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348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348A
KR20220120348A KR1020210024349A KR20210024349A KR20220120348A KR 20220120348 A KR20220120348 A KR 20220120348A KR 1020210024349 A KR1020210024349 A KR 1020210024349A KR 20210024349 A KR20210024349 A KR 20210024349A KR 20220120348 A KR20220120348 A KR 20220120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fan
air cleaning
clea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
권형진
박규태
변나영
윤준호
이상우
조은성
조형규
주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348A/ko
Priority to PCT/KR2022/000870 priority patent/WO2022181990A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48A/ko
Priority to US18/213,102 priority patent/US202303327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8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공기청정기는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며,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ONDITI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기 청정 듈을 지니는 공기청정기의 적층 구조 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내 공간은 상대적으로 넓을 수도 있고, 좁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주거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용량의 공기청정기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
다만, 좁은 실내 공간과 넓은 실내 공간을 모두 가지는 주거 공간의 경우, 소용량과 대용량 중 어느 하나의 공기청정기만으로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소용량의 공기청정기를 여러 대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여러 대의 공기청정기를 하나의 넓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크다. 대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구비하는 경우, 좁은 실내 공간과 넓은 실내 공간을 동시에 정화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토출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는 제1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팬 모듈은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는 제2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팬 모듈은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 및 제1면이 상기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판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의 제2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2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1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2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로서,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흡입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3 토출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4 흡입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4 토출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상기 제3 본체 및 상기 제4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기둥 형상은 마주하는 원형 면들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에 사용되는 팬은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팬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는 모듈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베이스는,
상기 제1 필터 모듈의 상기 판형 필터 부재의 제2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베이스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률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내에서, 각 공기 청정 모듈의 유입부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토출부가 배치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배치방향을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하여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B영역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에서 제2 공기 청정 모듈과 제3 공기 청정 모듈이 각각 결합 모듈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과 제1 공기 청정 모듈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1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나 청소기와 같이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네 개의 공기 청정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공기 청정 모듈은 5개 이상이 마련되어 각각 분리되거나 결합 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 각각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와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유입부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토출부가 배치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배치방향'(D1, D2, D3, D4)라고 정의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 흡입부(1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1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배치방향(D1),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2 토출부(2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2 배치방향(D2), 제3 흡입부(3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3 토출부(3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3 배치방향(D3),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4 토출부(4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4 배치방향(D4)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므로 공기 청정 모듈간의 배치방향이나 결합 또는 분리 구조를 설명하는 것 외에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구성 각각을 설명할 때, 공통되는 구성에 관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 제1 본체(100, 400)'등과 같이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므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 또는 분리 구조를 설명하는 것 외에는 제2 공기 청정 모듈(20)에 대해서만 설명 하도록 한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구성 각각을 설명할 때, 공통되는 구성에 관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성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 제2 본체(200, 300)'과 같이 도면 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가 차지하는 바닥 면적을 늘리지 않으며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공기 청정 모듈(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이 순서대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제1 본체(100, 400), 제1 본체(100, 4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101, 401), 제1 본체(100, 4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토출부(102, 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은 제1 흡입부(1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1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1 배치방향(D1)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1 토출부(4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4 배치방향(D4)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배치 방향(D1)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 방향(D4)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00, 40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 및 제1 팬 모듈(110, 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흡입부(101, 40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120, 42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흡입부(101, 401)에서 제1 본체(100, 400) 내부를 통과하여 제1 토출부(102, 402)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제1 본체(100, 40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도록 제1 본체(100, 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도록 제1 본체(100, 4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1 필터 모듈(120, 42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팬 모듈(110, 41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흡입부(101, 401)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흡입부(101, 401)는 제1 본체(100, 400)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02, 402)는 제1 본체(100, 400)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0, 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된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케이스(130, 4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131, 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13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흡입구(131, 431), 제1 흡입부(101, 401),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제1 토출부(102, 402), 제1 토출구(132, 432)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제1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 제1 흡입구(101, 401) 및 제1 토출구(132, 432)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제2 본체(200, 300), 제2 본체(200, 3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201, 301), 제2 본체(200, 3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토출부(202, 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2 토출부(2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2 배치방향(D2)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3 흡입부(301)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제3 토출부(302)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제3 배치방향(D3)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 방향(D2)은 도 3 기준으로 제1 배치방향(D1)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치 방향(D1)과 제2 배치 방향(D2)은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 방향(D2)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 내에서의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 방향(D3)은 도 3 기준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대향'이라는 의미는, 제1 배치방향(D1)과 제2 배치방향(D2)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에는 각각의 흡입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각각의 토출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대향'의 의미는, 제4 배치방향(D4) 은 도 3 기준으로 제1 배치방향(D3)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구조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본체(200, 30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 및 제2 팬 모듈(210,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흡입부(201, 30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220, 32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흡입부(201, 301)에서 제2 본체(200, 300) 내부를 통과하여 제2 토출부(202, 302)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제2 본체(200, 30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도록 제2 본체(200, 3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도록 제2 본체(200, 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2 필터 모듈(220, 32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팬 모듈(210, 310)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흡입부(201, 301)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흡입부(201, 301)는 제2 본체(200, 300)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토출부(202, 302)는 제2 본체(200, 300)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230, 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된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케이스(230, 3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23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232,3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제2 케이스(230, 330)의 제2 흡입구(231, 331), 제2 흡입부(201, 301),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제2 토출부(202, 302), 제2 토출구(232,332)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제2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 제2 흡입구(231, 331) 및 제2 토출구(232,332)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기존의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이 적층되더라도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았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공기 청정 모듈의 흡입구와 인접한 다른 공기 청정 모듈의 토출구가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기류 간섭으로 인한 공기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간의 기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이 제1 공기 청정 모듈(10)에 결합할 때,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배치 방향(D1)과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배치 방향(D2)이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토출부(102)와 제2 토출부(202)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모이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부(1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 및 제2 토출부(2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양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과된 공기를 보다 빠른 유속으로 공기청정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정화 공간까지 송풍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양단 각각에 제1 흡입부(101) 또는 제2 흡입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있어서 제1 흡입부(10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 흡입부(20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제1 흡입부(101)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된 것은 정화 공간의 하부영역, 특히 바닥에 인접한 영역에 오염된 공기가 잔류할 가능성이 높은 정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정화 공간의 의 하부 영역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여과된 공기를 토출키도록 마련되어 정화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구성 및 그 형상이 동일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조는 제2 공기 청정 모듈(30)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공기청정기(1) 내에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방향(D3)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배치방향(D2)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을 상하 방향으로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구조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방향(D4)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배치방향(D1)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을 상하 방향으로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은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에 결합할 때,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배치 방향(D4)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배치 방향(D3)이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3 토출부(302)와 제4 토출부(402)가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모이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3 토출부(3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 및 제4 토출부(402)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서로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여과된 공기를 보다 빠른 유속으로 공기청정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정화 공간까지 송풍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높힐 수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양단 각각에 제3 흡입부(301) 또는 제4 흡입부(40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있어서 제3 흡입부(301)는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4 흡입부(401)는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및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 구조를 두 개로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에 해당되게 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정화 공간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 구조의 중앙부에 제2 토출부(202) 및 제3 토출부(302)가 모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2 흡입부(201)로 유입되는 흡입 기류 및 제3 흡입부(301)로 유입되는 흡입 기류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양 기류가 집속되는 효과를 지닐 수 있으며 정화 공간의 오염물질을 보다 신속하게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보조 송풍 모듈(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송풍 모듈(50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송풍 모듈(50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본체(400) 내부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도록 송풍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모듈베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필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은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및 제1 케이스(13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서로 결합하여 제1 본체(100, 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 및 제1 팬 모듈(110, 410)은 체결부재(100c, 400c)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1 본체(100, 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과 제1 팬 모듈(110, 410)이 결합된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케이스(130, 4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반 원통형상의 제1 파트(130a, 430a) 및 제2 파트(130b, 430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파트(130a, 430a) 및 제2 파트(130b, 430b)는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 본체(100, 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본체(100, 400)에 후크 방식의 체결 부재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131, 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 430)는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13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제1 흡입부(101, 40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1 팬 모듈(110, 410)은 제1 토출부(102, 4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는 제1 필터 모듈(120, 420)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32, 432)는 팬 하우징(70)의 토출 그릴(7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 431) 또는 제1 토출구(132, 432)는 제1 본체(100, 400)의 둘레를 따라 제1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은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및 제2 케이스(2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서로 결합하여 제2 본체(200, 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 및 제2 팬 모듈(210, 310)은 체결부재(200c, 300c)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2 본체(200, 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필터 모듈(220, 320)과 제2 팬 모듈(210, 310)이 결합된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의 측면을 둘러쌓도록 마련되므로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케이스(230, 3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반 원통형상의 제1 파트(230a, 330a) 및 제2 파트(230b, 330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의 제1 파트(230a, 330a) 및 제2 파트(230b, 330b)는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2 본체(200, 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본체(200, 300)에 후크 방식의 체결 부재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23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30, 330)는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232,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제2 흡입부(201, 30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2 팬 모듈(210, 310)은 제2 토출부(202, 3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는 제2 필터 모듈(220, 320)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332)는 팬 하우징(70)의 토출 그릴(7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31, 331) 또는 제2 토출구(232,332)는 제2 본체(200, 300)의 둘레를 따라 제2 공기청정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팬 모듈(7)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제1 팬 모듈(110),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제2 팬 모듈(210),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제3 팬 모듈(31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제4 팬 모듈(410)에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팬 모듈(7)은 팬(72), 팬 하우징(70), 팬 모터(80) 및 전장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팬(72)은 유입부(72a)와, 블레이드(72b)와, 베이스(72c)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72a)와, 블레이드(72b)와, 베이스(72c)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팬(72)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72c)의 회전방향은 팬(72)의 회전방향과 일치한다.
유입부(72a)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72a)는 대략 중앙이 개방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72a)는 팬 유입구(72aa)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유입구(72aa)를 통해 공기가 팬(7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72a)는 팬 유입구(72a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팬 배출구(72d)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유입부(72a)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c)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c)는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팬 모터 수용부(72f,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72c)는 가운데 유입부(72a)를 향하여 돌출된 베이스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는 대략 속이 빈 반구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상면 중 베이스 중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팬 모터 수용부(72f)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 중심에는 팬 모터(80)의 모터 축이 삽입되는 베어링(72e)이 인서트 성형 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72f)는 팬 모터(8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72f)는 팬(72)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72a)와 베이스(72c) 사이에는 팬 배출구(72d)가 형성될 수 있다. 팬 배출구(72d)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유입부(72a)와 베이스(72c)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베이스(72c)로부터 유입부(72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72b)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제1 케이스(130, 430) 또는 제2 케이스(230, 330)와 같이 두 개의 반원통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팬(72)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개구(7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71a)는 도넛 형상의 개구 프레임(7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는 팬(72)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배출구(72d)는 팬(7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팬(72)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팬 하우징(70)은 팬 배출구(72d)에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 그릴(75)이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70)은 팬(72)의 후면에 배치되며 팬(72)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80) 및 팬 하우징(7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모듈(90)은 팬 모터(8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미도시) 및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은 전장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모듈()은 팬 모터(8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원 어댑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제3 공기 청정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은 후술하는 결합모듈(7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결합모듈(700) 없이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이 직접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은 제4 공기 청정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은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전장모듈(90)의 전원 어댑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각각의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마련된 결합구조에 의하여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결합되면,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 각각의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 중 어느 하나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내지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각 공기 청정 모듈의 팬 모터(8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실린더형 필터부재(50) 및 판형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51)을 포함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는 제1 면(60a)이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일측에 대응되어 대략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판형 필터부재(60)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중공(51)의 타측이 제1 팬 모듈(110, 410)의 팬 유입구(72aa)와 연통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심축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의 배치 방향(D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 모듈(120, 420)은 판형 필터부재(60) 및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을 둘러싸며 판형 필터부재(60) 및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제1 필터 프레임(121, 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프레임(121, 421)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51)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에 사용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제1 필터 모듈(120, 420)에 사용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50)와 동일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는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제2 필터 프레임(221,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프레임(221,321)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필터 모듈(220, 320)은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공(51)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커버(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커버(60c)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중공(51)의 타측이 제2 팬 모듈(210, 310)의 팬 유입구(72aa)와 연통될 수 있다.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중심축은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의 배치 방향(D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공기 청정 모듈(10, 4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제1 케이스(130, 430)의 제1 흡입구(131, 431), 제1 흡입부(101, 401), 제1 필터 모듈(120, 420), 제1 팬 모듈(110, 410), 제1 토출부(102, 402), 제1 토출구(132, 432)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1 면(60a)과 반대방향의 제2 면(60b)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2 팬 모듈(210, 3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제1 흡입부(101, 401)로 유입된 공기가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외측면으로부터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1 팬 모듈(110, 4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공기 청정 모듈(20, 3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제2 케이스(230, 330)의 제2 흡입구(231, 331), 제2 흡입부(201, 301), 제2 필터 모듈(220, 320), 제2 팬 모듈(210, 310), 제2 토출부(202, 302), 제2 토출구(232,332)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흡입부(201, 301)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실린더형 필터부재(50)의 외측면으로부터 중공(51)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제2 팬 모듈(210, 310)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결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B영역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에서 제2 공기 청정 모듈과 제3 공기 청정 모듈이 각각 결합 모듈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는 두 가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구조가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하, 직접 결합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에 체결 홈(73a) 또는 체결돌기(74a)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는 상부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70a)에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Outer Flange, 73)에 체결 홈(73a)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 모듈의 팬 하우징(70)의 일단에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73)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너 플랜지(Inner Flange, 74)에 체결 돌기(74a)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우터 플랜지(73)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70)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고, 이너 플랜지(74)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70)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모듈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즉,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간의 결합구조는 인접한 공기 청정 모듈이 추가 구조물(결합모듈(7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구조(이하 결합모듈 추가구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결합모듈(700)를 통하여 복수의 공기 청정 모듈(10, 20, 30, 40)간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결합모듈(700)은 결합프레임(710)과 결합모듈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710)의 측면 둘레에는 공기청정기(1)의 외관의 일체성을 위하여 제1 케이스(130, 430) 내지 제2 케이스(230, 33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결합모듈커버(72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7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리형상의 아우터 플랜지(710a)에 체결 홈(730)을 형성하고, 아우터 플랜지(710a)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팬 하우징(7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너 플랜지(74)에 체결 돌기(74a)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A영역, 즉 제1 공기 청정 모듈(10)과 제2 공기 청정 모듈(20)의 결합구조 및 제3 공기 청정 모듈(30) 및 제4 공기 청정 모듈(40)의 결합구조는 각 공기 청정 모듈이 직접 결합 구조로 결합되고, B영역, 즉 제2 공기 청정 모듈(20)과 제3 공기 청정 모듈(30)의 결합구조는 결합모듈 추가구조로 결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영역의 결합 구조에 결합모듈 추가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B영역의 결합 구조에 직접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과 제1 공기 청정 모듈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모듈베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베이스(60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 베이스 벽(620), 베이스 지지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판형 필터 부재(60) 제2 면(60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2 면(60b)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지면을 향하여 개방된 베이스 개구(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고리형상의 엣지 프레임 및 고리형상의 엣지 프레임을 항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바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개구(630)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지면을 향하여 개방된 특정 형상의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테두리로부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공기 청정 모듈(10)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벽(620)은 제1 케이스(130)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딘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대(64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640)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지지대(6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지지대(64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대 체결홈(641)과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중심에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홈(621)이 연결되고, 지지대 체결홈(641)과 플레이트 체결홈(62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650)에 의하여 베이스 지지대(640)가 베이스 플레이트(6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직경(d)의 크기로 마련되며, 지면으로부터의 거리(h)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가 작을 경우, 판형 필터 부재(60)의 제2 면(60b)으로 유입되는 기류의 유로 저항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는, 아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 청정기
10; 제1 공기 청정 모듈
101; 제1 흡입부
102; 제1 토출부
20; 제2 공기 청정 모듈
201; 제2 흡입부
202; 제2 토출부
30; 제3 공기 청정 모듈
301; 제3 흡입부
302; 제3 토출부
40; 제4 공기 청정 모듈
401; 제4 흡입부
402; 제4 토출부
500; 보조 송풍 모듈
600; 모듈베이스
700; 결합 모듈

Claims (20)

  1. 제1 본체,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흡입부,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2본체, 제2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부,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배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2 배치방향은 상기 제1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토출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제1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팬 모듈은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제2 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팬 모듈은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 및 제1면이 상기 중공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판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의 제2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판형 필터부재 및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모듈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토출부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팬 모듈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며, 복수로 마련된 상기 실린더형 필터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2 필터 모듈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1 필터 모듈과 상기 제1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1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외관을 형성도록 상기 제2 필터 모듈과 상기 제2 팬 모듈이 결합된 상기 제2 본체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로서, 상기 제2 흡입부에 대응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토출부에 대응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제3본체, 제3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 흡입부, 제3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3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3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기 청정 모듈;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로서, 제4 본체, 제4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4 흡입부, 제4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4 흡입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4 필터 모듈을 통과하며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4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4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제2 공기 청정 모듈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3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3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흡입부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4 토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향하는 제4 배치방향은 상기 제3 배치방향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흡입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3 토출부는 상기 제3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3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흡입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내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4 토출부는 상기 제4 본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4 본체 외부를 향하여 360도 범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상기 제3 본체 및 상기 제4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 형상은 마주하는 원형 면들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에 사용되는 팬은 원심팬으로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모듈, 상기 제2 팬 모듈, 상기 제3 팬 모듈 및 상기 제4 팬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팬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원주 방향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는 모듈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베이스는,
    상기 제1 필터 모듈의 상기 판형 필터 부재의 제2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기 청정 모듈의 하단 측면을 감싸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베이스 개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방향은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24349A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기 KR20220120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49A KR20220120348A (ko)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기
PCT/KR2022/000870 WO2022181990A1 (ko) 2021-02-23 2022-01-18 공기청정기
US18/213,102 US20230332784A1 (en) 2021-02-23 2023-06-22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49A KR20220120348A (ko)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48A true KR20220120348A (ko) 2022-08-30

Family

ID=8304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49A KR20220120348A (ko)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2784A1 (ko)
KR (1) KR20220120348A (ko)
WO (1) WO2022181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909A1 (en) * 2022-11-14 2024-05-15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5502A1 (de) * 2022-11-02 2024-05-08 IQAir AG Luftreinigungsvorrichtung mit optimierter luftführ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17B1 (ko) * 2014-06-27 2021-08-2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06813318A (zh) * 2017-03-08 2017-06-09 中山市思诺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系统
KR20180111320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07570B1 (ko) * 2017-09-01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20190075721A (ko) * 2017-12-21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909A1 (en) * 2022-11-14 2024-05-15 Versuni Holding B.V. Air displac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1990A1 (ko) 2022-09-01
US20230332784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US9089248B2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US9914082B2 (en) Air cleaner
US20200078719A1 (en) Air cleaner
KR10136346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US20200155992A1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JP5228319B2 (ja) 空気清浄機
KR20210112653A (ko) 공기청정기
KR101606890B1 (ko) 디퓨저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팬모터 장치
KR20220120348A (ko) 공기청정기
KR101948005B1 (ko) 공기청정기
US2228750A (en) Vacuum cleaner construction
KR20110057562A (ko) 양흡입 원심형 송풍기 및 이를 적용한 공기 청정기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101307842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JPH0557121A (ja) 空気清浄機
KR20060100495A (ko) 공기청정기
JP2002143282A (ja) 薄箱設置型空気清浄機
KR100492321B1 (ko) 공기청정기
KR20010076238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배기구조
CN216204091U (zh) 出风装置及净化器
KR102629979B1 (ko) 공기 청정기
KR20230040204A (ko) 공기청정기
KR20120076915A (ko)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