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73Y1 - 물티슈 용기 - Google Patents

물티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73Y1
KR200186773Y1 KR2020000002859U KR20000002859U KR200186773Y1 KR 200186773 Y1 KR200186773 Y1 KR 200186773Y1 KR 2020000002859 U KR2020000002859 U KR 2020000002859U KR 20000002859 U KR20000002859 U KR 20000002859U KR 200186773 Y1 KR200186773 Y1 KR 200186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outlet
protrusions
tissue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앤씨
Priority to KR202000000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인출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가 간극 사이에 용이하게 통과되어 지지되게 하는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티슈 용기{WET TISSUE CONTAINER}
본 고안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인출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가 간극 사이에 용이하게 통과되어 지지되게 하는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한 장씩 포개어져 적층 배치된 물티슈를 수납하는 물티슈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물티슈 용기는 물티슈를 내부에 수납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덮개에는 본체 내의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이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한 장씩 인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물티슈 용기 내에 수납된 물티슈는 덮개의 인출구로부터 한 장씩 인출된다.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인출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가 인출구에 걸려서 정지한다. 그 후, 인출구에 걸려 있는 물티슈가 인출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해서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런데, 물티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장씩 적층되어 있고, 한 장씩 접쳐진 물티슈가 번갈아 교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출구의 형상이 좌우 비대칭이라면, 물티슈가 인출구에 걸리는 상태가 달라지고, 물티슈 한 장씩의 인출력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좌우 대칭의 인출구를 갖는 물티슈 용기인데, 그 중 하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출구(1)는 그 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제 1 돌출부(2a,2b)와 타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제 1 돌출부(2a,2b)와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2 돌출부(3a,3b)가 설치되고, 대응하는 제 1 돌출부(2a,2b)와 제 2 돌출부(3a,3b) 사이에는 물티슈를 지지하는 간극(1a,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간극(1a,1b)은 물티슈의 접쳐진 부분의 길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티슈가 인출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도 함께 올라오면서 접쳐진 부분이 부풀어지며, 간극(1a,1b)의 폭보다 넓은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가 간극(1a,1b) 사이로 통과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티슈가 용이하게 통과되면서 지지되게 하는 물티슈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물티슈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 사이에 지지된 물티슈가 파형을 이루도록 하는 물티슈 용기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 모서리가 라운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출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티슈 용기 11 : 본체
13 : 인출구 13a,13b : 간극
14a,14b : 한 쌍의 제 1 돌출부 15a,15b : 한 쌍의 제 2 돌출부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물티슈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출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티슈 용기(10)는 물티슈를 수납하는 본체(11), 본체(11)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된 인출 덮개(12) 및 인출 덮개(12)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힌지부(21)가 일체로 성형된 개폐 덮개(20)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인출 덮개(12)에는 대략 중앙부에 인출구(13)가 형성된 박판(17)과, 박판(17)의 외측에 오목부(18)가 성형된 외측 프레임(19)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20)의 내면에는 인출구(13)를 밀폐하도록 오목부(18)와 끼워맞춤되는 볼록부(22)가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 박판(17)에 형성된 인출구(1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구(13)에는 인출구(1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물티슈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 다시 말하면 인출구(13)의 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제 1 돌출부(14a,14b)와, 인출구(13)의 타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 1 돌출부(14a,14b)와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2 돌출부(15a,15b)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돌출부(14a,14b)와 한 쌍의 제 2 돌출부(15a,15b)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의 양끝단의 사이,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14a)의 끝단과 제 2 돌출부(15a)의 끝단은 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며 돌출부(14a,14b)의 양끝단 사이에 간극(13a)이 형성되고, 제 1 돌출부(14b)의 끝단과 제 2 돌출부(15b)의 끝단은 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며 돌출부(14b,15b)의 양끝단 사이에 간극(13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진 간극(13a,13b)에 물티슈가 지지되고, 또한 제 1 돌출부(14a,14b) 및 제 2 돌출부(15a,15b)와 박판(17)의 인출구(13)외측의 가장자리(16a,16b) 사이에도 지지된다.
제 1 돌출부(14a,14b)의 끝단 모서리 및 제 2 돌출부(15a,15b)의 끝단 모서리는 라운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인출구(13)로부터 접쳐져 적층된 한 장의 물티슈를 손으로 잡아서 위쪽으로 끌어당긴다. 그 후, 연속해서 물티슈를 끌어당김으로써 두 번째의 물티슈도 첫 번째의 물티슈에 의해 끌어당겨진다. 이 때 간극(13a,13b)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인출되는 물티슈는 간극(13a) 및 간극(13b) 사이에서 파형, 즉 변형된 사인 곡선의 파형을 이루면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물티슈는 파형을 이루기 때문에, 다음에 위치하는 물티슈의 접쳐진 부분이 경사진 돌출부(14a,14b;15a,15b)의 끝단 중에서 먼저 닿는 부분과 나중에 닿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간극(13a) 및 간극(13b) 사이로 통과하고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물티슈 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물티슈 용기에 따르면, 물티슈가 항상 간극을 통과하고 지지되어, 물티슈의 인출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물티슈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티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 사이에 지지된 물티슈가 파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 모서리는 라운딩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KR2020000002859U 2000-02-02 2000-02-02 물티슈 용기 KR200186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59U KR200186773Y1 (ko) 2000-02-02 2000-02-02 물티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59U KR200186773Y1 (ko) 2000-02-02 2000-02-02 물티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73Y1 true KR200186773Y1 (ko) 2000-06-15

Family

ID=1964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859U KR200186773Y1 (ko) 2000-02-02 2000-02-02 물티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94B1 (ko) *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200486049Y1 (ko) 2016-12-06 2018-03-27 김도현 물티슈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94B1 (ko) *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200486049Y1 (ko) 2016-12-06 2018-03-27 김도현 물티슈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3117080A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паковки
RU2004113419A (ru) Твердая упаковк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RU2000126481A (ru) Жесткая пачка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SE9203323D0 (sv) Luftfilterelement
ATE303322T1 (de) Behälter für einen stapel von ineinandergefalteten papiertüchern
KR200186773Y1 (ko) 물티슈 용기
KR970706177A (ko) 재밀봉가능한 팩(resealable pack)
KR920001515A (ko) 테이프 카세트
USD469471S1 (en) Tamper proof label
ES2096496T3 (es) Envoltorio de lamina blanda.
USD378720S (en) Video cassette holder
CN215016624U (zh) 一种纸巾输出装置以及纸巾盒
JP4117697B2 (ja) 記録用媒体の収納ケース
JP2002166981A5 (ko)
DE60106561D1 (de) Etui zur aufnahme von tüchern
JP2002166981A (ja) 容 器
CN210012047U (zh) 一种有扣合限位结构三角形鞋子收纳盒
JPS586397Y2 (ja) テイシユペ−パ−容器の引出口の構造
JP4151201B2 (ja) シート状物収納容器
JP3073118U (ja) 収納ケース
JPH0221367Y2 (ko)
KR200298264Y1 (ko) 조립식 박스
EP0465146A1 (en) Package, particularly for sticks with cotton buds
JP2002075510A (ja) プラグ
KR200258422Y1 (ko)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