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5519A1 -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5519A1
WO2021015519A1 PCT/KR2020/009546 KR2020009546W WO2021015519A1 WO 2021015519 A1 WO2021015519 A1 WO 2021015519A1 KR 2020009546 W KR2020009546 W KR 2020009546W WO 2021015519 A1 WO2021015519 A1 WO 20210155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low
suction
air purifi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5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미
Publication of WO20210155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55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capable of realizing both indoor air purification and inflow of outdoor air purification, and in more detail, a filter included in the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door air containing pollutants and Outdoor air is a field related to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ype tubular filter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after being purified by entering into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tubular filter.
  • indoor air of a building is contaminated by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building materials, carbon dioxide and moisture generated by human breathing, and thus indoor air requires periodic ventilation.
  • ventilation refers to exchanging indoor air with outdoor air or adjusted air to adjust the air environment in a living space.
  • a method of ventilation it is forced by using natural ventilation and power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utside the room or external wind power. There is forced ventilation.
  • indoor air can be ventilated by operating a ventilation device operated with a certain power without opening or closing the window.
  • the ventilation system is installed. The cost is high, and even if the ventilation system is already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an or duct of the ventilation system.
  • a forced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that is fixedly mounted on a window or ceiling to purify outdoor air and introduce it into the room.
  • Republic of Korea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9-0071326 relates to a filter assembly structure of an air purifier, comprising: an air purifier body including a blower fan for inhaling air; A plurality of filter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ce of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 coupling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ing the filter to the body portion; And a discharge part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prior art realized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olume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air purifier by configuring the filter in a floating shape, but since the air containing contaminants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in the hollow (insid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conceived to impro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ior art of the air purifier. Since the conventional tubular filter flows air containing contaminants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in a hollow direction, contaminants are transferred to the entire outer area of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inhale the included air, but in order to install a ventilation air purifier on the wind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let must be formed in the window with a wid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tubular filter;
  • the filter housing or the air purifier body cover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is stained with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 the user has to clean all of the filter housing or the air purifier body cover having a large area where the outside of the tubular filter is located, and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desired object as described above,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unit provided with a tubular filter in which a hollow is formed therein;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of the filter,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so that contaminants are not adsorb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filter.
  • the air purifier for both ventilation using the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above can concentrate and receive air containing pollutants into the hollow of the tubular filter, so the inlet formed in the window is the same as the hollow of the tubular filter. Alternatively, even if it is formed small in a similar siz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ufficiently flow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rough the hollow of the filter;
  • the filter housings arranged outside the tubular filter and the filter can always be kept clean. The effect of easy cleaning can be obtai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use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example 1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2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use of a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use of an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ation of the tubular filter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ilter cap is provided in a tubular filter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filter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filter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uction fan part, a filter part, and a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part of an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part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of an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door air to the filter unit.
  • 16B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outdoor air to the filter unit.
  • 16C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of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flows indoor air and outdoor air to the filter unit.
  •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a filter housing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module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module and an elastic module of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lter unit 110 filter
  • 210 main body 211a, 211b, 211c: connection path
  • switch hole 220 switch
  • filter housing part 310 filter housing
  • support module 331 support ring
  • suction fan part 410 suction port of the suction fan
  • protruding jaw protruding jaw
  • protruding ring 600 discharge fan part
  • window material 710 inle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ir purifier capable of realizing both indoor air purification and outdoor air purification inflow, and includes a filter unit 100 having a tubular filter 110 having a hollow 120 formed therein;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llow 120 to be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so that contaminants are not adsorb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filter 110 It relates to a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 FIGS. 1 to 19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wo ways as shown in FIGS. 1 to 5.
  • the user purifie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by placing the main body 210 of the air purifier (Ac) having a purifying function on the floor or mounting it on the wall.
  • Ac air purifier
  •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may be provided on the indoor floor without a separate mounting device (D), or by a mounting device (D) such as a dock mounted on the indoor floor or wall. I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r mounted on the wall.
  • a separate battery is built into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and may be operated without a continuous supply of external power;
  • the dock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that can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air purifier (Ac) main body 210, and the air purifier (Ac)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provided in the mounting device (D). I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by continuously receiving power.
  • the user may install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into a window frame, a window, or a separate accessory mounted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It can be installed in a fixed or detachable manner in the'referred to as'.), an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pollutants contained in indoor air or pollutants contained in outdoor air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indoor space (S100).
  • Ac air purifier
  • the main body 210 of the air purifier (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indow, 1) inhaling indoor air to purify indoor pollutants, and then again in the indoor space (S100). It may be discharged to or 2) after inhaling outdoor air to purify pollutants outdoors, and then introducing them into the indoor space (S100).
  • the air purifier (Ac) main body 2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part 600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door air containing pollutants while the air purifier (Ac) main body 210 is mounted on the window Can also be discharged directly outdoors.
  • the window should b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710 for introducing outdoor air in the indoor direction, and when the air purifier (Ac) main body 2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fan 600, indoor air is supplied to the window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discharge port 720 to be discharged should be further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in which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is mounted on the dock or the window frame guide bar for ventilation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1888927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It is installed in, and the case where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is mounted on the window frame guide bar for ventil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 the filter unit 100 included in the combined ventilation air purifier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filter 110 having a hollow 120 formed therein, and the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After flowing in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it is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 the filter unit 100 i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Ac) body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air purifier (Ac)'), and includes fine du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or odor, etc. It has a composition that purifies the same contaminants.
  • the filter 11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ter unit 100, is a fiber filter 110 such as a HEPA filter 110, an electrostatic filter 110, and a photocatalytic filter 110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r more types of,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lter 110 is composed of a fiber yarn filter 110 such as the HEPA filter 110.
  • the filter 110 included in the filter unit 100 is made by folding the fabric of the filter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s shown in FIG. 6 so as to form irregularities and cutting it into a predetermined size. (110) The fabric is rolled and made into a tube shape.
  • the filter 110 made in the tubular shape has a hollow 120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110.
  • tubular filter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constitute the filter unit 100 only by the filter 110 itself, and one o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filter 110 serving as the main filter 110 ring At least one of the filter caps 13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filter cap 130 is provided on one or more portions of one or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110,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outer periphery of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filter 110. It is composed of three types.
  • the filter cap 130 blocks the filter hollow 120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polluted air') containing contaminants flowing in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 the filter hollow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open state.
  • the filter 110 when contaminated air flows into the hollow 120 through bo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hollow 120, the filter 110 is inside the filter cap 130.
  • a hollow hole 131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or similar size as that of the hollow 120 is formed.
  • the filter cap 130 in which the hollow hole 131 is formed is contaminated.
  • the filter cap 130 in which the hollow hole 131 is not forme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11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110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llow 120 is purified and discharged only to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ilter 110.
  • the filter cap 13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serve as a support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filter 110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 filter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below ( 110) and the filter housing 310 may serve to firmly maintain the mounted state and the airtight state.
  • the filter unit 1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Ac), and the suction pressure acting in the suction fan unit (400,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general fan or blower) installed in the air purifier (Ac) is the filter (
  • the suction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of 110) and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120 and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to filter the contaminated air at least one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It is configured to flow into the hollow 120 of (110).
  • the air (indoor air or outdoor air including pollutants) introduced in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is purified by the filter 110 and then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 the purifi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purified air') discharged to the filter 11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fan of the suction fan unit 400 and is then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outside the air purifier Ac ( S100).
  •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tubular filter 110, and contaminated air is transferred to one or more portions of one or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llow 120. It may be introduced, and the contaminated air may be indoor air or outdoor air.
  • the filter 110 may receive air containing pollutants from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llow 120 as shown in FIG. 8.
  •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120 may receive indoor air; As shown in FIG. 9,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door air,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outdoor air. That is, the filter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space S200.
  • the tubular filter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receives both indoor air and outdoor air from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at the same time, or receives indoor air or outside air sequentially into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hollow 120 as nee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ffect of receiv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rough different flow paths of the air purifier Ac.
  • the filter 1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ontaminated air in only one of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ollow 120 or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may have a closed state (C).
  • the filter 110 is configured to have a closed state (C) on one side of the hollow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of the indoor space (S100) or the outdoor space (S200)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having the clogged state (C) may be 1) maintained in a clogged state (C) by the filter 110 itself, and 2) a clogged state by the filter cap 130 (C) may be maintained, and 3) a closed state (C) may be maintained by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310 below.
  • the filter 110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eceive indoor air and outdoor ai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120, the flow path for indoor air inflow formed inside the air purifier Ac and the outdoor By incorporating a flow path for air intak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implifying.
  • one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is configured to have a closed state (C)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in an open state, so that an indoor space (S100) or an outdoor space (S200)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 an indoor space (S100) or an outdoor space (S200)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When configured to receive contaminated air from one or more of the spaces,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110, at least one of the indoor space (S100) or the outdoor space (S20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120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for adjusting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filter hollow 120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pace (S100) or the outdoor space (S200), so that the user can purify the indoor air (Ac ),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Ac),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allows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outdoor air.
  •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is controlled so that the outdoor space (S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an do.
  •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lter unit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 the filter housing part 3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lter part 100 to allow suction pressure by the suction fan part 400 to be formed.
  • the filter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tubular filter housing unit 300 in which the inner space 311 is formed, and in the filter housing unit 300, suction for forming a suction pressure in the inner space 311
  • the fan part 400 may be mounted and at least on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may be formed.
  • the filter housing unit 300 maintains the airtight state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and the inner space 311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with the filter 11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If possible,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a part of the air purifier (Ac) case that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air purifier (Ac) without a separate filter housing 310 may be configured to replace the filter housing 310. May be.
  • the filter housing part 300 has an inner space 311 that is larger than the filter part 100, and the filter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That is,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110 as shown in FIG. 10 and is configur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110, and the filter ( 110)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at of.
  • a predetermined space 312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311 This is formed so that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lter 110 can flow to the suction fan unit 400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unit 300.
  • a certain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has an open through hole 321 that allows the internal space 311 and the suction port 410 of the suction fan included in the suction fan unit 4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r more hollow communication holes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are formed in another predetermined portion.
  •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is formed only on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is formed 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lter hollow 120, but when the filter housing 310 is configured in the air purifier (Ac),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connected to the filter hollow 120 ) And connected.
  •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if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of the indoor space (S100) or the outdoor space (S200)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includes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and 211c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outdoor space S200, respectively.
  • switch 2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has a switch hole 212 communicating with the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211c therein;
  • An switch 220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212 and rotatable, and having a bent flow path 221;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air purifier (Ac), it is connected to the switch 220, the driving unit 230 for rotating the switch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main body 210 has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211c resp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outdoor space S200, and the inside
  • an switch hole 212 communicating with the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211c it serves as a housing for forming a flow path formed in the suction flow path conversion unit 200.
  • the main body 210 has an switch hole 212 through which the following switch 220 can be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 15, and corresponds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itch hole 212.
  •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and 211c through which each of the switch holes 212 are communicated are formed.
  • the first connection path 211a of the three connection paths 211a, 211b, 211c is the switch hole 212, preferably the bent flow path 221 of the switch 220 and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 320,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1b communicates the switch hole 212, preferably the refracted flow path 221 of the switch 220, and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third connection path ( 211c)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open/close hole 212, preferably the bent flow path 221 of the switch 220 and the outdoor space S200.
  • the switch hole 212 is configured to insert the switch 220,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inner circumference so that the cylindrical switch 220 can be rotated.
  • the switch 220 is rotat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212 1)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2) the outdoor space (S200) and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or 3 )
  •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the indoor space (S100) and the outdoor space (S2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 certain bent flow path 221 is formed in the switch 220, and the bent flow path 221 is shown in FIG. 16A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witch 220 in the switch hole 212.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indoor space (S100) is refracted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suction fan unit (400). 221, the first connection path 211a,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and the filter 110 so that it can flow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hollow 120.
  • the bent flow path 221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witch 220 in the switch hole 212 is 3) a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an indoor space (S100) and an outdoor space (S200) as shown in FIG.
  • the driving unit 2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air purifier (Ac)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 220 to rotate the switch 22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witch 220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driving unit 230 may be composed of a geared motor, a stepping motor, or a solenoid, and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ylindrical switch 220 is rotated by rotating at a certain angle 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 an elastic module 500 including an elastic body 520 for pressing the filter 110 to the other side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and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is a filter housing part It can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300.
  • the suction fan part 400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7 so that a certain suction pressure can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 the suction pressure formed in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is the filter 110
  • the elastic module 500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and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11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Including, the filter 110 is continuously pressed to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310 to be maintained.
  •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maintain an airtight state with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of the filter housing 310, and the suction pressure formed in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i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always being applied to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only through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 the filter cap 130 when the filter cap 1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filter 110,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ilter cap 130 must be configured with a hollow hole 131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110.
  • airtightness is improved between one side of the filter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filter cap 130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110) and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310 in which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is formed.
  • An airtight packing (not shown) for the may be further provided.
  • a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310 on which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110 (or the filter cap 130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310 having a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are mutually overlapped.
  • a stepped step 140 and a stepped groove 340 to be fitted while forming a may be formed.
  • the stepped step 140 and the stepped groove 340 improv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310, so that one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is hollow. The effect of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20 is realized.
  • the elastic module 500 is partially fix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20 included in the elastic module 500 is used to prevent the filter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f one side can be pressed continuously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 the elastic body 520 of the elastic module 500 when the filter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the fitting force of the filter unit 100 fitted into the inner space 311 It is compress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310 so that the filter unit 100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inner space 311,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and the hollow communication hole 320 ) Is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filter unit 100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with an elastic force wh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 one side of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subjected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520 may be kept open to receive contaminated air through one side of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or configured in a clos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contaminated air does not flow into one side of the filter hollow 120.
  • the elastic module 500 includes a fixed housing 5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lastic body 5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housing 510; A nurum cap 530 which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520 and presses one side of the filter 110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elastic module 5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macroscop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housing 510, an elastic body 520 and a nurum cap 530.
  • the fixing housing 510 is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odule 500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 the elastic body 52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housing 510 so that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fixed housing 510, the other side supports one side of the nurum cap 530, and the pressing cap i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the other side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hat enables reciprocating movement.
  • a certain portion of the pressing cap may be supported by the fixed housing 510 and reciprocated, or may be reciproc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a certain portion on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one side of the pressing cap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520 to receive an elastic force,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lter 110 (or one side of the filter cap 130).
  • a protruding jaw having a certain inclination and an inner groove 15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the protruding jaws and the inner spaces 150 are kept fit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lter 110 in the inner space is It can be configured to always be maintained.
  • the elastic module 500 including the elastic body 520 is further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part 300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elastic body 520 is reduced 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and the filter housing part.
  •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elastic body 520 is reduced 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and the filter housing part.
  • the protruding jaw and the inner inlet groove 150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stepped jaw 140 and the stepped groove 340 described above, so that one side of the filter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n internal space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311) It can play a role of fixing the position on one side.
  • an ope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fan part 400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 321 may be formed, and the elastic module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rough hole 321.
  • the filter housing part 3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through hole 321 in an open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fan part 400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uction pressure formed in the suction fan part 400 is the filter housing part 300
  • the elastic module 500 is disposed inside the through hole 321 as shown in FIGS. 17 and 19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311 of the filter housing part 311.
  • the filter unit 100 is located inside (central part) of the filter unit 100, and the effect of forming a uniform suction pressure and a purified air flow path in the outer space (the separation space 312) of the filter unit 100 Can be realized.
  • the through hole 321 when the through hole 321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part 300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321 includes an annular support ring 331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A support module 330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s 332 radial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ring 331 and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is further provided, and the elastic module ( The elastic body 520 of 500) may have a configuration disposed inside the support ring 331.
  • the support module 33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upport ring 331 and a plurality of support 332 macroscopically as shown in FIG. 19, a through hole 321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part 300 ) Serves as a support for positioning the elastic module 500 in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 the support ring 331 is position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hrough hole 321 and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by a plurality of supports 332.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32 has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hole formed between the supports 332 serves as a through hole 321.
  •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32 is configur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ring 331,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housing unit 300 The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 the elastic body 520 of the elastic module 500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ring 331 so that the shape deformation by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the elastic body 520 is made inside the support ring 331.
  • the elastic module 500 when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housing 510, an elastic body 520, and a nurum cap 530, as shown in FIG. 18, the fixing on one side of the support ring 331
  • the housing 510 is disposed in a form fixed to the support ring 331 or the support 332, and the pressing cap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housing 510 and the nurum cap 530 inside the support ring 331 It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with an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body 520 (up and down movement in the drawing).
  • a protruding ring 531 or protruding jaw protruding laterally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cap, and the protruding ring 531 or protruding jaw is caught at one end (top in the drawing) of the support ring 331 It is formed, the pressing cap is not separated from the other side (lower in the drawing) of the support ring 331 and can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inside the fixed housing 510.
  • the suction pressure by the suction fan acts in the outside direction in the hollow 120 of the tubular filter 110, as a result, contained in the air Contaminants are formed in a form that is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filter 110.
  • the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using a hollow suction tubular filter receives air containing pollutants into the hollow 120 of the tubular filter 110 and then purifies it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10. Because of the configuration, air containing contaminants can be sucked in a narrow area as much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ter hollow 120, and as a result, if an inlet having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filter hollow 120 is formed in the window, outdoor ai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sufficiently flow into the hollow 120 of the filter 110.
  • the air purifier (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adsorbed only in the hollow 120 of the tubular filter 110,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are disposed outside the filter 110 and outside the filter 110 Since the filter housing 310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and clean the filter 110 for managing the filter 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 정화와 실외공기 정화 유입을 모두 실현시킬 수 있는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필터가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관형 필터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필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실내공기 정화와 실외공기 정화 유입을 모두 실현시킬 수 있는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필터가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관형 필터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필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공기는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사람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수분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실내공기는 주기적인 환기를 요하게 된다.
즉, 환기는 생활 공간의 공기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실외공기 또는 조정된 공기와 실내공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환기의 방법으로는 실내 외의 온도차나 외부의 풍력에 의한 자연환기와 동력을 사용해서 강제적으로 행하는 강제환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연환기 방법은 거주자가 창문을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대기에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경우에는 자연환기를 꺼려하는 실정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강제환기 방법은 창문의 여닫음 없이 일정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환기장치의 작동으로써 실내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었으나, 건축물의 시공시에 환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기장치의 시공비용이 비싸고, 환기장치가 기설치된 경우라하더라도 환기장치의 팬 또는 덕트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자연환기, 강제환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문 또는 천장에 고정식으로 장착하여 실외공기를 정화시켜 실내로 유입시키는 강제환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다음은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1326호는 공기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본체부; 상기 본체부 측면의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필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를 본체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필터 조립체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필터를 띄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두께를 줄여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필터의 외부에서 중공(안쪽) 방향으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은 천장에 장착되어 강제 급기와 배기가 가능한 효과를 실현시켰으나, 필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 또는 공기청정기 본체 커버에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묻어 더러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관형 필터는 필터의 외부에서 중공 방향으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외부 전체 면적으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할 수는 있으나, 창호에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관형 필터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넓은 폭으로 창호에 흡입구가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종래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관형의 필터는 필터의 외부에서 중공 방향으로 정화되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 또는 공기청정기 본체 커버에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묻어 더러워지고, 그 결과 사용자는 관형 필터의 외부가 위치되는 넓은 면적의 필터 하우징 또는 공기청정기 본체 커버를 모두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관형의 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중공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필터의 외부로 배출되어, 관형 필터의 외부에 오염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관형 필터의 중공으로 집중하여 유입받을 수 있기 때문에, 창호에 형성된 흡입구가 관형 필터의 중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작게 형성되더라도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필터의 중공으로 충분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항상 관형 필터의 중공 내에서만 흡착되기 때문에, 관형 필터의 외부 및 필터의 외부에 배치된 필터 하우징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필터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필터 파지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예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예1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예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예2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예2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관형 필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관형 필터에 필터캡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관형 필터의 일측과 타측으로 오염공기를 유입받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관형 필터의 일측과 타측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각각 유입받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흡입팬부, 필터부 및 흡입 유로변환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주요 구성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흡입 유로변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흡입 유로변환부가 실내공기를 필터부로 유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흡입 유로변환부가 실외공기를 필터부로 유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흡입 유로변환부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동시에 필터부로 유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필터 하우징부 일측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탄성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의 지지모듈과 탄성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필터부 110 : 필터
120 : 중공 130 : 필터캡
131 : 중공홀 140 : 단턱
150 : 내입홈 200 : 흡입 유로변환부
210 : 본체 211a, 211b, 211c : 연결로
212 : 개폐기 홀 220 : 개폐기
221 : 굴절된 유동로 230 : 구동부
300 : 필터 하우징부 310 : 필터 하우징
311 : 내부공간 312 : 이격공간
320 : 중공 연통홀 321 : 통공(321)
330 : 지지모듈 331 : 지지링
332 : 지지대 340 : 단턱홈
400 : 흡입팬부 410 : 흡입팬의 흡입구
500 : 탄성모듈 510 : 고정하우징
520 : 탄성체 530 : 누룸캡
531 : 돌출턱, 돌출링 600 : 배출팬부
700 : 창호물 710 : 흡입구
720 : 배출구 Ac : 공기청정기
D : 거치장치 S100 : 실내공간
S200 : 실외공간
본 발명은 실내공기 정화와 실외공기 정화 유입을 모두 실현시킬 수 있는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120)이 형성되는 관형의 필터(110)가 구비된 필터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중공(120)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관형 필터(110)의 외부에 오염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공기청정기(Ac)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항상 관형 필터(110)의 중공(120) 내에서만 흡착되기 때문에, 필터(110)의 외부 및 필터(110)의 외부에 배치된 필터 하우징(310)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필터(110)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필터(110) 파지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5와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 2와 같이 사용예1에 의하면, 사용자는 정화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Ac) 본체(210)를 실내 바닥에 비치하거나 벽에 거치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Ac) 본체(210)는 별도의 거치장치(D) 없이 실내 바닥에 비치될 수도 있고, 실내 바닥에 비치되거나 벽에 장착된 도크(Dock)와 같은 거치장치(D)에 의하여 실내 바닥에 비치되거나 벽에 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청정기(Ac) 본체(210)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외부 전원의 연속적인 공급없이 작동될 수도 있고; 상기 도크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공기청정기(Ac) 본체(2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고, 공기청정기(Ac) 본체(210)는 거치장치(D)에 구비된 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3 내지 5와 같이 사용예2에 의하면, 사용자는 공기청정기(Ac) 본체(210)를 창틀, 창문 또는 창틀과 창문 사이에 장착되는 별도의 부속물 등과 같은 창호물(700, 이하, ‘창호’라 칭함.)에 고정 또는 착탈방식으로 장착키시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또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실내공간(S100)으로 유입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예2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Ac) 본체(210)는 창호에 장착된 상태에서 1)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오염물질을 정화시킨 후 다시 실내공간(S100)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고, 2)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킨 후 실내공간(S100)으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Ac) 본체(210)에 실내공기 배출용 배출팬부(600)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공기청정기(Ac) 본체(210)가 창호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창호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방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710)가 형성되어야 하고, 공기청정기(Ac) 본체(210)에 배출팬부(600)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창호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출구(720)가 더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도크에 공기청정기(Ac) 본체(210)가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927호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바가 창틀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청정기(Ac) 본체(210)가 상기 환기용 창틀 가이드바에 장착된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필터부(100)는 내부에 중공(120)이 형성된 관형의 필터(110)를 구비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된 이후 정화되어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100)는 공기청정기(Ac) 본체(210, 이하,‘공기청정기(Ac)’라 칭함.)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또는 악취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00)에 주된 구성인 필터(11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헤파필터(110)와 같은 섬유사 필터(110), 정전기 방식의 필터(110), 광촉매 방식의 필터(110) 중 어느 하나 이상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은 필터(110)가 헤파필터(110)와 같은 섬유사 필터(110)로 구성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즉, 필터부(100)에 포함되는 필터(110)는 도 6과 같이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필터(110) 원단을 요철이 형성되도록 접고, 일정의 크기로 재단하여 만들어지며, 재단된 필터(110) 원단을 말아서 관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관형태로 만들어진 필터(110)는 내부에 필터(110)의 길이방향으로 중공(1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을 하는 관형의 필터(110)는 필터(110) 자체만이 필터부(100)를 구성할 수도 있고, 주된 필터(110)링 기능을 하는 관형의 필터(110)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필터캡(130)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캡(130)은 도 7a, 7b와 같이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구비되고, 관형 필터(110)의 일측 또는 타측 외주와 동일 또는 유사한 외주를 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캡(130)은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이하, ‘오염공기’라 칭함.)의 유동방향에 따라 필터 중공(120)을 가로막거나, 필터 중공(120)이 열린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도 7a와 같이 오염공기가 필터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양쪽을 통하여 중공(12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캡(130)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110)의 중공(1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중공홀(13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도 7b와 같이 오염공기가 필터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부분만을 통하여 중공(12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공홀(131)이 형성된 필터캡(130)은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필터(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중공홀(131)이 미형성된 필터캡(130, 막힌상태(C))은 필터(110)의 다른 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하여, 필터 중공(120)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필터(110)의 길이방향 측방으로만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필터캡(130)은 관형태로 이루어진 필터(110)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지지체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하기의 필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 내입된 필터(110)와 필터 하우징(310) 간의 장착 상태 및 기밀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필터부(100)는 공기청정기(Ac)에 포함되어, 공기청정기(Ac)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흡입팬부(400, 일반적인 팬 또는 블로어을 총칭함.)에서 작용하는 흡입압이 필터(110)의 외부에 가해지고, 필터(1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흡입압은 필터(110)의 중공(120) 및 중공(120) 외부로 가해져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오염공기를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을 한다.
이때, 필터(110)의 외부에서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된 공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는 필터(110)에 의하여 정화된 후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되고,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된 정화된 공기(이하, ‘정화공기’라 칭함.)는 흡입팬부(400)의 흡입팬으로 유입된 후 공기청정기(Ac)의 외부인 실내공간(S100)으로 배출된다.
아울러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와 필터(110)에서 정화된 정화공기는 공기청정기(Ac) 내부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필터(110)의 중공(120)은 관형 필터(110)의 내부에 일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구성을 하는데, 오염공기를 중공(120)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유입받을 수 있고, 상기 오염공기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110)는 도 8과 같이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모두에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입받을 수 있다.
이때, 중공(120)의 일측과 타측 모두 실내공기를 유입받을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실내공기를 유입받고, 중공(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실외공기를 유입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필터(110)는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실내공간(S10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실외공간(S200)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하는 관형의 필터(11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각각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동시에 유입받거나,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필터 중공(120)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순차 유입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공기청정기(Ac)의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여 유입받을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10)는 도 7b와 같이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부분만으로만 오염공기를 유입받고, 다른 한쪽은 막힌상태(C)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110)는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힌상태(C)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막힌상태(C)를 가지는 필터 중공(120)의 다른 한쪽은 1) 필터(110) 자체에 의하여 막힌상태(C)를 유지할 수도 있고, 2) 상기 필터캡(130)에 의하여 막힌상태(C)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3) 하기의 필터 하우징(310)의 내부면 일부분에 의하여 막힌상태(C)를 유지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필터(110)는 중공(12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실내공기, 실외공기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유입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기청정기(Ac) 내부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유입용 유로와 실외공기 유입용 유로를 통합하여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필터 중공(120)의 일측은 막힌상태(C)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열린상태로 구성되어, 중공(12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오염공기를 유입받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필터(11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중공(120)의 길이방향 타측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흡입 유로변환부(20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필터 중공(120)이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과 연통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도록 공기청정기(Ac)를 조작하면 공기청정기(Ac)에 포함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실내공간(S100)과 필터 중공(120)의 타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실외공기를 정화하여 실내공간(S100)으로 유입시키도록 공기청정기(Ac)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실외공간(S200)과 필터 중공(120)의 타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를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유입받아 정화시켜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상기 필터부(100)의 외부에 흡입팬부(400)에 의한 흡입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하우징부(300)가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100)는 내부공간(311)이 형성된 관형의 필터 하우징부(300)에 내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에는 내부공간(311)에 흡입압을 형성시키는 흡입팬부(400)가 장착되고, 필터(110)의 중공(120)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는 내부공간(311)에 필터(110)를 내입시킨 상태로 필터(110)의 외부에 해당하는 필터 하우징부(300) 내부공간(311)의 기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필터 하우징(310)의 구성없이 공기청정기(Ac)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공기청정기(Ac) 케이스 일부분이 필터 하우징(310)을 대신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는 필터부(100)보다 더 큰 내부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311)에는 필터부(100)가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은 도 10과 같이 필터(110)의 외주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필터(11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필터(110)의 길이와 동일 또는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에 필터부(100)가 내입된 상태에서 필터(110)의 외측면과 내부공간(311)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일정의 이격공간(312)이 형성되어 필터(110)에서 배출된 정화공기가 필터 하우징부(300)에 장착된 흡입팬부(4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필터 하우징부(300)의 일정부분에는 내부공간(311)과 흡입팬부(400)에 포함된 흡입팬의 흡입구(410)가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열린상태의 통공(321)이 형성되고, 다른 일정부분에는 필터(110)의 중공(120)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필터(110)가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서만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공 연통홀(32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필터 중공(120)의 일측 및 타측 모두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공 연통홀(32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일측 및 타측 모두에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중공 연통홀(320)에는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가 더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필터 중공(120)에 연결되는 구성이나, 공기청정기(Ac)에 필터 하우징(310)이 구성된 경우에는, 필터 중공(120)과 연결된 중공 연통홀(320)과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중공 연통홀(320)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상기 중공 연통홀(320), 실내공간(S100) 및 실외공간(S200)과 각각 연통되는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가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와 연통되는 개폐기 홀(212)이 형성된 본체(210); 상기 개폐기 홀(212)에 내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굴절된 유동로(221)가 형성된 개폐기(220) 및; 공기청정기(Ac)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개폐기(220)와 연결되어 개폐기(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210)는 상기 중공 연통홀(320), 실내공간(S100) 및 실외공간(S200)과 각각 연통되는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가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와 연통되는 개폐기 홀(21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흡입 유로변환부(200)에 형성된 유로를 형성시키는 하우징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본체(210)는 도 15와 같이 본체(210)의 중앙쪽에 하기의 개폐기(220)가 내입될 수 있는 개폐기 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기 홀(212)의 외주에 해당하는 본체(210)의 외부에는 개폐기 홀(212)과 각각이 연통되는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 중 제1연결로(211a)는 개폐기 홀(212, 바람직하게는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과 상기 중공 연통홀(320)을 연통시키고, 제2연결로(211b)는 개폐기 홀(212, 바람직하게는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과 실내공간(S100)을 연통시키며, 제3연결로(211c)는 개폐기 홀(212, 바람직하게는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과 실외공간(S200)을 연통시키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개폐기 홀(212)은 개폐기(220)를 내입시키는 구성으로서, 원통형태의 개폐기(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의 내주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기(220)는 개폐기 홀(212)에 내입된 상태로 회전되며 1) 실내공간(S100)과 중공 연통홀(320), 2) 실외공간(S200)과 중공 연통홀(320) 또는 3) 중공 연통홀(320), 실내공간(S100) 및 실외공간(S200)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기(220)에는 일정의 굴절된 유동로(221)가 형성되고, 개폐기 홀(212) 내에서의 개폐기(220)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굴절된 유동로(221)가 도 16a와 같이 1) 실내공간(S100)과 중공 연통홀(320)을 상호 연통시키는 경우에는, 흡입팬부(400)의 흡입압에 의하여 실내공간(S100)의 오염공기가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 제1연결로(211a), 중공 연통홀(320) 및 필터(110)의 중공(120) 방향으로 순차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폐기 홀(212) 내에서의 개폐기(220)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굴절된 유동로(221)가 도 16b와 같이 2) 실외공간(S200)과 중공 연통홀(320)을 상호 연통시키는 경우에는, 흡입팬부(400)의 흡입압에 의하여 실외공간(S200)의 오염공기가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 제1연결로(211a), 중공 연통홀(320) 및 필터(110)의 중공(120) 방향으로 순차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개폐기 홀(212) 내에서의 개폐기(220)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굴절된 유동로(221)가 도 16c와 같이 3) 중공 연통홀(320), 실내공간(S100) 및 실외공간(S200)을 모두 연통시키는 경우에는, 흡입팬부(400)의 흡입압에 의하여 실내공간(S100)과 실외공간(S200)의 오염공기가 함께 개폐기(220)의 굴절된 유동로(221), 제1연결로(211a), 중공 연통홀(320) 및 필터(110)의 중공(120) 방향으로 순차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230)는 공기청정기(Ac)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개폐기(220)와 연결되어 개폐기(2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개폐기(22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동부(230)는 기어드모터, 스테핑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일정 각도씩 회전하거나 전후진 이동하여 원통형의 개폐기(22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필터(110)를 타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520)를 포함한 탄성모듈(5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공 연통홀(32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필터 하우징부(300)는 도 17과 같이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흡입팬부(400)가 배치되어 필터 하우징(310) 내부공간(311)에 일정의 흡입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 타측에 필터(110)의 중공(120) 타측이 연통되는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필터 하우징(310) 내부공간(311)에 형성된 흡입압이 필터(110)의 중공(120)을 통하여 중공 연통홀(320)로 전달됨으로써 필터 하우징(310) 외부의 오염공기가 필터 중공(120)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탄성모듈(50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필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 내입된 필터(110)의 타측을 가압하는 탄성체(520)를 포함하여, 필터(110)가 계속적으로 필터 하우징(3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필터 중공(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필터 하우징(310)의 중공 연통홀(320)과 기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필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 형성된 흡입압은 항상 필터(110)의 중공(120)을 통해서만 중공 연통홀(320)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필터(110)에 필터캡(130)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110)의 일측에는 중공홀(131)이 형성된 필터캡(130)으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또는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필터캡(130))과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310)의 타측 일부분 사이에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기밀패킹(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또는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필터캡(130))과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310)의 타측 일부분 각각에는 상호 겹침을 형성하며 끼워지는 단턱(140)과 단턱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140)과 단턱홈(340)은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과 필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 타측 간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필터 중공(120)의 일측이 중공 연통홀(3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더불어 상기 탄성모듈(500)은 일부분이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모듈(500)에 포함된 탄성체(520)의 탄성력으로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을 타측방향으로 계속 가압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모듈(500)의 탄성체(520)는 필터부(100)가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에 내입될 때에는 내부공간(311)에 끼워지는 필터부(100)의 끼움력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3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압축되어 필터부(100)가 내부공간(311)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필터(110)의 중공(120) 타측과 중공 연통홀(320)이 맞닿아 연통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으로 필터부(100)를 필터 하우징부(300) 타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520)의 가압력을 받는 필터(110)의 중공(120) 일측은 열린상태를 유지하여 필터(110)의 중공(120) 일측을 통하여 오염공기를 유입받을 수도 있고, 닫힌상태로 구성되어 필터 중공(120)의 일측으로는 오염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탄성모듈(50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하우징(510); 상기 고정하우징(510)의 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520) 및; 상기 탄성체(520)의 타측에 배치되어 탄성체(520)의 탄성력으로 필터(110)의 일측을 가압하는 누룸캡(530);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탄성모듈(500)은 거시적으로 고정하우징(510), 탄성체(520) 및 누룸캡(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탄성모듈(500)을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또는 상기 탄성체(520)는 고정하우징(5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측은 고정하우징(510)에 지지되고, 타측은 누룸캡(530)의 일측을 지지하며 누름캡이 일측에서 타측/타측에서 일측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누름캡은 일정부분이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지지되며 왕복이동할 수도 있고,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 일정부분에 지지되며 왕복이동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캡은 일측이 탄성체(520)와 연결되어 탄성력을 받고, 타측은 필터(110)의 일측(또는 필터캡(130)의 일측) 상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누룸캠의 타측면과 필터(110)의 일측면(또는 필터캡(130)의 일측면) 각각에는 외주가 일정의 경사를 가지는 돌출턱과 내입홈(150)이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필터(110)가 필터 하우징부(300) 내부공간(311)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과 내입홈(150)이 서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내공공간에 대한 필터(110)의 배치 위치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체(520)를 포함하는 탄성모듈(500)이 필터 하우징부(300)에 더 구비된 경우에는 탄성체(520)에 의한 탄성력이 필터(110)의 중공(120)과 필터 하우징부(300)의 중공 연통홀(32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필터(110)가 단순히 기밀패킹에 의하여 압착기밀되는 경우보다 더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과 내입홈(150)은 상기에서 설명한 단턱(140)과 단턱홈(340)의 기능을 수행하여, 필터(110)의 길이방향 일측을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 일측에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탄성모듈(500)이 더 구비된 경우에,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흡입팬부(400)와 연통되는 열린상태의 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21)의 내측에 상기 탄성모듈(500)이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필터 하우징부(300)는 길이방향 일측에 흡입팬부(400)와 연통되는 열린상태의 통공(321)이 형성되어 흡입팬부(400)에서 형성된 흡입압이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 17, 19와 같이 통공(321)의 내측에 상기 탄성모듈(500)이 배치되어, 필터 하우징부(300)의 내부공간(311)의 안쪽(중앙 부분)에 필터부(100)가 위치되고, 상기 필터부(100)의 외측 공간(상기 이격공간(312))에는 균일한 흡입압과 정화공기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필터 하우징부(300)에 통공(321)이 형성된 경우, 상기 통공(321)에는,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환형의 지지링(331)과; 상기 지지링(331)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332);를 포함하는 지지모듈(3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모듈(500)의 탄성체(520)는 지지링(331)의 안쪽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지지모듈(330)은 도 19와 같이 거시적으로 지지링(331)과 복수 개의 지지대(3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통공(321)의 내측 중앙에 탄성모듈(500)을 위치시키는 지지체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링(331)은 통공(321)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지지대(332)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332) 각각은 일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를 가져, 지지대(332)의 사이 사이에 형성된 구멍이 통공(321)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332) 각각은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링(331)의 외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링(331)의 안쪽에는 탄성모듈(500)의 탄성체(520)가 배치되어 탄성체(520)의 압축과 압축해제에 의한 형태 변형이 지지링(331)의 안쪽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탄성모듈(500)이 고정하우징(510), 탄성체(520) 및 누룸캡(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도 18과 같이 상기 지지링(33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이 지지링(331) 또는 지지대(332)에 고정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누름캡은 지지링(331)의 안쪽에서 고정하우징(510)과 누룸캡(530)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520)에 의한 탄성력으로 왕복이동(도면 상으로는 승하강 이동)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누름캡의 일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링(531) 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531) 또는 돌출턱은 지지링(331)의 일측단(도면 상으로는 상단)에 걸림이 형성되어, 누름캡이 지지링(331)의 타측(도면 상으로는 하부)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고정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관형 필터(110)를 사용하는 공지의 공기청정기(Ac)는, 일반적으로 흡입팬에 의한 흡입압이 관형 필터(110)의 중공(120)에서 외부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관형 필터(110)의 외부면에 흡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는 관형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입받은 후 정화시켜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 중공(120)의 단면적 만큼의 좁은 면적으로도 흡입할 수 있고, 그 결과 필터 중공(120)과 유사한 크기의 흡입구가 창호에 형성된 상태라면 실외공기를 필터(110)의 중공(120)으로 충분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Ac)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항상 관형 필터(110)의 중공(120) 내에서만 흡착되기 때문에, 필터(110)의 외부 및 필터(110)의 외부에 배치된 필터 하우징(310)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필터(110)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필터(110) 파지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내부에 중공(120)이 형성되는 관형의 필터(110)가 구비된 필터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중공(120)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필터(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관형 필터(110)의 외부에 오염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10)는,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실내공간(S10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실외공간(S20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10)는,
    중공(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힌상태(C)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1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중공(120)의 길이방향 타측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흡입 유로변환부(20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00)는,
    내부공간(311)이 형성된 관형의 필터 하우징부(300)에 내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에는,
    내부공간(311)에 흡입압을 형성시키는 흡입팬부(400)가 장착되고, 필터(110)의 중공(120)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 연통홀(32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연통홀(320)에는,
    실내공간(S100) 또는 실외공간(S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과 필터부(100)에 포함된 필터(110) 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흡입 유로변환부(20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변환부(200)는,
    상기 중공 연통홀(320), 실내공간(S100) 및 실외공간(S200)과 각각 연통되는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가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3개의 연결로(211a, 211b, 211c)와 연통되는 개폐기 홀(212)이 형성된 본체(210);
    상기 개폐기 홀(212)에 내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굴절된 유동로(221)가 형성된 개폐기(220) 및;
    공기청정기(Ac)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개폐기(220)와 연결되어 개폐기(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필터(110)를 타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520)를 포함한 탄성모듈(50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공 연통홀(32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500)은,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하우징(510);
    상기 고정하우징(510)의 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520) 및;
    상기 탄성체(520)의 타측에 배치되어 탄성체(520)의 탄성력으로 필터(110)의 일측을 가압하는 누룸캡(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흡입팬부(400)와 연통되는 열린상태의 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21)의 내측에 상기 탄성모듈(5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21)에는,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환형의 지지링(331)과;
    상기 지지링(331)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필터 하우징부(300)의 길이방향 일측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332);를 포함하는 지지모듈(3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모듈(500)의 탄성체(520)는 지지링(331)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PCT/KR2020/009546 2019-07-25 2020-07-20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10155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42 2019-07-25
KR1020190090142A KR102081593B1 (ko) 2019-07-25 2019-07-25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519A1 true WO2021015519A1 (ko) 2021-01-28

Family

ID=6963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546 WO2021015519A1 (ko) 2019-07-25 2020-07-20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1593B1 (ko)
WO (1) WO2021015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194242B1 (ko) * 2020-06-30 2020-12-24 최재원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287243B1 (ko) 2020-12-06 2021-08-09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공기청정기
KR20220096596A (ko) 2020-12-31 2022-07-07 (주)클라젠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240060977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공기청정기의 이중 필터하우징 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53A (ja) * 2008-03-07 2011-05-06 レキット アンド コールマン (オーヴァーシーズ) リミテッド 空気清浄器
KR20170020575A (ko) * 2015-08-12 2017-02-23 코웨이 주식회사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20170081944A (ko) * 2016-01-05 2017-07-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EP3412980A1 (en) * 2017-05-29 2018-12-12 NB Medical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with a moist filter
KR101921274B1 (ko) * 2018-05-03 2019-02-13 주식회사 코어볼트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836Y1 (ko) 2004-10-18 2005-01-14 우경산업 주식회사 필터방식 원통형 공기 청정기
KR200399987Y1 (ko) 2005-06-17 2005-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기정화기의 필터유닛
KR20190024390A (ko) 2017-08-31 2019-03-08 (주)메가크리에이트 세라믹 필터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90071326A (ko) 2017-12-14 2019-06-24 강성구 공기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53A (ja) * 2008-03-07 2011-05-06 レキット アンド コールマン (オーヴァーシーズ) リミテッド 空気清浄器
KR20170020575A (ko) * 2015-08-12 2017-02-23 코웨이 주식회사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20170081944A (ko) * 2016-01-05 2017-07-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EP3412980A1 (en) * 2017-05-29 2018-12-12 NB Medical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with a moist filter
KR101921274B1 (ko) * 2018-05-03 2019-02-13 주식회사 코어볼트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593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5519A1 (ko)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1015368A1 (ko)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0256354A1 (ko) 가습청정기
WO2018106032A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WO2022035004A1 (ko) 공기청정기
WO2017048085A1 (ko) 소형 공기청정기
WO2017026761A1 (ko) 공기청정기
WO2012091369A2 (en)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18236122A1 (ko) 상이한 토출 방향의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20111484A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WO2020111845A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WO2014119839A1 (ko)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WO2019190167A1 (ko) 물입자 충돌 확산 구조를 가지는 습식형 집진 공기정화장치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WO20212617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7078418A1 (ko) 축열연소방식을 이용한 베치타입 도장시스템
WO2021002675A1 (ko) 공기청정기
WO2020111681A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WO2020057087A1 (zh) 空调器清洁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器
WO2021085926A1 (ko) 펫 모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49935A1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19194333A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WO2021117946A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450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450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4/06/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450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