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18Y1 -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18Y1
KR200476918Y1 KR20140007255U KR20140007255U KR200476918Y1 KR 200476918 Y1 KR200476918 Y1 KR 200476918Y1 KR 20140007255 U KR20140007255 U KR 20140007255U KR 20140007255 U KR20140007255 U KR 20140007255U KR 200476918 Y1 KR200476918 Y1 KR 200476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toilet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득
Original Assignee
권우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득 filed Critical 권우득
Priority to KR20140007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18Y1/ko
Priority to PCT/KR2015/010559 priority patent/WO20160568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의 본체(100) 내부를 격벽에 의해 2개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고, 용도에 따라 양변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선택함으로써,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기존 양변기(10)의 물탱크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양변기(10)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고정수단(200)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킨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용변구(11)가 형성된 양변기(10)에 장착되어 용변구(1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제1격벽(110)에 의해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로 분할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양변기(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 측부에 상기 제1수용부(120)로 개방되는 제1통수로(340) 및 상기 제2수용부(130)로 개방되는 제2통수로(350)가 각각 형성된 오버플러우관(300);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통수로(340) 및 제2통수로(350)를 각각 덮는 제1개폐부재(410) 및 제2개폐부재(42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개폐부재(410)를 들어올려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방시키는 제1작동레버(51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2개폐부재(420)를 들어올려 상기 제2통수로(350)를 개방시키는 제1작동레버(510);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볼탑(610);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세척수를 공급하되, 높이가 상기 제1급수볼탑(610)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는 제2급수볼탑(62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Water tank of water saving toilet }
본 고안은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탱크를 분리하여 대변과 소변용 세척수를 별도로 보관하고, 세척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수자원의 고갈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물을 절약하여 사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한편 이러한 결과로 수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게 되었으며,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해결책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 중에서 화장실에 구비된 양변기와 세면대는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물을 사용함에 따라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특히 이중에서 양변기는 대ㆍ소변과 같은 오물을 세척해야 하는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한번에 대략 7~16ℓ가량의 많은 물을 소비하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물의 소비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일반 가정에서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벽돌 등을 넣어서 물을 절약하고자 하는 자구책을 강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자구책은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넣은 벽돌의 부피만큼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내부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용변이 깨끗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근본적인 대책이라 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0998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탱크의 본체 내부를 격벽에 의해 2개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고, 용도에 따라 양변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선택함으로써,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기존 양변기의 물탱크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양변기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고정수단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킨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용변구(11)가 형성된 양변기(10)에 장착되어 용변구(1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제1격벽(110)에 의해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로 분할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양변기(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 측부에 상기 제1수용부(120)로 개방되는 제1통수로(340) 및 상기 제2수용부(130)로 개방되는 제2통수로(350)가 각각 형성된 오버플러우관(300);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통수로(340) 및 제2통수로(350)를 각각 덮는 제1개폐부재(410) 및 제2개폐부재(42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개폐부재(410)를 들어올려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방시키는 제1작동레버(51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2개폐부재(420)를 들어올려 상기 제2통수로(350)를 개방시키는 제2작동레버(520);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볼탑(610);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세척수를 공급하되, 높이가 상기 제1급수볼탑(610)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는 제2급수볼탑(620); 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제2격벽(310)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제1통기로(320) 및 제2통기로(330)가 형성되되, 상기 제1통수로(340)는 상기 제1통기로(320)와 연통되고, 상기 제2통수로(350)는 상기 제2통기로(330)와 연통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홈(211)이 형성된 레일부재(210); 상기 레일부재(2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트부재(22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는 덮개부재(7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재(700)의 상부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수납부(710)가 형성된다.
상기 오버플러우관(300)과 외부 환기시설을 연결하여 상기 용변구(1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관(8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환기관(800)이 통과하는 회피홈(140)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100)의 내부가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로 분할되고, 상기 제1수용부(120)의 세척수 용량이 상기 제2수용부(130)의 세척수 용량보다 적도록 상기 제1급수볼탑(610)과 상기 제2급수볼탑(620)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에 따라 세척수의 용량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기존에 설치된 양변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본체(100)를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이고 설치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작동 과정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작동 과정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본체(100), 고정수단(200), 오버플러우관(300), 제1개폐부재(410), 제2개폐부재(420), 제1작동레버(510), 제2작동레버(520), 제1급수볼탑(610), 제2급수볼탑(620), 덮개부재(700), 환기관(800) 및 건강체크수단(9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구(11)가 형성된 일반적인 양변기(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변구(1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은 가운데에 형성된 제1격벽(110)에 의해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로 분할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수용부(120)와 상기 제2수용부(130)의 용량은 거의 동일하나, 후술할 상기 제1급수볼탑(610)과 제2급수볼탑(620)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120)에는 소변을 세척할 시 사용되는 소량의 세척수, 약 4ℓ를 보관하게 되고, 상기 제2수용부(130)에는 대변을 세척할 시 사용되는 대량의 세척수 약 7ℓ를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회피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140)은 후술할 상기 환기관(800)이 상기 본체(100)의 후방을 통과하여 외부 환기시설(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홈으로, 하단이 후술할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의 상단보다 약간 아래에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수단(200)을 통해서 양변기(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양변기(1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은 레일부재(210) 및 볼트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210)는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이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211)은 입구 폭이 내부 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볼트부재(220)의 머리부(221)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볼트부재(2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볼트이며, 육각형 형상인 머리부(221)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볼트부재(220)는 상기 머리부(221)가 상기 레일홈(211)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0)의 체결홈(12)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220)가 상기 레일부재(2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를 양변기(10)에 설치할 때 상기 양변기(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은 상하 관통된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 부근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가 상기 양변기(10)에 설치될 때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은 양변기(10)의 배수구(13)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은 상기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 사이, 즉 상기 제1격벽(110)과 일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의 내부는 상기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제2격벽(310)에 의해 제1통기로(320)와 제2통기로(330)로 분할된다.
상기 제1통기로(320)와 상기 제2통기로(330)는 상하로 개방된 통로이며, 하단이 상기 양변기(10)의 배수구(13)와 연결되고, 상단은 후술할 상기 환기관(80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의 우측에는 상기 제1수용부(120)로 개방되는 제1통수로(3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수용부(130)로 개방되는 제2통수로(3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통수로(340)는 후술할 상기 제1개폐부재(410)에 의해 폐쇄되었다가 개방시 상기 제1수용부(120)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양변기(10)의 용변구(11)로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통수로(350)는 후술할 상기 제2개폐부재(420)에 의해 폐쇄되었다가 개방시 상기 제2수용부(130)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상기 양변기(10)의 용변구(11)로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410)는 일반적으로 양변기(10)에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뚜껑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411)와, 상기 지지부(4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통수로(340)의 입구를 덮는 마개부(4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재(410)는 상기 마개부(412)의 상단이 후술할 상기 제1작동레버(5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레버(5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마개부(412)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2개폐부재(420)는 상기 제1개폐부재(41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양변기(10)에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뚜껑으로, 상기 제2작동레버(520)와 연결되어 상기 제2통수로(350)의 입구를 개폐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개폐부재(4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작동레버(510)는 상기 제1개폐부재(410)와 연결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재(4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압레버(511), 연결지지대(512) 및 연결와이어(5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레버(511)는 긴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지지대(512)는 일단이 상기 가압레버(511)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레버(511)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지지대(512)의 타단은 상기 연결와이어(513)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재(4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작동레버(520)는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작동레버(510)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1작동레버(5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급수볼탑(610)은 일반적인 양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급수볼탑으로, 상기 본체(100)의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설치되며, 하단이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15)와 연결되고, 상단에 부력부재(611)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급수볼탑(610)은 수위가 낮아지면 기울어지면서 공급밸브(15)를 열어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일정 높이의 수위에 도달하면 세워져 공급을 중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급수볼탑(620)은 상기 본체(100)의 제2수용부(130)에 설치되며, 하단이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15)와 연결되고, 상단에 부력부재(6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급수볼탑(620)은 수위가 낮아지면 기울어지면서 공급밸브(15)를 열어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일정 높이의 수위에 도달하면 세워져 공급을 중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급수볼탑(620)의 부력부재(621)의 높이는 상기 제1급수볼탑(610)의 부력부재(621)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수용부(130)의 세척수 용량은 상기 제1수용부(120)의 세척수 용량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부(120)는 소변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2수용부(130)는 대변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재(70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700)는 테두리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측을 감싸게 되며, 상부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수납부(710)가 형성되어 다양한 욕실용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환기관(800)은 상기 오버플러우관(300)과 외부 환기시설(20)을 연결하여 상기 용변구(1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ㄱ'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이며, 하단이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100)의 회피홈(14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환기시설(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환기관(80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절곡 부위에 일명 '자바라' 와 같이 주름부(810)가 형성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환기관(8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일을 볼 때에 상기 용변구(11)의 배수를 위한 구멍과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을 통해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버플러우관(300)과 외부 환기시설(20)을 연결하는 상기 환기관(8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변구(1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여 양변기(10) 주변을 청결하게 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건강체크수단(900)은, 상기 덮개부재(700)에 장착되며, 상기 환기관(80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용변구(11)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농도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체크수단(900)은 상기 환기관(800)에 장착된 센서(910)를 통해 악취의 농도를 검출하고, 상기 덮개부재(700)에 장착된 표시등(920)을 통해 건강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등(920)은 농도가 일정값 이하이면 녹색등을 점멸하게 되고, 농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면 적색등을 점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용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건강체크수단(90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을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제1작동레버(510)의 상기 가압레버(5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지지대(5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와이어(513)가 상기 제1개폐부재(410)를 들어올려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통수로(340)가 개방되면 상기 제1수용부(120)에 보관된 소량의 세척액이 상기 제1통수로(340)를 통해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용변구(11)로 배출된다.
상기 제1수용부(120)의 세척수가 빠져나가면 상기 제1급수볼탑(610)이 기울어져 상기 제1수용부(120)로 수돗물이 다시 충전되며, 상기 제1작동레버(510)를 누르지 않으면 상기 제1개폐부재(410)는 수압에 의해 상기 제1통수로(340)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또한, 세척수가 일정 높이가 되면 상기 제1급수볼탑(610)이 다시 세워져 수돗물 공급이 중단된다.
만약, 대변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세척수의 용량이 더 많은 상기 제2수용부(13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작동레버(520)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는, 본체(100)의 내부가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로 분할되고, 상기 제1수용부(120)의 세척수 용량이 상기 제2수용부(130)의 세척수 용량보다 적도록 상기 제1급수볼탑(610)과 상기 제2급수볼탑(620)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에 따라 세척수의 용량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기존에 설치된 양변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본체(100)를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이고 설치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제1격벽
120 : 제1수용부 130 : 제2수용부
140 : 회피홈 200 : 고정수단
210 : 레일부 211 : 레일홈
220 : 볼트부재 221 : 머리부
222 : 체결부 300 : 오버플러우관
310 : 제2격벽 320 : 제1통기로
330 : 제2통기로 340 : 제1통수로
350 : 제2통수로 410 : 제1개폐부재
411 : 지지부 412 : 마개부
420 : 제2개폐부재 510 : 제1작동레버
511 : 가압레버 512 : 연결지지대
513 : 연결와이어 610 : 제1급수볼탑
611,621 : 부력부재 620 : 제2급수볼탑
700 : 덮개부재 710 : 수납부
800 : 환기관 810 : 주름부
900 : 건강체크수단 910 : 센서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이 제1격벽(110)에 의해 제1 및 제2수용부(120,130)로 분할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양변기(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
    상기 제1격벽(110) 사이에 설치되고, 측부에 상기 제1수용부(120)로 개방되는 제1통수로(340)와, 상기 제2수용부(130)로 개방되는 제2통수로(350)가 각각 형성된 오버플러우관(300);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410);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에 장착되어 상기 제2통수로(350)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42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개폐부재(410)를 들어올려 상기 제1통수로(340)를 개방시키는 제1작동레버(510);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2개폐부재(420)를 들어올려 상기 제2통수로(350)를 개방시키는 제2작동레버(520);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설치된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와 연결되고, 상단에 부력부재(611)가 장착되어 상기 제1수용부(120)의 세척수 수위가 낮아지면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설치된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를 열어 상기 제1수용부(1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볼탑(610);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설치된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와 연결되고, 상단에 부력부재(621)가 장착되어 상기 제2수용부(130)의 세척수 수위가 낮아지면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설치된 수도 공급관의 공급밸브를 열어 상기 제2수용부(13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볼탑(620);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고, 상부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수납부(710)가 형성된 덮개부재(700);
    상기 오버플러우관(300)과 외부 환기시설(20)을 연결하여 상기 양변기(10)의 용변구(1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관(800); 및
    상기 덮개부재(700)에 장착되어 상기 환기관(800)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농도를 분석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표시하되, 상기 환기관(800)에 장차된 센서(910)를 통해 악취의 농도를 검출하고, 상기 덮개부재(700)에 장착된 표시등(920)을 통해 건강 상태를 표시하는 건강체크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오버플러우관(30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제2격벽(310)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제1통기로(320) 및 제2통기로(330)가 형성되되, 상기 제1통수로(340)는 상기 제1통기로(320)와 연통되고, 상기 제2통수로(350)는 상기 제2통기로(330)와 연통되고,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홈(211)이 형성된 레일부재(210)와, 상기 레일부재(2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트부재(2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환기관(800)이 통과하는 회피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급수볼탑(620)의 부력부재(621)의 높이는 상기 제1급수볼탑(610)의부력부재(611)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40007255U 2014-10-06 2014-10-06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KR200476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55U KR200476918Y1 (ko) 2014-10-06 2014-10-06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PCT/KR2015/010559 WO2016056825A1 (ko) 2014-10-06 2015-10-06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55U KR200476918Y1 (ko) 2014-10-06 2014-10-06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18Y1 true KR200476918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255U KR200476918Y1 (ko) 2014-10-06 2014-10-06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918Y1 (ko)
WO (1) WO20160568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82B1 (ko) 2016-03-11 2016-08-25 장광주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KR20210008808A (ko) * 2019-07-15 2021-01-25 (주)두성 자기로 제조되는 양변기의 물통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832A (ja) * 1999-09-09 2001-03-27 Inax Corp 便座ボックス
KR200247240Y1 (ko) * 2001-06-14 2001-10-29 박주환 절수형 양변기
KR200348995Y1 (ko) *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803Y1 (ko) * 2005-09-01 2005-11-22 김준호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420010Y1 (ko) * 2006-03-28 2006-06-30 이상하 변기 물탱크용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832A (ja) * 1999-09-09 2001-03-27 Inax Corp 便座ボックス
KR200247240Y1 (ko) * 2001-06-14 2001-10-29 박주환 절수형 양변기
KR200348995Y1 (ko) *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82B1 (ko) 2016-03-11 2016-08-25 장광주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KR20210008808A (ko) * 2019-07-15 2021-01-25 (주)두성 자기로 제조되는 양변기의 물통 및 그 제조방법
KR102287453B1 (ko) * 2019-07-15 2021-08-09 (주)두성 자기로 제조되는 양변기의 물통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825A1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476918Y1 (ko)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KR100917295B1 (ko) 절수형 양변기
WO2007056937A1 (fr) Chasse d'eau
KR20100109255A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CN204781212U (zh) 一种节水水箱
CN211621829U (zh) 具有防臭功能的水槽下水器
CN205242559U (zh) 全自动冲洗式马桶
CN211109112U (zh) 一种新型横向的用途塑料储水装置
JP2023511341A (ja) 超節水型洋式便器
KR20140019134A (ko) 절수가능한 투명변기
KR20170083821A (ko)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CN207714465U (zh) 一种用于座便器可添加护理液的清洗装置
CN205894153U (zh) 马桶储水箱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CN203498918U (zh) 减噪式地漏
JP3721465B2 (ja) ロータンク
KR101007055B1 (ko) 양변기 구조
CN202595852U (zh) 二次水、自来水配合使用且优先使用二次水的冲厕水箱
CN102677751B (zh) 二次水、自来水配合使用且优先使用二次水的冲厕水箱
KR20140103539A (ko) 변기용 절수기
CN211571877U (zh) 一种防臭节水陶瓷马桶
CN105926734A (zh) 带有置物框的马桶水箱
CN201610585U (zh) 节水座便器
CN208056210U (zh) 一种紧凑防臭型面盆弹跳下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