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31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31B1
KR102519931B1 KR1020160002105A KR20160002105A KR102519931B1 KR 102519931 B1 KR102519931 B1 KR 102519931B1 KR 1020160002105 A KR1020160002105 A KR 1020160002105A KR 20160002105 A KR20160002105 A KR 20160002105A KR 102519931 B1 KR102519931 B1 KR 10251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using
air
discharg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849A (ko
Inventor
정창우
김진균
윤연섭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31B1/ko
Priority to PCT/KR2016/015505 priority patent/WO2017119672A1/ko
Priority to US16/067,325 priority patent/US10866000B2/en
Priority to EP16884055.1A priority patent/EP3376123B1/en
Priority to CN201680078211.4A priority patent/CN108474568B/zh
Publication of KR2017008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4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the air flow rat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of air-current or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된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유닛으로서, 상기 토출유닛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속도로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증가시켜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가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속의 풍속을 구현하기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 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도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및/또는 난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된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유닛으로서, 상기 토출유닛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속도로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유닛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구는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토출구가 형성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구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거나,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2 토출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회전축 방향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회전축과 수직한 면에 형성되는 토출유닛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회전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보다 느린 속도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유닛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유닛이 배치된 전방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유닛이 배치된 상측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토출유닛 개구가 하부면에 형성되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가 외주를 따라 각각 형성된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비해 고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가 외주를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은 회전 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토출유닛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토출유닛에 상이한 속도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다양한 토출구를 마련하여, 토출유닛의 회전만으로 다양한 토출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를 냉방 및/또는 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토출유닛 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토출유닛 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표시된 E-E'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F-F'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G-G'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토출유닛 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의 토출유닛 몸체(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30)과, 송풍유닛(3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11)는 후술할 토출유닛(10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토출유닛(100)의 회전축과 평행한 면에 따른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1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부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배면에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흡입구(12)가 형성되는 위치는 배면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이나 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흡입구(12)는 열교환기(20)의 후방에 마련되는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유닛(30)에 의해 토출유닛(100)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송풍유닛(30)은 외부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20)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12)과 토출유닛(100)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30)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은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유닛(30)은 크로스팬, 터보팬 및 시로코팬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3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닛(100)과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3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30)은 흡입구(12)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유닛(30)과 흡입구(12) 사이에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30)의 전방으로 토출유닛(100)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30)은 후방에 마련된 흡입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의 토출유닛(100)을 향해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유닛(30)은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미도시)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송풍유닛(30)과 흡입구(12)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20)는 튜브(미도시)와, 튜브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교환기(2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의 개수는 토출유닛(10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출유닛(100)은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유닛(100)은 하우징(10)의 하우징 개구(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토출유닛(10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 기둥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토출유닛(100)은 3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유닛(100)은 각각 상이한 속도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토출구(101)과 제2 토출구(102)를 포함한다.
제1 토출구(101)는 열교환된 공기를 고속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토출유닛(100)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101)는 토출유닛(100)의 외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구(101)는 토출유닛(1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L1)만큼 형성된다.
제2 토출구(102)는 열교환된 공기를 저속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토출유닛(100)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10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토출구(102)는 메쉬(mes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102)는 토출유닛(100)의 제1 토출구(101)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토출구(102)는 토출유닛(1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L2)만큼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비해 저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토출구(102)는 제1 토출구(101)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토출구(102)가 형성된 길이(L2)는 제1 토출구(101)가 형성된 길이(L1)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100)은 제1 토출구(101)와 제2 토출구(102)가 외주면에 형성된 토출유닛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몸체(1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 기둥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토출유닛 몸체(110)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하부 플레이트(112)와, 외주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1)와 하부 플레이트(112)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상부 플레이트(111)의 상부면(111a)과 하부 플레이트(112)의 하부면(112a)에는 각각 상부 회전축(114a)과 하부 회전축(114b)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축(114a)과 하부 회전축(114b)은 각각 하우징(10)의 토출유닛 결합부(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이에 따라, 토출유닛(100)은 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하부 플레이트(112)의 하측에는 후술할 토출유닛 구동부(12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15)는 하부 플레이트(112)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15)는 토출유닛 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이는 동력 전달부(115)의 외주면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주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주 플레이트(113)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하부 플레이트(112)를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외주 플레이트(113)는 제1 토출구(101)와 제2 토출구(102)를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 플레이트(113)는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외주 플레이트(113)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11), 하부 플레이트(112) 및 외주 플레이트(113)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 형성한 후 결합하여 하나의 토출유닛 몸체(110)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유닛 몸체(110)는 제1 토출구(10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1 토출구(10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16)는 7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6개 이하 또는 8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16)는 제1 토출구(11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토출유닛(100)은 토출유닛 몸체(1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유닛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구동부(120)는 구동원(121)과 동력 전달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21)은 토출유닛 몸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21)은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22)는 구동원(121)에서 발생된 동력을 토출유닛 몸체(1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 부재(122)는 기어일 수 있으며, 토출유닛 몸체(110)의 동력 전달부(115)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 부재(122)가 동력 전달부(115)의 외주면과 치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력 전달 부재(122)가 동력 전달부(115)의 내주면과 치합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고속의 토출기류를 직접적으로 제공받기 위해, 제1 토출구(101)가 하우징 개구(11)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토출유닛 구동부(120)는 제1 토출구(101)가 하우징 개구(11)에 위치하도록 토출유닛 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송풍유닛(3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2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유닛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유닛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16)에 의해 기류 방향이 안내되며 제1 토출구(10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제1 토출구(101)는 하나의 개구로 형성되므로, 공기조화기(1)는 집중적인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저속의 토출기류를 제공받기 위해, 제2 토출구(102)가 하우징 개구(11)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토출유닛 구동부(120)는 제2 토출구(102)가 하우징 개구(11)에 위치하도록 토출유닛 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송풍유닛(3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1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유닛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유닛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토출구(102)의 복수의 토출홀(102a)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복수의 토출홀(102a)은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지는 개구로 형성되므로 토출되는 공기는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의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1)는 실내를 전체적으로 천천히 공기조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2)의 토출유닛 몸체(2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표시된 E-E'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2)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F-F'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2)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G-G'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하나의 토출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유닛(2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이후부터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토출유닛(200)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하나의 토출유닛(200)이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a)에 하나의 하우징 개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흡입구(12a)가 하우징(10a)의 후방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유닛(50)은 흡입구(12a)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10a)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하우징(10a) 내부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50)은 하우징(10a)의 후방의 하측에 마련된 흡입구(12a)의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구(12a)를 통해 하우징(10a)의 외부 공기를 하우징(10a) 내부로 흡입한다. 송풍유닛(50)은 하우징(10a)의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상측에 배치된 토출유닛(200)을 향해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유닛(50)은 공기를 회전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유닛(50)과 흡입구(12a)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어, 흡입구(1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열교환기(40)는 송풍유닛(50)과 토출유닛(200)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열교환기(40)는 흡입구(12a)와 하우징 개구(11a)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공기조화기(2)의 토출유닛(200)은 하우징(10a)의 토출유닛 결합부(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a)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유닛(20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 기둥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토출유닛(200)은 제1 토출구(201)와, 제2 토출구(202)와, 토출유닛 개구(203)와, 차단부(204)를 포함한다.
제1 토출구(201)는 열교환된 공기를 고속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토출유닛(2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01)는 토출유닛(200)의 외주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01)는 토출유닛(2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L3)만큼 형성된다.
제2 토출구(202)는 열교환된 공기를 저속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토출유닛(2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20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토출구(202)는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02)는 토출유닛(200)의 외주의 제1 토출구(201)가 형성된 부분과 다른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02)는 토출유닛(2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L4)만큼 형성된다.
토출유닛 개구(203)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토출유닛(200)의 회전 축 방향을 따라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개구(203)는 토출유닛(20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204)는 공기조화기(2)의 미사용 시 공기조화기(2)의 하우징 개구(11a)를 차단할 수 있도록, 토출유닛(200)의 외주의 제1 토출구(201) 및 제2 토출구(202)가 형성된 부분과 다른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204)는 토출유닛(2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L5)만큼 형성된다.
제2 토출구(202)는 제1 토출구(201)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토출구(202)가 형성된 길이(L4)는 제1 토출구(201)가 형성된 길이(L3)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204)는 제1 토출구(201) 및/또는 제2 토출구(202)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부(204)가 형성된 길이(L5)는 제1 토출구(201)가 형성된 길이(L3) 및/또는 제2 토출구(202)가 형성된 길이(L4)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200)은 제1 토출구(101), 제2 토출구(202) 및 차단부(204)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하측에 토출유닛 개구(203)가 형성된 토출유닛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몸체(210)는 상부 플레이트(211)와, 하부 플레이트(212)와, 외주 플레이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11) 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상부 플레이트(211)의 상부면(211a)에는 상부 회전축(214a)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축(214a)은 하우징(10a)의 토출유닛 결합부(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2)는 하측에 배치된 송풍유닛(5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토출유닛(200)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출유닛 개구(20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2)는 대략 원형의 토출유닛 개구(203)가 형성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유닛 개구(203)는 토출유닛(200)의 회전 축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2)에는 토출유닛 구동부(22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부(215)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마련된 동력 전달부(215)는 회전 중심에 마련된 하부 회전축(214b)을 포함하며, 하부 회전축(214b)은 방사형 형상으로 외주 플레이트(213)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재(21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212a)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지지부재(212a)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하측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유닛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지부재(212a)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 전달부(215)는 지지부재(212a)들 사이에 개구(215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회전축(214b)은 토출유닛 결합부(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a)은 하부 플레이트(212)에 형성된 토출유닛 개구(203)가 하우징(10a)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개구(11a)의 하단에 토출유닛 개구(203)를 폐쇄할 수 있는 차단리브(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리브(15a)는 하우징(10a)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외주 플레이트(213)는 제1 토출구(201) 및 제2 토출구(202)를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 플레이트(213)는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외주 플레이트(213)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 플레이트(213)는 차단부(204)일 수 있다.
토출유닛 몸체(210)는 제1 토출구(20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1 토출구(20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1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200)은 토출유닛 몸체(2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유닛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구동부(220)는 구동원(221)과 동력 전달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221)은 토출유닛 몸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222)는 구동원(221)에서 발생된 동력을 토출유닛 몸체(210)로 전달하도록 토출유닛 몸체(210)의 동력 전달부(215)와 치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2)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2)로부터 고속의 토출기류를 직접적으로 제공받기 위해, 제1 토출구(201)가 하우징 개구(11a)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2a)를 통해 하우징(10a)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송풍유닛(30)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부에 배치된 토출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대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는 하부 플레이트(212)에 마련된 토출유닛 개구(203)를 통해 토출유닛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유닛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16)에 의해 기류 방향이 안내되며 제1 토출구(20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유닛(30)이 송풍한 속도를 유지하며 토출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2)는 집중적인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2)로부터 저속의 토출기류를 제공받기 위해, 제2 토출구(202)가 하우징 개구(11a)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2a)를 통해 하우징(10a)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송풍유닛(30)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부에 배치된 토출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대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는 하부 플레이트(212)에 마련된 토출유닛 개구(203)를 통해 토출유닛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유닛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토출구(202)의 복수의 토출홀(202a)을 통해 풍속이 저감되어 하우징(10a)의 외부로 토출된다. 즉, 공기조화기(2)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부(204)가 하우징 개구(11a)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2)는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토출유닛(200)의 하부면에 별도의 토출유닛 개구(203)를 마련함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유닛 몸체(210)로 유입될 때 풍속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2)는 고속의 집중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부(204)를 이용해 하우징 개구(11a)를 폐쇄하므로, 이물질이 공기조화기(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3)의 토출유닛 몸체(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는 하우징(10b)의 후방의 하측에 흡입구(12b)가 마련된다. 또한, 열교환기(40) 및 송풍유닛(50)은 토출유닛(300)의 하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송풍유닛(50)은 하우징(10b)의 후방의 하측에 마련된 흡입구(12b)의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구(12b)를 통해 하우징(10b)의 외부 공기를 하우징(10b) 내부로 흡입한다. 송풍유닛(50)은 하우징(10b)의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상측에 배치된 토출유닛(300)을 향해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유닛(50)은 공기를 회전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유닛(50)과 흡입구(12b)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어, 흡입구(12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2b)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열교환기(40)는 송풍유닛(50)과 토출유닛(300)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열교환기(40)는 흡입구(12b)와 하우징 개구(11b)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토출유닛(300)은 하우징(1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b)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b)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유닛(30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유닛(300)은 제1 토출구(301) 및 제2 토출구(302)를 포함한다. 제2 토출구(302)는 복수의 토출홀(302a)을 포함한다.
토출유닛(300)은 제1 토출구(301)와 제2 토출구(302)가 외주면에 형성된 토출유닛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몸체(310)는 상부 플레이트(311)와, 하부 플레이트(312)와, 외주 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11)는 대략 원형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상부 플레이트(311)의 상부면(311a)에는 상부 회전축(314a)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축(314a)는 하우징(10b)의 토출유닛 결합부(1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12)는 하측에 배치된 송풍유닛(5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토출유닛(300) 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출유닛 개구(30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12)는 대략 원형의 토출유닛 개구(303)가 형성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유닛 개구(303)는 토출유닛(300)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12)의 하부에 마련된 동력 전달부(315)는 회전 중심에 마련된 하부 회전축(314b)을 포함하며, 하부 회전축(314)은 방사형 형상으로 외주 플레이트(313)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재(31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312a)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지지부재(312a)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하측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유닛 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지부재(312a)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 전달부(315)는 지지부재(312a)들 사이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회전축(314b)은 토출유닛 결합부(1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b)은 하부 플레이트(312)에 형성된 토출유닛 개구(303)가 하우징(10b)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개구(11b)의 하단에 토출유닛 개구(303)를 폐쇄할 수 있는 차단리브(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리브(15b)는 하우징(10b)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4)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는 하우징(10c)의 전방 하측에 흡입구(12c)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60)와 송풍유닛(70)은 토출유닛(10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유닛(100)은 하우징(10c)의 토출유닛 결합부(14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유닛(70)은 하우징(10c)의 전방의 하측에 마련된 흡입구(12c)의 후방에 배치되어, 흡입구(12c)를 통해 하우징(10c)의 외부 공기를 하우징(10c) 내부로 흡입한다. 송풍유닛(70)은 하우징(10c)의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상측에 배치된 토출유닛(100)을 향해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유닛(70)은 공기를 회전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송풍유닛(70)과 토출유닛(100)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유닛(70)을 통과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송풍유닛(70)을 통과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열교환기(60)는 송풍유닛(70)과 흡입구(12c)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열교환기(60)는 흡입구(12c)와 하우징 개구(11c)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 2, 3, 4)는 토출유닛(100, 200, 300)을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변경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토출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공기조화기
10, 10a, 10b, 10c; 하우징
11, 11a, 11b, 11c; 하우징 개구
12, 12a, 12b, 12c; 흡입구
20, 40, 60; 열교환기
30, 50, 70; 송풍유닛
100, 200, 300; 토출유닛
101, 201, 301; 제1 토출구
102, 202, 302; 제2 토출구
203, 303; 토출유닛 개구
204; 차단부
110, 210, 310; 토출유닛 몸체
120, 220, 320; 토출유닛 구동부

Claims (20)

  1. 흡입구 및 하우징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된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유닛으로서, 상기 토출유닛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토출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외주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토출구의 개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제1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유닛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구는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토출구가 형성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유닛이 배치된 전방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토출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유닛이 배치된 상측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16. 흡입구 및 하우징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1 토출구의 개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제2 토출구가 외주를 따라 각각 형성된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제1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시키는 공기조화기.
  18. 삭제
  19. 하우징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가 외주를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구는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토출구의 개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제1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토출구가 상기 하우징 개구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2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0. 삭제
KR1020160002105A 2016-01-07 2016-01-07 공기조화기 KR10251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105A KR102519931B1 (ko) 2016-01-07 2016-01-07 공기조화기
PCT/KR2016/015505 WO2017119672A1 (ko) 2016-01-07 2016-12-29 공기조화기
US16/067,325 US10866000B2 (en) 2016-01-07 2016-12-29 Air conditioner
EP16884055.1A EP3376123B1 (en) 2016-01-07 2016-12-29 Air conditioner
CN201680078211.4A CN108474568B (zh) 2016-01-07 2016-12-29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105A KR102519931B1 (ko) 2016-01-07 2016-01-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849A KR20170082849A (ko) 2017-07-17
KR102519931B1 true KR102519931B1 (ko) 2023-04-11

Family

ID=5927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105A KR102519931B1 (ko) 2016-01-07 2016-01-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66000B2 (ko)
EP (1) EP3376123B1 (ko)
KR (1) KR102519931B1 (ko)
CN (1) CN108474568B (ko)
WO (1) WO2017119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41A (ko) * 2017-07-28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7449040A (zh) * 2017-07-31 2017-12-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及其控制方法
KR102514679B1 (ko) * 2018-01-09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11177365U (zh) 2019-11-29 2020-08-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出风装置和空气调节设备
CN112944467A (zh) * 2019-12-10 2021-06-11 Lg电子株式会社 空气管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1796190B2 (en) 2019-12-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CN113405252B (zh) * 2021-06-16 2022-07-19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895B2 (ja) * 1995-06-08 2005-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KR101516365B1 (ko)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088Y1 (ko) * 1990-07-28 1992-10-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겸용 공조기
JP3486961B2 (ja) * 1994-07-06 2004-01-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39407A (ko) 1997-11-12 1999-06-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4265046B2 (ja) 1999-09-30 2009-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650649B2 (ja) * 2000-07-12 2011-03-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4076974A (ja) * 2002-08-12 2004-03-1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755139B1 (ko) 2005-10-05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280372B1 (ko) 2006-08-08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1B1 (ko) 2006-08-08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13392A (ko) * 2006-08-0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9538B1 (ko) 2006-09-22 2007-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입체분사형 에어컨
KR200443817Y1 (ko) 2007-06-27 2009-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다중토출장치를 구비한 에어컨
JP2010223506A (ja) * 2009-03-24 2010-10-07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017313B (zh) 2011-09-26 2015-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部件及具有该出风部件的空调器
CN103062877B (zh) * 2011-10-18 2015-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出风组件及分体落地式空调器
JP5403125B2 (ja) * 2011-10-31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KR20130054037A (ko) 2011-11-16 2013-05-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회전 토출형 공기조화기
JP5404758B2 (ja) * 2011-12-20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40011716A (ko) 2012-07-18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91955B1 (ko) 2012-10-10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14126308A (ja) 2012-12-27 2014-07-07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KR102220818B1 (ko) 2014-01-15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315693B (zh) 2014-08-18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5222228B (zh) * 2015-09-23 2018-01-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室内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895B2 (ja) * 1995-06-08 2005-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KR101516365B1 (ko)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672A1 (ko) 2017-07-13
US10866000B2 (en) 2020-12-15
EP3376123A4 (en) 2018-12-05
EP3376123B1 (en) 2021-02-24
US20190017711A1 (en) 2019-01-17
EP3376123A1 (en) 2018-09-19
KR20170082849A (ko) 2017-07-17
CN108474568B (zh) 2021-06-11
CN108474568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US11346577B2 (en) Air conditioner
KR102541386B1 (ko)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공기 조화기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KR2005011850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KR102395851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20190186778A1 (en) Air conditioner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230069898A (ko) 공기조화기
KR20210062846A (ko) 공기조화기
CN111164349B (zh) 空调
KR100550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69700A (ko) 환기 기능을 갖는 이동형 에어컨
KR10061351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11850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20070256439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5011850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118507A (ko) 공기조화기
KR20020027961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118824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5011894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