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587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587A
KR20160017587A KR1020140173204A KR20140173204A KR20160017587A KR 20160017587 A KR20160017587 A KR 20160017587A KR 1020140173204 A KR1020140173204 A KR 1020140173204A KR 20140173204 A KR20140173204 A KR 20140173204A KR 20160017587 A KR20160017587 A KR 2016001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ade
rotation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983B1 (ko
Inventor
정창우
박현욱
강완구
천성현
박찬영
서준원
이건희
김진백
신문선
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14,753 priority Critical patent/US9951791B2/en
Priority to PCT/KR2015/008108 priority patent/WO2016021901A1/en
Priority to CN201510472781.9A priority patent/CN105333499B/zh
Publication of KR2016001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기류 조절 장치를 가진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중심패널 및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흐르는 디퓨저 어셈블리,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상기 유로의 방향이 가변되도록 하는 기류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게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통상의 공기 조화기는 열교환기 내에 흐르는 냉매의 상변화에 따라 열교환기 주변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고, 이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이를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냉동 사이클을 구비하는데, 압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하고, 응축기는 상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한다. 팽창밸브는 상온 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감압시키고, 증발기는 감압된 냉매를 저온의 기체 상태로 증발시킨다.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기류 조절 장치를 가진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중심패널 및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흐르는 디퓨저 어셈블리;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상기 유로의 방향이 가변되도록 하는 기류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그릴을 회전시켜 유로의 방향을 가변시킨다.
상기 그릴의 일측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상기 그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유로의 방향을 가변시킨다.
상기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가 가변되는 방향이 상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그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로는 좌우 방향으로 가변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그릴의 좌측와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가변된다.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는 절곡된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하면, 상기 유로의 방향이 가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심패널의 후방에는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케이스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중심패널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중심패널의 일측이 가압되면 상기 유로가 타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 및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그릴이 향하는 방향을 가변시킨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중심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중심패널에 고정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패널의 전방에는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홀의 연장 길이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의 전방에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의 배면에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가압되면,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제1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유로가 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중심패널의 좌우 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의한 기류는 좌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기류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측면의 높이가 불균등하게 구비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1덕트의 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측면의 높이가 불균등하게 구비되는 제2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덕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2덕트에는 상기 제1덕트의 전방에서 헛돈다.
상기 제1덕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2덕트의 전방이 향하는 방향이 가변되어 기류의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 사이에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덕트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1덕트와 상기 홀더는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유로가 향하는 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한 회전링크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링크와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일면에 편심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제1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 블레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 블레이드에 대응되고 제2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돌기 및 상기 제2회전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홀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홀은, 직선 구간, 상기 직선 구간의 좌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된 제1절곡구간 및 상기 직선 구간의 우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된 제2절곡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곡구간은 좌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구간을 우측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2회전돌기가 상기 제1절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우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1회전돌기가 상기 제2절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제1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좌측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송풍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형상이 변화되어 기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원형의 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로서,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크;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 및 일측이 상기 회전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그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타측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개선된 디퓨저 어셈블리의 구조를 통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변화된 토출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와 디퓨저 어셈블리가 하우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의 블레이드와 기류 조절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마련된 디퓨저 어셈블리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형상이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변화된 토출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6 및 도 4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에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5 및 도 5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 및 실외기(12)를 포함한다. 실내기(10)와 실외기(12)는 냉매 배관(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냉매 배관(13)은 제1냉매 배관(13a) 및 제2냉매 배관(13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2)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1냉매 배관(13a)을 통해 실내기(10)로 이동할 수 있다. 실내기(1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제2냉매 배관(13b)을 통해 실외기(12)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매는 냉매 배관(13)을 통해 실내기(10)에 구비된 냉매관(미도시)과 실외기(12)에 구비된 냉매관(미도시)을 순환할 수 있다.
실내기(10)는 실외기(12)에서 압축 및 응축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켜 실내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실내기(10)는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냉각될 수 있다. 실내기(10)에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팬 어셈블리(140) 및 디퓨저 어셈블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외기(12)는 압축기, 응축기 및 송풍팬(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2)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응축된다. 이때 송풍팬(11)이 구동되고,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는 실내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디퓨저 어셈블리(150), 디퓨저 어셈블리(15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140),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150)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기류 조절 장치(160) 및 하우징(110) 내부에서 팬 어셈블리(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전면패널(112) 및 후면패널(114)을 포함한다. 전면패널(112)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는 팬 어셈블리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111)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개구를 토출구(111)라 한다. 토출구(1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4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전면패널(112)에 형성된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후면패널(114)은 전면패널(112)의 후방에 결합되어 실내기(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패널(114)에는 복수의 흡입구(113)가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팬 어셈블리(140)와 후면패널(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고정 브라켓(120)에 의해 실내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흡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130)는 튜브(132), 헤더(134) 및 복수의 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13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헤더(134)가 연결된다. 헤더(134)에는 실외기(12)의 냉매관과 연결되는 냉매관이 연결되어 튜브(132)로 냉매를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핀은 튜브(132)에 장착되어 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40)는 전면패널(1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40)는 열교환기(1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30)에서 열을 교환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시킨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40)는 팬(141), 모터커버(143) 및 모터(145)를 포함한다. 팬(141)은 모터(145)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류팬일 수 있다.
모터커버(143)에는 모터(145)가 삽입될 수 있는 모터수용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144)는 후방으로 돌출된 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145)는 모터 수용부(144)에 수용된다. 모터커버(143)는 모터(145)와 팬(141)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팬(141)의 일측에는 모터 수용부(144)를 감싸는 공간(142)이 마련될 수 있다.
모터(145)의 일측에는 모터(14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146)가 구비된다. 이 샤프트(146)는 모터커버(143)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팬(14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팬(141)이 모터(14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모터(145)에 구비된 샤프트(146)는 후면패널(114)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40)가 동작됨으로써, 흡입구(113)를 통해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면패널(112)에 형성된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팬 어셈블리(140)의 전방에는 팬 어셈블리(140)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토출구(111)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디퓨저 어셈블리(150)가 마련된다.
디퓨저 어셈블리(150)는 원형의 커버(151)와, 커버(151)가 결합되는 중심패널(152)과, 중심패널(152)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153) 및 중심패널(152)과 그릴(153) 사이에 개재되어 팬(141)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블레이드(154)를 구비한다.
커버(151)와 그릴(153)의 사이에는 링(ring) 형상의 토출구(151a)가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54)는 토출구(151a)가 형성된 위치에서 나선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로 인해 팬(141)으로부터 불어나오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퓨저 어셈블리(150)는 팬 어셈블리(140)의 전방에 배치되어 팬(141)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151a)를 통해 전면패널(112)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디퓨저 어셈블리(150)로부터 토출되는 직선형 기류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류 조절 장치(160)를 포함한다. 기류 조절 장치(160)는 디퓨저 어셈블리(150)의 커버(15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복수의 블레이드(154)의 일부가 디퓨저 어셈블리(15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기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160)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기류 조절을 위하여, 디퓨저 어셈블리(150)에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154)는 블레이드 고정부(154a)와 블레이드 이동부(154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블레이드(154)의 일단은 중심패널(152)과 연결되고, 타단은 그릴(153)과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 고정부(154a)는 중심패널(152)과 그릴(153) 및 블레이드(154)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그릴(153)과 결합된 블레이드(154)가 중심패널(152)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중심패널(152)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중심패널(152)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커버(151)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커버(151)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160)는 커버(15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커버(151)에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61), 커버(151)와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16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63) 및 모터(16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164)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61)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162)이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61)의 외측면에는 디퓨저 어셈블리(150)의 중심패널(152)을 향하도록 출력기어(164b)가 마련된다.
출력기어(164b)는 모터(163)의 모터축(163a)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64a)와 치합된다. 구동기어(164a)와 출력기어(164b)의 기어비에 의해 모터(163)의 회전 속도가 변속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61)에 전달될 수 있다. 출력기어(164b)는 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기어(164a)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모터(163)의 구동력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중심패널(152)에는 가이드홀(162)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152a)가 마련된다. 가이드돌기(152a)는 중심패널(15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홀(162)에 삽입된다. 가이드돌기(152a)는 가이드 플레이트(161)가 이동할 때, 가이드 플레이트(161)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가이드돌기(152a)의 측단부가 가이드홀(162)의 단부에 접촉될 때 가이드 플레이트(161)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160)는 커버(151)를 이동시킬 경우 블레이드 이동부(154b)를 연동시켜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링크부를 더 구비한다. 링크부는 블레이드 이동부(154b)가 중심패널(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166), 블레이드 이동부(154b)로부터 커버(151)를 향햐여 돌출된 지지부(167) 및 가이드 플레이트(161)로부터 블레이드(154)를 향하여 돌출된 가압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7)와 가압부(168)는 각각 커버(1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67)와 가압부(168)는 각각 한 쌍이 마련ㄷ될 수 있다. 지지부(167)와 가압부(168)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168)는 지지부(167)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류 조절 장치(160)를 통하여 디퓨저 어셈블리(150)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조절되는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63)의 구동력이 발생하면 기어부(164)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드(161)로 회전력이 전달하게 된다. 이에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모터(16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의 정,역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61)가 이동할 때, 커버(151)와 함께 링크부에 의해 블레이드 이동부(154b)가 연동하여 힌지부(16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커버(151)가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블레이드 이동부(154b)가 힌지부(166)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61)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161)에 형성된 우측 가압부(168a)가 블레이드 이동부(154b)의 우측 지지부(167a)를 가압하면, 우측에 위치한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힌지부(166)를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161)에 형성된 좌측 가압부(168b)는 블레이드 이동부(154b)의 좌측 지지부(167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151)가 정면 시점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면 좌측 토출구(151a) 일부분을 덮고, 좌측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블레이드 고정부(154a)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블레이드 이동부(154b)는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직진형 기류로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기류로 가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15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51) 및 가이드 플레이트(161)와 함께 좌측 블레이드 이동부(154b)가 회동하여 직진형 기류로 토출되는 공기를 우측 기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류 조절 장치(160)에 의해 커버(151)와 블레이드 이동부(154b)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기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류 조절 구조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이동부(154b)를 상측과 하측방향에 배치하고, 커버(151)를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하여 상하 방향의 풍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추고, 실내기는 하우징, 디퓨저 어셈블리, 팬 어셈블리, 열교환기 및 기류 조절 장치를 갖춘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디퓨저 어셈블리의 구조 및 기류 조절 장치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기류를 조절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되지 않는 실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 및 8 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내기(20)에 설치되는 디퓨저 어셈블리(250)는 원형의 커버(251), 커버(251)가 결합되는 중심패널(252), 중심패널(252)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253) 및 중심패널(252)과 그릴(253) 사이에 개재되어 팬(도 9A의 '141' 참조)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블레이드(25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패널(252)과 그릴(253) 사이에는 가이드 블레이드(265)가 위치되는 공간인 수용부(255)가 구비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260)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 블레이드(26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수용부(255)에 마련되어 블레이드(25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260)는 가이드 블레이드(26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61) 및 모터(261)의 구동력을 가이드 블레이드(265)에 전달하는 링크축(263)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255)는 중심패널(252)을 기준으로 좌,우측 또는 상,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55)는 서로 대향되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55)가 중심패널(252)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각 수용부(255)에 배치된다. 이에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그릴(253)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모터(26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팬 어셈블리(140)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토출구(251a)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블레이드(265)의 양단에는 회전축(264)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64)은 링크축(263)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축(263)의 타측은 모터축(262)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축(262)과 회전축(264)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링크축(263)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61)의 구동력은 모터축(262), 링크축(263)을 통해 회전축(264)으로 전달되어 가이드 블레이드(26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좌우측에 위치한 한 쌍의 가이드 블레이드(265)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블레이드(265)를 구동시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변화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터(261)의 구동에 따라 우측의 가이드 블레이드(265a)를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의 안쪽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우측의 가이드 블레이드(265a)가 토출되는 공기의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좌측 기류가 형성된다(도 10의 (b) 참조).
유사하게, 좌측의 가이드 블레이드(265b)를 토출구 안쪽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기류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블레이드(265a,265b)가 토출구 안쪽으로 회동하지 않고 가이드 블레이드(265a, 265b)의 외측면과 그릴(253)의 내측면이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형 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추고, 실내기는 하우징, 디퓨저 어셈블리, 팬 어셈블리, 열교환기 및 기류 조절 장치를 갖춘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디퓨저 어셈블리의 구조 및 기류 조절 장치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기류를 조절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되지 않는 실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와 디퓨저 어셈블리가 하우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내기(30)에 마련되는 팬 어셈블리(140)와 디퓨저 어셈블리(350)는 일체로 결합된다. 일체로 결합된 팬 어셈블리(140)와 디퓨저 어셈블리(350)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팬 어셈블리(140)와 디퓨저 어셈블리(350)를 회전부(350')라 이름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360)는 회전부(3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과, 회전부(3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61) 및 모터(36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363)를 구비한다.
디퓨저 어셈블리(350)는 원형의 커버(351), 커버(351)가 결합되는 중심패널(352), 중심패널(35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353) 및 중심패널(352)과 그릴(353) 사이에 게재되어 팬(141)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블레이드(3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355'는 팬 어셈블리(140)와 디퓨저 어셈블리(350)를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이다.
회전부(350')는 실내기(30) 내에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350')의 상측과 하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회전축(350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회전부(350')는 회전축(350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토출구(351a)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풍향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회전부(35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회전축(35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축(350a)에는 모터(361)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회전축(350a)에는 출력기어(363b)가 결합되고, 출력기어(363b)는 모터(361)의 모터축(362)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63a)와 치합될 수 있다. 회전부(3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61)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351a)를 통해 토출되는 풍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모터(361)와 연결된 구동기어(363a)와 출력기어(363b)가 연결되어 출력기어(363b)가 결합된 회전축(350a)을 회전시키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모터(361)의 구동력이 회전축(350a)에 전달되는 기어부의 구조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361)의 구동기어(363a)와 회전축(350a)에 결합되는 출력기어(363b)는 랙기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추고, 실내기는 하우징, 디퓨저 어셈블리, 팬 어셈블리, 열교환기 및 기류 조절 장치를 갖춘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디퓨저 어셈블리의 구조 및 기류 조절 장치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기류를 조절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되지 않는 실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의 블레이드와 기류 조절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내기(40)는 디퓨저 어셈블리(450) 및 팬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140)는 팬(141), 모터커버(143) 및 모터(145)를 포함한다. 팬(141)은 모터(145)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류팬일 수 있다. 모터커버(143)는 모터(145)와 팬(141)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모터커버(143)에는 모터(145)가 삽입될 수 있는 모터수용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팬(141)의 일측에는 모터수용부(144)를 감싸는 공간(142)이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450)는 원형의 커버(451), 커버(451)가 결합되는 중심패널(452), 중심패널(452)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453) 및 중심패널(452)과 그릴(453) 사이에 개재되어 팬(141)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블레이드(4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450)는 기류 조절을 위하여 복수의 블레이드(454)가 각각 중심패널(452)과 그릴(45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454)의 양단에는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회전축(455)이 마련될 수 있다. 각 블레이드(454)는 중심패널(452)과 그릴(453) 사이에 개재되어 중심패널(452)과 그릴(453)에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레이드(454)에는 링크축(456)이 형성된다. 링크축(456)은 각 블레이드(454)의 양단 중 어느 일측 끝단에 회전축(455)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링크축(456)은 후술할 원형링크(462)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원형링크(462)의 동작에 따라 블레이드(454)가 작동되는 동작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기류 조절 장치(460)는 각 블레이드(454)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들(454)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원형링크(462), 원형링크(462)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61) 및 모터(46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링크(462)는 중심패널(4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원형링크(462)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링크홈(466)이 구비될 수 있다. 링크홈(466)에는 블레이드(454)에 구비된 링크축(456)이 삽입될 수 있다.
링크축(456)은, 원형링크(462)와 근접한 방향의 블레이드(454) 일단부로부터 원형링크(462)의 내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링크홈(466)에 링크축(456)이 관통하여 위치되므로 원형링크(462)가 회전하면 링크축(456)이 원형링크(46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링크축(456)이 원형링크(462)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링크축(456)과 연결된 블레이드(454)는 회전축(455)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454)가 회전축(45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짐으로써 블레이드(454)의 각도 변화에 따라 토출구(451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조절될 수 있다.
기어부(463)는, 모터(461)의 모터축(461a)에 결합되는 구동기어(463a), 구동기어(463a)와 치합되는 연결기어(463b) 및 연결기어(463b)와 치합되는 출력기어(463c)를 포함한다. 출력기어(463c)는 원형링크(462)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연결기어(463b)를 통해 구동기어(463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기어부(463)에 의해 모터(461)의 구동력이 원형링크(462)에 전달되어 원형링크(46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출력기어(463c)가 연결기어(463b)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출력기어(463c)가 구동기어(463a)와 직접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46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링크(46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 또는 위치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실내기(40)의 기류 조절 동작 상태에 대하여,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실내기(40)의 작동시 팬 어셈블리(140)를 통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블레이드(454)에 의해 안내되어 토출구(451a)를 통해 직진형 기류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 직진형 기류를 토출시키는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454)가 기울어진 각도가 0°인 것으로 한다.
도 18은 블레이드(454)는 토출구(451a)를 폐쇄하도록 소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454)는 토출구(451a)를 폐쇄하도록 도 19의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기준으로 대략 -80°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실내기(40)의 작동전 상태로서, 공기 조화기의 미사용시 토출구(451a)를 폐쇄하여 실내기(4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공기 조화기의 사용을 위해 전원이 인가되면 블레이드(45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20은 직진형 기류를 토출시키는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토출구(451a)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원형링크(462)를 더 회전시킨 모습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9에서 설명된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기준으로 대략 20°의 각도를 갖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구(451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블레이드(454)에 의해 가이드되어 확산되어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454)의 각도 변화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설명된 블레이드(454)의 각도는 임의적으로 표현된 것이며,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토출구(451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54)를 중심패널(452)에 설치된 원형링크(462)와 연결시켜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블레이드(454)를 동시에 회전시켜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홈(466)이 형성된 원형링크(462)가 그릴(453)이 형성된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시키고 각 블레이드(454)와 연결시킴으로써, 원형링크(462)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454)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추고, 실내기는 하우징, 디퓨저 어셈블리, 팬 어셈블리, 열교환기 및 기류 조절 장치를 갖춘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디퓨저 어셈블리의 구조 및 기류 조절 장치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기류를 조절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되지 않는 실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마련된 디퓨저 어셈블리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내기(50)에 마련되는 디퓨저 어셈블리(550)는 원형의 커버(551), 커버(551)가 결합되는 중심패널(552), 중심패널(552)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553) 및 중심패널(552)과 그릴(553) 사이에 개재되어 팬(141)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블레이드(5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55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554)의 일단부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는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554)의 타단부는 그릴(553)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554)의 일단부에는 링크홀(555)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홀(555)은 후술할 원형링크(562)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된다. 원형링크(562)의 동작에 따른 블레이드(554)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류 조절 장치(560)는 이동가능한 블레이드(554)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각 블레이드(554)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형링크(562), 원형링크(562)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61) 및 모터(56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563)를 구비한다.
원형링크(562)는 중심패널(5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형링크(562)는, 블레이드(554)에 형성된 링크홀(555)에 삽입되는 링크축(565)을 포함한다. 링크축(565)은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링크축(565)은 중심패널(552)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링크축(565)은 복수의 블레이드(554)에 형성된 복수의 링크홀(555)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원형링크(562)가 회전하면, 링크축(565)에 의해 블레이드(554)의 일단부가 링크축(565)과 함께 이동하고, 블레이드(554)의 형상이 만곡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블레이드(554)는 원형링크(56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팬 어셈블리(140)에 마련된 팬(1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또는 팬(14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지게 변형될 수 있다. 블레이드(554)가 팬(141)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토출구(551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조절될 수 있다.
원형링크(56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561)의 구동력을 원형링크(562)에 전달하는 기어부(563)는 모터(561)의 모터축(561a)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63a) 및 구동기어(563a)와 치합되는 출력기어(563b)를 구비한다. 출력기어(563b)는 원형링크(56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출력기어(563b)는 구동기어(563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형링크(562)가 회전되도록 한다. 모터(56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링크(56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 또는 위치센서 등을 마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실내기(50)의 기류 조절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형상이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원형링크(562)가 커버(55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554)가 중심패널(552)로부터 그릴(553)까지 시계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554)는 팬(14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일 수 있다. 팬(141)으로부터 불어나오는 토출공기는 블레이드(554)에 의해 토출구(551a)로 안내되어 팬(141)의 전방보다 후방에서 확산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도 26의 (a) 참조).
도 25를 참조하면, 원형링크(562)가 커버(551)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554)가 중심패널(552)로부터 그릴(553)까지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554)는 팬(1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만곡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팬(141)으로부터 불어나오는 토출공기의 확산을 블레이드(554)가 방해하여 직진형 기류가 토출구(551a)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도 26의 (b) 참조).
이와 같이, 원형링크(562)의 회전방향에 따라 블레이드(554)의 만곡된 형상을 변경될 수 있고, 블레이드(554)의 만곡된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토출되는 기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블레이드(554)의 일단부가 중심패널(552)에 설치된 원형링크(562)에 연결되어 블레이드(554)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블레이드(554)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블레이드(554)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갖더라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554)에 링크축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축이 삽입되는 링크홀을 원형링크(562)에 형성하여 결합시키거나, 링크축(565)이 형성된 원형링크(562)가 그릴(553)이 형성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시켜 각 블레이드(554)와 연결시켜, 원형링크(562)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554)의 형상이 변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60)는 고정패널(61), 가이드부(62) 및 디퓨저 어셈블리(6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62)는 고정패널(61)에 구비된 토출부(610)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62)은 고정홀더(63)에 의해 고정패널(6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패널(61)은 중심부에 토출부(610)가 구비될 수 있다. 토출부(610)의 주변에는 토출부(610)가 형성된 면에 수직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611)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토출부(610)는 원형으로 구비되고, 측면부(611)는 토출부(610)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면부(611)의 적어도 일측에는 후술할 가이드돌기(64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62)는 고정패널(61)의 측면부(61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62)는 대략 고정패널(61)의 측면부(611)를 감싸는 링(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62)는 모터(6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터(65)의 구동력은 기어부를 통해 가이드부(62)로 전달되어 가이드부(62)가 회전할 수 있다. 기어부는, 가이드부(62)의 외측면의 일부에 형성된 출력기어(625) 및 모터(65)의 모터축(650)과 연결된 구동기어(651)를 포함한다. 출력기어(625)는 구동기어(651)와 치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62)는 모터(65)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부(62)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구비된 가이드홀(62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홀(621)에는 후술할 디퓨저 어셈블리(64)에 구비된 가이드돌기(641)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홀(621)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621)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62)는 고정홀더(63)에 의해 고정패널(61) 측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홀더(63)는 가이드부(62)의 적어도 일부를 간섭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홀더(63)에는 체결부(63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63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홀더(63)가 고정패널(61)에 장착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64)는 가이드부(62)에 삽입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64)는 가이드부(62)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그릴(640), 커버가 결합되는 중심패널(646) 및 그릴(640)과 중심패널(646) 사이에 마련되어 팬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블레이드(6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640)과 중심패널(646) 사이에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부(642)가 구비되고, 토출부(642)에 복수의 블레이드(645)가 마련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릴(64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6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돌기(64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간격으로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는 가이드부(62)에 형성된 가이드홀(6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홀(621)은 가이드돌기(641)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62)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돌기(641)가 가이드홀(6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641)의 연장 길이에 대응되는 홀(625a)이 형성된 연장부(625)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625)는 가이드부(62)의 외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625)는 가이드홀(62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고, 연장부(625)에 형성된 홀(625a)은 가이드홀(6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돌기(641)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641)는 홀(625a)을 통과해 가이드홀(621)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625)는 복수의 가이드홀(621)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62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2)에는 절곡된 형상의 가이드홀(621)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64)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부(62)가 회전하면, 가이드홀(621)에 삽입된 가이드돌기(641)는 가이드홀(621)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가이드홀(621)의 측면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가 특정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디퓨저 어셈블리(64)는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64)는 가이드홀(621)의 형상에 의해 다양한 조합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홀(621)이 절곡되는 각도가 급격하게 형성될수록 디퓨저 어셈블리(64)의 방향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가이드홀(621)에서 가이드돌기(641)가 제1위치(a)에 위치될때 디퓨저 어셈블리(64)는 전방 정면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부(62)가 모터(6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돌기(641)는 가이드홀(621)의 제2위치(b)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가 제1위치(a)에서 제2위치(b)로 이동하면 디퓨저 어셈블리(64)는 좌측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가 제1위치(a)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부(62)가 모터(65)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퓨저 어셈블리(64)는 가이드홀(621)의 제3위치(c)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41)가 제1위치(a)에서 제3위치(c)로 이동하면 디퓨저 어셈블리(64)는 우측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64)의 회전 방향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퓨저 어셈블리(64)는 가이드홀(621)의 형태에 따라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다양한 조합의 방향을 향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70)는 고정패널(7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레이드(72) 및 가이드 블레이드(7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는 고정패널(71)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는 고정패널(71)의 토출부(710) 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출부(7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고정패널(71)에는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71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토출부(710)를 형성하는 고정패널(71)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토출부(710)를 형성하는 고정패널(71)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토출부(710)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토출부(7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에는 회전 돌기(721a, 721b))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패널(71)에는 회전 돌기(721a, 721b)가 삽입되는 홀(711a,711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돌기(721a, 721b)는 제1회전돌기(721a) 및 제1회전돌기(721a)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회전돌기(7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돌기(721a) 및 제2회전돌기(721b)는 가이드 블레이드(72)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돌기(721a,721b)는 회전 돌기(721a, 72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2)에 구비되는 회전돌기(721a,721b)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링크(74)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링크(74)는 모터(7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링크(74)의 일측에는 회전돌기(721a, 721b)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74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력기어(74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740) 및 회전돌기(721a, 721b)는 원통형이 아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홀(740)과 회전돌기(721a, 721b)는 단면이 활꼴(segment of a circ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돌기(721a, 721b)가 결합홀(7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링크(74)가 회전하면 회전돌기(721a, 721b)가 회전링크(7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링크(74)가 회전하면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회전돌기(721a, 721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링크(74)와 회전돌기(721a, 721b)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모터(73)의 구동력은 기어부에 의해 회전링크(74)에 전달될 수 있다. 기어부는 모터(73)의 모터축(730)에 연결되는 구동기어(731) 및 회전링크(74)의 일측에 구비되는 출력기어(74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730)이 모터(73)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731)를 통해 출력기어(741)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출력기어(741)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회전링크(74)는 회전돌기(721a, 721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패널(71)의 일측에는 회전링크(7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712)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링크(74)의 일면에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구비되고,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부(712)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레이드(72)가 토출부(710)의 전방 정면을 향해 기류가 형성되도록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조절 장치(7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가이드 블레이드(72)는 고정패널(71)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부(710)의 전방 정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도 36에는 토출부(7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좌측을 향하도록 가이드 블레이드(72)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모터(7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기어(73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731)와 치합되는 출력기어(741)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링크(74)는 회전돌기(721a,721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돌기(721a,72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토출부(710)의 전방 좌측을 향해 기류가 형성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37에는 토출부(7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우측을 향하도록 가이드 블레이드(72)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모터(7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기어(73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731)와 치합되는 출력기어(741)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링크(74)는 회전돌기(721a, 721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돌기(721a, 721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블레이드(72)는 토출부(710)의 전방 우측을 향해 기류가 형성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부(710) 측에 구비된 가이드 블레이드(72)가 회전돌기(721a,721b)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토출부(7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가이드 블레이드(72)에 의해 기류가 좌우 방향으로 변화되는 실시에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블레이드(72)에 구비되는 회전돌기(721a, 721b)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기류가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75)는 토출부(760)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 블레이드(77)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레이드(77)는 고정패널(76)에 형성된 토출부(76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출부(76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7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70)와 비교하여 모터(78)의 구동력이 가이드 블레이드(77)에 전달되는 구조가 상이하고 고정패널(76)에 가이드 블레이드(77)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는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정패널(76)에는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76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는 토출부(760)를 형성하는 고정패널(76)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는 토출부(760)를 형성하느 고정패널(76)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부(76)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 블레이드(77)는 토출부(760)의 외경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에는 회전돌기(771a, 771b)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패널(76)에는 회전돌기(771a, 771b)가 삽입되는 홀(761a, 761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돌기(771a, 771b)는 제1회전돌기(771a) 및 제1회전돌기(771a)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회전돌기(7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돌기(771a) 및 제2회전돌기(771b)는 가이드 블레이드(77)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돌기(771a, 771b)는 회전돌기(761a, 76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에 구비되는 회전돌기(771a, 771b) 중 적어도 하나는 링크부재(79)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링크(79)는 모터(7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돌기(771a, 771b)는 링크부재(79)에 결합되어 링크부재(79)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링크부재(79)는 일측에 회전돌기(771a, 771b)가 결합되는 제1링크(791) 및 제1링크(791)로부터 연장되는 제2링크(7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792)에는 제2링크(79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링크홀(793)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축(780)에는 회전플레이트(781)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781)는 모터축(780)에 연결되어 모터축(78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781)의 일면에는 가이드돌기(78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781)는 원형으로 구비되고, 가이드 돌기(782)는 회전 플레이트(78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782)는 링크홀(783)에 삽입될 수 있다. 모터(78)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플레이트(781)가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782)는 링크홀(79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782)가 링크홀(79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돌기(782)에 의해 링크홀(793)을 형성하는 제2링크(792)의 내측면이 가압될 수 있다. 제2링크(792)가 가압되어 링크부재(79)는 회전돌기(771a,771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링크부재(79)와 함께 가이드 블레이드(77)도 회전돌기(771a, 771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 블레이드(77)에 의해 기류의 방향의 변화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레이드(77)가 토출부(760)의 전방 정면을 향해 기류가 형성되도록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조절 장치(75)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가이드 블레이드(77)는 고정패널(76)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부(760)의 전방 정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돌기(771a) 측에 위치된 기류 조절 장치(75)의 경우, 가이드돌기(782)는 링크홀(793) 내에서 제1회전돌기(771a)와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41에는, 토출부(76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우측을 향하도록 가이드 블레이드(77)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82)가 제1회전돌기(771a)와 가장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모터(78)에 의해 회전플레이트(78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돌기(782)와 제1회전돌기(771a)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782)는 회전하면서 링크홀(793)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링크부재(79)가 제1회전돌기(771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부재(7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부재(79)에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77)도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부(760)를 통해 전방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2에는 토출부(76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좌측을 향하도록 가이드 블레이드(77)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82)가 제1회전돌기(771a)와 가장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모터(78)에 의해 회전플레이트(78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782)와 제1회전돌기(771a)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782)는 회전하면서 링크홀(793)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링크부재(79)가 제1회전돌기(771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부재(7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부재(79)에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77)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7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부(760)를 통해 전방 좌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80)는 토출부(810) 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블레이드(82)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레이드(82)는 모터(84)에 의해 구동되는 홀더 블레이드(83)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82)는 토출부(810)를 형성하는 고정패널(81)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부(810)가 원형으로 구비된 경우, 가이드 블레이드82)는 토출부(8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82)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의 일부 형상을 가진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 및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블레이드(82)가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 및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정패널(81)에는 토출부(810)가 형성되고, 토출부(810)의 내측에 가이드 블레이드(8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82)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회전돌기(820,821,822,823)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패널(81)에는 회전돌기(820, 821,822,823)가 삽입되는 회전홀(811a, 811b,812a, 812b)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1회전돌기(820),제2회전돌기(821)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1회전돌기(820),제2회전돌기(821)는 각각 고정패널(81)에 형성된 제1회전홀(811a),제2회전홀(81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3회전돌기(822),제4회전돌기(823)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3회전돌기(822),제4회전돌기(823)는 각각 고정패널(81)에 형성된 제3회전홀(812a), 제4회전홀(8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홀더 블레이드(83)가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의 제2회전돌기(821) 및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의 제4회전돌기(823)가 위치된 고정패널(81)의 일측에 구비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블레이드(82)는 모터(8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홀더 블레이드(83)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 블레이드(83)는 일측에 랙기어부(83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절곡된 형상의 가이드홀(830)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블레이드(83)와 가이드 블레이드(82)는 가이드부재(8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85)는 제1가이드부재(85a) 및 제2가이드부재(8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돌기(821)에는 제1가이드부재(85a)가 장착되고, 제4회전돌기(823)에는 제2가이드부재(85b)가 장착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85a)의 일측에는 제2회전돌기(821)가 장착될 수 있는 제1결합부(8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돌기(821)는 제1결합부(850)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부재(85a)와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1가이드부재(85a)의 타측에는 제1가이드돌기(85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851)는 가이드홀(830)에 삽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가이드부재(85b)의 일측에는 제4회전돌기(823)가 장착될 수 있는 제2결합부(85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가이드돌기(85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회전돌기(823)는 제2결합부(852)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부재(85b)가 제2가이드블레이드(82b)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2가이드돌기(853)는 가이드홀(830)에 삽입될 수 있다.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840)에는 구동기어(841)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기어(841)는 홀더 블레이드(83)에 형성된 랙기어(831)에 치합될 수 있다. 모터(84)의 구동력은 구동기어(841), 랙기어(831)를 통해 홀더 블레이드(83)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기어(841)의 회전력은 랙기어(831)로 전달되어 홀더 블레이드(83)가 좌우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홀더 블레이드(83)가 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면 가이드홀(830)에 삽입된 제1가이드돌기(851) 및 제2가이드돌기(853)는 가이드홀(830)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가이드홀(830)의 내측벽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되는 힘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85a) 또는 제2가이드부재(85b)는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85a) 도는 제2가이드부재(85b)가 회전하면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 또는 제2가이드블레이드(82b)도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홀더 블레이드(83)의 직선 운동에 의해 가이드 블레이드(82)가 회전하여 기류를 변화시키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6 및 도 4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가이드홀(830)은 제1절곡구간(830a), 직선구간(830b) 및 제2절곡구간(830b)을 포함한다. 제1절곡구간(830a)은 직선구간(830b)으로부터 절곡되어 좌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구간(830c)은 직선구간(830b)으로부터 절곡되어 우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8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정면을 향해 토출되도록 가이드 블레이드(82)가 고정패널(81)과 평행하게 위치된 경우, 제1가이드돌기(851) 및 제2가이드돌기(853)는 직선 구간(830b)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홀더 블레이드(83)가 모터(84)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에 의해 우측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기어(8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841)와 치합된 랙기어(831)에 의해 홀더 블레이드(83)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 블레이드(83)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직선 구간(830b)에 위치되었던 제2가이드돌기(853)는 제1절곡구간(830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853)가 직선구간(830b)으로부터 제1절곡구간(830a)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85b)는 제4회전돌기(85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회전돌기(853)는 제2가이드부재(85b)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회전돌기(853)와 함께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부(810)를 통해 우측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돌기(853)가 제1절곡구간(830a)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가이드돌기(851)는 여전히 직선구간(830b)에 위치되어, 직선구간(830b) 내에서의 위치만 변화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85a)는 회전하지 않고 제1가이드부재(85a)와 연결된 제1 가이드 블레이드(82a)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홀더 블레이드(83)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는 회전하지 않고 전방 정면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만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부(8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우측 전방으로 가이드한다.
도 47을 참조하면,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홀더 블레이드(83)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하기에서는 홀더 블레이드(83)가 도 45에 도시된 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에 의해 우측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기어(84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841)와 치합된 랙기어(831)에 의해 홀더 블레이드(83)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 블레이드(83)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직선 구간(830b)에 위치되었던 제1가이드돌기(851)는 제2절곡구간(830c)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851)가 직선구간(830b)으로부터 제2절곡구간(830c)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가이드부재(85a)는 제2회전돌기(8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돌기(851)는 제1가이드부재(85a)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회전돌기(851)와 함께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부(810)를 통해 좌측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851)가 제2절곡구간(830c)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가이드돌기(853)는 여전히 직선구간(830b)에 위치되어, 직선구간(830b) 내에서의 위치만 변화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85b)는 회전하지 않고 제2가이드부재(85b)와 연결된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홀더 블레이드(83)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가이드 블레이드(82b)는 회전하지 않고 전방 정면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제1가이드 블레이드(82a)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부(8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좌측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가이드 블레이드에 의해 공기가 좌측 전방 또는 우측 전방으로 안내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돌기의 위치를 가변시켜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86)는 토출부(870)가 구비된 제1덕트(87a) 및 제1덕트(87a)에 연결되는 제2덕트(87b)를 포함한다. 제1덕트(87a)는 모터(8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덕트(87a)는 제2덕트(87b)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덕트(87a) 및 제2덕트(87b)는 각각 경사진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덕트(87a)에서 일측면의 높이는 대향되는 타측면의 높이와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덕트(87a)의 측면은 가장 높은 높이(W1)를 가진 제1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에 가장 낮은 높이(W2)를 가진 제2측면이 존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덕트(87b)에서 일측면의 높이는 대향되는 타측면의 높이와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덕트(87b)의 측면은 가장 높은 높이(W3)를 가진 제3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에 가장 낮은 높이(W4)를 가진 제4측면이 존재할 수 있다.
모터(89)의 구동력은 기어부를 통해 제1덕트(87a)로 전달될 수 있다. 기어부는 모터(8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890)에 연결된 구동기어(891) 및 제1덕트(87a)의 외측면에 형성된 출력기어(873)를 포함한다. 구동기어(891)와 출력기어(873)는 치합될 수 있다. 모터(89)의 구동력은 구동기어(891)를 통해 출력기어(873) 측으로 전달되어 제1덕트(87a)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덕트(87a)에는 홀더(88)가 장착될 수 있다. 홀더(88)에 의해 제1덕트(87a)와 제2덕트(87b)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덕트(87a)는 후크 방식에 의해 홀더(88)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덕트(87a)에는 결합돌기(871)가 형성되고, 홀더(88)의 일측에는 제1덕트(87a)에 형성된 결합돌기(871)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880)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871)가 결합홀(880)에 삽입되어 간섭됨으로써 제1덕트(87a)가 홀더(88)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덕트(87b)는 홀더(88)의 타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덕트(87b)는 홀더(88)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제1덕트(87a)가 모터(8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제2덕트(87b)에는 모터(89)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제1덕트(87a)와 홀더(88)가 함께 회전하더라도 제2덕트(87b)는 회전하지 않고 홀더(88)의 타측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덕트(87b)의 측면 중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진 제3측면이 상부에 위치되고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제4측면이 하부에 위치된 경우, 제1덕트(87a)가 회전하더라도 제2덕트(87b)의 제3측면과 제4측면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86)는 모터(89)의 구동력에 의해 제1덕트(87a)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덕트(87b)의 측면 중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진 제3측면이 상부에 위치되고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제4측면이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덕트(87a)가 모터(8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제1덕트(87a)의 측면 중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진 제1측면의 위치 및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제2측면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제1덕트(87a)가 회전함으로서, 경사진 측면에 의해 제2덕트(87b)의 유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덕트(87a)가 계속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덕트(87b)의 유로 방향은 전방 정면, 전방 상부, 전방 우측, 전방 하부, 전방 좌측, 전방 정면의 순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4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덕트(87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방 정면, 전방 좌측, 전방 하부, 전방 우측, 전방 정면의 순서로 변화될 수 있다.
제1덕트(87a)의 제1측면이 제2덕트(87b)의 경사진 측면 중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진 제3측면의 후방에 위치되면, 제2덕트(87b)는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토출부(870)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덕트(87b)에 의해 전방 하부로 안내될 수 있다. 제1덕트(87a)의 제2측면이 제2덕트(87b)의 경사진 측면 중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제4측면의 후방에 위치된 경우, 제2덕트(87b)는 전방 정면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토출부(870)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덕트(87b)에 의해 전방 정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에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90)는 모터커버(91)에 장착된 가압부재(94)에 의해 디퓨저 어셈블리(92)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기류를 변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92)는 외측에 마련되는 그릴(920) 및 그릴(9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중심패널(924)을 포함한다. 그릴(920)과 중심패널(924) 사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924)가 마련되어 토출부(9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모터커버(91)는 디퓨저 어셈블리(92)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커버(91)의 중심부에는 모터(93)가 수용되는 케이스(914)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914)의 내측면에는 출력기어(915)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83)에 구비된 모터축(830)에는 구동기어(931)가 장착되고, 구동기어(931)는 출력기어(915)에 치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83)의 구동력이 구동기어(831)에 전달되면 구동기어(931)는 케이스(914)의 내측면에 형성된 출력기어(915)와 치합되어 케이스(9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케이스(914)의 외측에는 가압부재(94)가 위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94)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케이스(914)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94)는 절곡된 형상의 바디(941,942)를 포함한다. 바디(941,942)는 제1바디(941) 및 제1바디(941)로부터 절곡된 제2바디(942)를 포함한다. 제1바디(941)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돌기(943)가 돌출 형성되고, 제2바디(942)의 일측면에는 볼부재(941)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914)의 측면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가이드홀(9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913)에는 가압부재(94)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43)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914)가 회전하면, 가이드홀(913)에서의 가이드돌기(943)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943)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가압부재(94)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9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재(94)의 볼부재(944)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디퓨저 어셈블리(92)는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디퓨저 어셈블리(92)가 가압되는 위치에 따라 디퓨저 어셈블리(92)의 토출부(9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5 및 도 5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94)에 마련된 가이드돌기(943)는 케이스(94)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94)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913)에서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가이드홀(913)은 전후 방향으로 사선의 형태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913)의 형상에 의해 좌측에 위치한 가압부재(94)에 의해 디퓨저 어셈블리(92)가 가압되면,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 어셈블리(92)는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9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우측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우측에 위치한 가압부재(94)에 의해 디퓨저 어셈블리(92)의 후방이 가압되면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 어셈블리(92)는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라서 토출부(9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좌측에 위치한 가압부재(94), 우측에 위치한 가압부재(94)에 의해 디퓨저 어셈블리(92)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디퓨저 어셈블리(92)를 가압하는 가압부재(94)의 위치에 따라 토출부(9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특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고,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40, 50 : 실내기
12 : 실외기
13 : 냉매배관
110 : 하우징
120 : 고정브라켓
130 : 열교환기
140 : 팬 어셈블리
141 : 팬
64, 92, 150, 250, 350, 450, 550 : 디퓨저 어셈블리
151, 251, 351, 451, 551 : 커버
152, 252, 352, 452, 552 : 중심패널
153, 253, 353, 453, 553 : 그릴
154, 254, 354, 454, 554 : 블레이드
60, 70, 75, 80, 85, 90, 160, 260, 360, 460, 560 : 기류 조절 장치
161 : 가이드 플레이트
162 : 가이드 홀
265 : 가이드 블레이드
350' : 회전부
462 : 원형링크
466 : 링크홈
562 : 원형링크
565 : 링크축

Claims (48)

  1.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중심패널 및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흐르는 디퓨저 어셈블리;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상기 유로의 방향이 가변되도록 하는 기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그릴을 회전시켜 유로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일측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기류 조절 장치에 의해 상기 그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유로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가 가변되는 방향이 상이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그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로는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그릴의 좌측와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는 절곡된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하면, 상기 유로의 방향이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패널의 후방에는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케이스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중심패널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중심패널의 일측이 가압되면 상기 유로가 타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16.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 및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그릴이 향하는 방향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중심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중심패널에 고정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패널의 전방에는 커버가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연장 길이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의 전방에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의 배면에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가압되면,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제1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유로가 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중심패널의 좌우 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의한 기류는 좌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26.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기류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측면의 높이가 불균등하게 구비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1덕트의 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측면의 높이가 불균등하게 구비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2덕트에는 상기 제1덕트의 전방에서 헛도는 공기조화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2덕트의 전방이 향하는 방향이 가변되어 기류의 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 사이에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덕트와 함께 회전하는 공기조화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홀더는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31.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시키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유로가 향하는 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한 회전링크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와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36. 제32항에 있어서,
    일면에 편심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공기조화기.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제1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 블레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 블레이드에 대응되고 제2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돌기 및 상기 제2회전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홀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직선 구간, 상기 직선 구간의 좌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된 제1절곡구간 및 상기 직선 구간의 우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된 제2절곡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구간은 좌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구간을 우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돌기가 상기 제1절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우측으로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돌기가 상기 제2절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제1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좌측으로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46. 공기를 송풍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상기 중심패널과 상기 그릴 사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형상이 변화되어 기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47. 원형의 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로서,
    상기 디퓨저 어셈블리는, 중심패널;
    상기 중심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크;
    상기 중심패널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릴; 및
    일측이 상기 회전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그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측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173204A 2014-08-04 2014-12-04 공기 조화기 KR10237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14,753 US9951791B2 (en) 2014-08-04 2015-07-31 Air conditioner
PCT/KR2015/008108 WO2016021901A1 (en) 2014-08-04 2015-08-03 Air conditioner
CN201510472781.9A CN105333499B (zh) 2014-08-04 2015-08-04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07 2014-08-04
KR20140099907 201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87A true KR20160017587A (ko) 2016-02-16
KR102379983B1 KR102379983B1 (ko) 2022-03-30

Family

ID=5544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04A KR102379983B1 (ko) 2014-08-04 2014-12-0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983B1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262B2 (en) 2016-02-26 2017-11-2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leaner
US9821259B2 (en) 2016-02-26 2017-11-2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70140591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7A (ko) * 2017-05-04 201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80000121A (ko) * 2016-06-22 201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9914082B2 (en) 2016-02-26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43794B2 (en) 2016-02-26 2018-04-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50289B2 (en) 2016-02-26 2018-04-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WO2018106032A1 (ko) * 2016-12-07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180075231A (ko) * 2016-12-26 2018-07-0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8106033A3 (ko) * 2016-12-07 2018-08-02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US10323855B2 (en) 2016-02-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90078003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20190083212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컨 무빙커버 덮개 장착 구조
KR20190083209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토출구의 이중 그릴 구조
US10436469B2 (en)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90119565A (ko) * 2019-10-15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19564A (ko) * 2019-10-15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0125A (ko) * 2019-10-15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0126A (ko) * 2019-10-15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4684A (ko) * 2019-10-28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0495104B2 (en) 2016-02-26 2019-12-0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97665B2 (en) 2016-02-26 2020-06-3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2413872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EP3832217A1 (en) * 2019-12-06 2021-06-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210135066A (ko) * 2020-05-04 2021-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1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2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0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24397A (ko) * 2021-01-05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1938433B2 (en) 2016-02-26 2024-03-2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2055305B2 (en) 2019-10-28 2024-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437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34383A (ko) * 2012-09-10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49101A (ko) * 2012-10-11 201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437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34383A (ko) * 2012-09-10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49101A (ko) * 2012-10-11 201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576B2 (en) 2016-02-26 2020-05-05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50289B2 (en) 2016-02-26 2018-04-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13857B2 (en) 2016-02-26 2019-09-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844871B2 (en) 2016-02-26 2020-11-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746193B2 (en) 2016-02-26 2020-08-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14082B2 (en) 2016-02-26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43794B2 (en) 2016-02-26 2018-04-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97665B2 (en) 2016-02-26 2020-06-3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75577B2 (en) 2016-02-26 2020-06-0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982288B2 (en) 2016-02-26 2024-05-1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46808B2 (en) 2016-02-26 2020-05-1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323855B2 (en) 2016-02-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452961B2 (en) 2016-02-26 2022-09-2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821259B2 (en) 2016-02-26 2017-11-2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090598B2 (en) 2016-02-26 2021-08-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06470B2 (en) 2016-02-26 2019-09-1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36469B2 (en)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845078B2 (en) 2016-02-26 2020-11-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821262B2 (en) 2016-02-26 2017-11-2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leaner
US11938433B2 (en) 2016-02-26 2024-03-2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905967B2 (en) 2016-02-26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761455B2 (en) 2016-02-26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666846B2 (en) 2016-02-26 2023-06-0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95104B2 (en) 2016-02-26 2019-12-0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08658B2 (en) 2016-02-26 2019-12-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63667B2 (en) 2016-02-26 2020-02-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70140591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80000121A (ko) * 2016-06-22 201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2000621B2 (en) 2016-12-07 2024-06-04 Coway Co., Ltd. Wind-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WO2018106033A3 (ko) * 2016-12-07 2018-08-02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8106032A1 (ko) * 2016-12-07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US11480362B2 (en) 2016-12-07 2022-10-25 Coway Co., Ltd. Air purifier capable of adjusting wind direction
KR20180075231A (ko) * 2016-12-26 2018-07-0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180000287A (ko) * 2017-05-04 201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078003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20190083212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컨 무빙커버 덮개 장착 구조
KR20190083209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토출구의 이중 그릴 구조
CN112413872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20190119565A (ko) * 2019-10-15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19564A (ko) * 2019-10-15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0125A (ko) * 2019-10-15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0126A (ko) * 2019-10-15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124684A (ko) * 2019-10-28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2055305B2 (en) 2019-10-28 2024-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11549701B2 (en) 2019-12-06 2023-01-10 Lg Electronics Inc.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832217A1 (en) * 2019-12-06 2021-06-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210135066A (ko) * 2020-05-04 2021-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18994A (ko) * 2020-05-11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0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2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37721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24397A (ko) * 2021-01-05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983B1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587A (ko) 공기 조화기
CN105333499B (zh) 空调
US20210254856A1 (en) Air conditioner
KR20090038555A (ko)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CN109974092B (zh) 空调
KR20200076936A (ko) 공기조화기
KR20160120421A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1635229B2 (en) Air conditioner
CN110410862B (zh) 柜式空调室内机
CN214949399U (zh) 空调器室内机
KR20150066150A (ko)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210399152U (zh) 柜式空调器室内机
WO2020169204A1 (en) Air-conditioner with displacabe louver
CN111164349A (zh) 空调
CN110145798B (zh) 空调室内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CN210891898U (zh) 一种利用管道导风的空调挂机
CN210399153U (zh) 柜式空调器室内机
KR20220099282A (ko) 공기조화기
KR101727036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41209B1 (ko) 유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6814943B2 (ja) 床置型空気調和機
CN218154477U (zh)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2108693U (zh) 立式空调室内机
JP729251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