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99B1 -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199B1
KR101079199B1 KR1020090030149A KR20090030149A KR101079199B1 KR 101079199 B1 KR101079199 B1 KR 101079199B1 KR 1020090030149 A KR1020090030149 A KR 1020090030149A KR 20090030149 A KR20090030149 A KR 20090030149A KR 101079199 B1 KR101079199 B1 KR 10107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bag
storage box
unit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779A (ko
Inventor
서돈식
Original Assignee
서돈식
(주)스마트애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돈식, (주)스마트애드인 filed Critical 서돈식
Priority to KR102009003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1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4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은, 쓰레기의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외면의 상부 영역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비닐봉투 걸림부가 마련되는 몸체; 몸체의 하단부에서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교체형 비닐봉투가 배치되는 자리턱이 마련되는 비닐봉투 보관함; 및 비닐봉투 보관함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교체형 비닐봉투로부터의 단위비닐봉투가 하나씩 통과되되 단위비닐봉투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비닐봉투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종래보다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garbage can}
본 발명은,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종래보다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휴지통이라고도 불리는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통을 말하며,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쓰레기통의 종류 또는 사용 형태는 여러 가지일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일반 쓰레기를 담는 쓰레기통, 재활용 센터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재활용품을 구분해 놓는 쓰레기통, 음식물 전용 쓰레기통 등으로 나뉘거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쓰레기통을 사용함에 있어 수분이 포함되지 않은 쓰레기를 담을 경우에는 별도의 비닐봉투가 필요치 않을 수 있지만,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를 보관하거나 담아야 할 경우에는 미리 비닐봉투를 씌우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야만 쓰레기통을 항시 깨끗하게 보존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쓰레기통의 몸체 내에 비닐봉투를 한 장씩 씌우는(결합시 키는) 일은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비닐봉투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쓰레기통이나 교체 가능한 비닐봉투를 내장한 쓰레기통 등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쓰레기통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다소 번거롭거나 불편하여 실질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으므로 본 출원인은 새로운 타입의 쓰레기통 구조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종래보다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쓰레기의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외면의 상부 영역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비닐봉투 걸림부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교체형 비닐봉투가 배치되는 자리턱이 마련되는 비닐봉투 보관함; 및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로부터의 단위비닐봉투가 하나씩 통과되되 상기 단위비닐봉투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비닐봉투 지 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비닐봉투 지지유닛은, 상기 단위비닐봉투가 강제로 통과되거나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이 형성되는 비닐봉투 지지판막; 및 상기 비닐봉투 지지판막과 결합되고 상기 비닐봉투 지지판막을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고정시키는 판막 고정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은 직선형일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은 비직선형이며,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의 양측 외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이격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중 어느 하나에는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가지며 끝단이 하방으로 라운딩되어 구부러진 형태의 걸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는 각각 조립 맞춤형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쪽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단위비닐봉 투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삽입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는 상기 단위비닐봉투의 상단부가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지그재그형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위비닐봉투가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과 나란하도록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은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는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일 수 있다.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는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일 수 있다.
상기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및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걸쇠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쓰레기의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외면의 상부 영역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비닐봉투 걸림부가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예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어 비닐봉투를 통과 또는 지지시키는 비닐봉투 지지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닐봉투 지지판막에는 상기 비닐봉투가 강제로 통과되거나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종래보다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몸체에 대해 비닐봉투 보관함을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비닐봉투 보관함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비닐봉투 지지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1의 쓰레기통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은, 몸체(110)와, 몸체의 하단부에서 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닐봉투 보관함(130)과, 비닐봉투 보관함(13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교체형 비닐봉투(1)로부터의 단위비닐봉투(1a)가 하나씩 통과되되 단위비닐봉 투(1a)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비닐봉투 지지유닛(150)과, 몸체(1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7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는 통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몸체(110)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완전히 동일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에서 몸체(110)는 하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비닐봉투 보관함(130) 및 뚜껑(170)을 비롯하여 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비닐봉투 보관함(130) 및 뚜껑(170)을 비롯하여 몸체(1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110)의 외면의 상부 영역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비닐봉투 걸림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비닐봉투 걸림부(111)는 비닐봉투 보관함(130) 영역에서 상방으로 취출되는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이 걸려 지지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비닐봉투 걸림부(111)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걸림부(111)는 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마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및 형상의 비닐봉투 걸림부(111)에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이 걸리도록 하면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뚜껑(170)이 더 구비되므로 뚜껑(170)과 함께 단위비닐봉투(1a)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비닐봉투 걸림부(111)의 상면에는 비닐봉투 보관함(130) 쪽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14)가 형성되고, 함몰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의 뚜껑(170)에는 함몰부(114)에 삽입되어 함몰부(114)와의 사이에서 단위비닐봉투(1a)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삽입부(134)가 구비된다.
이에, 도 8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봉투 보관함(130) 쪽에서 뽑아 올린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을 몸체(110)의 외면의 상부 영역 외측으로 늘어뜨리고, 뚜껑(170)을 결합시켜 뚜껑(170)의 삽입부(134)가 몸체(110)의 함몰부(11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위비닐봉투(1a)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비닐봉투 보관함(130)은, 내부에 교체형 비닐봉투(1)가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0)의 하단부에서 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110)가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비닐봉투 보관함(130) 역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비닐봉투 보관함(130)의 내부에는 교체형 비닐봉투(1)가 배치되는 자리턱(13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체형 비닐봉투(1)는 한 장 한 장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로 적용된다.
이러한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를 다 사용한 후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비닐봉투 보관함(130)은 몸체(110)에 대해 쉽게 결합되고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몸체(110)의 외면 하부 영역에는 걸림 후크(112)가 마련되고, 비닐봉투 보관함(130)의 내면에는 걸림 후크(11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132)가 마 련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후크(112)는 입구가 좁고 출구는 폐쇄된 대략 'ㄷ'자형 구조를 가지며, 걸림부(132)는 걸림 후크(112)의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대략 'ㄱ'자형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걸림 후크(112)는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가지며 끝단이 하방으로 라운딩되어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고, 걸림부(132)는 걸림 후크(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경우, 걸림 후크(112)의 구부러진 각도는 하방으로 대략 5 내지 30도일 수 있다. 물론, 이의 수치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이러한 걸림 후크(112) 및 걸림부(132)로 인해 비닐봉투 보관함(130)은 몸체(110)에 대해 쉽게 착탈될 수 있다. 결합 시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110)와 비닐봉투 보관함(130)에는 각각 조립 맞춤형 표시부(113,133)가 형성된다.
비닐봉투 지지유닛(1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비닐봉투(1a)가 강제로 통과되거나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이 형성되는 비닐봉투 지지판막(151)과, 비닐봉투 지지판막(151)과 결합되고 비닐봉투 지지판막(151)을 비닐봉투 보관함(130)에 고정시키는 판막 고정용 플레이트(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닐봉투 지지판막(151)에 형성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은 일자형의 직선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비닐봉투 지지판막(151)은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고무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닐봉투 보관함(130) 쪽에서 단위비닐봉투(1a)를 비닐봉투 통과슬릿(152) 통해 뽑아 올리면 단위비닐봉투(1a)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을 통해 어느 정도 빡빡하게 뽑아 올려지는데, 뽑아 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의 자체 마찰력에 의해 단위비닐봉투(1a)의 하부 영역은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은 단위비닐봉투(1a)를 상부 영역으로 취출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단위비닐봉투(1a)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를 사용하고 있고,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은 일자형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씩의 단위비닐봉투(1a)를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을 통해 뽑아 올리려면 단위비닐봉투(1a)가 뽑아지는 방향과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의 방향과 일치해야 한다. 물론, 이들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더라고 단위비닐봉투(1a)를 뽑아 올릴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 단위비닐봉투(1a)들이 서로 꼬아지면서 동작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은 비닐봉투 보관함(130)이 몸체(1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단위비닐봉투(1a)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과 나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걸림 후크(112) 및 걸림부(132)의 구조로 인해 비닐봉투 보관함(130)이 몸체(110)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의 각도(θ)는 대략 18도 내외일 수 있다(도 5 참조)
뚜껑(170)은 몸체(110)의 상부 영역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뚜껑본체(171)와 뚜껑본체(171)의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172)을 구비한다. 따라 서 사용자는 회전캡(172)을 회전시켜 가면서 쓰레기를 몸체(110)의 단위비닐봉투(1a) 내로 버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쓰레기통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비닐봉투 보관함(130) 내의 자리턱(131)에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를 배치하고, 그 위로 비닐봉투 지지유닛(150)을 조립한다. 이때,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로부터 하나의 단위비닐봉투(1a)를 뽑아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을 통과시킨 후에 그 상부 영역을 몸체(110)의 상부 영역 외측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뚜껑(170)을 닫아 뚜껑(170)의 삽입부(134)가 몸체(110)의 함몰부(11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단위비닐봉투(1a)의 하부 영역은 비닐봉투 통과슬릿(152) 자체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 걸림 후크(112) 및 걸림부(132)를 이용하여 몸체(110)의 하부 영역에 비닐봉투 보관함(130)을 결합시키면 도 2 및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쓰레기통을 이용하면 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①번 단위비닐봉투(1a) 내에 쓰레기가 꽉 차면 뚜껑(170)을 분리하고, ①번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을 묶는다. 그런 다음, ①번 단위비닐봉투(1a)를 상방으로 잡아 올리면, ①번 단위비닐봉투(1a)와 연결되어 있는 ②번 단위비닐봉투(1a)가 ①번 단위비닐봉투(1a)의 위치로 올라온다.
②번 단위비닐봉투(1a)가 제위치에 올라오면, ①번 단위비닐봉투(1a)와 ②번 단위비닐봉투(1a) 사이의 절취선을 자른 후에, ①번 단위비닐봉투(1a)는 버리고, 다시 ②번 단위비닐봉투(1a)의 상부 영역을 뚜껑(170)을 이용하여 몸체(110)의 상부 영역에 고정시킨 후 쓰레기통을 사용하면 된다.
한편,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1)를 다 사용하여 새로운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미도시)로 교체하려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몸체(110)에 대해 비닐봉투 보관함(130)을 회전시켜 분리한 후, 비닐봉투 보관함(130) 내의 자리턱(131)에 새로운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를 배치하고, 다시 도 2와 같이 비닐봉투 보관함(130)을 몸체(1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닐봉투의 교체 방법 또는 비닐봉투의 리필 방법이 종래보다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지지유닛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비닐봉투 통과슬릿(152)은 일자형의 직선형 구조를 가졌지만, 본 실시예의 비닐봉투 통과슬릿(152a)은 비직선형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지지유닛(150a)의 비닐봉투 지지판막(151a)에 형성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a)은 비직선형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비직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봉투 통과슬릿(152a)의 양측 외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이격돌기(153)가 더 형성된다.
도 11과 같이, 다수의 이격돌기(153)가 형성되고 비직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 봉투 통과슬릿(152a)의 경우에는, 상단부에 묶는 날개가 있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와 같은 비닐봉투를 통과시키거나 지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의 경우에는 제1 실시예의 쓰레기통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달리 뚜껑(170, 도 1 참조)이 구비되지 않는다.
뚜껑(17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쓰레기통이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다만, 뚜껑(17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면, 단위비닐봉투(1)의 상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비닐봉투 걸림부(111a)의 구조가 제1 실시예와는 달라야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몸체(110)에 형성되는 비닐봉투 걸림부(111a)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하부 영역으로 연장 형성된 덧살부(11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단위비닐봉투(1)의 상부 영역은 비닐봉투 걸림부(111a)의 상부 영역으로 늘어뜨린 후에 덧살부(115) 쪽에서 한 번 더 꼬아지면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위비닐봉투(1)의 상부 영역을 지지하더라도 그 동작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걸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3 실시예와 같이 뚜껑(170, 도 1 참조)이 없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도 14의 경우, 비닐봉투 걸림부(111b)는 단위비닐봉투(1a)의 상단부가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지그재그형 걸림홈(116)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위비닐봉투(1)의 상부 영역을 비닐봉투 걸림부(111a)의 상부 영역으로 늘어뜨린 후에 지그재그형 걸림홈(116)에서 단위비닐봉투(1)의 상단부가 꼬아지면서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몸체(110a)가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비닐봉투 보관함(130a) 및 뚜껑(170a) 모두가 사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15와 같은 구조를 갖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10a)에 대해 비닐봉투 보관함(130a)을 회전시킬 수는 없으므로, 걸림 후크(112a) 및 걸림부(132a)의 구조가 전술한 쓰레기통과는 상이하게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림 후크(112a)는 후크 형상으로, 걸림부(132a)는 홀(hole)의 형태로 마련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비닐봉투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비닐봉투 보관함에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20은 도 17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 역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각의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비닐봉투는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로 적용된다.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는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비닐봉투이다.
이러한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 역시 비닐봉투 보관함(130a)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는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의 장착(결합) 및 회전 구현을 위해, 샤프트(181)와 회전걸쇠(182)가 마련된다.
샤프트(181)는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의(3)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막대이고, 회전걸쇠(182)는 비닐봉투 보관함(130a)에 마련되며 샤프트(18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걸쇠(182)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그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에, 도 18과 같이,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의 내부에 샤프트(181)를 삽입하고,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3)의 양단부로 노출된 샤프트(181)의 양단부를 도 19의 화살표 방향대로 회전걸쇠(182)에 삽입함으로써 도 17 및 도 20과 같이 조립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방법대로 비닐봉투를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몸체에 대해 비닐봉투 보관함을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닐봉투 보관함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비닐봉투 지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1의 쓰레기통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지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비닐봉투 걸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비닐봉투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비닐봉투 보관함에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 17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11 : 비닐봉투 걸림부
130 : 비닐봉투 보관함 131 : 자리턱
150 : 비닐봉투 지지유닛 151 : 비닐봉투 지지판막
152 : 판막 고정형 플레이트 170 : 뚜껑
181 : 샤프트 182 : 회전걸쇠

Claims (17)

  1. 쓰레기의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외면의 상부 영역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비닐봉투 걸림부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교체형 비닐봉투가 배치되는 자리턱이 마련되는 비닐봉투 보관함; 및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로부터의 단위비닐봉투가 하나씩 통과되되 상기 단위비닐봉투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비닐봉투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비닐봉투 지지유닛은,
    상기 단위비닐봉투가 강제로 통과되거나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닐봉투 통과슬릿이 형성되는 비닐봉투 지지판막; 및
    상기 비닐봉투 지지판막과 결합되고 상기 비닐봉투 지지판막을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고정시키는 판막 고정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은 비직선형이며,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의 양측 외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이격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은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중 어느 하나에는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가지며 끝단이 하방으로 라운딩되어 구부러진 형태의 걸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는 각각 조립 맞춤형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마련되며,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 쪽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단위비닐봉투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삽입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투 걸림부는 상기 단위비닐봉투의 상단부가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지그재그형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비닐봉투가 상기 비닐봉투 통과슬릿과 나란하도록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은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는 적층식 교체형 비닐봉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비닐봉투는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롤식 교체형 비닐봉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및
    상기 비닐봉투 보관함에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쇠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30149A 2009-04-08 2009-04-08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KR10107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49A KR101079199B1 (ko) 2009-04-08 2009-04-08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49A KR101079199B1 (ko) 2009-04-08 2009-04-08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79A KR20100111779A (ko) 2010-10-18
KR101079199B1 true KR101079199B1 (ko) 2011-11-03

Family

ID=4313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49A KR101079199B1 (ko) 2009-04-08 2009-04-08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47Y1 (ko) * 2017-05-01 2019-02-18 이재석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055A (ko) 2015-01-23 2016-08-02 우희득 간편한 쓰레기통 및 비닐봉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구조물
KR20160106282A (ko) 2015-03-02 2016-09-12 우희득 쓰레기 수거가 편리한 쓰레기통
CN105292854B (zh) * 2015-11-18 2018-05-04 重庆跃发日用品有限公司 能够存放垃圾袋的垃圾桶
KR200487826Y1 (ko) * 2016-06-02 2018-11-09 유송희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KR102116804B1 (ko) * 2019-11-27 2020-05-29 김동현 진공포장 쓰레기통 헤드
CN111232477B (zh) * 2020-03-31 2021-04-06 合肥蓝优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桶的垃圾袋更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3A (ja) * 1999-02-26 2000-09-19 Meigen O ごみ箱
KR100868394B1 (ko) *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3A (ja) * 1999-02-26 2000-09-19 Meigen O ごみ箱
KR100868394B1 (ko) *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47Y1 (ko) * 2017-05-01 2019-02-18 이재석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79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199B1 (ko)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US9499337B2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ement without lid removal
RO109050B1 (ro) Container cu capac, din mase plastice
US9834376B1 (en) Closure components for securing a bag to a container
US20080184677A1 (en) Apparatus for Forming Waste Containing Packs
KR20110055933A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휴지통
US20110297017A1 (en) Compacting waste container
US20060078411A1 (en) Mountable refuse container
KR101556111B1 (ko) 종량제 봉투 거치형 휴지통
US7909200B1 (en) Wastebasket
US20120217242A1 (en) Vented trash receptacle
KR200452636Y1 (ko) 조립식 쓰레기통
JP6993053B2 (ja) 付け替え容器
CN105292854B (zh) 能够存放垃圾袋的垃圾桶
KR200434958Y1 (ko) 바닥 개방형 쓰레기통
KR200469467Y1 (ko) 중앙부가 개폐되는 쓰레기통
US2798637A (en) Liner and refuse receptacle
KR200414434Y1 (ko) 쓰레기 압착기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CN208054162U (zh) 挤压式环保垃圾桶
JPH0814307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KR200484052Y1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101095121B1 (ko) 압축쓰레기통
KR20090006490U (ko) 압축 가능한 밑이 없는 쓰레기통
JP2014198579A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