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394B1 -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394B1
KR100868394B1 KR1020070014771A KR20070014771A KR100868394B1 KR 100868394 B1 KR100868394 B1 KR 100868394B1 KR 1020070014771 A KR1020070014771 A KR 1020070014771A KR 20070014771 A KR20070014771 A KR 20070014771A KR 100868394 B1 KR100868394 B1 KR 10086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mber
container
wet tissue
cover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626A (ko
Inventor
김종천
진재승
류민경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3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 부재와,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뚜껑 부재는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덮개 부재는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용기 뚜껑 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덮개 부재의 자유단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용기 뚜껑 부재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누름부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용기 뚜껑 부재의 후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의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구조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탄성 구조체의 일부분은 덮개 부재의 수납부에 끼워지고, 탄성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은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진다. 덮개 부재의 돌출부가 누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면 돌출부와 누름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 구조체의 탄성력이 덮개 부재 및 용기 뚜껑 부재에 전달되어 덮개 부재가 개방된다.
물티슈 용기, 용기 본체, 용기 뚜껑 부재, 덮개 부재, 탄성 구조체, 고무 시 트

Description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Pop-Up Openable Wet Wipes Container}
도1은 종래의 물티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 물티슈 용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
도4는 용기 뚜껑 부재가 개방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
도5는 덮개 부재를 개방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덮개 부재 및 누름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에 설치되는 탄성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에 설치되는 탄성 구조체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만으로 원터치 개방이 가능하면서도 수분이 함유된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 용기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물티슈를 내장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뚜껑 부재의 상면에는 물티슈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대체로 인출구는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다. 물티슈 용기의 용기 본체에는 물티슈가 서로 한장씩 포개어진 상태로 내장되어 한 장의 물티슈를 용기 뚜껑 부재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는 경우에는 다음 장의 물티슈가 함께 인출되는 도중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된다. 다음으로, 다시 물티슈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되어 있는 물티슈를 인출하면, 그 다음 장의 물티슈가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에 걸려 다시 정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티슈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에 형성된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 수분이 증발해 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물티슈를 사용하여 유아의 피부를 닦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유아를 한 손으로 유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만 물티슈 용기로부터 물티슈를 인출하여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서는 물티슈 용기의 덮개 부재를 한 손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물티슈 용기의 덮개 부재의 일단부가 용기 뚜껑 부재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힌지부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 스트립 또는 탄성 스프링이 배치된다. 덮개 부재의 타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덮개 부재의 돌출부는 용기 뚜껑 부재에 형성된 누름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 덮개 부재의 돌출부가 용기 뚜껑 부재의 누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누름부를 누르면, 덮개 부재의 돌출부와 누름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 사이의 힌지부에 배치된 고무 탄성 스트립 또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 부재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물티슈 용기로부터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1은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의 힌지부에 탄성 고무 스트립이 배치된 종래의 물티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물티슈 용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탄성 고무 스트립(53)은 덮개 부 재(52)와 용기 뚜껑 부재(51)에 형성된 고정홈(55a, 55b)에 각각 끼워지고, 고무 스트립(53)의 대부분은 덮개 부재(52)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덮개 부재(52)가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는 아무런 어려움 없이 외부에 노출된 고무 스트립(53)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고무 스트립(53)을 건드리는 경우에는 고무 스트립(53)이 덮개 부재(52) 또는 용기 뚜껑 부재(51)의 고정홈(55a, 55b)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스트립(53)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면,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된 덮개 부재(52)가 용기 뚜껑 부재(51)에 대해 완전히 폐쇄될 수 없다. 또한, 다시 덮개 부재(52)를 개방하기 위해 누름부(54)를 누르더라도, 고무 스트립의 탄성력이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 사이의 힌지부로 전달되지 않아서 덮개 부재(52)가 적절히 개방되지 못한다. 이 경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해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덮개 부재의 용기 뚜껑 부재의 힌지부에 탄성 스프링을 배치한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서도 유사하게 발생한다.
한편, 물티슈 용기의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의 힌지부에 고무 스트립이 아닌 금속 재료로 형성된 탄성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서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 사이의 힌지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은 덮개 부재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금속재 스프링은 외부 공기와 쉽게 접촉할 수 있고, 용기 본체에 내장된 물티슈로부터 부분적으로 배출되는 수분에도 쉽게 노출된다. 이에 따라, 금속재 스프링이 쉽게 녹슬게 되고, 물티슈를 인출구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물티슈가 외부에 노출된 금속재 스프링과 접촉하여 사용 전에 물티슈가 이미 오염되어 버릴 수 있다.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서는 용기 뚜껑 부재에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인출구를 형성하였다. 이 경우, 덮개 부재의 돌출부를 용기 뚜껑 부재의 누름부에 결합하여 인출구를 폐쇄하더라도 외부 공기가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스며 들어가 인출구를 통해 물티슈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티슈 용기 내부에 배치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해 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출구를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인출구의 폭을 좁게 형성하거나 인출구의 크기를 매우 작게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인출구를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 용기 뚜껑 부재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물티슈를 인출할 때 물티슈가 인출구의 에지부에 걸려 찢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개방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탄성 구조체가 본래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는 물티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 인출시 물티슈와 탄성 구조체가 접촉하지 않는 물티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 용기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물티슈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 부재와,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뚜껑 부재는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덮개 부재는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용기 뚜껑 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덮개 부재의 자유단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용기 뚜껑 부재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누름부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용기 뚜껑 부재의 후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의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구조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탄성 구조체의 일부분은 덮개 부재의 수납부에 끼워지고, 탄성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은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진다. 덮개 부재의 돌출부가 누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면 돌출부와 누름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 구조체의 탄성력이 덮개 부재 및 용기 뚜껑 부재에 전달되어 덮개 부재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구조체는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끼워지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커버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제2 커버의 외면은 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안내 돌기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의 양 끝단은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각각 고정되고, 덮개 부재를 폐쇄하는 경우 제2 커버의 안내 돌기가 제1 커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가 편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구조체의 제1 커버의 단부 및 제2 커버의 단부는 각각 제1 고정 돌기 및 제2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제1 고정 돌기는 덮개 부재의 수납부 안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고, 제2 고정 돌기는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뚜껑 부재는 덮개 부재가 설치된 상면과, 이 상면의 둘레에 형성된 외주벽을 포함한다. 용기 뚜껑 부재의 외주벽의 일단부는 용기 본체와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외주벽의 타단부에는 손잡이부 및 돌기부가 형성된다. 용기 본체에는 용기 뚜껑 부재의 외주벽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뚜껑 부재는 제1면과, 제1면보다 낮은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 및 제2면은 둘레 벽부에 의해 연결된다. 덮개 부재에는 둘레 벽부와 결합하는 외주벽이 형성되고, 외주벽 안쪽에 내주벽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뚜껑 부재의 인출구는, 용기 뚜껑 부재에 부착되는 인출 슬릿 및 위 인출 슬릿의 끝부분에 형성된 충격 분산용 구멍을 포함하는 고무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를 덮는 용기 뚜껑 부재(20) 및 용기 뚜껑 부재(20)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 부재(30)를 포함한다. 도4는 용기 뚜껑 부재가 개방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1)는 하면과 이로부터 연장하는 측벽(12)을 포함하고, 용기 뚜껑 부재(20)는 상면과 이로부터 연장하는 외주벽(29)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1)의 후방의 측벽(12)과 용기 뚜껑 부재(20)의 후방의 외주벽(29)은 용기본체 힌지부(15)를 통해 결합되고, 용기 본체(11)의 측벽(1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외주벽(29)에 의해 덮인다. 적층된 형태의 물티슈가 용기 본체(11)의 개구부를 통해 용기 본체(11) 내에 배치된다. 용기 뚜껑 부재(20)의 전방의 외주벽(29)에는 사용자가 쉽게 용기 뚜껑 부재(20)를 열 수 있도록 손잡이부(22)가 형성된다. 용기 뚜껑 부재(20)의 전방의 외주벽(29)의 중앙부에는 돌기부(23)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1)의 전방의 측벽(12)에는 이에 대응하는 홈(13)이 형성된다. 용기 본체(11) 내에 적층된 물티슈를 넣은 후 용기 뚜껑 부재(20)를 닫는 경우, 용기 뚜껑 부재(20)의 돌기부(23)가 용기 본체(11)의 홈(13)에 끼워맞춤된다. 용기 본체(11)에 내장된 물티슈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손잡이부(22)를 위로 젖혀 용기 뚜껑 부재(20)를 열고 다시 물티슈를 보충할 수 있다.
도5는 덮개 부재를 개방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덮개 부재(30)의 일단부(후방 단부)와 용기 뚜껑 부재(20)는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덮개 부재(30)는 용기 뚜껑 부재(20)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용기 뚜껑 부재(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면(24a)보다 낮은 제2면(24b)이 형성된다.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면(24a)과 제2면(24b)은 둘레 벽부(25)에 의해 연결된다.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면(24b)에 는 타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물결 모양의 인출 슬릿(27a)이 형성된 가요성 고무 시트(26)가 부착된다. 가요성 고무 시트(26)는 용기 뚜껑 부재의 제2면(24b)에 부착시킬 수도 있고, 제2면(24b)의 대향면(용기 뚜껑 부재의 하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용기 본체(11)에 내장되는 물티슈는 한장씩 서로 겹쳐서 적층되기 때문에, 고무 시트(26)에 형성된 인출 슬릿(27a)으로 한 장의 물티슈를 인출하게 되면 다음 장의 물티슈가 함께 이동하여 인출 슬릿(27a)에 걸쳐 정지된다. 이에 따라, 다음 장의 물티슈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덮개 부재(30)에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면(24a) 및 제2면(24b) 사이에 형성된 둘레 벽부(25)에 맞물려지는 외주벽(33)이 형성된다. 덮개 부재(30)를 닫는 경우 덮개 부재(30)의 외주벽(33)은 용기 뚜껑 부재(20)의 둘레 벽부(25)에 맞물리고, 덮개 부재(30)의 상면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면(2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에 놓이게 된다.
덮개 부재(30)의 자유단, 즉, 전방의 외주벽(33)은 돌출부(31)가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다. 덮개 부재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누름부(21)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면(24a)에 설치되고, 덮개 부재(30)의 돌출부(31)를 용기 뚜껑 부재(20)에 설치된 누름부(21)에 결합함으로써 덮개 부재(30)가 용기 뚜껑 부재(20)에 대해 폐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누름부(21)가 별도로 제조되어 용기 뚜껑 부재(2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누름부를 설치하지 않고 덮개 부재(30)의 돌출부(31)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해당 부위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덮개 부재(30)의 외주벽(33)의 안쪽에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면(24b)에 형성되는 타원형 개구에 대응되는 내주벽(36)이 형성된다. 내주벽(36)은 덮개 부재(30)의 내측 표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면(24b)에 형성된 개구와 마찬가지로 타원형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 부재에 형성된 외주벽(33)과 내주벽(36)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시트(26)의 인출 슬릿에 정지된 물티슈 또는 용기 본체(11)에 내장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덮개 부재 및 누름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용기 뚜껑 부재(20)의 후방에는 각각 좌측과 우측에 제1 및 제2 삽입부(28)가 덮개 부재의 힌지부를 향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덮개 부재(30)의 후방 단부에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형성된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30)의 좌측의 제1 힌지부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 삽입부(28)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기부(34)이고, 덮개 부재(30)의 우측의 제2 힌지부는 제2 삽입부(28)에 대응하는 수납부(35)을 구비한다. 탄성 구조체(40)가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에 끼워지고, 탄성 구조체(40)의 고정 돌기(47; 도12 참조)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워진다. 탄성 구조체(40)의 고정 돌기(47)는 제1 힌지부의 원통형 돌기부(34)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덮개 부재(30)의 제1 힌지부(원통형 돌기부)는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 삽입부(28)에 삽입되고, 덮개 부재의 제2 힌지부의 수납부(35)에 끼워진 탄성 구조체(40)의 고정 돌기(47)가 용기 뚜껑 부재의 제2 삽입부(28)에 삽입된다. 즉, 탄성 구조체(40)의 일부는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에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고정 돌기)이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워진다. 이와 달리, 탄성 구조체(40)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워지고, 탄성 구조체(40)의 고정 돌기만이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에 끼워질 수도 있다.
덮개 부재(30)를 폐쇄하는 경우, 덮개 부재(30)의 전방의 외주벽(33)에 형성된 돌출부(31)가 누름부(21)에 결합되며, 용기 뚜껑 부재(20)와 덮개 부재(30)의 힌지부에 설치된 탄성 구조체(40)가 편의된다. 사용자가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누름부(21)를 누르면 덮개 부재(30)의 돌출부(31)와 누름부(21)의 결합이 해제되고,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워진 탄성 구조체(40)의 탄성력이 각각의 덮개 부재(30) 및 용기 뚜껑 부재(20)로 전달되어 덮개 부재(3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덮개 부재(30)를 개방하기 위해 한 손으로 용기 본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덮개 부재(30)를 개방할 필요 없이 용기 뚜껑 부재(20)에 설치된 누름부(21)를 누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덮개 부재(30)를 개방하여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30)가 개방된 상태에서 탄성 구조체(4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로 인해 생기는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 부재(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탄성 구조체(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탄성 구조체(40)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탄성 구조체(40)가 본래 배치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탄성 구조체(40)가 덮개 부재(30)의 좌측의 제2 힌지부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좌측의 제2 삽입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에 탄성 구조체를 설치하지 않고, 덮개 부재의 제1 힌지부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1 삽입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힌지부 양쪽에 탄성 구조체(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고무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물티슈 용기(10)의 용기 뚜껑 부재(20)에 형성된 타원형 개구에 부착되는 가요성 고무 시트(26)에는 물결 모양의 인출 슬릿(27a)이 형성된다. 또한, 인출 슬릿(27a)의 양 끝부분에는 충격 분산용 구멍(27b)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서는 소정을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용기 뚜껑 부재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인출구를 형성하거나 폭이 좁은 인출구를 형성했다. 이 경우, 덮개 부재를 폐쇄하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스며들어 인출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할 수 있다. 또한,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줄이기 위해 폭이 좁은 인출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물티슈 인출시 물티슈가 인출구의 에지부에 끼어 찢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적층된 물티슈를 물티슈 용기 내에 배치시키고 처음으로 물티슈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출구를 통해 물티슈 용기 안으로 손을 넣어 물티슈를 꺼내야 하지만, 용기 뚜껑 부재에 인출구가 형성된 경우, 특히 외부 공기의 유입을 줄 이기 위해 폭이 좁은 인출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이 충분히 물티슈 용기 내부로 진입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20)에 타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물결 모양의 인출 슬릿(27a) 및 구멍(27b)이 형성된 고무 시트(26)를 개구 주위에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물티슈 용기(10) 안으로 손을 넣어 물티슈를 꺼내는 경우에, 인출 슬릿(27a)을 따라 고무 시트(26)가 용기 안쪽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티슈 용기 내로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고무 시트(26)가 인출 슬릿(27a)을 따라 상당히 굴곡되더라도 인출 슬릿(27a)의 양 끝부분에는 고무 시트(26)의 변형으로 인한 충격을 분산하기 위한 구멍(27b)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무 시트(26)가 인출 슬릿(27a)의 끝부분에서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무 시트(26)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용기 뚜껑 부재(20)에 비해 변형이 쉬운 가요성 재질이기 때문에, 물티슈를 인출하는 경우 물티슈가 찢어질 염려가 없다.
물티슈가 인출 슬릿(27a)에 걸쳐 정지된 경우에 고무 시트(26) 자체의 탄성에 의해 고무 시트(26)와 물티슈가 충분히 밀착된다. 또한, 물티슈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티슈를 물티슈 용기(10) 내부로 다시 집어넣을 수 있는데, 이 때, 고무 시트(26)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물티슈의 인출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이와 같이, 물티슈가 인출 슬릿(27a)에 걸쳐 정지된 경우 또는 인출 슬릿(27a)에 물티슈가 없는 경우에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한 단절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물티슈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덮개 부재(30)의 외주벽(33) 및 내주벽(36)에 의해 외부 공기가 물티슈 용기(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더하여, 고무 시트(26)에 의해서도 외부 공기의 유입이 추가로 방지된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인출 슬릿(27a)은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 슬릿(27a)의 끝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충격 분산용 구멍(27b)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인출 슬릿이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2개(도10) 또는 3개(도1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슬릿이 형성되며, 인출 슬릿의 끝부분에 충격 분산용 구멍(27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인출 슬릿은 앞서 설명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에 설치되는 탄성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3은 위 탄성 구조체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2및 도13을 참조하면, 탄성 구조체(40)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 코일 스프링(45)이 내장되는 원통형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로 구성된다. 제2 커버(42)는 제1 커버(41)에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45)의 양끝단은 각각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에 고정된다. 코일 스프링(45)은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내장되기 때문에 쉽게 녹슬거나 부식되지 않는다. 제1 커버(41)에는 안내홈(44)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제1 고정돌기(46)가 형성된다. 제2 커버(42)의 외면에는 안내 돌기(43)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 제2 고정돌기(47)가 형성된다. 탄성 구조 체(40)를 덮개 부재(30)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 및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우는 경우에, 제1 커버(41)의 제1 고정돌기(46)는 덮개 부재(30)의 수납부(35) 안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고 제2 커버(42)의 제2 고정 돌기(47)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제2 삽입부(28)에 끼워져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가 덮개 부재(30) 및 용기 뚜껑 부재(20)에 대해 고정된다. 덮개 부재(30)의 폐쇄를 위해, 덮개 부재(30)가 용기 뚜껑 부재(20)에 대해 선회함에 따라 제2 커버(42)가 제1 커버(41)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탄성 구조체(40)의 제2 커버(42)에 형성된 안내 돌기(43)가 제1 커버(41)의 안내홈(44)을 따라 이동하면서 코일 스프링(45)이 편의된다. 덮개 부재(30)의 돌출부(31)가 용기 뚜껑 부재(20)의 누름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름부(21)를 눌러 돌출부(31)와 누름부(21)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코일 스프링(45)의 편의로 인해 생성된 탄성력이 덮개 부재(30)의 힌지부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힌지부로 전달되어 덮개 부재(30)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탄성 구조체(40)는 덮개 부재(30)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힌지부에 형성된 수납부(35) 및 삽입부(28)에 삽입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30)가 개방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구조체(40)의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 없이 코일 스프링(45)만을 덮개 부재(30)와 용기 뚜껑 부재(20)의 힌지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45)이 덮개 부재(30)의 힌지부에 형성된 돌기부(34)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탄성 구조체(40)의 제1 및 제2 커버(41, 42)에 코일 스프링(45)을 내장하는 대신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탄성 스트립이나 판 스프링 및 그 밖의 다른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에서는 탄성 구조체가 덮개 부재와 용기 뚜껑 부재의 힌지부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탄성 구조체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탄성 구조체를 건드려 탄성 구조체가 본래 설치 위치에서 이탈됨으로써 덮개 부재가 원활히 개방 및 폐쇄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러 다양한 형상의 인출 슬릿 및 충격 분산용 구멍이 형성된 고무 시트를 용기 뚜껑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물티슈 용기 내부로 접근할 수 있으며, 물티슈의 인출시 물티슈가 찢어지지 않는다. 또한, 고무 시트가 변형 및 굴곡되더라도 고무 시트가 찢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이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 뚜껑 부재와,
    상기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용기 뚜껑 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자유단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 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덮개 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구조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일부분은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수납부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상기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지며,
    상기 덮개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누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돌출부와 누름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탄성력이 상기 덮개 부재 및 용기 뚜껑 부재에 전달되어 덮개 부재가 개방되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체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끼워지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외면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안내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양 끝단은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덮개 부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의 안내 돌기가 상기 제1 커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가 편의되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체의 제1 커버의 단부 및 제2 커버의 단부는 각각 제1 고정 돌기 및 제2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수납부 안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상기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지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 부재는 덮개 부재가 설치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에 형성된 외주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벽의 일단부는 용기 본체와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주벽의 타단부에는 손잡이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외주벽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 부재는 제1면과, 제1면보다 낮은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제2면은 둘레 벽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둘레 벽부와 결합하는 외주벽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벽 안쪽에 내주벽이 형성되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인출구는, 용기 뚜껑 부재에 부착되는 인출 슬릿 및 상기 인출 슬릿의 끝부분에 형성된 충격 분산용 구멍을 포함하는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1020070014771A 2007-02-13 2007-02-13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10086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71A KR100868394B1 (ko) 2007-02-13 2007-02-13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71A KR100868394B1 (ko) 2007-02-13 2007-02-13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626A KR20080075626A (ko) 2008-08-19
KR100868394B1 true KR100868394B1 (ko) 2008-11-11

Family

ID=3987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771A KR100868394B1 (ko) 2007-02-13 2007-02-13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3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199B1 (ko) * 2009-04-08 2011-11-03 서돈식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KR200468993Y1 (ko) * 2013-05-07 2013-09-11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KR200473610Y1 (ko) 2014-02-10 2014-07-17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200479142Y1 (ko) 2015-06-25 2015-12-23 손은지 물티슈 케이스
KR20200000924A (ko) * 2018-06-26 2020-01-06 정규선 마스크 팩 케이스
USD912514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USD912513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83B1 (ko) * 2012-08-23 2014-05-20 김소중 개봉 확인용 물티슈용기
CN104269177B (zh) * 2014-09-22 2017-11-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70017222A (ko) 2015-08-06 2017-02-15 나노폴리(주) 물티슈 포장 필름팩에 탈부착가능한 팝업방식 물티슈 배출용 물티슈 캡
JP6510696B1 (ja) * 2018-03-05 2019-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914234B2 (ja) 2018-09-28 2021-08-04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73Y1 (ko)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씨앤씨 물티슈 용기
JP3182115B2 (ja) * 1997-05-31 2001-07-03 憲司 中村 容 器
JP2001245816A (ja) * 2000-03-06 2001-09-11 Taiki:Kk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0310016Y1 (ko) * 2003-01-17 2003-04-08 한울생약 주식회사 물티슈 케이스
KR100446221B1 (ko) * 2002-04-10 2004-08-30 우생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115B2 (ja) * 1997-05-31 2001-07-03 憲司 中村 容 器
KR200186773Y1 (ko)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씨앤씨 물티슈 용기
JP2001245816A (ja) * 2000-03-06 2001-09-11 Taiki:Kk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100446221B1 (ko) * 2002-04-10 2004-08-30 우생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200310016Y1 (ko) * 2003-01-17 2003-04-08 한울생약 주식회사 물티슈 케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199B1 (ko) * 2009-04-08 2011-11-03 서돈식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KR200468993Y1 (ko) * 2013-05-07 2013-09-11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WO2014181949A1 (ko) * 2013-05-07 2014-11-13 (주)텍셀바이오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KR200473610Y1 (ko) 2014-02-10 2014-07-17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200479142Y1 (ko) 2015-06-25 2015-12-23 손은지 물티슈 케이스
KR20200000924A (ko) * 2018-06-26 2020-01-06 정규선 마스크 팩 케이스
KR102074579B1 (ko) 2018-06-26 2020-02-06 정규선 마스크 팩 케이스
USD912514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USD912513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626A (ko) 200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94B1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JP3669758B2 (ja) 蓋装置
KR101228661B1 (ko) 티슈 반복 추출 용기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US10694630B2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KR20110095873A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TWI694042B (zh) 衛生用薄頁紙收納容器
EP3831743A1 (en) Household thin paper sheet storing container
US9272831B2 (en) Dispenser
GB2337041A (en) A container
KR20040078876A (ko) 웨트 시트 수납 용기
JP3775627B2 (ja) 容器
JP3962410B2 (ja) 蓋装置
JPH09298053A (ja) バッテリケース
CN209915833U (zh) 抽纸盒
JP3839763B2 (ja) 蓋装置
RU2780096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ытовой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JP7400352B2 (ja) 収納容器
CN113811236A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JP4921108B2 (ja) 保湿容器
CN114929596B (zh) 家庭用薄纸收纳容器
RU2775625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ытовой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KR200337066Y1 (ko) 물티슈 케이스
EP3907154A1 (en) Household tissue pap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