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372Y1 - 절수용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용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0372Y1 KR0140372Y1 KR2019960029426U KR19960029426U KR0140372Y1 KR 0140372 Y1 KR0140372 Y1 KR 0140372Y1 KR 2019960029426 U KR2019960029426 U KR 2019960029426U KR 19960029426 U KR19960029426 U KR 19960029426U KR 0140372 Y1 KR0140372 Y1 KR 01403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pipe
- wastewater
- collecting tank
- man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기(1)가 분기관(20)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이 분기관(20)에는 집수탱크(40)와 연결되는 유도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탱크(40)에는 페달(60)에 의해 폐수를 방취변(50)의 폐수배출관(54)과 유도관(30)으로 배출작용을 하는 개폐추(65)를 설치하므로서 변기(1)에서 떨어진 분뇨를 상기 집수탱크(40)내의 폐수에 의해 정화조로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욕실바닥의 저면으로 부엌이나 욕실내에서 발생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를 설치하고 이 집수탱크내의 폐수를 변기에서 분기관과 유도관을 통해 떨어진 분뇨를 세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급수를 절약하고 환경오염 및 수질이 개선되며 또한 동절기에 변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가 설치된 상태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탱크의 일부절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취변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취변의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이 작동되기전의 일부절개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이 작동된 후의 일부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급로 12 : 분출공
14 ; 개폐변 15,61 : 스프링
16,67 : 힌지 20 : 분기관
22 : 변기삽입구멍 24 : 취기배출로
25 : 취기배출관 26 : 배출구
28 : 슬리브 30 : 유도관
32 : 분뇨유입구 34 : 폐수유입구
36 : 분뇨배출구 40 : 집수탱크
42 : 내벽 44 : 폐수공급구
46 : 오버플로 파이프 48,48a : 폐수유입구
50 : 방취변 54 : 폐수배출관
55 : 배출구 56 : 폐수배출구
57 : 마개 60 페달
62 : 로드 63 : 레버
64 : 작동로드 65 : 개폐추
66 : 패킹 100 : 튜브
101 : 분사공 102 : 조작레버
103 : 상수공급관 110 : 소변배출공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이나 욕실에서 발생된 폐수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급수를 절약하고 환경오염방지 및 수질을 개선할 수 있고 동파를 방지하는 절수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속하는 종래의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욕실의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목욕을 할 수 있는 욕조와 세수를 할 수 있는 세면대 및 대.소변을 볼 수 있는 변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욕조와 세면대 및 변기는 용도에 맞도록 급수가 공급되어 사용되어진다.
특히, 변기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급수의 용도는 변기내의 대.소변을 씻어내는 용도로만이 사용되어 지는 것으로, 이 변기를 세척하는 물은 주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한 물을 사용하므로서 물의 이중적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는 일반주택이나 아파트등과 같이 실내의 화장실에 설치된 경우에는 동파의 염려가 없지만, 농촌이나 소도시에 설치된 화장실이나 공중화장실은 주로 주택과 떨어진 곳에 설치되게 되어 난방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겨울철과 같은 추운계절에는 동파의 염려로 별도의 난방시설을 하거나 전기를 이용한 히터선을 가설하여 난방비 및 전기의 소모가 과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부엌이나 욕실에서 사용된 물은 한번 사용후 하수구로 바로 버려지기 때문에 물의 이중적 낭비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이나 욕실에서 발생된 폐수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급수를 절약하고 환경오염방지 및 수질을 개선할 수 있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절수용 변기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욕실바닥(4)에 뚜껑(3)이 형성되고 공급로(10)와 다수의 분출공(12)을 갖는 변기(1)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분기관(20)의 변기삽입구멍(22)으로 고정된 변기(1)하부에는 개폐변(14)을 힌지(16)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분기관(20)의 일측에는 취기배출관(25)과 연결되는 취기배출로(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도관(30)의 분뇨유입구(38)에 끼워지도록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30)의 일측에는 폐수배출관(54)의 폐수배출구(56)와 연결되도록 폐수유입구(3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분뇨배출관((38)과 연결되도록 분뇨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30)의 일측 상부에는 각 폐수유입구(48,48a)와 내벽(42)이 형성된 집수탱크(40)가 설치되고 이 집수탱크(40) 하부에는 방취변(50)의 폐수배출관(54)과 연통되는 폐수공급구(44)가 구비되고 상기 집수탱크(40)일측으로는 폐수배출관(54)과 연결되도록 오버플로 파이프(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폐수배출관(54)하부에는 배출구(55)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탱크(40)상부에는 힌지(67)로 고정된 레버(63)일측에 작동로드(64)가 끼워지고 상기 작동로드(64)하단에는 개폐추(65)가 집수탱크(40)의 패킹(66)이 삽입된 폐수배출구(44)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63)의 타측상부로는 스프링(61)으로 탄력지지된 버튼(60)에 고정되는 로드(6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기(1) 상부후방으로 공급관(103)과 연결되고 다수의 분사공(101)을 갖는 튜브(100)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관(103)에는 조작레버(10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기관(20)상부로 통상의 소변기(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소변배출공(1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기(1)는 분기관(20)의 변기삽입구멍(22)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변기(1)의 상부내주연부로 세면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공급로(10)가 형성되고 이 공급로(10)하단부에는 세면대(미도시)의 폐수가 변기(1)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분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변기(1) 상부후방에는 상수공급관(103)과 연결되는 튜브(100)가 형성되고 이 튜브(100)에는 변기(1)의 내측 상부의 중앙방향으로 물이 분사되어 사용자의 항문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사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수공급관(103)에는 물을 개폐할 수 있는 조작레버(10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1)하단에는 정화조(미도시)의 냄새가 올라오지 못하도록 평상시에는 닫히도록 개폐변(14)이 스프링(15)으로 힌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분기관(20)은 욕실의 바닥(4)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로 변기(1)가 고정되는 변기삽입구멍(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도관(30)의 분뇨유입구(32)로 삽입되게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26)가 삽입되는 분뇨유입구(32)에는 슬리이브(28)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26)와 분뇨유입구(32)가 밀착력을 지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도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변기(1)를 설치할 경우 시공상 상하 높이를 대충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20)의 일측으로는 취기배출관(25)과 연결되는 취기배출로(24)가 구비되어 정화조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기관(20)상부에는 소변기와 연결되도록 소변배출공(110)이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로부터 유입되는 소변이 분기관(20)을 통해 정화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30)은 분뇨와 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관(30)의 상부로는 분기관(20)의 배출구(26)와 연결되는 분뇨유입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분뇨유입구(32)로 유입되는 분뇨를 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물이 유입되는 폐수유입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유도관의 분뇨와 물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분뇨배출관(38)과 연결되는 분뇨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집수탱크(40)는 욕실이나 부엌에서 발생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집수탱크(40)는 내벽(42)이 설치되어 동파를 방지케 하였고 하부에는 패킹(66)이 끼워진 폐수배출구(44)가 형성되어 개폐추(65)가 끼워져 상기 개폐추(65)의 작동으로 집수탱크(40)내의 폐수를 폐수배출관(54)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집수탱크(40)일측에는 집수탱크(65)내로 유입되는 폐수가 과다하게 유입되면 넘쳐흘러 폐수배출관(54)으로 배출될 수 있는 오버플로 파이프(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탱크(40)의 오버플로 파이프(46)의 최상단은 상기 오버플로 파이프(46)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각 부엌과 욕실의 욕조등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유입할 수 있는 폐수유입구(48,4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방취변(50)은 집수탱크(4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유도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방취변(50)내부에는 일측으로 마개(57)가 고정되고 배출구(55)가 형성된 폐수배출관(54)이 구비되고, 상기 방취변(50)과 폐수배출관(54)사이에는 오일(Oil)이 넣어져 폐수배출관(54)내의 폐수가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케 하였고, 상기 폐수배출관(54)일측에는 폐수배출구(56)가 형성되어 유도관(30)의 폐수유입구(34)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폐수배출관(54)의 폐수배출구(56)가 상단에 형성되어 집수탱크(40)내의 폐수에 혼합된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되어 있고 이 찌꺼기는 정기적으로 배출구(57)의 마개(57)를 열어 상기 배출구(55)를 통해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페달(60)은 집수탱크(40)내의 폐수를 방취변(50)과 유도관(30)을 통해 배출시킬 때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페달(60)의 하부로 로드(62)가 고정됨과 동시에 스프링(61)이 바닥(4)에 지지된 상태로 탄설되어 상기 페달(60)은 항상 바닥(4)의 상부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이 로드(62)는 힌지(67)로 고정된 레버(63)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63)의 타측에는 개폐추(65)가 고정된 작동로드(64)가 고정되어 상기 페달(60)의 작동으로 집수탱크(40)내의 개폐추(65)가 폐수공급구(44)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수탱크(40)에는 각 폐수유입구(48,48a)를 통해 부엌에서 사용된 폐수와 욕실의 욕조등에서 사용된 각 폐수가 유입되어 집수탱크(40)내에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1)에서 볼일을 보게 되면 분뇨가 변기(1)의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개폐변(14)이 분뇨의 무게에 의해 힌지(67)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분뇨가 분기관(20)을 통해 유도관(30)으로 떨어지며, 이때 다시 개폐변(14)은 스프링(15)의 복귀되는 힘에 의해 다시 변기(1)의 하단부를 폐쇄하게 되는 작용이 반복되어 상기 개폐변(14)은 항사 변기(1)의 하단부를 막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이 끝나게 되면 페달(60)을 발로 밟게 되면 로드(62)가 하방으로 작동되고 상기 로드(62)에 의해 레버(63)가 힌지(67)를 중심으로 작동되어 타측에 고정된 작동로드(64)를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개폐추(65)가 상부로 들리면서 집수탱크(40)내의 폐수가 폐수공급구(44)와 방취변(50)의 폐수배출관(54)을 통해 유도관(30)의 폐수유입구(34)로 유입되어 변기(1)로부터 유입된 분뇨가 상기 폐수에 의해 분뇨배출구(36)와 분뇨배출관(38)을 통해 정화조로 보내는 세척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폐수배출관(54)은 장기간 사용중에 막히거나 찌꺼기에 의해 막히게 되면 일측의 마개(57)를 열고 찌꺼기를 제거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세면대에서 발생된 폐수는 변기(1)의 공급로(10)를 통해 분출공(12)으로 유출되어 변기를 항상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도관(30)에서 발생된 냄새는 변기(1)의 하단이 개폐변(14)으로 막혀 있어 화장실로 냄새가 유입되지 않고 분기관(20)의 취기배출로(24)와 취기배출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용변을 다보고난 후에는 변기(1)일측에 설치된 조작레버(102)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수공급관(103)을 통해 튜브(100)로 공급되고 계속하여 물의 압력으로 변기(1)에 다수 형성된 분사공(101)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엌이나 욕실에서 발생된 폐수는 저장탱크(40)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탱크(40)에 폐수가 차게되면 상기 부엌이나 욕실에서 발생되는 폐수가 오버플로 파이프(46)를 넘쳐흘러 유도관(30)을 통해 정화조로 흘러들어가므로 폐수발생율이 줄어들고 또한 세면대에서 사용된 폐수는 변기(1)의 공급로(10)와 불추공(12)을 통해 분기관(20)과 유도관(30)으로 흘러들게 하므로 변기(1)가 수시로 세척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변기(1)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와 같이 욕실바닥의 저면으로 부엌이나 욕실내에서 발생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가 설치되고 이 집수탱크내의 폐수를 변기에서 분기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떨어진 분뇨를 세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급수를 절약하고 환경오염 및 수질이 개선되며 또한 동절기에 변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 욕실바닥(4)에 뚜껑(3)이 형성되고 공급로(10)와 다수의 분출공(12)을 갖는 변기(1)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분기관(20)의 변기삽입구멍(22)으로 고정된 변기(1)하부에는 개폐변(14)을 힌지(16)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분기관(20)의 일측에는 취기배출관(25)과 연결되는 취기배출로(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도관(30)의 분뇨유입구(38)에 끼워지도록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30)의 일측에는 폐수배출관(54)의 폐수배출구(56)와 연결되도록 폐수유입구(3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분뇨배출관((38)과 연결되도록 분뇨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30)의 일측 상부에는 각 폐수유입구(48,48a)와 내벽(42)이 형성된 집수탱크(40)가 설치되고 이 집수탱크(40) 하부에는 방취변(50)의 폐수배출관(54)과 연통되는 폐수공급구(44)가 구비되고 상기 집수탱크(40)일측으로는 폐수배출관(54)과 연결되도록 오버플로 파이프(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폐수배출관(54)하부에는 배출구(55)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탱크(40)상부에는 힌지(67)로 고정된 레버(63)일측에 작동로드(64)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64)하단에는 개폐추(65)가 집수탱크(40)의 패킹(66)이 삽입된 폐수배출구(44)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63)는 타측상부로 스프링(61)으로 탄력지지된 버튼(60)에 고정되는 로드(6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변기(1) 상부후방으로 공급관(103)과 연결되고 다수의 분사공(101)을 갖는 튜브(100)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관(103)에는 조작레버(10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상부에는 통상의 소변기와 연결되도록 소변배출공(1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9426U KR0140372Y1 (ko) | 1996-09-16 | 1996-09-16 | 절수용 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9426U KR0140372Y1 (ko) | 1996-09-16 | 1996-09-16 | 절수용 변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6130U KR19980016130U (ko) | 1998-06-25 |
KR0140372Y1 true KR0140372Y1 (ko) | 1999-04-01 |
Family
ID=1946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9426U KR0140372Y1 (ko) | 1996-09-16 | 1996-09-16 | 절수용 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037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770B1 (ko) * | 2008-10-17 | 2009-10-27 | (주)에이치앤지 |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
-
1996
- 1996-09-16 KR KR2019960029426U patent/KR01403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770B1 (ko) * | 2008-10-17 | 2009-10-27 | (주)에이치앤지 |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6130U (ko) | 199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25965B1 (ko) |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 |
KR0140372Y1 (ko) | 절수용 변기 | |
WO1999007952A1 (en) |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 |
KR20100071911A (ko) |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 |
CN207525838U (zh) | 一种水源二次利用节水型坐便器 | |
KR200455687Y1 (ko) | 여성용 수세식 변기 | |
KR100223419B1 (ko) |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 |
KR20060000059U (ko) | 세면대 일체형 양변기 | |
KR100280662B1 (ko) |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 |
KR20050050967A (ko) |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 |
KR200246741Y1 (ko) |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 |
CN213329295U (zh) | 防堵塞防臭台式蹲便器 | |
CN201033884Y (zh) | 楼房中水回收利用装置 | |
CN208121920U (zh) | 一种储水式自清洁蹲便器 | |
CN2915970Y (zh) | 防溅易冲隔臭节水便器 | |
CN2414116Y (zh) | 密闭旋流式坐便器 | |
KR200247240Y1 (ko) | 절수형 양변기 | |
KR20100012699A (ko) |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 |
KR200180464Y1 (ko) | 자동개폐장치가 부착된 양변기 | |
CN2427564Y (zh) | 防堵塞防溅节水型座便器 | |
CN2225504Y (zh) | 一种卫生间节水装置 | |
KR100218648B1 (ko) | 수세식 변기 | |
KR200165276Y1 (ko) | 절수용 세면기 | |
KR0130567Y1 (ko) | 오수를 세정수로 이용한 수세변기 | |
KR200271948Y1 (ko) | 분사식 수세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