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13B1 - 절수형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13B1
KR101124613B1 KR1020090045186A KR20090045186A KR101124613B1 KR 101124613 B1 KR101124613 B1 KR 101124613B1 KR 1020090045186 A KR1020090045186 A KR 1020090045186A KR 20090045186 A KR20090045186 A KR 20090045186A KR 101124613 B1 KR101124613 B1 KR 10112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wl
washing water
urin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115A (ko
Inventor
김윤지
Original Assignee
김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지 filed Critical 김윤지
Priority to KR102009004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정수의 일부가 고여있는 보울부와, 보울부의 하부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오물배출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트랩부를 구비한 변기본체와, 보울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되, 대소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정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레버가 마련된 급수부와, 일측은 급수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보울부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울부의 측면에 연결된 노즐부와, 보울부에 설치된 노즐부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울부 측면에 형성되어 세정수와의 온도차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변배출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는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된 소변을 상승배출시켜 적은 양의 세척수로 소변을 오물하수구로 배출시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수, 변기, 양변기, 좌변기

Description

절수형 변기 {A toilet stool of water saving type}
본 발명은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양의 세정수로 소변을 오물하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의 구조는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올과, 보올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보올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로 이루어져 저수탱크에 설치된 배수레버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에 연동하는 급수부 패킹이 급수구를 개방하여 저수탱크의 물이 공급로를 통해 보올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올 내의 수위 증가에 따라 보올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보올의 배수로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올내의 침전물을 배수트랩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변기는 1회사용 때마다 13ℓ의 물이 사용된다. 소변세정의 경우에도 동일한 양의 물이 요구되어 물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2043365호에서는 '절수가 가능한 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절수가 가능한 변기는 구획벽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와, 수조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 설치된 제 1및 제2밸브와, 제 1및 제 2밸브에 연결되어 제 1및 제 2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변기의 보울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 절수가 가능한 변기는 소변을 배출시킬 경우, 세정수가 변기조의 상측에서 변기조의 내부로 방류되어 사이펀효과에 의해 소변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므로, 소변 뿐만아니라 변기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수와 수조에서 방류되는 세정수가 모두 배출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투입되는 세정수의 양이 사이펀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최소량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절약 가능한 세정수의 양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된 소변을 상승배출시켜 소변배출에 요구되는 세정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는 대소변이 수용되며, 세정수의 일부가 고여있는 보울부와, 상기 보울부의 하부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배출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트랩부를 구비한 변기본체와, 상기 보울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되, 대소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정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레버가 마련된 급수부와, 일측은 상기 급수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보울부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보울부의 측면에 연결된 노즐부와, 상기 보울부에 설치된 상기 노즐부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보울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와의 온도차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변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상기 보울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수조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노즐부에 연통되되, 상기 수조 하면으로부터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및 제 2배수구를 구비한 배출관과, 상기 제 1및 제 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 1및 제 2개폐부재와, 상기 제 1및 제 2개폐부재에 연결되어 선 택적으로 상기 제 1및 제 2개폐부재를 조작하는 제 1및 제 2레버부재를 구비한 조작부와, 상기 수조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원수관과,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세정수의 수위따라 상기 원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마련된 수위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는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된 소변을 상승배출시켜 적은 양의 세척수로 소변을 오물하수구로 배출시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절수형 변기(100)는 변기본체(200), 급수부(300), 노즐부(400)와 소변배출관(500)을 구비한다.
변기본체(200)는 대소변을 수용하며 오물배출구(미도시)로 대소변을 배출시킨다. 변기본체(200)는 보울부(210)와 트랩부(220)를 구비한다.
보울부(210)는 대소변이 수용되며, 세정수의 일부가 바닥면에 고여있다. 보울부(210)는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보울부(2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대소변을 배출한다. 보울부(210)의 바닥면에는 세정수가 고여있어, 후술되는 오물배출구(미도시)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울부(210)는 보울부(210)의 상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변기시트(230)를 더 구비한다. 변기시트(230)는 보울부(2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부(220)는 보울부(210)와 오물배출구(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며, 보울부(210)의 하면에 소정의 세정수가 고여있을 수 있도록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올부로 다량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트랩부(220)의 굴곡진 부분에서 발생하는 사이펀현상에 의해 대변이 세정수와 함께 오물배출구(미도시)로 배출된다.
급수부(300)는 보울부(210)에 세정수를 공급하되, 대소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정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레버가 마련된다. 급수부(300)는 수조(310), 세정수배출관(320), 조작부(330)와 수위조절부(340)를 구비한다.
수조(310)는 보울부(210) 후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변기본체(200)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다량의 세정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사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배출관(320)은 수조(310) 내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보울부(2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수조(310)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노즐부(400)에 연통된다. 수조(310) 내부에 설치된 세정수배출관(320)의 일측에는 수조(310) 하면으로부터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및 제 2배수구(321,32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배수구(321)는 수조(310)의 하면에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세정수배출관(320)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 1배수구(321)는 세정수의 수면에서 소변 배출에 요구되는 세정수의 양에 대응되는 수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을 배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배수구(321)를 개방하여 세정수를 보울부(210)로 배출시킨다.
제 2배수구(322)는 제 1배수구(321)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세정수배출관(320)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 2배수구(322)는 세정수의 수면에서 대변 배출에 요구되는 세정수의 양에 대응되는 수위에 형성된다. 이때, 대변배출에는 다량의 세정수가 요구되므로 제 2배수구(322)는 수조(310)의 바닥면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을 배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2배수구(322)를 개방하여 세정수를 보울부(210)로 배출시킨다.
조작부(330)는 세정수배출관(320)에 형성된 제 1및 제 2배수구(3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보울부(21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을 결정한다. 조작부(330)는 제 1및 제 2개폐부재(332)와, 제 1및 제 2레버부재(334)를 구비한다.
제 1개폐부재(331)는 일측이 세정수배출관(3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제 1배수구(3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배수구(32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개폐부재(331)는 제 1배수구(321)를 폐쇄할 경우 제 1배수구(321)와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개폐부재(332)는 일측이 세정수배출관(3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제 2배수구(3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 2배수구(322)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개폐부재(332)는 제 2배수구(322)를 폐쇄할 경우 제 2배수구(322)와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제 1및 제 2레버부재(333,334)는 수조(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제 1및 제 2개폐부재(331,332)와 연결줄(335)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 1및 제 2레버부재(333,334)를 회동시키면 제 1및 제 2레버부재(333,334)는 연결줄(3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1및 제 2개폐부재(332)를 회동시켜, 제 1및 제 2배수구(322)를 개방하여, 보울부(210)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사용자가 소변을 배출할 경우는 제 1레버부재(333)를 회동시키며, 대변을 배출할 경우는 제 2레버부재(334)를 회동시켜, 보울부(2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수위조절부(340)는 수조(310) 내부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세정수를 수조(310) 내에 공급한다. 수위조절부(340)는 원수관(341)과 제 3개폐부재(342)를 구비한다.
원수관(341)은 수조(310) 내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로 세정수를 공급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원수관(341)은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어 세정수로 수조(310) 내부로 주입한다. 원수관(341)의 상단은 후술되는 제 3개폐부재(342)에 의해 개폐된다.
제 3개폐부재(342)는 수조(310) 내부의 세정수 수위에 따라 원수관(341)을 개폐한다. 제 3개폐부재(342)는 마개(343), 부자(344)와 부자지지대(345)를 구비한다.
마개(343)는 원수관(341)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원수관(341)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게 원수관(34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마개(343)는 원수관(341)을 폐쇄할 경우, 원수관(341)과 마개(343) 사이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자(344)는 부력에 의해 수조(310) 내부에 수용된 세정수의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자(344)는 부자지지대(345)에 의해 마개(343)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부자지지대(345)는 마개(343)의 힌지축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언급된 수위조절부(3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정수배출관(320)에 의해 세정수가 보울부(210)로 배출되면, 세정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344)가 하강하고, 부자(344)에 부자지지대(3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마개(343)는 회동되어 원수관(341)을 개방하여 세정수가 수조(310)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세정수가 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면, 부자(344)는 상승하고, 부자지지대(3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마개(343)는 회동되어 원수관(341)을 폐쇄하여 세정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즐부(400)는 환형의 관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세정수배출관(320)에 연결되며, 타측은 보울부(21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울부(2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노즐부(400)의 타측은 보울부(210)에 수용된 세정수의 수면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부(400)는 수조(310)에 수용된 다량의 세정수를 용이하게 보울부(210)로 배출할 수 있도록 2갈래로 분기되어 보울부(2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노즐부(400)의 타측은 보울부(210) 내부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보울부(210)에 연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노즐부(400)의 관통구(410)는 세정수가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배출관(500)은 일측이 노즐부(400)의 관통구(410)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울부(210) 측면에 연통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측은 오물배출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세정수와의 온도차에 의해 세정수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소변이 소변배출관(500)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소변배출관(500)의 일측은 보울부(210)에 수용된 세정수 수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된 소변은 소변배출관(500)을 따라 오물하수구(미도시)로 배출된다.
한편, 소변배출관(500)의 후방측은 오물배출구(미도시)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척수의 일부가 소변배출관(500)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도록 절곡되게 트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절수형 변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보울부(210)로 소변을 배출한다. 이때, 소변의 온도는 보울부(210)에 수용된 세정수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소변은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한다.
소변을 오물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는 급수부(300)의 제 1레버부재(333)를 회동시켜 세정수배출관(320)을 통해 세정수를 배출시킨다. 세정수배출 관(320)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노즐부(400)를 따라 보울부(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구(410)를 통해 보울부(210)에 공급된다. 노즐부(400)는 보울부(210)에 수용된 세정수 수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한 소변을 소변배출관(500)으로 상승배출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절수형 변기(100)는 소변을 오물하수구(미도시)로 배출할 경우에는 세정수의 상측에 분포한 소변을 보울부(210)에 수용된 세척수 수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소변배출관(500)으로 상승배출시키므로 적은 양의 세정수로도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절수형 변기(100)는 대변을 오물하수구(미도시)로 배출할 경우에는 종래의 변기와 동일하게 보울부(210)로 다량의 세정수를 공급하고, 다량의 세정수에 의해 발생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대변을 트랩부(220)를 통해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수형 변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절수형 변기
200: 변기본체
210: 보울부
220: 트랩부
230: 변기시트
300: 급수부
310: 수조
320: 세정수 배출관
330: 조작부
340: 수위조절부
400: 노즐부
500: 소변배출관

Claims (2)

  1. 대소변이 수용되며, 세정수의 일부가 고여있는 보울부와, 상기 보울부의 하부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배출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트랩부를 구비한 변기본체와;
    상기 보울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되, 대소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정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레버가 마련된 급수부와;
    일측은 상기 급수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보울부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보울부의 측면에 연결된 노즐부와;
    상기 보울부에 설치된 상기 노즐부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보울부 측면에 형성되어 다량의 소변이 분포된 상기 세정수의 상측부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변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상기 보울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수조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노즐부에 연통되되, 상기 수조 하면으로부터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및 제 2배수구를 구비한 세정수배출관과;
    상기 제 1및 제 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 1및 제 2개폐부재와, 상기 제 1및 제 2개폐부재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및 제 2개폐부재를 조작하는 제 1및 제 2레버부재를 구비한 조작부와;
    상기 수조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원수관과,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세정수의 수위따라 상기 원수관을 개폐하는 제 3개폐부재가 마련된 수위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KR1020090045186A 2009-05-22 2009-05-22 절수형 변기 KR10112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86A KR101124613B1 (ko) 2009-05-22 2009-05-22 절수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86A KR101124613B1 (ko) 2009-05-22 2009-05-22 절수형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15A KR20100126115A (ko) 2010-12-01
KR101124613B1 true KR101124613B1 (ko) 2012-03-19

Family

ID=4350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186A KR101124613B1 (ko) 2009-05-22 2009-05-22 절수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7719B (zh) * 2018-07-25 2023-09-22 厚力德机器(杭州)有限公司 一种建筑餐厨垃圾回收及真空排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87Y1 (ko) * 2000-05-02 2000-09-15 양동훈 대소변 구별식 절수형 좌변기
JP2001303649A (ja) 2000-04-21 2001-10-31 Toto Ltd 便器洗浄装置
KR20050050967A (ko) * 2003-11-26 2005-06-01 정덕상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50116326A (ko) * 2004-06-07 2005-12-12 임명구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49A (ja) 2000-04-21 2001-10-31 Toto Ltd 便器洗浄装置
KR200196887Y1 (ko) * 2000-05-02 2000-09-15 양동훈 대소변 구별식 절수형 좌변기
KR20050050967A (ko) * 2003-11-26 2005-06-01 정덕상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50116326A (ko) * 2004-06-07 2005-12-12 임명구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15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89A (zh) 具有用于防止溢出的辅助水箱的坐便器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CN2937265Y (zh) 便器冲洗水箱装置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372183Y1 (ko) 에너지절약형 변기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942391B1 (ko) 양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200369232Y1 (ko) 화장실 변기의 절수장치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JP2002088882A (ja) 大便器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KR200358967Y1 (ko) 절수형 변기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