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596A -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596A
KR20220096596A KR1020200189181A KR20200189181A KR20220096596A KR 20220096596 A KR20220096596 A KR 20220096596A KR 1020200189181 A KR1020200189181 A KR 1020200189181A KR 20200189181 A KR20200189181 A KR 20200189181A KR 20220096596 A KR20220096596 A KR 2022009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nonwoven
coupled
inne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만종
Original Assignee
(주)클라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젠 filed Critical (주)클라젠
Priority to KR102020018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596A/ko
Publication of KR2022009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5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와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데, 오염공기의 정화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착된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오염된 필터에 의한 실내 공기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 일측 구간을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필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단일한 자외선 광원만으로 필터의 전체 표면이 고르게 살균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문제가 점차 심각해짐에 따라 쾌락한 실내생활에 꼭 필요한 공기 청정기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헤파 필터, 먼지 필터 등을 포함하여, 장치 내부로 흡입한 실내 공기를 여과한 후 다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청정기의 정화성능은 내장된 필터에 의해 좌우됨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81593호(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특허공개 제10-2020-0144809호와 같이 정화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필터개발이 이루어져왔다.
이와 같은 공기 청정기를 장시간 사용하면 필터 표면에 묻는 오염입자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오염되어 공급됨에 따라, 필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청소를 하여 재사용 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필터의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지속적으로 유지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필터에 포집된 오염입자는 박테리아, 진드기 등의 인체에 해로운 세균들이 증식하기 때문에 불쾌하고 유해한 냄새를 발산하여 실내공간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81593호 (발명의 명칭: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144809호 (발명의 명칭: 워터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공기청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한 필터를 살균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 순환팬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출입되는 커버부, 내부공간에 공기 순환팬에 인접하게 수용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자외선이 조사되는 필터를 회전시키는 필터 회전부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필터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원통형의 부직포 필터 및, 부직포 필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이산화 티탄이 코팅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메쉬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광촉매 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램프는 광촉매 필터의 일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 램프 및,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필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부직포 필터 표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회전부는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필터 결합판, 필터 결합판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부직포 필터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 및, 필터 결합판에 결합되어 부직포 필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자외선 램프는 부직포 필터 표면보다 높은 상방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와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데, 오염공기의 정화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착된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오염된 필터에 의한 실내 공기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표면 일측 구간을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필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단일한 자외선 광원만으로 필터의 전체 표면이 고르게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하는 필터 표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각각 도 1의 분해사시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공기가 출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110), 커버부(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20), 필터(120)의 양측에서 필터(120) 표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131,132), 필터(130)를 회전시키는 필터 회전부(140), 및 커버부(110) 내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공기 순환팬(150)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110)는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내장된 필터(120)를 포함한 다른 구성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양측에 한 쌍의 측면커버(113)가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면커버(113)에는 외부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유입공(113a)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상부커버(111)에는 공기 유입공(113a)으로 유입되어 필터(130)를 거쳐 정화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공(111a)이 다수 개로 형성된다.
필터(120)는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부직포 필터(121)와, 부직포 필터(121)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자외선이 조사되는 광촉매 필터(122)를 구비한다. 부직포 필터(121)는 유입된 공기가 일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부직포 필터(121)의 측면은 공기 유입공(112a)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가 부직포 필터(121)의 측면에서 정화되며, 정화된 공기는 일단에 설치된 공기 순환팬(150)에 의해 광촉매 필터(122)로 이동한다.
광촉매 필터(122)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형 프레임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부직포 필터(12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부직포 필터(121)의 일단과 공기 순환팬(15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코팅되는 광촉매로는 이산화티탄(TiO2) 분말이 사용된다.
자외선 램프(131,132)는 필터(120) 양단과 이격되는 커버부(110)의 내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부직포 필터(121)와 광촉매 필터(122)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은 물론, 공기를 정화한 부직포 필터(121)에 흡착된 세균도 살균한다. 즉, 광촉매 필터(12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자외선 램프(131)는 광촉매 필터(122) 표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를 활성화시켜, 필터(122)와 접촉되는 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하여 정화시키고, 부직포 필터(12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자외선 램프(132)는 부직포 필터(121) 표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필터(121) 표면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한다.
따라서, 커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부직포 필터(121)와 광촉매 필터(1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미세먼지는 물론, 세균도 살균됨에 따라 보다 깨끗하게 정화됨과 동시에, 부직포 필터(121) 표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필터 표면에 흡착된 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오염된 필터에 의한 공기오염이 방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자외선 램프(131,132)로는 살균에 가장 효과적인 200~280nm 파장의 UVC-LED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직포 필터(121)의 전체 표면을 완전하게 살균하도록 부직포 필터(121)를 회전시키는 필터 회전부(140)가 마련된다. 필터 회전부(140)는 부직포 필터(1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판(141)과, 부직포 필터(121)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142,143), 및 필터 결합판(141)에 결합되어 부직포 필터(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직포 필터(121)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142)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자외선 램프(131,132)가 각각 설치되는 체결 하우징(145,146)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한 쌍의 베어링(142,143)은 필터 결합판(141)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부직포 필터(12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142)과, 부직포 필터(121)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143)으로 이루어진다.
도 4,5에는 필터 회전부(140)에 의해 회전되는 부직포 필터(121) 표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도시되어 있는데, 부직포 필터(121)는 회전을 통하여 원통형의 전체 표면이 순차적으로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된다. 이때, 제2 자외선 램프(132)는 부직포 필터(121)의 전체 길이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직포 필터(121) 표면보다 높은 상방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각도(θ)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부직포 필터(121)의 회전과 이의 일단 상방에 경사지게 구비된 하나의 제2 자외선 램프(132)만으로 필터(121)의 전체 표면을 완전하게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체결 하우징(146)의 내부공간에 공기 순환팬(150)이 장착되고, 표면에는 공기 순환팬(150)과 자외선 램프(131,132)의 구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부(147)와, 제어부(147)를 제어하는 제어버튼(148)이 구비되며, 제어버튼(148)은 상부커버(111)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제어버튼(148)을 조작하여 공기 순환팬(150)을 구동시키면, 측면커버(113)의 공기 유입공(113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순환팬(150) 이 설치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부(110) 양단 내측에 구비된 한 쌍의 자외선 램프(131,132)가 조사되는 부직포 필터(121)와 광촉매 필터(122)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와 세균이 제거된 후, 상부커버(111)의 공기 배출공(111a)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부직포 필터(12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전체 표면에 흡착된 세균이 완전하게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여 차량 내부와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정화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착된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오염된 필터에 의한 실내 공기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공기청정기 110 : 커버부
111 : 상부커버 111a : 공기 배출공
112 : 하부커버 113 : 측면커버
113a : 공기 유입공 120 : 필터
121 : 부직포 필터 122 : 광촉매 필터
131 : 제1 자외선 램프 132 : 제2 자외선 램프
140 : 필터 회전부 141 : 필터 결합판
142 : 제1 베어링 143 : 제2 베어링
144 : 구동모터 145, 146 : 체결 하우징
147 : 제어부 148 : 제어버튼
150 : 공기 순환팬
θ : 제2 자외선 램프 경사각

Claims (5)

  1.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 순환팬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출입되는 커버부;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 순환팬에 인접하게 수용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필터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원통형의 부직포 필터; 및,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이산화 티탄이 코팅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메쉬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광촉매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광촉매 필터의 일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한느 제1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부직포 필터 표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전부는,
    상기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필터 결합판;
    상기 필터 결합판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부직포 필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상기 부직포 필터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 및,
    상기 필터 결합판에 결합되어 부직포 필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외선 램프는,
    상기 부직포 필터 표면보다 높은 상방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200189181A 2020-12-31 2020-12-31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eased KR20220096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1A KR20220096596A (ko) 2020-12-31 2020-12-31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1A KR20220096596A (ko) 2020-12-31 2020-12-31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96A true KR20220096596A (ko) 2022-07-07

Family

ID=8239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81A Ceased KR20220096596A (ko) 2020-12-31 2020-12-31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712A1 (en) * 2022-10-07 2024-04-11 Fellowes, Inc. Air purifier with filter re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93B1 (ko)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200144809A (ko) 2019-06-19 2020-12-30 미강디앤씨 주식회사 워터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809A (ko) 2019-06-19 2020-12-30 미강디앤씨 주식회사 워터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081593B1 (ko)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712A1 (en) * 2022-10-07 2024-04-11 Fellowes, Inc. Air purifier with filter re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786B1 (ko) 자외선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용 광촉매 살균모듈
KR101962356B1 (ko)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KR20100091734A (ko) 공기정화기
KR100891128B1 (ko) 공기 정화 및 살균 모듈
KR20190024390A (ko) 세라믹 필터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299621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0807152B1 (ko) 오염된 공기의 정화 장치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KR102145364B1 (ko) 공기 청정기
KR200241168Y1 (ko) 공기청정기
KR20120119475A (ko) 복합 공기청정장치
KR20090102359A (ko) 공기 살균 정화기
KR20080085964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0244008Y1 (ko) 공기청정기
KR20220096596A (ko)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JP2004305436A (ja) 光触媒脱臭システム
KR102532294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1568988B1 (ko) 공기 청정기
KR20070046281A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20220049123A (ko) 공기정화기
KR102552178B1 (ko) 커피박필터 적용한 나노 uv 살균 조명 공기정화장치
KR20210091959A (ko) 볼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N217357359U (zh) 空气消毒机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