
  • the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cover 60c provided to cover one side of the hollow 51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
  •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51 not covered by the filter cover 60c may communicate with the fan inlet 72aa of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
  •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D2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
  • the flow of air in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40 includes the first suction ports 131 and 431 and the first suction unit 101 of the first cases 130 and 430 . , 401 ), the first filter modules 120 and 420 , the first fan modules 110 and 410 , the first discharge units 102 and 402 , and the first discharge ports 132 and 432 may be formed in this order.
  •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After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rface 6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60a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passes through the hollow 51 and is purified, the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units 101 and 401 passes through the hollow 51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member 50 and is purified, and then the first fan module 110, 410) may be provided to flow.
  • the flow of air in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s 20 and 30 is, , 301 ), second filter modules 220 and 320 , second fan modules 210 and 310 , second discharge units 202 and 302 , and second discharge ports 232 and 332 may be formed in this order.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uction unit (201, 301) passes through the hollow (51)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filter members (50) and is purified, and then to the second fan modules (210, 310). It may be provided to flow.
  •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1 .
  •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11 .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ar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module in FIG. 11 .
  •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modules 10 , 20 , 30 , 40 may be provided in two structures.
  •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ir cleaning modules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rect coupling structure).
  • a fastening groove 73a or a fastening protrusion 74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an housing 70 of each air cleaning module.
  •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modules 10 , 20 , 30 , 40 is formed from one side of the fan housing 70 to one end 70a of the fan housing 70 of the air cleaning module disposed thereon.
  • a fastening groove 73a is formed in the protruding ring-shaped outer flange 7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outer flange 7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an housing 70 of the air cleaning module disposed below.
  • a fastening protrusion 74a may be formed on an inner flange 7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an housing 70 so as to correspond to the .
  • an air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an housing 70 in which an outer flange 73 is forme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and an air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an housing 70 in which an inner flange 74 is formed.
  • a module may be disposed thereon.
  •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ir cleaning modules is not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adjacent air cleaning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additional structure (combination module 700)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structure of a coupling module).
  •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ir cleaning modules 10, 20, 30, 4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coupling module 700 including a cylindrical coupling frame ( ) as shown in FIGS. 13 to 15 . have.
  • the coupling module 700 may include a coupling frame 710 and a coupling module cover 720 .
  • a coupling module cover 720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coupling frame 710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ases 130 and 430 to the second cases 230 and 330 for the integrity of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 . can be combined.
  • a fastening groove 730 is formed in the ring-shaped outer flange 710a protruding from one side at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coupling frame 710, and the fan housing 70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lange 710a.
  • a fastening protrusion 74a may be formed on the inner flange 74 protruding from one side to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upled to each other.
  • each air cleaning module is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B region,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 and the third air cleaning module 30, is shown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odule additional structure. It is not limited.
  • the coupling module additional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egion A, and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 region.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base module and a first air cleaning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purifier 1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base 600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module base 600 may include a base plate 610 , a base wall 620 , and a base support 640 .
  • the base plate 6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base plate 610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econd surface 60b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base plate 610 may include a base opening 630 that is opened toward the groun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urface 60b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
  • the base plate 610 may be provided in a wheel shape. That is, it may be composed of a ring-shaped edge frame and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s extending radially along the annular edge frame.
  • the base opening 630 may be formed between radially extending bar-shaped frames.
  • the shape of the base plate 6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opening of a specific shape opened toward the ground in a disk-shaped plate.
  • the base wall 6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6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 the base wall 6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base wall 6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ir cleaning module 10 .
  • the base wall 6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se 130 .
  • a base support 640 for supporting the base plate 610 while spacing the base plate 610 from the ground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610 .
  • the base support 64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base support 64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fastening groove 64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support 640 and the plate fastening groove 62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610 are connected, and the support fastening groove 641 and the plate fastening groove 621 are connected.
  • the base support 640 may be fixed to the base plate 610 by the fastening member 650 .
  • the base plate 610 is provided with a diameter d, and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h from the ground.
  • the separation distance h of the base plate 610 from the ground is small,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second surface 60b of the plate-shaped filter member 60 may be increased.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h from the ground of the base plate 610 may be set in the following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공기청정기는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며,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기 청정 듈을 지니는 공기청정기의 적층 구조 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내 공간은 상대적으로 넓을 수도 있고, 좁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주거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용량의 공기청정기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
다만, 좁은 실내 공간과 넓은 실내 공간을 모두 가지는 주거 공간의 경우, 소용량과 대용량 중 어느 하나의 공기청정기만으로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소용량의 공기청정기를 여러 대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여러 대의 공기청정기를 하나의 넓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크다. 대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구비하는 경우, 좁은 실내 공간과 넓은 실내 공간을 동시에 정화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토출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는 제1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팬 모듈은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는 제2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팬 모듈은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 및 제1면이 상기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판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의 제2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2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1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2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로서,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흡입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3 토출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4 흡입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4 토출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상기 제3 본체 및 상기 제4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기둥 형상은 마주하는 원형 면들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에 사용되는 팬은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팬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는 모듈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베이스는,
상기 제1 필터 모듈의 상기 판형 필터 부재의 제2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베이스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률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내에서, 각 공기 청정 모듈의 유입부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토출부가 배치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배치방향을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하여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B영역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에서 제2 공기 청정 모듈과 제3 공기 청정 모듈이 각각 결합 모듈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과 제1 공기 청정 모듈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1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나 청소기와 같이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네 개의 공기 청정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공기 청정 모듈은 5개 이상이 마련되어 각각 분리되거나 결합 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 각각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와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유입부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토출부가 배치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배치방향'(D1, D2, D3, D4)라고 정의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 흡입부(1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1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배치방향(D1),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2 토출부(2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2 배치방향(D2), 제3 흡입부(3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3 토출부(3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3 배치방향(D3),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4 토출부(4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4 배치방향(D4)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므로 공기 청정 모듈간의 배치방향이나 결합 또는 분리 구조를 설명하는 것 외에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구성 각각을 설명할 때, 공통되는 구성에 관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 제1 본체(100, 400)'등과 같이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므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 또는 분리 구조를 설명하는 것 외에는 제2 공기 청정 모듈(20)에 대해서만 설명 하도록 한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구성 각각을 설명할 때, 공통되는 구성에 관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성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 제2 본체(200, 300)'과 같이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가 차지하는 바닥 면적을 늘리지 않으며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공기 청정 모듈(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이 순서대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제1 본체(100, 400), 제1 본체(100, 4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101, 401), 제1 본체(100, 4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토출부(102, 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은 제1 흡입부(1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1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1 배치방향(D1)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4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4 배치방향(D4)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배치 방향(D1)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 방향(D4)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00, 40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 및 제1 팬 모듈(110, 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흡입부(101, 40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120, 42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흡입부(101, 401)에서 제1 본체(100, 400) 내부를 통과하여 제1 토출부(102, 402)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제1 본체(100, 40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도록 제1 본체(100, 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도록 제1 본체(100, 4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1 필터 모듈(120, 42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팬 모듈(110, 41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흡입부(101, 401)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흡입부(101, 401)는 제1 본체(100, 400)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본체(100, 400)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0, 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된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케이스(130, 4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131, 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13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흡입구(131, 431), 제1 흡입부(101, 401),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제1 토출부(102, 402), 제1 토출구(132, 432)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제1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 제1 흡입구(101, 401) 및 제1 토출구(132, 432)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제2 본체(200, 300), 제2 본체(200, 3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201, 301), 제2 본체(200, 3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토출부(202, 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2 토출부(2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2 배치방향(D2)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3 흡입부(3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3 토출부(3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3 배치방향(D3)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 방향(D2)은 도 3 기준으로 제1 배치방향(D1)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치 방향(D1)과 제2 배치 방향(D2)은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 방향(D2)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 방향(D3)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대향'이라는 의미는, 제1 배치방향(D1)과 제2 배치방향(D2)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에는 각각의 흡입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각각의 토출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대향'의 의미는, 제4 배치방향(D4) 은 도 3 기준으로 제1 배치방향(D3)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구조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본체(200, 30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 및 제2 팬 모듈(210,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흡입부(201, 30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220, 32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흡입부(201, 301)에서 제2 본체(200, 300) 내부를 통과하여 제2 토출부(202, 302)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제2 본체(200, 30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도록 제2 본체(200, 3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도록 제2 본체(200, 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2 필터 모듈(220, 32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팬 모듈(210, 31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흡입부(201, 301)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흡입부(201, 301)는 제2 본체(200, 300)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본체(200, 300)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230, 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된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케이스(230, 3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23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232,3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제2 케이스(230, 330)의 제2 흡입구(231, 331), 제2 흡입부(201, 301),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제2 토출부(202, 302), 제2 토출구(232,332)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제2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 제2 흡입구(231, 331) 및 제2 토출구(232,332)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기존의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이 적층되더라도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았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공기 청정 모듈의 흡입구와 인접한 다른 공기 청정 모듈의 토출구가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기류 간섭으로 인한 공기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이 제1 공기 청정 모듈(10)에 결합할 때,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배치 방향(D1)과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배치 방향(D2)이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토출부(102)와 제2 토출부(202)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모이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부(1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 및 제2 토출부(2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양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과된 공기를 보다 빠른 유속으로 공기청정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정화 공간까지 송풍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양단 각각에 제1 흡입부(101) 또는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있어서 제1 흡입부(10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 흡입부(20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제1 흡입부(101)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된 것은 정화 공간의 하부영역, 특히 바닥에 인접한 영역에 오염된 공기가 잔류할 가능성이 높은 정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정화 공간의 의 하부 영역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여과된 공기를 토출키도록 마련되어 정화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조는 제2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공기청정기(1) 내에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방향(D3)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방향(D2)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을 상하 방향으로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구조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방향(D4)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배치방향(D1)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을 상하 방향으로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에 결합할 때,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 방향(D4)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 방향(D3)이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3 토출부(302)와 제4 토출부(402)가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모이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3 토출부(3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 및 제4 토출부(4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서로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여과된 공기를 보다 빠른 유속으로 공기청정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정화 공간까지 송풍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양단 각각에 제3 흡입부(301) 또는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있어서 제3 흡입부(301)는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4 흡입부(401)는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를 두 개로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에 해당되게 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정화 공간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제2 토출부(202) 및 제3 토출부(302)가 모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2 흡입부(201)로 유입되는 흡입 기류 및 제3 흡입부(301)로 유입되는 흡입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양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 수 있으며 정화 공간의 오염물질을 보다 신속하게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보조 송풍 모듈(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송풍 모듈(50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송풍 모듈(50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본체(400) 내부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도록 송풍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모듈베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및 제1 케이스(13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서로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 및 제1 팬 모듈(110, 410)은 체결부재(100c, 400c)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1 본체(100, 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된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케이스(130, 4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반 원통형상의 제1 파트(130a, 430a) 및 제2 파트(130b, 430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파트(130a, 430a) 및 제2 파트(130b, 430b)는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 본체(100, 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에 후크 방식의 체결 부재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131, 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13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는 제1 필터 모듈(120, 420)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32, 432)는 팬 하우징(70)의 토출 그릴(7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 또는 제1 토출구(132, 432)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제1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및 제2 케이스(2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서로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 및 제2 팬 모듈(210, 310)은 체결부재(200c, 300c)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2 본체(200, 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된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케이스(230, 3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반 원통형상의 제1 파트(230a, 330a) 및 제2 파트(230b, 330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의 제1 파트(230a, 330a) 및 제2 파트(230b, 330b)는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2 본체(200, 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에 후크 방식의 체결 부재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23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232,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는 제2 필터 모듈(220, 320)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332)는 팬 하우징(70)의 토출 그릴(7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 또는 제2 토출구(232,332)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제2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팬 모듈(7)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팬 모듈(1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팬 모듈(210),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팬 모듈(31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팬 모듈(410)에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팬 모듈(7)은 팬(72), 팬 하우징(70), 팬 모터(80) 및 전장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팬(72)은 유입부(72a)와, 블레이드(72b)와, 베이스(72c)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72a)와, 블레이드(72b)와, 베이스(72c)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팬(72)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72c)의 회전방향은 팬(72)의 회전방향과 일치한다.
유입부(72a)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72a)는 대략 중앙이 개방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72a)는 팬 유입구(72aa)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유입구(72aa)를 통해 공기가 팬(7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72a)는 팬 유입구(72a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팬 배출구(72d)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유입부(72a)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c)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c)는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팬 모터 수용부(72f,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72c)는 가운데 유입부(72a)를 향하여 돌출된 베이스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는 대략 속이 빈 반구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상면 중 베이스 중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팬 모터 수용부(72f)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 중심에는 팬 모터(80)의 모터 축이 삽입되는 베어링(72e)이 인서트 성형 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72f)는 팬 모터(8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72f)는 팬(72)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72a)와 베이스(72c) 사이에는 팬 배출구(72d)가 형성될 수 있다. 팬 배출구(72d)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유입부(72a)와 베이스(72c)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베이스(72c)로부터 유입부(72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제1 케이스(130, 430) 또는 제2 케이스(230, 330)와 같이 두 개의 반원통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팬(72)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개구(7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71a)는 도넛 형상의 개구 프레임(7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는 팬(72)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배출구(72d)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팬(72)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팬 하우징(70)은 팬 배출구(72d)에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 그릴(75)이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팬(72)의 후면에 배치되며 팬(72)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80) 및 팬 하우징(7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모듈(90)은 팬 모터(8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미도시) 및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은 전장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모듈()은 팬 모터(8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원 어댑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3 공기 청정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후술하는 결합모듈(7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결합모듈(700) 없이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이 직접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은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전장모듈(90)의 전원 어댑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의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마련된 결합구조에 의하여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결합되면,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 각각의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중 어느 하나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각 공기 청정 모듈의 팬 모터(8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실린더형 필터부재(50) 및 판형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51)을 포함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는 제1 면(60a)이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일측에 대응되어 대략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중공(51)의 타측이 제1 팬 모듈(110, 410)의 팬 유입구(72aa)와 연통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심축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배치 방향(D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판형 필터부재(60) 및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을 둘러싸며 판형 필터부재(60) 및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제1 필터 프레임(121, 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프레임(121, 421)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51)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에 사용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에 사용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와 동일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는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제2 필터 프레임(221,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프레임(221,321)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공(51)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커버(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커버(60c)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중공(51)의 타측이 제2 팬 모듈(210, 310)의 팬 유입구(72aa)와 연통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심축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배치 방향(D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흡입구(131, 431), 제1 흡입부(101, 401),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제1 토출부(102, 402), 제1 토출구(132, 432)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1 면(60a)과 반대방향의 제2 면(60b)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2 팬 모듈(210, 3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제1 흡입부(101, 401)로 유입된 공기가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외측면으로부터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1 팬 모듈(110, 4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제2 케이스(230, 330)의 제2 흡입구(231, 331), 제2 흡입부(201, 301),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제2 토출부(202, 302), 제2 토출구(232,332)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흡입부(201, 301)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외측면으로부터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2 팬 모듈(210, 3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B영역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에서 제2 공기 청정 모듈과 제3 공기 청정 모듈이 각각 결합 모듈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는 두 가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구조가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하, 직접 결합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에 체결 홈(73a) 또는 체결돌기(74a)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는 상부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Outer Flange, 73)에 체결 홈(73a)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에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73)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너 플랜지(Inner Flange, 74)에 체결 돌기(74a)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우터 플랜지(73)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70)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고, 이너 플랜지(74)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70)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모듈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즉,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구조는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추가 구조물(결합모듈(7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구조(이하 결합모듈 추가구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결합모듈(700)를 통하여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결합모듈(700)은 결합프레임(710)과 결합모듈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710)의 측면 둘레에는 공기청정기(1)의 외관의 일체성을 위하여 제1 케이스(130, 430) 내지 제2 케이스(230, 33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결합모듈커버(72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7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710a)에 체결 홈(730)을 형성하고, 아우터 플랜지(710a)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너 플랜지(74)에 체결 돌기(74a)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A영역, 즉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구조 및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구조는 각 공기 청정 모듈이 직접 결합 구조로 결합되고, B영역, 즉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결합구조는 결합모듈 추가구조로 결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영역의 결합 구조에 결합모듈 추가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B영역의 결합 구조에 직접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과 제1 공기 청정 모듈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모듈베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 베이스 벽(620), 베이스 지지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판형 필터 부재(60) 제2 면(60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2 면(60b)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지면을 향하여 개방된 베이스 개구(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고리형상의 엣지 프레임 및 고리형상의 엣지 프레임을 항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바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개구(630)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지면을 향하여 개방된 특정 형상의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테두리로부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케이스(130)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딘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대(64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640)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지지대(6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지지대(64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대 체결홈(641)과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중심에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홈(621)이 연결되고, 지지대 체결홈(641)과 플레이트 체결홈(62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650)에 의하여 베이스 지지대(640)가 베이스 플레이트(6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직경(d)의 크기로 마련되며, 지면으로부터의 거리(h)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가 작을 경우,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2 면(60b)으로 유입되는 기류의 유로 저항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는, 아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0870-appb-img-000001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토출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제1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팬 모듈은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제2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팬 모듈은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 및 제1면이 상기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판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의 제2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2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1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2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로서,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흡입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3 토출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흡입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4 토출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상기 제3 본체 및 상기 제4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PCT/KR2022/000870 2021-02-23 2022-01-18 공기청정기 WO20221819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13,102 US20230332784A1 (en) 2021-02-23 2023-06-22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49A KR20220120348A (ko)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기
KR10-2021-0024349 2021-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213,102 Continuation US20230332784A1 (en) 2021-02-23 2023-06-22 Ai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1990A1 true WO2022181990A1 (ko) 2022-09-01

Family

ID=8304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870 WO2022181990A1 (ko) 2021-02-23 2022-01-18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2784A1 (ko)
KR (1) KR20220120348A (ko)
WO (1) WO2022181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5502A1 (de) * 2022-11-02 2024-05-08 IQAir AG Luftreinigungsvorrichtung mit optimierter luftfüh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909A1 (en) * 2022-11-14 2024-05-15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43A (ko) * 2014-06-27 2016-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06813318A (zh) * 2017-03-08 2017-06-09 中山市思诺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系统
KR20180111320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25444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20190075721A (ko) * 2017-12-21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43A (ko) * 2014-06-27 2016-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06813318A (zh) * 2017-03-08 2017-06-09 中山市思诺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系统
KR20180111320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25444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20190075721A (ko) * 2017-12-21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5502A1 (de) * 2022-11-02 2024-05-08 IQAir AG Luftreinigungsvorrichtung mit optimierter luft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2784A1 (en) 2023-10-19
KR20220120348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81990A1 (ko) 공기청정기
WO2017146354A1 (ko) 공기 청정기
WO2017146356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06032A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7146353A1 (ko) 공기 청정기
WO20171463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7026761A1 (ko) 공기청정기
WO2021215680A1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9190112A1 (ko)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WO2015034332A4 (en) Dehumidifier
WO2019103249A1 (en) Air cleaner
WO2022065906A1 (ko) 청소기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1040418A1 (en) Air conditioner
WO2019050214A1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WO2021085959A1 (en)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WO2021153855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50902A1 (ko) 송풍장치
WO2022035042A1 (ko) 공기청정기
WO2018105819A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WO2016208890A1 (en) Air purifier
WO2020045781A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24076000A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WO2024076005A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WO2020226223A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599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599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