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859B1 - 수직트랩 양변기 - Google Patents

수직트랩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859B1
KR101905859B1 KR1020180059553A KR20180059553A KR101905859B1 KR 101905859 B1 KR101905859 B1 KR 101905859B1 KR 1020180059553 A KR1020180059553 A KR 1020180059553A KR 20180059553 A KR20180059553 A KR 20180059553A KR 101905859 B1 KR101905859 B1 KR 10190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all valve
water
lever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별
Original Assignee
김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별 filed Critical 김별
Priority to KR102018005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트랩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수조에 수용된 물에 의해 변기본체의 급수를 공급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회전축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볼밸브; 상기 회전축 일측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된 손잡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볼밸브를 개방시키는 제1 동작부; 및 상기 회전축 타측 및 상기 변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된 커버 일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밸브를 폐쇄시키는 제2 동작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변기본체 하부에 손잡이가 눌림에 따라 개방되거나 커버가 닫힘에 따라 폐쇄되는 볼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절수 및 저소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트랩 양변기{A TOILET WITH A VERTICAL TRAP}
본 발명은 수직트랩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에서 사용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앉아서 대소변을 보기 위한 것으로, 소변 및 대변을 수압에 의해 배관으로 배출하도록 화장실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양변기는 변기본체의 하부에 사이펀 트랩이 설치되고, 변기본체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고 있다가 양변기 후측방의 수조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면 수압 차에 따른 사이펀 원리에 의해 변기 내부의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사이펀 트랩의 굴곡진 부분에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양변기는 사이펀 원리에 따라 수조 내의 많은 물을 변기본체로 흘려 보내고, 이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변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배설물이 섞인 오수의 수세가 이루어지는 바, 한번 물을 내릴때마다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양변기는 변기본체의 내부에 사이펀 트랩을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금형을 제작하고, 이 금형에 맞추어 도기 등의 재질로 변기본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바, 그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368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294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339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542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양변기의 물을 내릴 때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는, 수조에 수용된 물에 의해 변기본체의 급수를 공급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회전축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볼밸브; 상기 회전축 일측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된 손잡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볼밸브를 개방시키는 제1 동작부; 및 상기 회전축 타측 및 상기 변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된 커버 일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밸브를 폐쇄시키는 제2 동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동작부에는 상기 수조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렛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 내부에 형성된 연통관을 통해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제1 지렛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렛대의 타측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무게추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무게추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동작부에는 상기 커버의 후방에 결합된 힌지 일측에 연결된 제2 지렛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렛대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3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밸브는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이중 실링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트랩 양변기에 따르면, 변기본체 하부에 손잡이가 눌림에 따라 개방되거나 커버가 닫힘에 따라 폐쇄되는 볼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절수 및 저소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동작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기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직트랩 양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동작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기의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는 트랩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트랩에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100)는
수조(102)에 수용된 물에 의해 변기본체(101)의 급수를 공급하는 양변기(100)에 있어서, 볼밸브(110), 제1 동작부(120) 및 제2 동작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본체(101)는 사용자가 앉아서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후방에 수조(102)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102)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넘침관(105)을 통해 내부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조(102)의 일측면에는 손잡이(103)가 결합되고, 손잡이(103)의 단부에는 상기 수조(102)의 내부로 연장된 레버(104)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103)를 누름에 따라 상기 레버(104)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조(102)의 물을 상기 변기본체(101)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본체(101)의 상면에는 상기 변기본체(101)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106)가 결합되되, 힌지(10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볼밸브(110)는 상기 변기본체(101)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볼밸브(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배수구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밸브(110)는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볼밸브(110)의 일직선 형태에 따라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볼밸브(110)는 내부에 구 형태의 밀폐부재(1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111)는 상하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밀폐부재(111)는 회전 각도(방향)에 따라 상기 볼밸브(110)의 내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밀폐부재(111)는 양측으로 회전축(1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2)은 상기 볼밸브(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112)의 양단에는 무게추(114)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볼밸브(110) 중 상기 회전축(112)이 관통된 부분에는 베어링(11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볼밸브(110)의 상단에는 상기 변기본체(101)의 하부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실링부재(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동작부(120)는 상기 손잡이(10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볼밸브(110)를 개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03)의 레버(104)와 상기 볼밸브(110)의 회전축(112)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작부(120)는 상기 손잡이(103)의 레버(104) 일단에 제1 와이어(122)가 결합되고, 상기 수조(102)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부재(123)에 제1 지렛대(12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와이어(122)는 상기 제1 지렛대(124)의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122)는 상기 수조(102) 내부에 결합된 연통관(121)을 통해 상기 수조(102)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관(121)의 높이는 상기 넘침관(105)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조(102)에 수용된 물이 상기 연통관(1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지렛대(124)의 타측에는 제2 와이어(125)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와이어(125)는 상기 회전축(112)의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와이어(125)는 상기 회전축(112) 중 상기 무게추(114)에 연결되며, 상기 무게추(114)를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무게추(114)의 무게 중심을 통해 상기 회전축(112)을 빠르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3)를 누름에 따라 상기 레버(104)가 상기 제1 와이어(122)를 상방으로 당기면서 상기 제1 지렛대(124)를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와이어(125)가 상기 회전축(112)을 회동시키며 상기 볼밸브(110)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동작부(130)는 상기 커버(106)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볼밸브(110)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힌지(107)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변기본체(101)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08)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101) 내부로 연장 형성된 지2 지렛대(131)가 형성된다.
상기 지2 지렛대(131)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1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13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2 지렛대(131)는 상기 커버(106)가 최초 폐쇄되어 있을 때, 후방에 위치해 있다가, 상기 커버(106)가 개방됨에 따라 전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3 와이어(132)는 팽팽하게 위치해 있다가 느슨해 지면서 상기 회전축(112)을 회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트랩 양변기(100)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최초에 상기 커버(106)가 폐쇄된 상태로 배치되고, 사용자가 대,소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106)를 상방으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2 동작부(130)의 지2 지렛대(131)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지2 지렛대(131)의 단부에 연결된 제3 와이어(132)는 상기 회전축(112)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3 와이어(132)가 팽팽하게 배치되어 있다가 느슨해지면서 상기 회전축(112)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사용자가 볼일을 다 본 후, 상기 손잡이(103) 누르면 상기 손잡이(103)에 연결된 레버(10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와이어(122)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제1 와이어(122)에 의해 상기 제1 지렛대(124)가 후방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 지렛대(124)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와이어(125)를 당겨 상기 회전축(112)을 회동시킨다.
상기 회전축(112)은 상기 제2 와이어(125)에 의해 당겨지면서 회동될 때, 상기 무게추(114)의 무게 중심에 의해 순간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볼밸브(110)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103)가 작동됨에 따라 수조(102) 내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변기본체(101)에 급수되고, 동시에 상기 볼밸브(110)가 개방됨에 따라 용변 및 급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변처리 후 상기 커버(106)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 지2 지렛대(13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3 와이어(132)를 당기게 되어, 상기 회전축(112)을 회동시켜 상기 볼밸브(110)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볼밸브(110)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변기본체(101)에 물이 담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트랩 양변기에 따르면, 변기본체 하부에 손잡이가 눌림에 따라 개방되거나 커버가 닫힘에 따라 폐쇄되는 볼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이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절수 및 저소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양변기 101: 변기본체
102: 수조 103: 손잡이
104: 레버 105: 넘침관
106: 커버 107: 힌지
108: 관통공 110: 볼밸브
111: 밀폐부재 112: 회전축
113: 베어링 114: 무게추
115: 이중 실링부재 120: 제1 동작부
121: 연통관 122: 제1 와이어
123: 고정부재 124: 제1 지렛대
125: 제2 와이어 130: 제2 동작부
131: 제2 지렛대 132: 제3 와이어

Claims (5)

  1. 수조에 수용된 물에 의해 변기본체의 급수를 공급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회전축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볼밸브;
    상기 회전축 일측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된 손잡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볼밸브를 개방시키는 제1 동작부; 및
    상기 회전축 타측 및 상기 변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된 커버 일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밸브를 폐쇄시키는 제2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부에는 상기 커버의 후방에 결합된 힌지 일측에 연결된 제2 지렛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렛대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3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트랩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부에는 상기 수조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렛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 내부에 형성된 연통관을 통해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제1 지렛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렛대의 타측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트랩 양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무게추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무게추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트랩 양변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는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이중 실링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트랩 양변기.
KR1020180059553A 2018-05-25 2018-05-25 수직트랩 양변기 KR10190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53A KR101905859B1 (ko) 2018-05-25 2018-05-25 수직트랩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53A KR101905859B1 (ko) 2018-05-25 2018-05-25 수직트랩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859B1 true KR101905859B1 (ko) 2018-10-08

Family

ID=6386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53A KR101905859B1 (ko) 2018-05-25 2018-05-25 수직트랩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08Y1 (ko) * 2004-02-16 2004-05-04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101393135B1 (ko) * 2014-02-13 2014-05-08 이승재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08Y1 (ko) * 2004-02-16 2004-05-04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101393135B1 (ko) * 2014-02-13 2014-05-08 이승재 절수형 풋레버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623Y1 (ko) 양변기의 저수 및 배출 구조.
RU2585848C1 (ru) Водосберегающий унитаз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JP4304461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KR102101812B1 (ko) 절수식 양변기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JP4927107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KR200457162Y1 (ko)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
KR20140083494A (ko)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JP2503745B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20110002241A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664910B1 (ko) 양변기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1476620B1 (ko)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JP2011074686A (ja) 排水弁装置
KR200335798Y1 (ko) 에티켓 수세식 변기
KR100466376B1 (ko) 수조매설형 자연배출식 수세변기시스템
JP6404257B2 (ja) 水洗便器
JP2000096659A (ja) 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286804Y1 (ko) 수조매설형 자연배출식 수세변기시스템
KR200366358Y1 (ko) 변기의 절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