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66B1 -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 Google Patents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966B1
KR100225966B1 KR1019970038358A KR19970038358A KR100225966B1 KR 100225966 B1 KR100225966 B1 KR 100225966B1 KR 1019970038358 A KR1019970038358 A KR 1019970038358A KR 19970038358 A KR19970038358 A KR 19970038358A KR 100225966 B1 KR100225966 B1 KR 10022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ank
auxiliary tank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952A (ko
Inventor
박실상
Original Assignee
박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상 filed Critical 박실상
Priority to KR101997003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966B1/ko
Priority to PCT/KR1998/000244 priority patent/WO1999007952A1/en
Publication of KR1999001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나 씽크대, 또는 욕조등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이하, 재활용수라 칭함)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하는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수가 소진되어 없을 경우에만 수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변기본체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5)과, 상기 배수관(5)에 설치된 배수밸브(5a)를 개폐시키는 배수레버(10)가 각각 설치된 메인탱크(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의 일측에는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사이에는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1)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측의 재활용수급수관(3)에는 메인탱크(1)의 수위에 따라 재활용수급수관(3)을 개폐시키는 제3플로트(8)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의 토출구(4b)가 메인탱크(1)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4b)에는 메인탱크(1)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기 토출구(4b)를 개폐하는 제2플로트(7)가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수도급수관(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a)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6a)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소량이 남았을 때 상수도급수관(4)을 개방하도록 제1플로트(6)가 보조탱크(2)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탱크(2)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과다시 외부로 배수시키는 넘침수배수관(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본 발명은 세면기나 씽크대, 또는 욕조등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이하, 재활용수라 칭함)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하는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활용수가 소진되어 없을 경우에만 수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세면기나 씽크대, 또는 욕조등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이용 수세식변기의 용수저장장치에 관하여 기 실용신안(출원번호: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584호)으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의 요지를 간단히 설명한후 이의 개선점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산안 제 96-2584호는 통상의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씽크대 또는 세면기, 욕조등에서 사용하고 난 생활폐수를 저장하는 보조탱크를 별도로 설치하되, 이 보조탱크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측의 보조탱크로 생활폐수가 받혀지게 하고, 이 상측 보조탱크에 받혀진 생활폐수는 메인탱크에 세척수가 없을 때 메인탱크로 공급되도록 보조플로트를 설치하였으며, 하측 보조탱크와 메인탱크는 서로 통하도록 통수관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메인탱크의 내측에는 메인탱크의 내측에 세척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세식변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수돗물이 메인탱크의 내측으로 급수되게 하는 보조레버를 설치하여 절수효과의 극대화라는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장치상의 미비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완해야하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세식변기에 세척수로 사용하는 재활용수가 부족시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수돗물로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세척수를 수돗물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메인탱크의 일측에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가 설치되고, 메인탱크와 보조탱크 사이에는 보조탱크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재활용수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 내측의 재활용수가 소량이 남았을 때 상수도급수관을 개방하도록 제1플로트가 보조탱크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수도급수관의 토출구는 메인탱크의 내측으로 삽입설치한 뒤에 이 토출구에 메인탱크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플로트가 설치되어 재활용수가 부족시에만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탱크 2 : 보조탱크
3 : 재활용수급수관 4 : 상수도급수관
4a : 본체 4b : 토출구
5 : 배수관 5a : 배수밸브
6 : 제1플로트 6a : 개폐밸브
6b : 로드 7 : 제2플로트
8 : 제3플로트 9 : 페달밸브
10 : 배수레버 11 : 넘침수배수관
12 : 세면기 13 : 비데
13a : 분기관 14 : 고리
14a, 14b : 결속끈 15 : 체크밸브
16 : 밸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좌변식 수세식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이 쪼그려 앉는 수세식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수세식변기의 일측에는 수세식변기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5)과, 상기 배수관(5)에 설치된 배수밸브(5a)를 개폐시키는 배수레버(10)가 각각 설치된 메인탱크(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의 일측에는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사이에는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1)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측의 재활용수급수관(3)에는 메인탱크(1)의 수위에 따라 재활용수급수관(3)을 개폐시켜서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1)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3플로트(8)가 설치되며, 재활용수급수관(3)의 소정위치에는 세척수가 메인탱크(1)에서 보조탱크(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2)의 내측에는 메인탱크(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이 삽입 설치되며, 이 상수도급수관(4)의 상측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토출구(4b)는 메인탱크(1)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이 토출구(4b)에는 메인탱크(1)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기 토출구(4b)를 개폐하는 제2플로트(7)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탱크(2)의 수중에 잠겨 있는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의 하부측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수도급수관(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6a)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소량이 남았을 때 상수도급수관(4)을 개방하도록 제1플로트(6)가 보조탱크(2)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플로트(6)는 개폐밸브(6a)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탱크(2)의 바닥측 소정위치에는 제1플로트(6)를 하강시킨 상태로 결속시키는 고리(14)와 결속끈(14a)이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4b)의 소정위치에는 제3플로트(8)를 부상시킨 상태로 결속시키는 결속끈(14b)이 설치되어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수돗물로만 사용할 때 개폐밸브(6a)는 개방시키고 재활용수급수관(3)은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2)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과다시 외부로 배수시키는 넘침수배수관(11)이 설치되는데, 이 넘침수배수관(11)은 넘침수배수관(11)의 말단부를 메인탱크(1) 내측의 배수관(5)에 연결하여 상기 넘침수가 변기본체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넘침수배수관(11)의 말단부를 보조탱크(2)의 외측으로 빼내어 화장실바닥의 배수구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바닥의 사용자가 발을 딛게되는 위치로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 하측을 매설한 뒤에, 그 사용자가 밟게될 위치에 페달밸브(9)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위하여 수세식변기(좌변기식 수세식변기 및 쪼그려 앉는 수세식변기)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발에 밟힌 페달밸브(9)가 개방되어 수돗물이 메인탱크(1)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페달밸브(9)가 없이도 제1, 제2플로트(6)(7)에 의해 수돗물의 사용이 가능하고, 또는 상기 페달밸브(9)는 있고 개폐밸브(6a)는 없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수돗물이 메인탱크(1)로 공급되는 경우는 제1, 제2플로트(6)(7)가 모두 하강하여 토출구(4b)가 개방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 하측 소정위치에는 비데(13)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기관(13a)이 분기 설치되며, 이 분기관(13a)은 비데(1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의 본 발명과 유사한데, 다소 상이한 부분은 상수도급수관(4)이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탱크(2)를 통과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수도급수관(4)이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외측 사이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수도급수관(4)이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외측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제1플로트(6)가 설치되는 개폐밸브(6a)가 본체(4a)의 상측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제1플로트(6)가 보조탱크(2)의 하측 수중에 위치하도록 제1플로트(6)의 로드(6b)가 하향 절곡형성 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6은 보조탱크(2) 내측을 청소하거나 재활용수를 허드렛물로 사용할 경우에 재활용수를 배수시키는 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내측에 물이 모두 소진된 경우부터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에서는 보조탱크(2)의 내부하측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플로트(6)에 의해 보조탱크(2)의 내측에 물이 소모되어 소량의 재활용수가 남을때 쯤 되면, 그때부터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되어서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모두 소진 되지 않음을 밝혀두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탱크(1)의 내측에 물이 없고 보조탱크(2)의 내측에 남아 있던 소량의 재활용수는 재활용수급수관(3)을 통하여 메인탱크(1)로 유입되어 메인탱크(1)의 내측에 세척수가 채워져 용변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탱크(1)의 내측에 세척수가 채워지게 되면, 보조탱크(2)는 빈 상태가 되면서 그에 따라 제1플로트(6)가 하강하여 상수도급수관(4)이 열리게 되나, 이런 상황에서 수세식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페달밸브(9)가 사용자에 의해 밟히지 않으므로 상수도급수관(4)이 폐쇄되어 상수도급수관(4)으로는 수돗물이 전혀 공급되지 않게 되고, 메인탱크(1)에 세척수만 채워져 있게된다.
이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세면기(12)등에서 재활용수가 배수되면, 이렇게 배수되는 재활용수는 보조탱크(2)내로 유입되어 보조탱크(2)의 내측에 재활용수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탱크(2)의 내측에 재활용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위하여 사용자가 수세식변기에 앉게되면 사용자에 의해 페달밸브(9)가 밟혀서 페달밸브(9)가 밟혀서 페달밸브(9)가 개방되나,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에 각각 물이 채워져 있어서 제1, 제2 플로트(6)(7)는 모두 부상하여 본체(4a)와 개폐밸브(6a)가 모두 폐쇄되어 수돗물의 공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사용자가 배수레버(10)를 조작하여 세척수가 배수관(5)을 통해 배수되면 제2플로트(7)와 제3플로트(8)가 하강하게 되나, 이때 제2플로트(7)가 하강하여도 제1플로트(6)가 부상하여 개폐밸브(6a)로 상수도급수관(4)을 막고 있기 때문에 수돗물은 메인탱크(1)로 공급되지 않고, 제3플로트(8)의 하강에 의해 개방된 재활용수급수관(3)을 통해 보조탱크(2)에 받혀져 있던 재활용수만 메인탱크(1)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세식변기를 수차례에 걸쳐 사용하는 동안에 보조탱크(2)에 채워져 있던 재활용수가 소모되어 소량의 물이 남을 때가 되면, 이때는 제1플로트(6)가 하강하면서 개폐밸브(6a)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메인탱크(1) 내측의 세척수가 배수되어 빈 상태가 되면 상기 보조탱크(2)에 남아 있던 소량의 물이 메인탱크(1)로 유입되게 되고, 이렇게 메인탱크(1)로 보조탱크(2)에 남아있던 재활용수가 유입되면 메인탱크(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플로트(7)가 부상되어 토출구(4b)를 막게 되므로 깨끗한 수돗물이 메인탱크(1)의 내측으로 공급이 불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세식변기에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면서 메인탱크(1)에 받혀져 있던 세척수를 배수시켜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세척수가 모두 소모되면, 상기 제1, 제2플로트(6)(7) 및 제3플로트(8)가 모두 하강하여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6a)와 토출구(4b)가 모두 개방되게 된다.
이처럼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6a)와 토출구(4b)가 모두 개방되면 수돗물은 상수도급수관(4)을 통해 메인탱크(1)로 공급되어 이때부터는 일반적은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메인탱크(1) 내측의 세척수가 배수되면 상수도급수관(4)을 통하여 메인탱크(1)로 수돗물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수돗물이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제2플로트(7)가 부상하여 상수도급수관(4)의 토출구(4b)를 막아서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 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수세식변기에서 일어나 화장실을 나서면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밟혀있던 페달밸브(9)가 막혀서 더 이상 수돗물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다가 재활용수가 보조탱크(2)로 유입되게 되면 제1플로트(6)가 부상하면서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6a)를 막아서 수도물의 공급을 막을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6a)가 막힌 상태에서도 재활용수는 보조탱크(2)의 내측으로 계속 유입되게 되며, 보조탱크(2)에 설정된 량 이상으로 유입되는 재활용수는 넘침수배수관(11)을 통해 보조탱크(2)의 외측이나 메인탱크(1)의 내측에 설치된 배수관(5)으로 배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를 재활용수 위주로 사용하다가 사용자에 따라 재활용수는 사용하지 않고 깨끗한 수돗물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플로트(6)를 개폐밸브(6a)에서 분리해내거나, 제1플로트(6)를 고리(14)와 결속끈(14a)을 이용하여 개폐밸브(6a)가 항상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묶어두고, 상기 제3플로트(8)는 부상하여 재활용수급수관(3)을 폐쇄시킨 상태가 되도록 토출구(4b) 소정위치에 결속끈(14b)으로 묶어두면, 상수도급수관(4)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일반적인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는 메인탱크(1)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재활용수급수관(3)의 소정위치에는 메인탱크(1)의 세척수가 보조탱크(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5)가 설치되어서 메인탱크(1)에만 세척수가 채워져 있고 보조탱크(2)에는 물이 없는 경우에 메인탱크(1) 내측의 세척수가 보조탱크(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수도급수관(4)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비데(13)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관(13a)이 분기되어 있어서 비데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비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분기관(13a)을 막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수세식변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앉을 때 사용자의 발에 밟혀서 개방되는 페달밸브와, 보조탱크에는 재활용수가 채워져 있고 메인탱크에는 세척수가 없을 경우에만 상수도급수관을 개방하는 제1플로트와, 메인탱크 내측의 수위에 따라 토출구를 막아서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2플로트가 다단계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서, 보조탱크의 내측에 재활용수가 없을 경우에만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수돗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재활용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깨끗한 수돗물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편리함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변기본체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5)과, 상기 배수관(5)에 설치된 배수밸브(5a)를 개폐시키는 배수레버(10)가 각각 설치된 메인탱크(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의 일측에는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사이에는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1)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측의 재활용급수관(3)에는 메인탱크(1)의 수위에 따라 재활용수급수관(3)을 개폐시키는 제3플로트(8)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의 토출구(4b)가 메인탱크(1)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4b)에는 메인탱크(1)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기 토출구(4b)를 개폐하는 제2플로트(7)가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수위에 따라 상수도급수관(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a)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6a)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소량이 남았을 때 상수도급수관(4)을 개방하도록 제1플로트(6)가 보조탱크(2)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탱크(2)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보조탱크(2) 내측의 재활용수가 과다시 외부로 배수시키는 넘침수배수관(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가 보조탱크(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6a)가 재활용수의 수중의 하측에 잠기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가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 사이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6a)는 본체(4a)의 상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밸브(6a)에는 제1플로트(6)가 보조탱크(2)의 수중 하측에 잠기도록 하향 절곡된 로드(6b)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급수관(4)의 본체(4a)하측 소정위치가 화장실 바닥에 매설되고, 이 매설위치에 사용자의 발에 밟혀서 상수도급수관(4)을 개방시키는 페달밸브(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수배수관(11)의 말단부가 배수관(5)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6.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수배수관(11)의 말단부를 가보조탱크(2)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7.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트(6)는 개폐밸브(6a)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탱크(2)의 바닥측 소정위치에는 제1플로트(6)를 하강시킨 상태로 결속시키는 고리(14)와 결속끈(14a)이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4b)의 소정위치에는 제3플로트(8)를 부상시킨 상태로 결속시키는 결속끈(14b)이 설치되어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수돗물로만 사용할 때 개폐밸브(6a)는 개방시키고 재활용수급수관(3)은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19970038358A 1997-08-08 1997-08-08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358A KR100225966B1 (ko) 1997-08-08 1997-08-08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PCT/KR1998/000244 WO1999007952A1 (en) 1997-08-08 1998-08-08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358A KR100225966B1 (ko) 1997-08-08 1997-08-08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952A KR19990015952A (ko) 1999-03-05
KR100225966B1 true KR100225966B1 (ko) 1999-10-15

Family

ID=1951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358A KR100225966B1 (ko) 1997-08-08 1997-08-08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013B1 (ko) 2014-02-20 2015-03-17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513898B1 (ko) * 2014-02-20 2015-04-23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873A (ko) * 2001-02-17 2002-08-24 최기영 싱크대용 이중수도장치
KR100453127B1 (ko) * 2001-04-16 2004-10-15 장화성 변기용 절수식 세척장치
KR100465893B1 (ko) * 2001-07-21 2005-01-13 김정호 폐수 재활용 구조 (화장실 용수를 폐수로 대체 한다)
KR20030091637A (ko) * 2002-09-27 2003-12-03 전우곤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KR100987830B1 (ko) * 2008-05-13 2010-10-13 임하영 이온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013B1 (ko) 2014-02-20 2015-03-17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513898B1 (ko) * 2014-02-20 2015-04-23 이누리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952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481B2 (en) System for the recovery of washing liquids used in showers, wash basins and/or baths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WO1999007952A1 (en)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200196994Y1 (ko) 용수 재활용 겸용 양변기 장치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1002645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CN216428476U (zh) 一种改进型蹲便器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CN213329295U (zh) 防堵塞防臭台式蹲便器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05339Y1 (ko) 절수형 변기
KR0130567Y1 (ko) 오수를 세정수로 이용한 수세변기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3193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27204Y1 (ko)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KR200202267Y1 (ko) 절수구조를 갖는 좌변기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