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329B1 -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 Google Patents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329B1
KR100499329B1 KR10-2003-0044197A KR20030044197A KR100499329B1 KR 100499329 B1 KR100499329 B1 KR 100499329B1 KR 20030044197 A KR20030044197 A KR 20030044197A KR 100499329 B1 KR100499329 B1 KR 10049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tank
toilet
manure
excreme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865A (ko
Inventor
박찬후
Original Assignee
박찬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후 filed Critical 박찬후
Priority to KR10-2003-004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3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분뇨탱크로 유입되는 분뇨탱크의 배설물유입구에 트랩관을 하향 설치함으로서, 트랩관의 하단부가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에 잠겨서 배설물이 트랩관을 막는 결과가 되어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의 악취가 악취차단밸브가 개방될 때 악취차단밸브의 수직통로를 통하여 변기로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좌대(15)의 상부에 액추에이터(3)에 의해 개폐구(4)가 정역 회전하면서 밸브몸체(5)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로(6)를 개폐하는 악취차단밸브(7)가 설치되고, 악취차단밸브(7)의 밸브몸체(5) 상부에는 좌식 변기(8)가 설치되며, 변기좌대(15)의 하부에는 배설물유입구(2)를 구비한 분뇨탱크(1)가 배출관(16)으로서 연결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유입구(2)에는 선단부는 배설물유입구(2)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부는 분뇨탱크(1)의 내부 바닥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트랩관(9)이 설치되어 분뇨탱크(1)에 담겨지는 배설물에 트랩관(9)의 하단부가 잠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Soil tank of automatic and shutting toilet bowl}
본 발명은 선박이나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분뇨탱크로 유입되는 분뇨탱크의 배설물유입구에 트랩관을 하향 설치함으로서, 트랩관의 하단부가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에 잠겨서 배설물이 트랩관을 막는 결과가 되어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의 악취가 악취차단밸브가 개방될 때 악취차단밸브의 수직통로를 통하여 변기로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철도차량의 화장실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나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의 바닥에는 변기 설치용 변기좌대(15)가 설치되고, 이 변기좌대(15)의 상부에는 액추에이터(3)에 의해 수직관로(6)가 개폐되는 악취차단밸브(7)가 설치되며, 이 악취차단밸브(7)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식 변기(8)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좌대(15)의 하부에는 변기(8)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담겨지는 분뇨탱크(1)가 배출관(16)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변기(8)의 상부에 힌지식으로 개폐토록 설치된 변기뚜껑(10)을 열고 좌식 변기(8)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세척수 공급레버(미도시)를 조작시켜 세척수가 펌프(12)에 의해 세척수관(11)을 통하여 변기로 나와서 배설물을 세척수로 씻어 내리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배설물이 세척수에 의해 씻어 내려감과 동시에 액추에이터(3)가 동작하여 볼밸브형의 개폐구(4)가 밸브몸체(5)의 수직관로(6)를 개방시켜서 상기 배설물과, 배설물을 씻어 내리는데 사용된 세척수가 밸브몸체(5)의 개방된 수직관로(6)와 배출관(16)을 통하여 분뇨탱크(1)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16)이 연결되는 분뇨탱크(1)의 상부에는 변기(8)에서 배출되는 배설물과 배설물을 씻어 내리는데 사용된 세척수가 분뇨탱크(1)로 유입되게 하는 배설물유입구(2)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8)에서 배출되는 배설물과 세척수, 그리고 용변후 사용한 휴지등이 악취차단밸브(7)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로(6)와 배출관(16)을 통하여 분뇨탱크(1)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뇨탱크(1)의 내부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뇨탱크(1)에 배설물이 담겨져 있을 때 분뇨탱크(1) 내의 배설물이 담겨진 상부공간에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꽉 차있는 상태이며, 이 악취는 분뇨탱크(1)내에서 배설물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이므로 그 냄새는 아주 역한 냄새를 풍긴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배설물유입구(2)는 분뇨탱크(1)의 상면에 구멍만 뚫린 형태로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분뇨탱크(1) 내에 담겨진 배설물 상부공간에 꽉 차 있던 악취는 개폐구(4)가 닫혀 있을 때 개폐구(4)에 까지 악취가 차 있는 상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구(4) 하부에 까지 악취가 차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배설물을 분뇨탱크(1)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개폐구(4)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개폐구(4)의 하측에 까지 차있던 악취가 악취차단밸브(7)의 개방된 수직관로(6)를 통하여 화살표와 같이 위로 올라와 사용자는 그 역한 악취를 맡아야 만 하는 불쾌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분뇨탱크로 유입되는 분뇨탱크의 배설물유입구에 트랩관을 하향 설치함으로서, 트랩관의 하단부가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에 잠겨서 배설물이 트랩관을 막는 결과가 되어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의 악취가 악취차단밸브가 개방될 때 악취차단밸브의 수직통로를 통하여 변기로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좌대의 상부에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구가 정역 회전하면서 밸브몸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로를 개폐하는 악취차단밸브가 설치되고, 악취차단밸브의 밸브몸체 상부에는 좌식 변기가 설치되며, 변기좌대의 하부에는 배설물유입구를 구비한 분뇨탱크가 배출관으로서 연결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유입구에는 선단부는 배설물유입구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부는 분뇨탱크의 내부 바닥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트랩관이 설치되어 분뇨탱크에 담겨지는 배설물에 트랩관의 하단부가 잠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도차량이나 선박의 화장실의 바닥에는 변기 설치용 변기좌대(15)가 설치되고, 이 변기좌대(15)의 상부에는 액추에이터(3)의 동작에 의해 볼밸브형의 개폐구(4)가 정역회전하면서 밸브몸체(5)의 수직관로(6)를 개폐하는 악취차단밸브(7)가 설치되며, 상기 악취차단밸브(7)의 상부에는 하단부가 밸브몸체(5)의 수직관로(6)와 연결된 변기(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좌대(15)의 하측에는 배설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분뇨탱크(1)가 배출관(16)에 의해 악취차단밸브(7)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뇨탱크(1)의 상부에는 배출관(16)과 연결되어 배설물이 유입되는 배설물유입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설물유입구(2)에는 선단부는 배설물유입구(2)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부는 분뇨탱크(1)의 내부 바닥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트랩관(9)이 설치되어 분뇨탱크(1)에 담겨지는 배설물에 트랩관(9)의 하단부가 잠기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뇨탱크(1)의 하부 일측에는 분뇨탱크(1)에 채워진 배설물(13)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4)가 종래의 일반적인 분뇨탱크(1)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뇨탱크(1)의 배설물유입구(2)에 수직관형태의 트랩관(9)이 분뇨탱크(1)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하향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뚜껑(10)을 열고 좌식 변기(8)에 앉아 용변을 보면 그 배설물은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에 하측으로 씻겨 내려가게 되고, 그와 동시에 액추에이터(3)의 작용으로 개폐구(4)가 개방되어 악취차단밸브(7)의 수직관로(6)와 배출관(16)을 통하여 분뇨탱크(1)으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뇨탱크(1)로 투입되는 배설물은 사람의 분뇨와, 그 분뇨를 씻어내리는 세척수가 함께 혼합되어 내려오는 것이므로 묽은 상태이며, 이 묽은 상태의 배설물은 수직관형태의 트랩관(9)을 통하여 분뇨탱크(1)의 내부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분뇨탱크(1)의 내부에서 트랩관(9)의 하단부와 분뇨탱크(1)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서 배설물이 걸릴 것으로 염려할 수도 있겠으나, 배설물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척수에 의해 묽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트랩관(9)의 하단부와 분뇨탱크(1)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분뇨(배설물)가 걸리지 않고 분뇨탱크(1)의 내부에 묽은 배설물이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배설물이 분뇨탱크(1)에 담겨지면서 그 배설물에 의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랩관(9)의 하단부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트랩관(9)의 하단부가 배설물(13)에 잠김에 따라 분뇨탱크(1) 내에 들어있는 배설물 상부의 공간(A)은 트랩관(9)의 외벽에 막히게 되어 상기 공간부(A)에 가득 차있게 되는 악취가 트랩관(9)의 내부로 올라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배설물이 트랩관(9)을 통하여 분뇨탱크(1)의 내부로 유입될 때, 개폐구(4)가 열려서 트랩관(9)의 내부공간과 악취차단밸브(7)의 내부 수직관로(6)가 통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 분뇨탱크(1) 내부의 상측 공간부(A)에 차있던 악취가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하단부가 배설물에 잠겨있는 트랩관(9)의 외벽에 차단되어 트랩관(9)의 내부공간과 그 상부의 수직관로(6)로 악취가 올라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만, 분뇨탱크(1) 내의 배설물에 트랩관(9)의 하단부가 잠겨 있는 상태이므로, 트랩관(9)의 내측 하부에 배설물이 차있는 상태이고 그 배설물이 차있는 트랩관(9) 내부의 배설물 상측 공간(B)에는 소량의 냄새가 차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트랩관(9) 내부의 배설물 상측 공간(B)에 소량의 냄새가 차있음에 따라 개폐구(4)가 열릴 때 수직관로(6)를 통하여 변기(8) 상측으로 냄새가 올라가게 되나, 그 냄새량이 트랩관(9)의 내부의 공간(B)만큼 소량이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정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랩관(9)의 하측 내부의 위치하고 있는 배설물은 사용자가 금방 용변을 본 것이므로 그 냄새가 비교적 심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는, 분뇨탱크의 배설물유입구에 트랩관을 하향 설치하여 트랩관의 하단부가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에 잠기게 되며, 그에 따라 배설물이 그 트랩관의 공간을 막는 결과가 되어 분뇨탱크에 담겨진 배설물의 악취가 악취차단밸브가 개방될 때 악취차단밸브의 수직통로를 통하여 변기로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뇨탱크에 철도차량용 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뇨탱크에 철도차량용 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뇨탱크 2 : 배설물유입구 3 : 액추에이터
4 : 개폐구 5 : 밸브몸체 6 : 수직관로
7 : 악취차단밸브 8 : 변기 9 : 트랩관
10 : 변기뚜껑 11 : 세척수관 12 : 펌프
13 : 배설물 14 : 배출구 15 : 변기좌대
16 : 배출관

Claims (1)

  1. 철도차량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좌대(15)의 상부에 액추에이터(3)에 의해 개폐구(4)가 정역 회전하면서 밸브몸체(5)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로(6)를 개폐하는 악취차단밸브(7)가 설치되고, 악취차단밸브(7)의 밸브몸체(5) 상부에는 좌식 변기(8)가 설치되며, 변기좌대(15)의 하부에는 배설물유입구(2)를 구비한 분뇨탱크(1)가 배출관(16)으로서 연결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유입구(2)에는 선단부는 배설물유입구(2)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부는 분뇨탱크(1)의 내부 바닥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트랩관(9)이 설치되어 분뇨탱크(1)에 담겨지는 배설물에 트랩관(9)의 하단부가 잠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2003-0044197A 2003-07-01 2003-07-01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049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97A KR100499329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97A KR100499329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865A KR20030060865A (ko) 2003-07-16
KR100499329B1 true KR100499329B1 (ko) 2005-07-04

Family

ID=322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197A KR100499329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459A (zh) * 2017-09-18 2019-03-26 镇江市星翌交通设备配件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真空集便器
CN108556862A (zh) * 2018-03-27 2018-09-21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电伴热排水排便导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339U (ko) * 1995-09-15 1997-04-25 선박 및 철도차량의 변기구조
KR20010026113A (ko) * 1999-09-03 2001-04-06 채낙두 소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339U (ko) * 1995-09-15 1997-04-25 선박 및 철도차량의 변기구조
KR20010026113A (ko) * 1999-09-03 2001-04-06 채낙두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865A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4517975B2 (ja) 便器洗浄装置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140083494A (ko)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CN101324082A (zh) 分排式无存水弯节水座便器
CA2177126A1 (en) Flushing means with a toilet bowl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KR20130033855A (ko) 양변기
KR20050102736A (ko)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JP2978029B2 (ja) 水洗便器
KR20220038836A (ko) 소음발생이 저감된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323345B1 (ko) 양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JP2644525B2 (ja) 便器の貯水面保持構造
KR200146968Y1 (ko) 변기의 세척수 절수장치
KR200180464Y1 (ko) 자동개폐장치가 부착된 양변기
KR200335798Y1 (ko) 에티켓 수세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