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7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79B1
KR102514679B1 KR1020180002622A KR20180002622A KR102514679B1 KR 102514679 B1 KR102514679 B1 KR 102514679B1 KR 1020180002622 A KR1020180002622 A KR 1020180002622A KR 20180002622 A KR20180002622 A KR 20180002622A KR 102514679 B1 KR102514679 B1 KR 10251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ade
passage
flow path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635A (ko
Inventor
권준석
손선희
송영태
이원희
조서영
천성현
김병건
박형근
송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79B1/ko
Priority to US16/222,393 priority patent/US11085651B2/en
Priority to EP18899441.2A priority patent/EP3714214B1/en
Priority to PCT/KR2018/016174 priority patent/WO2019139268A1/en
Priority to CN201910007729.4A priority patent/CN110017538B/zh
Publication of KR2019008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면과,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제2유로형성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다공을 갖는 다공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다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기류의 직접 접촉에 따른 불쾌감을 개선하여 보다 나은 기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 나아가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 제어까지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조로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를 구현하는 공기조화기 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에 의해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유로구조 내에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위치하여, 냉각된 기류를 유로 말단에 위치한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방출함으로써 냉방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에서의 압손을 극복하고 충분한 냉방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송풍팬에서 강한 기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토출구를 통하여 직접 실내 또는 사용자에게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체온에 비해 과도하게 낮은 온도의 강한 기류에 직접 접촉할 시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냉각기류 직접 접촉에 따른 불쾌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저풍속 냉방기류를 구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풍속 냉방 기류와 직풍 냉방 기류를 간단한 구조로 변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 제어, 공기조화기의 외관 형성까지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면과,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제2유로형성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다공을 갖는 다공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다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저풍속 냉방기류를 구현할 수 있고, 냉각된 공기가 강한 기류로 사용자에게 직접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저풍속 냉방 기류와 직풍 냉방 기류를 간단한 구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다공패널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열린위치에서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직풍토출구를 형성하는 제1다공패널 및 제2다공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편향의 반대 영역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와 상기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에서 공기가 직풍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에서 상기 직풍토출구 사이의 유로로부터 상기 외측부재를 회피시켜 공기가 상기 제1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기본유로에서 상기 직풍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상기 외측부재를 개입시켜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굴곡시켜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은 물론,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 제어까지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 구성된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60)를 이용한 기류의 방향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 단순화와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내측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기본유로와 상기 저풍유로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부재의 가이드로 인해 기본유로와 저풍유로 사이의 연계가 더욱 원활해진다.
상기 열린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외측부재에 의한 저풍유로의 차단과 상기 내측부재에 의한 상기 제2방향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어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외측부재와 내측부재를 일체형으로 마련함에 따라 블레이드 회전 시 외측부재와 내측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더라도,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은 물론,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까지 동시에 제어 가능하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 중 상기 외측부재에 가까운 가이드의 길이가 소정 길이 이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가 닫힌위치에 위치할 경우, 블레이드에 내측부재가 있더라도 내측부재가 저풍유로를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송풍된 공기가 저풍유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면과,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및 상기 제2유로형성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다공을 갖는 다공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상기 제1유로형성면은 상기 기본유로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중심을 향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덕트의 상기 제2유로형성면은 상기 저풍유로가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적어도 일 측면을 향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다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편향의 반대 영역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와 상기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 구성된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 중 하나가 기본유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류의 직접 접촉에 따른 불쾌감을 개선하여 보다 나은 기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 나아가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 제어까지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어, 구조 단순화와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60)의 회전 및 그에 따른 유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40) 및 다공패널(5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이용하여 직풍의 풍향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이용하여 직풍의 풍향을 제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가 내측부재(62)를 구비한 경우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B)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직풍 기류와 적풍속 기류 전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 열교환기(20), 송풍팬(30), 덕트(40), 다공패널(50), 블레이드(60),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0a), 전면패널(10a)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 전면패널(10a)과 후면패널(10b)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패널(10c), 측면패널(10c)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10d)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직풍토출구(1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10a)에 직사각형 형태의 직풍토출구(11)가 마련될 수 있다. 후면패널(10b)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직풍토출구(11)와 흡입부(12)의 위치 또는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입부(12)는 열교환기(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상에 마련되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부(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팬(30)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열교환기(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기(20)는 송풍팬(30)과 흡입부(12)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부(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튜브와, 튜브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2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풍팬(30)은 열교환기(20)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킨다. 송풍팬(30)은 크로스팬일 수 있다. 그러나 송풍팬(3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류팬, 터보팬, 시로코팬 등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다시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송풍팬(3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직풍토출구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3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흡입부(12)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30)과 흡입부(12) 사이에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의 전방으로 직풍토출구(11)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팬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팬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40)는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한다. 덕트(40)는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A)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면(41)과, 기본유로(A)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B)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4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유로(A)란, 송풍팬(30)에서 송풍되어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말한다. 저풍유로(B)란, 기본유로(A)로부터 연장되어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다공에 의한 저풍의 토출 또는 저풍토출구)되는 공기가 흐르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말한다.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B)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덕트(40)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덕트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덕트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덕트(40)는 송풍팬(30)과 하우징의 전면패널(10a)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덕트(43), 송풍팬(30)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덕트(44), 다공패널(50)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널덕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덕트(40)의 개수 및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유로(A)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면(41)과, 저풍유로(B)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42)은 하나의 덕트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두 개의 덕트에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덕트에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나뉘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형성면(41)은 전면덕트(43)에 구비되어 있고, 제2유로형성면(42)은 패널덕트(45)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2유로형성면과 이를 구비한 덕트의 관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덕트(40)의 제1유로형성면(41)은 기본유로(A)가 공기조화기(1)의 중심을 향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덕트(40)의 제2유로형성면(42)은 저풍유로(B)가 기본유로(A)로부터 연장되어 공기조화기(1)의 적어도 일 측면을 향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유로(A)가 공기조화기(1)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1유로형성면(41)이 마련된 경우, 제2유로형성면(42)은 저풍유로(B)가 위 기본유로(A)로부터 연장되어 공기조화기(1)의 좌측과 우측을 향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유로형성면(41)과 제2유로형성면(42) 및 그에 따라 마련되는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B)의 위치와 형태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덕트(40)는 덕트(40)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40)는 전면덕트(43)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면덕트(43)를 지지할 수 있는 덕트 스태빌라이저(46)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패널(50)은 다공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다공(51)을 갖는다.
다공패널(50)은 저풍유로(B)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면(42)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저풍유로(B)를 통과한 공기는 다공패널(50)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송풍팬(30)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할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은 저하된다. 나아가,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경우,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할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경우에,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위치할 때에 비하여 송풍팬(30)의 회전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이하, 다공(51)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저풍' 기류 또는 '저풍속' 기류라고하고, 그에 대응하여 직풍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직풍' 기류라고 함).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풍속 냉방기류를 구현할 수 있고, 냉각된 공기가 강한 기류로 사용자에게 직접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다공(51)은 다공패널(50)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공패널(50)의 일부분에만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다공(51)은 다공패널(50)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공(51)이 다공패널(5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구성을 전제로 설명한다.
다공패널(50)은,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직풍토출구(11)를 형성하는, 제1다공패널(52) 및 제2다공패널(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패널(50)은 각각 하우징 전면패널(10a)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제1다공패널(52)과 제2다공패널(53)을 포함하고, 제1다공패널(52)과 제2다공패널(53)은, 하우징 전면패널(10a)의 상부 및 하부 부분과 함께 하우징 전면패널(10a)의 중앙부분에 직사각형 형태의 직풍토출구(11)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다공패널(50)의 개수와 위치, 직풍토출구(11)의 위치와 모양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공패널(50)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후면, 상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 전면패널(10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1다공패널(52)과 제2다공패널(53)이 위치하고, 제1다공패널(52)과 제2다공패널(53) 사이에 공기조화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사각형의 직풍토출구(11)가 형성된 구성을 전제로 설명한다.
블레이드(60)는, 판형의 외측부재(61) 및, 외측부재(61)에 연결되고 블레이드(6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블레이드(6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열린위치(100)란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인 직풍토출구(11)가 열리도록 하는 블레이드의 위치를 의미하고, 닫힌위치(200)란 직풍토출구(11)가 닫히도록 하는 블레이드의 위치를 의미를 의미한다.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 예로, 블레이드(60)는 회전을 통해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블레이드(60)는 직선적인 움직임을 통해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60)가 회전을 통해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할 경우,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회전하면서,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인 직풍토출구(11)를 개폐한다. 반면, 블레이드(60)가 직선적인 움직임을 통해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이동할 경우,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면서, 예를 들어 전면패널(10a)의 전방으로 전진하거나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직풍토출구(11)를 개폐한다.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서 위치한 경우, 블레이드(60)는 직풍토출구(11)가 열리도록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저풍유로(B)를 차단함으로써,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저풍유로(B)로 유입되지 않고, 직풍토출구(11)를 통해 바로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한 경우, 블레이드(60)는 직풍토출구(11)가 닫히도록 함으로써,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저풍유로(B)로 이동하여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즉 저풍속 기류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한 경우, 송풍팬(3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풍속 냉방 기류와 직풍 냉방 기류를 간단한 구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가 각각 하나의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린위치(100)는,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인 직풍토출구(11)를 열리도록 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모두 열린위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서 블레이드(60)의 열린위치(100)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60)를 이동 또는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구동부의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어부의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전면패널(10a)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입력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회전 이동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I-I'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60)의 회전 및 그에 따른 유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 블레이드(60)의 회전 모습을 도시한다. 블레이드(60)는 지지부재(64)의 일단에서 직풍토출구(11)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회전축(R1)을 축으로 하여, 덕트(40)와 직풍토출구(11) 사이에 마련된 공간(M)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 또는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경우, 닫힌위치(200)에서는 블레이드(60)에 의해 닫혀 있던 직풍토출구(11)가 개방된다. 또한, 덕트(40)의 제2유로형성면(42)에 의해 형성되고 기본유로(A)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B)는 블레이드(6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위치한 경우, 송풍팬(30)으로부터 송풍된 후 덕트(40)의 제1유로형성면(41)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저풍유로(B)로의 유입은 차단되고,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블레이드(6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에 있을 때 저풍유로(B)를 차단함으로써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60)가 저풍유로(B)의 차단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면 열린위치(100)에서의 블레이드(60)의 기능을 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6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할 경우 저풍유로(B)의 적어도 일부가 오히려 개방되게 되어 저풍유로(B)의 차단이 일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블레이드(6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스프링을 구비하여 블레이드(60)의 회전 각도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6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여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경우, 직풍토출구(11)는 블레이드(60)에 의해 폐쇄된다. 그로 인해, 송풍팬(30)으로부터 송풍된 후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저풍유로(B)를 따라 다공패널(50)의 다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 경우,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지 못한 공기가, 저풍유로(B)를 통해 다공패널(50)과 제2유로형성면(42)이 형성하는 공간(N)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패널덕트(45)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패널홀(4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저풍유로(B)를 따라 패널홀(47)을 통과한 공기가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설명한다. 도 6은 덕트(40) 중 제2유로형성면(42)을 구비하는 패널덕트(45) 및 그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다공패널(50)을 도시한다.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한 경우,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블레이드(60)에 의해 진로가 막히게 되면, 저풍유로(B)를 따라 패널덕트(45) 및 다공패널(50)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패널덕트(45)의 패널홀(47)을 통과하여 다공패널(50)과 제2유로형성면(42)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예를 들어 해당 공간에 후속 공기들이 더 유입됨에 따라 내부 기압이 증가하게 되면,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있는 경우, 직풍토출구(11)가 열리게 되므로,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는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반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는 경우, 직풍토출구(11)는 블레이드(60)에 의해 닫히게 되므로,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는 다공패널(50)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직풍토출구(11)의 양측에 위치한 제1다공패널(52)과 제2다공패널(53)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송풍된 공기가 별다른 장애물 없이 개구인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직접 토출되는 경우와 비교해,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은 저하된다. 나아가 송풍팬(3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더 저하시킬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이용하여 직풍 기류의 풍향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송풍팬(30)은, 공기조화기(1)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60)를 이러한 편향의 반대 영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리고 회전 방향은 유지한 채 그 회전 각도만을 변경함으로써, 직풍 기류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와 닫힌위치(200) 사이를 회전하며 열린위치(100)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100a, 100b),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P) 또는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Q)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61)를 포함하고, 판형의 외측부재(61)를 이용하여 직풍 기류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블레이드(60)를 이용한 직풍 풍향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블레이드(60)는, 열린위치(100)에서 공기가 직풍토출구(11)로 토출되도록 하고, 열린위치(100)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기본유로(A)에서 직풍토출구(11) 사이의 유로로부터 외측부재(61)를 회피시켜 공기가 제1방향(P)으로 토출되도록 한다(도 9 100a, 이하 '제1열린위치'라고도 함). 또한, 블레이드(60)는 기본유로(A)에서 직풍토출구(11) 사이의 유로에 외측부재(61)를 개입시켜 제1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굴곡시켜 제2방향(Q)으로 토출되도록 한다(도 10 100b, 이하 '제2열린위치'라고도 함).
이에 따라,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은 물론,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 제어까지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이용하여 직풍의 풍향을 제어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앞서 살펴본 외측부재(61) 이외에, 직풍 풍향 제어 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내측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재(62)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63a, 63b)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100a, 100b), 한 쌍의 가이드(63a, 63b)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제1방향(P) 또는 제2방향(Q)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60)를 이용한 기류의 방향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경우, 블레이드(60)의 회전 시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는 함께 회전한다. 반면,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될 경우, 내측부재(62)는 외측부재(61)의 회전으로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외측부재(61) 회전 시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와 별도로 내측부재(62) 자체의 회전이 더 가능할 수도 있다.
먼저,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구성을 도 11과 도 12를 다시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열린위치(100a)의 경우, 즉 기본유로(A)에서 직풍토출구(11) 사이의 유로로부터 외측부재(61)를 회피시켜 공기가 제1방향(P)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60)가 내측부재(62)를 구비하고 있으면, 도 11과 같이,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한 쌍의 가이드(63a, 63b)가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내측부재(62)가 없는 경우에 관한 도 9와 비교하면, 직풍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P)으로 수렴하는 정도에 있어서, 도 11이 보다 나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열린위치(100b)의 경우, 즉 기본유로(A)에서 직풍토출구(11) 사이의 유로로부터 외측부재(61)를 개입시켜 제1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굴곡시켜 제2방향(Q)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60)가 내측부재(62)를 구비하고 있으면, 도 12와 같이,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는 한 쌍의 가이드(63a, 63b)가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내측부재(62)가 없는 경우에 관한 도 10과 비교하면, 직풍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제2방향(Q)으로 수렴하는 정도에 있어서, 도 12가 보다 나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일체로 마련되면, 내측부재(62)를 통해 기류의 풍향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 외에,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를 일체로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으므로 구조 단순화와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될 경우, 내측부재(62)는 외측부재(61)의 회전으로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에 따르면, 내측부재(62)는, 도 13과 도 14와 같이, 외측부재(61)가 닫힌위치(200)와 열린위치(100) 사이를 회전 이동 하더라도, 외측부재(61)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내측부재(62)는, 도 15와 같이, 외측부재(61)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측부재(62)의 회전축(R2)은 외측부재(61)의 회전축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직풍 기류의 풍향을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측부재(61)와 분리형으로 마련된 블레이드(60)의 내측부재(62)는, 외측부재(61) 회전 시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와 별도로 내측부재(62) 자체의 회전이 더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에 따르면, 내측부재(62)는,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외측부재(61)가 닫힌위치(200)와 열린위치(100) 사이를 회전함에 따라 외측부재(6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내측부재(62)는 그와 별도로, 도 18과 같이, 외측부재(61)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측부재(62)의 회전축(R2)은 외측부재(61)의 회전축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직풍 기류의 풍향을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가 내측부재(62)를 구비한 경우,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B)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가 내측부재(62)를 구비한 경우,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을 때,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C)는,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있는 도 11및 도 12에서는 내측부재(6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로가 형성되었던 것과 달리,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는 도 19의 경우에는 내측부재(6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부재(62)의 가이드로 인해 기본유로(A)와 저풍유로 (B)사이의 연계가 더욱 원활해진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도시한다. 도 20은 블레이드(60)의 정면도, 도 21은 블레이드(60)의 상면도, 도 22는 블레이드(60)에 의해 기류가 배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블레이드(60)의 좌측면도, 도 24는 블레이드(60)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판형의 외측부재(61)와, 한 쌍의 가이드(63a, 63b) 및 각 가이드(63a, 63b)의 일측에 접하여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3c)를 구비한 내측부재(62), 그리고 지지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블레이드(60)가 포함할 수 있는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의 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하나의 블레이드(60)는 복수의 외측부재(61) 또는 복수의 내측부재(6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60)는,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외측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63a, 63b)의 양측이 연결부재(63c)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부재(63c)가 지지부재(64)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내측부재(62)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내측부재(62)는 상호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경우, 예를 들어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지지부재(64)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경우,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는 소정 각도(O)를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는, 도 21과 같이, 블레이드(60)의 회전축(X)을 지나며 외측부재(61)에 접하는 선(X-Y)과 블레이드(60)의 회전축(X)을 지나며 내측부재(62)의 가이드(63a, 63b)가 형성하는 유로를 향하는 선(X-Z)이 서로 소정 각도(O)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경우,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때에는,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저풍유로(B)로 연장될 수 있도록, 내측부재(62)의 전방(X에서 Z를 향하는 방향)이 기본유로(A)를 향하도록 할 수 있고(도 19 참조), 블레이드(60)가 제1열린위치(100a)에 위치할 때에는, 기본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P)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내측부재(62)의 후방(Z에서 X를 향하는 방향)이 기본유로(A)를 향하고 그 반대방향인 내측부재(62)의 전방이 제1방향(P)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도 11 참조), 블레이드(60)가 제2열린위치(100b)에 위치할 때에는, 외측부재(61)에 의한 저풍유로(B)의 차단과 내측부재(62)에 의한 제2방향(Q)으로의 가이드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내측부재(62)의 전방이 제2방향(Q)을 향하고 내측부재(62)의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를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블레이드(60) 회전 시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일체로 회전하더라도, 저풍속 기류와 직풍 기류의 변환은 물론, 직풍 기류의 좌우 방향까지 동시에 제어 가능하다.
나아가,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는, 도 22와 같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때,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하나의 가이드(도 22에서는 63b)가 기본유로(A)의 중앙에 위치하는 각도를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때 유로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기본유로(A)를 통과한 기류를 저풍유로(B)의 양 측으로 고루 분배할 수 있다.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분리형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하여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하나의 가이드(63a 또는 63b)가 기본유로(A)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내측부재(62)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소정 각도(O)를 이루도록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외측부재(61)에 가까운 가이드(63a)의 길이가 소정 길이 이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부재(62)의 가이드 중 외측부재(61)에 가까운 가이드(63a)의 길이가 소정 길이, 예를 들어 도 21의 L을 초과하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음에 따라 기본유로(A)와 내측부재(62)를 통과한 공기가 저풍유로(B)로 나아갈 때, 내측부재(62)의 외측과 외측부재(61)의 내측 사이를 지나는 저풍유로(도 21의 B)가 그로 인해 방해를 받거나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브레이드(60)는, 블레이드(60)의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가 소정 각도(O)를 이루고,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외측부재(61)에 가까운 가이드(63a)의 길이가 소정 길이 이하가 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저풍유로(B)가 내측부재(62)의 외측과 외측부재(61)의 내측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할 경우, 블레이드(60)에 내측부재(62)가 있더라도 내측부재(62)가 저풍유로(B)를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송풍된 공기가 저풍유로(B)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위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외측부재(61)에 가까운 가이드(63a)의 길이가 소정 길이를 초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을 때, 내측부재(62)의 한 쌍의 가이드(63a, 63b) 중 외측부재(61)에 가까운 가이드(63a)에 의해 내측부재(62)의 외측과 외측부재(61)의 내측 사이를 지나는 저풍유로가 방해하거나 차단함으로써, 기본유로(A)를 통과한 기류를 저풍유로(B)의 양 측으로 고루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블레이드(60)가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직풍의 풍향이 제어되는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60)는 공기조화기(1)의 중앙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각각의 회전방향에 따라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직풍 기류가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되고, 블레이드(6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직풍 기류가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블레이드(60)가 공기조화기(1)의 중앙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풍향을 제어할 경우에는, 송풍기(30)가 공기조화기(1)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위치하지 않고 공기조화기(1)의 중심에 위치하더라도, 블레이드(60)의 움직임으로 풍향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블레이드(60)의 회전에 의해 직풍 기류와 저풍속 기류를 전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전면패널(10a)의 전방으로 전진하거나 후방으로 후퇴하는 이동을 통해 직풍 기류와 저풍속 기류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 때의 블레이드(60)의 위치는, 블레이드(60)의 회전에 의해 직풍토출구(11)가 개폐되는 앞선 실시예에서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있는 때와 동일하다.
그러나 블레이드(60)의 열린위치(100)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 2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60)의 회전에 의해 직풍토출구(11)가 열렸던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60)는 전면패널(10a)의 전방으로 전진하는 움직임을 통해 열린위치(100)로 이동하여 직풍토출구(11)를 개방함으로써, 개방된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직풍 기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블레이드(60)가 전면패널(10a)의 후방으로 다시 후퇴하여 닫힌위치(200)로 복귀하게 되면, 직풍토출구(11)는 폐쇄되고 기류는 저풍속 기류로 전환된다.
나아가 위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는 직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6과 같이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있는 상태에서, 블레이드(60)의 회전을 통해 직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7과 같이, 블레이드(6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직풍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직풍 기류가 공기조화기(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리모컨 또는 공기조화기(1)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켤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그 작동을 시작한다.
작동 시작 시 공기조화기(1)는 직풍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고 저풍속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직풍 모드는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위치하도록 이동 또는 회전하여,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는 작동 방식을 말한다. 저풍속모드는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하도록 이동 또는 회전하여,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는 작동 방식을 말한다. 저풍속모드에서는 송풍팬(30)의 회전속도를 직풍모드에서의 회전속도보다 줄일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의 작동 시작 시 공기조화기(1)가 어느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는, 기 설정된 초기값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최근에 동작한 모드정보 기타 상황정보 등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공기조화기(1)의 작동 시작 시 공기조화기(1)가 직풍 모드로 작동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는 공기조화기(1)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닫힌위치(200)에 위치해 있던 블레이드(60)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열린위치(100)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그 외 공기조화기(1)의 나머지 구성도 적절히 제어하여 공기가 직풍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직풍 모드에서 직풍이 나오는 풍향도 제어 가능하다. 사용자명령 또는 공기조화기(1)의 자체적 판단에 의해,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는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60)를 제1열린위치(100a) 또는 제2열린위치(100b)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공기조화기(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각각 제1방향(P) 또는 제2방향(Q)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60)가 회전할 수 있는 위치 및 회전각도와 그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블레이드(60)가 외측부재(61)와 내측부재(62)를 포함하고 두 부재가 분리형으로 마련된 경우,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는, 사용자명령 또는 공기조화기(1)의 자체적 판단에 의해, 내측부재(62)를 회전시켜 직풍의 풍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직풍 모드에서 저풍속 모드로 전환하려는 명령 또는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는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하도록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1) 내에서 송풍된 공기는 다공패널(50)의 다공(51)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반대로, 저풍속 모드에서 직풍 모드로 전환하려는 명령 또는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는 블레이드(60)가 열린위치(100)에 위치하도록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1) 내에서 송풍된 공기는 직풍토출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저풍속 모드 작동 중에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끄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블레이드(60)는 이미 닫힌위치(200)에 위치하므로, 제어부는 블레이드(60)에 대해서는 별도로 제어하지 않고 나머지 구성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한편, 직풍 모드 작동 중에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끄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열린위치(100)에 위치한 블레이드(60)가 닫힌위치(200)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구성의 동작도 중단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힌위치(200)에 위치한 블레이드(60)가 공기조화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본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40: 덕트
50: 다공패널
60: 블레이드

Claims (20)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직풍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와,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저풍유로의 저풍토출구를 포함하는 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기 외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풍토출구를 폐쇄하며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풍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하고,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로 수용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풍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직풍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은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에서 편향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와,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저풍유로의 저풍토출구를 포함하는 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저풍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된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사이에 직풍토출구가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편향의 반대 영역으로 회전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와 상기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에서 상기 직풍토출구 사이의 유로로부터 상기 외측부재를 회피시켜 공기가 상기 제1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기본유로에서 상기 직풍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상기 외측부재를 개입시켜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굴곡시켜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 구성된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내측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기본유로와 상기 저풍유로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와,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저풍유로의 저풍토출구를 포함하는 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저풍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와 상기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 구성된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열린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외측부재에 의한 상기 저풍유로의 차단과 상기 내측부재에 의한 상기 제2방향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어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본유로와, 상기 기본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저풍유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저풍유로의 저풍토출구를 포함하는 패널;
    열린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열린위치에서는 상기 저풍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는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저풍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저풍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열린위치와 상기 닫힌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판형의 외측부재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 구성된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린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 중 하나가 기본유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어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02622A 2018-01-09 2018-01-09 공기조화기 KR10251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22A KR102514679B1 (ko) 2018-01-09 2018-01-09 공기조화기
US16/222,393 US11085651B2 (en) 2018-01-09 2018-12-17 Air conditioner
EP18899441.2A EP3714214B1 (en) 2018-01-09 2018-12-19 Air conditioner
PCT/KR2018/016174 WO2019139268A1 (en) 2018-01-09 2018-12-19 Air conditioner
CN201910007729.4A CN110017538B (zh) 2018-01-09 2019-01-04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22A KR102514679B1 (ko) 2018-01-09 2018-01-0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35A KR20190084635A (ko) 2019-07-17
KR102514679B1 true KR102514679B1 (ko) 2023-03-29

Family

ID=6714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22A KR102514679B1 (ko) 2018-01-09 2018-01-0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5651B2 (ko)
EP (1) EP3714214B1 (ko)
KR (1) KR102514679B1 (ko)
CN (1) CN110017538B (ko)
WO (1) WO201913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0097A3 (en) * 2016-12-21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0513774A (zh) * 2019-09-10 2019-11-2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结构及室内空调
CN111780244A (zh) * 2020-06-08 2020-10-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912008B (zh) * 2020-07-16 2022-02-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14060937A (zh) * 2020-07-31 2022-02-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4043A (en) * 1989-05-25 1993-03-16 Hitachi, Ltd. Air conditioner air deflector arrangement
JPH05180503A (ja) 1991-12-28 1993-07-23 Toyotomi Co Ltd 窓用空気調和機の構造
JP4965618B2 (ja) * 2009-09-15 2012-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節装置の風向変更装置
KR101749658B1 (ko) 2010-09-0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8768151B2 (en) * 2011-02-25 2014-07-01 Yung-Ming Tai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JP6065184B2 (ja) 2011-12-06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697146B (zh) 2013-12-05 2018-03-2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的导风组件
CN104566891B (zh) * 2014-12-12 2018-0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口部件及具有其的空调系统
CN104566981B (zh) 2015-01-26 2017-06-27 山东爱客多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燃气采暖热水炉烟气余热冷凝回收装置
KR101698842B1 (ko)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386B1 (ko) 2015-07-17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2015-10-14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519931B1 (ko) 2016-01-07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160408U (zh) 2016-11-14 2017-05-10 宁波艾文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中央出风口总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4214A4 (en) 2021-01-27
US11085651B2 (en) 2021-08-10
CN110017538A (zh) 2019-07-16
CN110017538B (zh) 2022-01-11
US20190212017A1 (en) 2019-07-11
EP3714214B1 (en) 2022-10-26
EP3714214A1 (en) 2020-09-30
KR20190084635A (ko) 2019-07-17
WO2019139268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679B1 (ko) 공기조화기
JP4709130B2 (ja) 空気調和機
CN109520019A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WO2018192384A1 (zh) 空调器室内机
JP2006002984A (ja) 空気調和機
JPH04139351A (ja) 空気調和装置
AU2019293152A1 (en) A nozzle for a fan assembly
WO2020118954A1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EP2821717B1 (en) Wind direction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CN113739271A (zh) 导风部件、出风组件及空调器
CN211195781U (zh) 用于将不同方向的气流引导到车辆内部的通气孔
CN209944523U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US20230417448A1 (en)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5519232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60879A (ko) 공기조화기
JP6301279B2 (ja) 風路切換装置
WO2020172940A1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KR10025181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JP20131707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1140921A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14060928B (zh) 一种空调柜机的双出风结构及空调柜机
JP201109487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05149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2082890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1575266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