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240Y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240Y1
KR200247240Y1 KR2020010017790U KR20010017790U KR200247240Y1 KR 200247240 Y1 KR200247240 Y1 KR 200247240Y1 KR 2020010017790 U KR2020010017790 U KR 2020010017790U KR 20010017790 U KR20010017790 U KR 20010017790U KR 200247240 Y1 KR200247240 Y1 KR 200247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zone
wat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박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환 filed Critical 박주환
Priority to KR2020010017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24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양변기의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레버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를 통해 변기 내부로 물을 내리도록 하는 수세장치가 내장된 물탱크를 갖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된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내에 상기 수세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는 각 수세장치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제 1레버 및 제 2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는, 변기로 내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공간은 일반 수도관과 연결하여 수돗물을 저장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은 세탁헹굼물, 식기 또는 과일헹굼물 또는 목욕이나 샤워 또는 세수를 통해 나온 오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하여, 용변 후 변기의 세척수로 오수나 깨끗한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Water economizing toilet bowl}
본 고안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수돗물은 물론 생활하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각 가정의 위생시설도 점차 다양화 및 고급화하고 있다. 화장실의 경우에 있어서도 모든 아파트의 화장실은 당연히 수세식이고, 단독주택의 화장실도 과거 재래식 화장실에서 보다 위생적인 수세식 화장실로 점차 교체되어 가고 있다.
수세식 화장실은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변기를 갖는 화장실이다. 보통 수세식 화장실의 변기는 양변기로서 편안히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대개 상기 양변기는 샤워나 목욕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욕실내부에 설치되어 한 장소에서 용변을 보고 곧바로 샤워나 목욕 등을 할 수 있어 편하고 보다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지의 사실과 같이 양변기는 하나의 변기로 대변기와 소변기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대변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변기 뒤쪽에 있는 물탱크의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되지만, 소변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물탱크 내부의 물이 전부 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그만큼 물의 낭비요인이 되었다. 특히 상기 변기를 대변기로 사용하는 것보다 소변기로 사용하는 횟수가 오히려 많으므로 결국 변기에 의해 필요 없이 낭비되는 물의 양이 매우 많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변기로 내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공간은 일반 수도관과 연결하여 수돗물을 저장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은 세탁헹굼물, 식기 또는 과일헹굼물 또는 목욕이나 샤워 또는 세수를 통해 나온 오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하여, 용변 후 변기의 세척수로 오수나 깨끗한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세면기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에서의 물탱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싱크대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세탁기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절수형양변기 12:물탱크
14:제 1레버 16:제 2레버
18:변기본체 22:연결파이프
24:수도파이프 26:밸브
28:세면기 30:티(T)관
32:배수파이프 34:와이(Y)관
36:제 1구역 38:제 2구역
40:격벽 42:급수관
44:고무마개 46:연장로드
48:부이(buoy) 50:오버플로우관
52:줄 54:싱크대
56:세탁기 T:트랩(tra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변기의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레버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를 통해 변기 내부로 물을 내리도록 하는 수세장치가 내장된 물탱크를 갖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호분리된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내에는 상기 수세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는 각 수세장치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제 1레버 및 제 2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구역에 해당하는 물탱크의 저면은 연결파이프에 의해 오수발생부의 배수구와 연결되며, 제 2구역에 해당하는 물탱크의 저면은 수도파이프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구역 및 제 2구역의 배수구는 와이관에 의해 하나로 합쳐져 양변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수발생부는 세면기, 싱크대, 세탁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세면기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욕실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세면기(28)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세면기(28)는 공지의 세면기로서 얼굴이나 손발을 닦기 편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한 물은 배수파이프(32)를 통해 외부로 버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절수형 양변기(10)는 사용자가 걸터 앉는 변기본체(18)와, 상기 변기본체(18)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두 개의 레버(14,16)를 갖는물탱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격벽(도 2의 40)에 의해 두 개로 구획되어 있으며, 제 1구역(도 2의 36)은 연결파이프(22)에 의해 세면기(28)의 배수구에 연결되고, 제 2구역(도 2의 38)은 일반 수도파이프(2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22)는 세면기(28)로부터 버려지는 오수를 상기 물탱크(12) 내의 제 1구역(도 2의 36)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일단은 세면기(28)에 연결되고 타단은 물탱크(12)의 저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파이프(22)를 세면기(28)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티관(30)이 사용된다. 상기 티관(30)은 세면기(28)의 하수구에 설치되어 세면기(28)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연결파이프(22) 또는 배수파이프(32)로 내려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티관(30)은 세면기(28) 하수구와 연결파이프(22) 상단이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또한 세면기(28) 하수구와 배수파이프(32)의 상단이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세면기(28)로부터 버려지는 물은 우선적으로 연결파이프(22)를 통해 물탱크(12)내의 제 1구역(도 2의 36)으로 흘러들고 제 1구역(도 2의 36)내의 물이 마침내 만수위가 되었을 때 비로소 배수파이프(32)로 흘러나가는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티관(30)과 물탱크(12)의 사이에 공지의 트랩(trap)을 설치하여 냄새가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12)의 하부에는 수도파이프(24) 및 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상기 수도파이프(24)는 공지의 양변기에서의 물 공급수단과 동일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물탱크(12)의 제 2구역(도 2의 38)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수도파이프(24)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은 밸브(26)에 의해 조절된다.
결국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는 별다른 장치의 필요 없이, 변기세척수로 종래의 양변기에서와 같이 수돗물을 사용할 수 도 있고 세면기로부터 나오는 오수를 사용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에서의 물탱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의 물탱크(12)는 격벽(40)에 의해 두 개의 공간인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구역(36,38) 내에는 공지의 수세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세장치는 양쪽 구역에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에서의 물의 만수위도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세팅한다.
결국 상기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의 내부구성은 상호 동일하고 물의 만수위 조차도 동일하다. 단지 공급된 물의 종류만 다른 것이다. 제 1구역(36)에 공급된 물은 세면기(28)로부터 흘러온 오수이고, 제 2구역(38)에 공급된 물은 외부로부터 수도파이프(24)를 통해 들어온 깨끗한 수돗물이다.
아울러 상기 물탱크(12)의 전체적인 크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가정용 탱크보다 약 20% 내지 40%정도로 더 크게 만들고, 상기 격벽(40)은 물탱크(1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시킴이 좋다. 예컨대 보통 가정용 물탱크는 약 12리터 정도의 용량을가지므로, 상기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을 각각 8리터씩의 용량을 갖도록 하여 총 16리터의 물을 저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구역(36)의 변기본체(도 1의 18)로 향하는 배수구(미도시) 및 제 2구역(38)의 변기본체(도 1의 18)로 향하는 배수구(미도시)는 와이관(34)에 연결되어 하나로 합쳐진 상태로 변기본체(도 1의 18)로 연결된다. 즉, 상기 와이관(34)은 그 상단이 물탱크(12)의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변기본체(18)에 연결되어 결국 상기 수세장치의 작동에 따라 물탱크(12)내의 물을 변기본체로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변기본체로 연결되는 파이프를 상기와 같이 와이관(34)을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일자관으로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구역(36) 및 제 2구역(38)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수세장치는, 각각의 구역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며 상단에는 부이(48)에 의해 작동하는 플로트밸브(float valve)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관(42)과, 상기 급수관(42)의 측부에 위치하는 오버플로우관(50)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우관(50)은 물이 만수위 이상으로 공급될 때 넘치는 물을 와이관(34)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또한 상기 각 오버플로우관(50)의 하측부위에는 레버(14,16)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지는 고무마개(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마개(44)는 개방되어 탱크내부의 물이 하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쪽의 고무마개(44)를 개방할 수 있도록 물탱크(12)의 전면에는 제 1레버(14) 및 제 2레버(16)가 구비된다. 상기 각 레버(14,16)는 연장로드(46) 및줄(52)을 통해 각각의 고무마개(4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레버(14)는 제 1구역(36)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내리는 것이고, 제 2레버(16)는 제 2구역(38)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하부로 내리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면기(28)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파이프(22)는 물탱크(12)측으로 연장되어 제 1구역(36)내의 급수관(42)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세면기(28)로부터 버려지는 물은 연결파이프(22) 및 급수관(42)을 통해 물탱크(12)의 제 1구역(36)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세면기(28)로부터 한 번에 내려오는 물이 제 1구역(36)을 완전히 채울 수 있는 물이라면 제 1구역(36)은 한번에 만수위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이나, 세면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습관에 따라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이 작을 경우 상기 제 1구역(36)의 수위는 한 번에 채워지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조금씩 올라가 만수위에 도달할 것이다.
또한 제 1구역(36)에 공급되는 물이 만수위에 도달한 상태로 세면기(28)로부터 오수가 계속 내려올 경우에는, 제 1구역(36)은 이미 만수위이므로 물은 연결파이프(22)로 흐르지 않고 배수파이프(32)로 흘러가 외부로 버려질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구역(36)의 만수위는 배수파이프(32)의 트랩(T)의 높이와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구역(38)의 내부에는 수도파이프(24)를 통해 깨끗한 수돗물이 항상 공급되어 있다. 상기 제 2구역(38)은 그 자체로 종래의 물탱크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깨끗한 수돗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변기를 보다 청결하고 깔끔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싱크대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연결파이프(22)는 싱크대(54)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싱크대(54)는 화장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파이프(22)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싱크대(54)와 물탱크(12)를 충분히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싱크대(54)와 물탱크(12)내의 제 1구역(도 3의 36)을 연결함으로써 식기 헹굼물이나 과일이나 기타 채소 등의 헹굼물을 헛되이 버리지 않고 변기의 수세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예를 들어 세탁기와 연결하여 도시한 구성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변기(10)의 물탱크(12)는 연결파이프(22)를 통해 세탁기(56)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56)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변기의 세척에 활용할 수 있다. 세탁기(56)로 세탁을 할 때 마지막에 세탁물을 두어 번 헹구는데, 이 때 발생하는 헹굼물을 활용하여 변기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는, 양변기의 세척을 종래와 같이 수돗물로 할 수 도 있으며, 세면기나 세탁기 또는 싱크대 등의 오수발생부로부터 나오는 오수를 재활용하여 수행 할 수 도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제 1레버(14)를 누르면 변기의 세척을 오수로 하는 것이고, 제 2레버(16)를 누르면 깨끗한 수돗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는, 변기로 내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공간은 일반 수도관과 연결하여 수돗물을 저장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은 세탁헹굼물, 식기 또는 과일헹굼물 또는 목욕이나 샤워 또는 세수를 통해 나온 오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하여, 용변 후 변기의 세척수로 오수나 깨끗한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물을 절약하여 각 가정의 물 절약정신 함양으로 국가 경제에 이바지함은 물론 다가오는 물 부족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양변기의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레버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를 통해 변기 내부로 물을 내리도록 하는 수세장치가 내장된 물탱크를 갖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된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내에는 상기 수세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는 각 수세장치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제 1레버 및 제 2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해당하는 물탱크의 저면은 연결파이프에 의해 오수발생부의 배수구와 연결되며, 제 2구역에 해당하는 물탱크의 저면은 수도파이프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역 및 제 2구역의 배수구는 와이관에 의해 하나로 합쳐져 양변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발생부는 세면기, 싱크대, 세탁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KR2020010017790U 2001-06-14 2001-06-14 절수형 양변기 KR200247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90U KR200247240Y1 (ko) 2001-06-14 2001-06-14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90U KR200247240Y1 (ko) 2001-06-14 2001-06-14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240Y1 true KR200247240Y1 (ko) 2001-10-29

Family

ID=7306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790U KR200247240Y1 (ko) 2001-06-14 2001-06-14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2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18Y1 (ko) * 2014-10-06 2015-04-14 권우득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KR101547338B1 (ko) * 2013-11-06 2015-08-25 김광수 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338B1 (ko) * 2013-11-06 2015-08-25 김광수 변기
KR200476918Y1 (ko) * 2014-10-06 2015-04-14 권우득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WO2016056825A1 (ko) * 2014-10-06 2016-04-14 권우득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3541A1 (en) Water Conserving Improved Toilet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CN201106194Y (zh) 多功能节水洗便柜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WO1999007952A1 (en)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CN201155137Y (zh) 一种无槛式排污冲洗卫生便器
RU2459046C2 (ru) Санузел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102304937A (zh) 卫生间节水装置
JPH05202547A (ja) 手洗い一体型便器
CN207525838U (zh) 一种水源二次利用节水型坐便器
CN2570331Y (zh) 一种中水利用装置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CN216920590U (zh) 一种双旋冲水反重力马桶
CN217419870U (zh) 一种新型男用小便池
KR200332451Y1 (ko) 물 절약형 사이폰 없는 평저(平底) 실내 변기
CN214302053U (zh) 一种坐便器
KR20000027953A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 장치
KR200220272Y1 (ko) 세면대가 설치된 좌변기
KR200205339Y1 (ko) 절수형 변기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