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2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7721A KR20210137721A KR1020200055938A KR20200055938A KR20210137721A KR 20210137721 A KR20210137721 A KR 20210137721A KR 1020200055938 A KR1020200055938 A KR 1020200055938A KR 20200055938 A KR20200055938 A KR 20200055938A KR 20210137721 A KR20210137721 A KR 20210137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direction
- discharge
- direction control
- guider
- control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가이더를 포함하는 청정장치;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공간을 커버하고, 일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풍향조절바디; 상기 풍향조절바디와 연결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청정장치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개방된 영역의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청정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풍향조절바디의 개방부로만 토출되도록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국부적인 영역으로만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일련의 청정작용을 거친 뒤,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상기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916887에서는 환형의 제 1토출구가 형성된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가이드를 동시에 회전시켜,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나, 에어가이드의 회전반경범위가 좁고, 에어가이드와 회전가이드를 동시에 회전시킴에 따라, 모터의 상당한 고출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8-0065358에서는 상기한 에어가이드 및 회전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부품의 내구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는 영역에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나, 협소한 회전반경범위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만으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청정기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공기청정기로부터 국부적인 영역에만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동력원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반경 360도 전방향으로의 공기토출 모드와 국부적인 영역으로의 공기토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획장치의 상하 및 회전운동을 국부적인 공간 내에서 컴펙트하게 구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가이더와, 송풍팬을 포함하는 청정장치;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공간을 커버하고, 일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개방부(Opening)가 형성된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풍향조절바디; 상기 풍향조절바디와 연결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청정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풍향조절바디의 상하 및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개방부의 위치가 변동됨으로 인해 청정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한다.
상기 지지블록은 내주면 상에 스파이럴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스파이럴홈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제 1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돌기가 상기 스파이럴홈에 삽입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바디가 상하 및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스파이럴홈의 하측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스트홈(Rest home)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돌기가 최하단으로 이동한 뒤,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지지블록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내주면 상에 수평방향의 원주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원주홈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제 2돌기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원주홈은, 상기 스파이럴홈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풍향조절장치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넥(Neck)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돌기는 상기 넥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풍향조절바디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가이드벽의 상측을 커버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넥은 상기 구획판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풍향조절기능을 가중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 1돌기가 관통되는 절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풍향조절장치가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원동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원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종동기어의 상측에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지지블록에 결합될 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지지블록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상승 시 상기 풍향조절바디를 수용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상하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캡과 상기 토출가이더 사이에 갭(Gap)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벽은 하강 시, 상기 갭의 하측에 형성된 제 1경계선까지 하강한 뒤, 상기 토출가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벽의 회전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이 상기 제 1경계선의 하측으로 하강할 시, 상기 가이드벽은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토출가이더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 1경계선의 하측으로 하강할 시, 적어도 360도 이상 회전하여, 상기 개구영역을 360도 범위 내에서 변동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더는, 내측에 상기 지지블록이 배치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과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청정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캡과 연결되는 지지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너프레임은 상기 지지가이더가 연장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가이더를 통해 상기 캡과 상기 토출가이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으로부터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림을 포함하여, 상기 풍향조절장치의 하강에 따른 상기 토출가이더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토출가이더 내측에 배치되는 토출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하우징림과 상기 연결로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그릴이 배치된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의 외측에 안착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토출가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하강한 뒤, 상기 안착림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벽과 상기 토출그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청정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청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청정장치는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구동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구동을 조작가능토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토출그릴로 토출된 공기가 가이드벽의 개구된 일부 원호로만 토출되도록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국부적인 영역으로만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함에 있어서, 단일의 모터만을 사용하여, 상하방면의 자유도와 원주방향의 자유도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풍향조절바디에 상하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60도 전방향 토출모드와 국부적인 영역 토출모드의 전환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풍향조절바디의 상하 및 원주방향 이동의 자유도를 부여함에 있어서, 상하이동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지지블록과 원주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작동부재가 상호작용되도록 일체형으로 조립함으로써, 제품공간을 컴펙트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제거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을 A-A' 선도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장치 및 풍향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바디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바디가 하강된 상태에서의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더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하방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상방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와 풍향조절바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12는 도 5(a)에 도시된 구조물을 P-P' 선도로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
도 13는 도 5(b)에 도시된 구조물을 Q-Q' 선도로 절개한 전방단면투시도이다.
도 14은 도 5(b)에 도시된 구조물을 Q-Q' 선도로 절개한 후방단면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제거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을 A-A' 선도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장치 및 풍향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바디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바디가 하강된 상태에서의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더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하방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상방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와 풍향조절바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12는 도 5(a)에 도시된 구조물을 P-P' 선도로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
도 13는 도 5(b)에 도시된 구조물을 Q-Q' 선도로 절개한 전방단면투시도이다.
도 14은 도 5(b)에 도시된 구조물을 Q-Q' 선도로 절개한 후방단면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공기청정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청정공기를 토출하는 청정장치(100)와, 청정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청정공기를 토출하는 상부청정장치(200)를 포함하고, 상부청정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전환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풍향전환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정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스(101)를 포함하고, 상부청정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2케이스(201)를 포함하고, 제 1케이스(101)와 제 2케이스(201)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케이스(101)와 제 2케이스(201) 각각은 상측부의 직경이 하측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케이스(101)는 2개의 서브케이스(101a, 101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2케이스(201)는 2개의 서브케이스(201a, 201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서브케이스(101a, 101b, 201a, 201b)들은 일측단부(101c, 201c)가 분리가능토록 접촉되고, 타측단부(미도시)는 힌지부(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서브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케이스를 회전시켜 공기청정기(10)를 개방할 수 있고, 청정장치(100, 2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제 1, 2케이스(101, 201)의 외주둘레면 상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제 1, 2흡입구(102, 202)가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360도 방향에서 제 1, 2청정장치(100, 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청정장치(100)의 하측에는 청정장치(1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베이스(2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와 청정장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외부 공기가 청정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제 3흡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청정장치(100)의 상측부에는 필터링된 청정공기가 토출되는 제 1토출구(105)가 형성되고, 상부청정장치(200)의 상측부에는 필터링된 청정공기가 토출되는 제 2토출구(305)가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제 1토출구(105)는 후술할 토출가이더(180)의 상측으로 개구된 영역을 지칭할 수 있고, 토출가이더(180) 내측에 토출그릴(190)이 배치되는 경우 토출그릴(190)의 상측으로 개구된 영역을 지칭할 수도 있다.
풍향전환장치(300)의 상측에는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고,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618)(도 3참조)와 디스플레이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청정장치(100)와 상부청정장치(200)의 사이에는 제 1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상측방향 유동을 제한하면서, 공기를 반경외측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풍향조절장치(400)가 청정장치(100)의 제 1토출구(105)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측방향 유동을 제한한다'는, 청정장치(100)의 제 1토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공기가, 외부 공간을 향해 유동하지 않고, 상부청정장치(20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케이스(101, 201)를 제거한 형상이 표현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정장치(100)의 하부에는 전술한 베이스(20) 및 제 3흡입구(103)가 배치되고, 제 3흡입구(103)에는 하부그릴(110)이 배치된다.
청정장치(100)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제 1흡입구(102)와 대응되도록 제 1필터(120)가 배치될 수 있고, 제 1필터(12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필터(120)는 제 1필터지지부(135)(도 3참조) 및 그 외측에 결합되는 제 1필터커버(136)에 의해 고정/지지될 수 있다.
제 1필터(120)의 상측에는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먼지센서와 가스센서가 포함된 센서장치(137)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장치(137)의 상측에는 제 1송풍팬(160)(도 3참조)이 수용되는 제 1팬하우징(150)이 제 1필터(120)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팬하우징(150)의 상측에는 제 1송풍팬(160)(도 3참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하부에어가이더(1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에어가이더(170)의 상측에는 하부에어가이더(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에어가이더(17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그릴(190)로 가이드하는 토출가이더(1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05)는 토출그릴(190)의 원주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제 1토출구(105)가 토출그릴(190)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토출그릴(190)의 상측면에 복수의 제 1토출구(105)가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190)의 상측에는 청정장치(100)와 상부청정장치(200)를 이격시키는 구획장치인 풍향조절장치(400)가 배치된다.
상부청정장치(200)는 청정장치(100)와 구조 및 기능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청정장치(100)와 구조 및 기능적으로 유사하다고 함은, 상부청정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이 청정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들과 대응될 수 있고, 기능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부청정장치(200)의 제 2필터(220)는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지지부커버(236)는 제 1필터커버(136)와, 제 2팬하우징(250)은 제 1팬하우징(150)과, 제 1상부에어가이더(270)은 하부에어가이더(170)와, 제 2상부에어가이더(280)은 토출가이더(180)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선도를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세부적인 내부구성 및 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제 1케이스(101)에 형성된 제 1흡입구(102)를 통해 청정장치(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제 1필터(120)를 투과할 수 있고, 이 때 제 1필터(120)는 제 1필터(120)의 외측에 배치된 제 1필터지지부(135)에 의해 고정/지지될 수 있다.
제 1필터(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측으로 유동하여, 제 1팬유입부(151)를 통해 제 1송풍팬(160)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 1송풍팬(16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되어, 제 1팬하우징(150)과 하부에어가이더(170)와 토출가이더(180)와 토출그릴(190)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1송풍팬(160)은 제 1팬모터(16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 1송풍팬(16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그릴(190)을 통해 청정장치(100)의 외부로 토출되고, 풍향조절장치(400)에 의해 상측으로의 유동을 제한받게 되고, 공기청정기(10)의 반경외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풍향조절장치(400)의 상측에는 제 2필터(220) 또는 레버장치(미도시)를 지지하는 환형의 제 2레버(5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케이스(201)에 형성된 제 2흡입구(202)(도 1참조)를 통해 상부청정장치(2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제 2필터(220)를 투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측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제 2팬모터(265)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2송풍팬(26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팬하우징(250)과 제 1상부에어가이더(270)와 제 2상부에어가이더(280)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상부에어가이더(280)의 상측에는 풍향전환장치(3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 2상부에어가이더(2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풍향전환장치(3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2토출구(30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1상부에어가이더(270)를 통과한 공기가 제 2상부에어가이더(280)와 제 2토출구(305)를 차례로 통과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풍향전환장치(300)에는 제 3팬모터(335)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3송풍팬(3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3송풍팬(330)에 의해 제 2토출구(305)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풍향전환장치(300)는 상부기어모터(363)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기어(36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풍향전환장치(300)는 상부기어(360)의 회전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토출구(30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풍향전환장치(300)의 상측면에는 공기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고, 공기청정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600)가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600)는 제어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18)는 풍향전환장치(300)의 상측면과 제 3송풍팬(3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618)로는 PCB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618)는 후술할 풍향조절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풍향조절장치(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부청정장치(2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청정장치(100)는 청정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상부청정장치(200)가 생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장치(100)에 풍향조절장치(400)가 결합된 공기청정기에서 케이스(101)가 제거된 상태가 표현된 정면도이다.
청정장치(100)의 상측에는 토출가이더(180)가 배치될 수 있고, 토출그릴(190)은 토출가이더(180) 내에 배치되어, 청정장치(100) 내에서 청정된 공기는 토출구(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00)는 토출가이더(180)의 상측으로부터 소정의 갭(G)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토출가이더(180)와 풍향조절장치(4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커버벽(40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벽(401)의 전체적인 형상은 실린더형일 수 있다.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상기 갭(G)을 통과한 다음, 청정장치(100)의 반경외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갭(G)은, 토출가이더(180)의 상측면과 풍향조절장치(400)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할 수도 있고, 토출가이더(180)와 구획장치(40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400)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전에 구동방식을 우선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풍향조절장치(400)의 풍향조절바디(50)가 하강 전에 캡(60)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5(b)는 풍향조절바디(50)가 하강하여, 갭(G)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바디(50)가 하강하기 전에, 풍향조절장치(400)와 토출가이더(180) 사이의 갭(G)은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개방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360도 전 방향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바디(50)는 캡(60)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강하여 갭(G)의 일부 영역을 차폐한다. 이에 따라, 풍향조절장치(400)와 토출가이더(180) 사이의 갭(G)은 풍향조절바디(5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영역(O)(이하 개구영역이라 칭함)에 대해서만 외부와 연통되고,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외부와 연통된 갭(G)의 개구영역(O)으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360도 전 방향 중 일부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토출가이더(1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출가이더(180)는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프레임(182)과, 이너프레임(18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과 아우터프레임(181)을 연결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18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의 전체적인 형상은 실린더형일 수 있고, 각각의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이너프레임(182)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환형의 베이스판(18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토출가이더(18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빈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이스판(184)의 하측에는 청정장치(100)와 토출가이더(180)를 연결시키는 체결가이드(183)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로드(185)는 아우터프레임(181)의 하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이너프레임(182)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고, 토출그릴(190)을 지지할 수 있다.
토출그릴(190)은 복수의 제 1토출구(105)가 환형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제 1토출구(105)의 반경외측에는 환형의 안착림(191)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그릴(190)은 연결로드(185)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고, 이 때 안착림(191)은 연결로드(185)의 반경방향 외측부와 접촉된 채 아우터프레임(181)의 내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연결로드(185)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로드(185) 사이에는 토출가이더(180)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이더(18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연결로드(185)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 사이로 유동할 수 있고, 연결로드(185) 상측에 안착된 토출그릴(190)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측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캡(60)으로부터 하강하여 갭(G)의 일부를 차폐하고 있는 풍향조절바디(50)에 의해, 반경방향의 일부로만 유동하도록 유동흐름을 제한받게 되고, 풍향조절바디(5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영역인 개구영역(Opening Area)(O)을 통해 청정장치(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개구영역(Opening Area)(O)이라 함은, 일부 원호(arc)가 개구된 형태의 풍향조절바디(50) 외둘레벽 중, 상기 개구된 일부 원호(arc)에 해당하는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영역(O)을 제외한 풍향조절바디(50)의 나머지 외둘레벽은 외부와 차폐되고, 공기는 상기 개구영역(O)을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더(180)에는 베이스판(184)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풍향조절바디(50)를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가이더(9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프레임(18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커버벽(40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풍향조절바디(50)의 넥(Neck)(53)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벽(401) 내부 공간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토출그릴(190)은 토출가이더(1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토출그릴(190)의 안착림(191)은 아우터프레임(181)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고, 토출그릴(190)의 내측면은 이너프레임(182)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400)의 세부구성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풍향조절장치(400)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8은 하방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상방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풍향조절장치(400)의 회전이동을 설명하는 도이고, 도 11은 풍향조절장치(400)의 상하이동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토출가이더(18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반경외측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풍향조절바디(50)와, 풍향조절바디(50)를 수용하는 캡(60)과, 풍향조절바디(50)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70)와, 토출가이더(180)에 형성되어 작동부재(70)를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블록(80)과,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모터(186)를 포함한다.
캡(60)은 토출가이더(180)의 상측면(188)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갭(G)만큼 이격되도록, 지지가이더(90)에 의하여 토출가이더(180)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측판(61)과, 상측판(6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외측벽(62)을 포함할 수 있다. 캡(60)의 전체적인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다.
풍향조절바디(50)는, 상측에 배치되는 구획판(51)과, 구획판(5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에 개방부(521)가 형성된 가이드벽(52)과, 구획판(51)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넥(Neck)(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개방부(521)는 가이드벽(52)의 개구된 일부 원호(arc)로 이루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넥(53)은 구획판(51)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판(51)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토출가이더(180)의 상측면(188)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지지가이더(90)가 관통되는 원형홈(51h)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52)은 외둘레벽의 일부 원호(arc)에 개방부(521)가 형성된 원통형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벽(52)은 전체적으로 알파벳 '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벽(52)의 하측면은 풍향조절바디(50)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 시, 토출그릴(190)의 안착림(191)과 접촉될 수 있다.
넥(53)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획판(51)의 하측면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넥(53)은 상기 원형홈(51h)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내측에 지지가이더(90)가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바디(50)는 지지가이더(90)를 중심으로 회전이동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넥(53)의 외측면에는 반경외측으로 돌출된 제 1돌기(531)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돌기(531)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작동부재(70)는 넥(53)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넥(53)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작동부재(70)의 상측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홈(71)이 형성되어, 제 1돌기(531)가 절개홈(71)에 상하이동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다.
작동부재(70)의 하측부에는 종동기어(72)가 배치될 수 있고, 작동부재(70)의 본체(75)와 종동기어(72) 사이에는 하측방향으로 확개되는 경사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74)는 작동부재(70)가 지지블록(80)에 의해 지지될 시, 지지블록(80)의 하측과 접촉되는 부위일 수 있다. 작동부재(70)와 종동기어(72)는 별개로 제조되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거나, 작동부재(70)와 종동기어(72)가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작동부재(7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186)가 토출가이더(1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모터(186)의 회전축(186a)에 결합된 원동기어(187)가 종동기어(72)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186), 회전축(186a) 및 원동기어(187)은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부재(70) 본체(75) 외측면 상의 하측부에는 제 2돌기(73)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2돌기(73)는 동일 원주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블록(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가이더(18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작동부재(70)를 이동가능토록 지지한다.
지지블록(80)은 작동부재(7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부재(70)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배진 스파이럴홈(81)이 형성되고, 스파이럴홈(81)과 이격된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원주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럴홈(81)의 하측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일정구간 함몰된 레스트홈(Rest home)(81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스트홈(811)은 스파이럴홈(8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홈(home)을 의미할 수 있고, 반경 360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레스트홈(811)은 스파이럴홈(81)의 하측단부에 도달한 제 1돌기(531)가 동일높이에서 수평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풍향조절바디(50)는 최하 높이에 도달한 다음, 상기 최하 높이에서 회전이동하여 개구영역(O)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다.
지지블록(80)의 스파이럴홈(81)에는 풍향조절바디(50) 넥(53)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 1돌기(531)가 작동부재(70)의 절개홈(71)을 관통한 다음, 스파이럴홈(81)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다.
지지블록(80)의 원주홈(82)에는, 작동부재(70)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 2돌기(73)가 원주홈(82)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토출가이더(180)는 원통형의 커버벽(401)이 토출가이더(180) 이너프레임(18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풍향조절바디(50) 넥(53)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커버벽(401)은 토출그릴(190)의 내측으로 위치한 토출가이더(180)의 소정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캡(60)의 외측벽(62)의 하측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다.
커버벽(401)의 상측면은 풍향조절바디(50)가 최하위치까지 하강할 경우, 풍향조절바디(50) 구획판(51)의 하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향조절장치(400)는, 초기상태에서 풍향조절바디(50)가 캡(60)의 내부에 수용되고, 초기상태에서 청정장치(100)를 가동시키면, 토출가이더(180)로부터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캡(60)과 토출가이더(180)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갭(G)을 통해 360도 전 방향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모터(186)가 작동되면, 모터(186)의 회전력이 원동기어(187) 및 종동기어(72)를 통하여 작동부재(70)로 전달되어 작동부재(70)가 지지블록(80) 내에서 회전된다. 이 때, 작동부재(70)는 제 2돌기(71)가 지지블록(80)의 원주홈(82)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되므로, 작동부재(70)는 상하이동없이 작동부재(70)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정회전된다.
작동부재(70)가 정회전되면, 풍향조절바디(50)의 넥(53)에 형성된 제 1돌기(531)는 지지블록(80)의 스파이럴홈(8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홈(81)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이동되므로, 풍향조절바디(50)는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풍향조절바디(5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최하 높이에 도달하면, 가이드벽(52)의 하측면이 토출그릴(190)의 안착림(191)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한 갭(G)은, 가이드벽(52)에 형성된 개방부(521)를 제외하고 외부와 차폐된다.
따라서, 토출가이더(180)로부터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개방부(521)만을 통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때, 커버벽(401)의 상측면은 구획판(51)의 하측면과 접촉되므로,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커버벽(401)의 내부로 이동됨이 방지된다.
한편, 풍향조절바디(50)가 최하 위치에 도달하면, 제 1돌기(531)는 스파이럴홈(81)의 최하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모터(186) 가동을 지속하여 작동부재(70)를 정회전시키면, 제 1돌기(531)는 스파이럴홈(81)을 통과한 다음, 수평방향의 레스트홈(Rest home)(811)을 따라 이동된다. 이 경우, 풍향조절바디(50)는 작동부재(70)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어 개방부(521)가 회전되므로, 개방부(5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풍향이 변경된다. 이 때, 레스트홈(Rest home)(811)을 따라 이동하는 풍향조절바디(50)는 상하방향이동이 휴지상태(Resting)에 돌입하고, 레스트홈(Rest home)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정회전한다. 상기 상태에서 모터(186)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화시키면, 풍향조절바디(50)는 상승하여 캡(60) 내부로 수용된다.
한편, 본원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블록(80) 대신에 작동부재(70)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설치하고, 작동부재(70)의 외주면에 스파이럴홈을 형성하고, 풍향조절바디(50) 넥(53)에 형성된 제 1돌기(531)를 상기 스파이럴홈에 이동가능토록 삽입하는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86)를 가동하는 경우 작동부재(70)가 회전되고, 작동부재(70)가 회전되면 풍향조절바디(50)는 제 1돌기(531)가 상기 스파이럴홈을 따라 하강하고, 풍향조절바디(50)가 최하 위치에 도달하면, 제 1돌기(531)가 상기 스파이럴홈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레스트홈(Rest home)에 안내되면서 풍향조절바디(50)가 작동부재(7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모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풍향조절바디(50)가 상승하여 캡(60) 내에 수용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는 풍향조절바디(50)가 소정 거리 하강하여 갭(G)의 일부를 차폐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이더(90)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풍향조절바디(50)는 상승하여 캡(6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갭(G)은 360도 전 반경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는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360도 전 반경방향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때, 제 1돌기(531)는 절개홈(71)과 스파이럴홈(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도 13에서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가이드벽(52)의 하단부와 토출가이더(180)의 상측면(188) 간의 간격은 갭(G)보다 클 수 있고, 이는 가이드벽(52)의 전부가 캡(60)의 내부에 위치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바디(50)는 하강하여, 갭(G)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는 토출가이더(18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360도 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지 못하고, 가이드벽(52)의 개방부(521)를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때, 제 1돌기(531)는 절개홈(71)과 스파이럴홈(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도 12에서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풍향조절바디(50)의 상하방면 모션과 원주방향 모션의 상관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이더(90)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우터프레임(181)의 상측에는 아우터프레임(181)의 상측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하우징림(181a)(도 11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림(181a)의 전체적인 외형은 환형일 수 있고, 내주면은 외측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하우징림(181a)의 하측경계로부터 회전축(X)과 수직한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직선을 제 1경계선(L1)이라 하고, 연결로드(185)의 상측경계로부터 회전축(X)과 수직한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직선을 제 2경계선(L2)이라 정의한다. 제 1경계선(L1)은 캡(60)과 토출가이더(180) 사이에 형성된 갭(G)의 하측을 구획하는 경계선으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3의 경우, 풍향조절바디(50)는 제 1경계선(L1)까지 하강한 경우로, 가이드벽(52)의 하측단부가 제 1경계선(L1)과 맞닿은 상태이다. 이 때, 제 1돌기(531)는 절개홈(71)의 하측끝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리메이닝갭(Remaining Gap)(H)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이는 제 1돌기(531)가 회전에 의해 상기 리메이닝갭(H)만큼 더 하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경계선(L1)에 도달한 가이드벽(52)은 리메이닝갭(H)만큼 더 하강할 수 있으며, 하강 시 토출가이더(18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벽(52)은 아우터프레임(181)과 이너프레임(18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하우징림(181a)에 의해 토출가이더(180) 내부로의 인입을 안내받을 수 있다.
토출그릴(190)은 연결로드(18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토출그릴(190)의 상면은 제 2경계선(L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리메이닝갭(H)만큼 토출가이더(180)의 하측으로 하강하는 가이드벽(52)은 최대 제 2경계선(L2)까지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경계선(L1)과 제 2경계선(L2) 사이의 간격은 리메이닝갭(H)의 크기와 같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가이드벽(52)은, 제 1경계선(L1)부터 리메이닝갭(H)만큼 하강하는 동안에 적어도 3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벽(52)이 리메이닝갭(H)만큼 하강하는 동안에, 가이드벽(52)의 개방부(5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영역인 개구영역(O)의 위치가 360도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리메이닝갭(H)에 해당하는 간격 내에서 스파이럴홈(81)은, 지지블록(80)의 내주둘레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60도 이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52)이 제 1경계선(L1)과 제 2경계선(L2) 사이에서 상하이동할 시, 갭(G)은 개구영역(O)을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그릴(190)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개구영역(O)을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에서 가이드벽(52)을 바라보았을 시, 가이드벽(52)는 개구영역(O)의 위치만을 변동시키면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정보는 상부청정장치(200)(도 3참조)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될 수 있고,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은 제어부(6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정보를 토대로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618)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동모드를 인식하여 풍향조절바디(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8)는 모터(186)(도 1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18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70) 내측의 비어있는 공간에는 모터(18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PCB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PCB기판(미도시)는 모터(18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618)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터(18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기청정기
100: 청정장치
200: 상부청정장치 300: 풍향전환장치
400: 풍향조절장치 50: 풍향조절바디
60: 캡 70: 작동부재
80: 지지블록 90: 지지가이더
200: 상부청정장치 300: 풍향전환장치
400: 풍향조절장치 50: 풍향조절바디
60: 캡 70: 작동부재
80: 지지블록 90: 지지가이더
Claims (21)
-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가이더와, 송풍팬을 포함하는 청정장치;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공간을 커버하고, 일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개방부(Opening)가 형성된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풍향조절바디;
상기 풍향조절바디와 연결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청정장치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내주면 상에 스파이럴홈이 형성되고,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스파이럴홈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제 1돌기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스파이럴홈의 하측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스트홈(Rest home)이 형성된 공기청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내주면 상에 수평방향의 원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원주홈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제 2돌기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공기청정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홈은 상기 스파이럴홈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넥(Neck)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돌기는 상기 넥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바디는,
상기 가이드벽의 상측을 커버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넥은,
상기 구획판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공기청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 1돌기가 관통되는 절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청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원동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원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청정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종동기어의 상측에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상승 시 상기 풍향조절바디를 수용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토출가이더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은 하강 시, 상기 갭의 하측에 형성된 제 1경계선까지 하강한 뒤, 상기 토출가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청정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이 상기 제 1경계선의 하측으로 하강할 시, 상기 가이드벽은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영역을 형성하는 공기청정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 1경계선의 하측으로 하강할 시, 적어도 360도 이상 회전하는 공기청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더는,
내측에 상기 지지블록이 배치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과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캡과 연결되는 지지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프레임은,
상기 지지가이더가 연장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으로부터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가이더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림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더 내측에 배치되는 토출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하우징림과 상기 연결로드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그릴의 외측에 안착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토출가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하강한 뒤, 상기 안착림과 접촉되는 공기청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청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청정장치는,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구동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풍향조절바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938A KR102358333B1 (ko) | 2020-05-11 | 2020-05-11 | 공기청정기 |
KR1020220011657A KR102583018B1 (ko) | 2020-05-11 | 2022-01-26 |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938A KR102358333B1 (ko) | 2020-05-11 | 2020-05-11 | 공기청정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1657A Division KR102583018B1 (ko) | 2020-05-11 | 2022-01-26 |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721A true KR20210137721A (ko) | 2021-11-18 |
KR102358333B1 KR102358333B1 (ko) | 2022-02-03 |
Family
ID=78717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938A KR102358333B1 (ko) | 2020-05-11 | 2020-05-11 | 공기청정기 |
KR1020220011657A KR102583018B1 (ko) | 2020-05-11 | 2022-01-26 | 공기청정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1657A KR102583018B1 (ko) | 2020-05-11 | 2022-01-26 |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58333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7587A (ko) * | 2014-08-04 | 2016-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
KR20170010293A (ko) * | 2015-07-17 | 201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80065357A (ko) * | 2016-12-07 | 2018-06-18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KR20180065358A (ko) | 2016-12-07 | 2018-06-18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KR20190025420A (ko) * | 2017-09-01 | 2019-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동 발생장치 |
KR101955571B1 (ko) * | 2018-08-10 | 2019-05-30 | 주식회사 제씨콤 | 모듈형 공기 정화장치 |
KR20190075721A (ko) * | 2017-12-21 | 2019-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KR20190124680A (ko) * | 2019-08-20 | 2019-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6897B1 (ko) * | 2018-07-03 | 2024-09-19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 조절형 팝업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
-
2020
- 2020-05-11 KR KR1020200055938A patent/KR102358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1-26 KR KR1020220011657A patent/KR1025830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7587A (ko) * | 2014-08-04 | 2016-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
KR20170010293A (ko) * | 2015-07-17 | 201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80065357A (ko) * | 2016-12-07 | 2018-06-18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KR20180065358A (ko) | 2016-12-07 | 2018-06-18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KR101916887B1 (ko) | 2016-12-07 | 2018-11-08 | 코웨이 주식회사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KR20190025420A (ko) * | 2017-09-01 | 2019-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동 발생장치 |
KR20190075721A (ko) * | 2017-12-21 | 2019-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KR101955571B1 (ko) * | 2018-08-10 | 2019-05-30 | 주식회사 제씨콤 | 모듈형 공기 정화장치 |
KR20190124680A (ko) * | 2019-08-20 | 2019-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3018B1 (ko) | 2023-09-25 |
KR102358333B1 (ko) | 2022-02-03 |
KR20220018993A (ko) | 2022-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82288B2 (en) | Air cleaner | |
US20190376711A1 (en) | Air cleaner | |
CN106958873B (zh) | 空气清洁器以及用于控制空气清洁器的方法 | |
KR102358334B1 (ko) | 공기청정기 | |
KR20180000121A (ko) | 공기 청정기 | |
JP6777753B2 (ja) | 空気清浄機 | |
KR102188890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10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11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358333B1 (ko) | 공기청정기 | |
KR102188884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60152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639773B1 (ko) | 공기청정기 | |
KR20180000285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00287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49674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58431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49675A (ko) | 공기 청정기 | |
CN113606714B (zh) | 空气净化器 | |
KR102127936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27919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58434A (ko) | 공기 청정기 | |
KR10220137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88897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60149B1 (ko) | 공기 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