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42Y1 - 물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물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42Y1
KR200479142Y1 KR2020150004280U KR20150004280U KR200479142Y1 KR 200479142 Y1 KR200479142 Y1 KR 200479142Y1 KR 2020150004280 U KR2020150004280 U KR 2020150004280U KR 20150004280 U KR20150004280 U KR 20150004280U KR 200479142 Y1 KR200479142 Y1 KR 200479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opening
rim
slid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은지
Original Assignee
손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은지 filed Critical 손은지
Priority to KR2020150004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부를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물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에 물티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티슈 케이스 {Water tissue case}
본 고안은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를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물이 없는 곳에서도 위생적인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부직포 등으로 만들어 수분을 함유하는 젖은 상태로 공급함으로써, 물수건 대용으로나 유아들의 간이세척용 등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대부분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제거되지 않도록 비닐팩과 같은 케이스에 담겨서 출하되며, 사용 시에는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물티슈 배출구를 통하여 1장씩 뽑아 사용하게 된다. 이때, 물티슈 케이스는 배출구를 통해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덮개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7067호(2008.06.03 등록)는 물티슈포대용 밀폐덮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물티슈포대의 물티슈 인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장착된 플라스틱 개폐덮개에 있어서 개폐덮개 몸체의 프레임 내측 안쪽에 개폐덮개 사출시 동체사출 성형된 웨이브가 있는 격막테를 설치함과 아울러 뚜껑에도 동체사출 성형된 누름테를 설치하여 뚜껑을 닫았을 때 격막테의 반동탄성을 이용하여 누름테가 격막테와 밀착함으로써 물티슈의 수분 방출을 밀폐 할 수 있게 설계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8394호(2008.11.05 등록)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이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 뚜껑 부재와 상기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용기 뚜껑 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자유단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 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덮개 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구조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일부분은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수납부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용기 뚜껑 부재의 제1 및 제2 삽입부 중 상기 수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지며, 상기 덮개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누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돌출부와 누름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 구조체의 탄성력이 상기 덮개 부재 및 용기 뚜껑 부재에 전달되어 덮개 부재가 개방되는,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물티슈 케이스는, 배출구를 밀폐시켜 물티슈의 수분을 보존할 수는 있지만, 케이스와 덮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마다 덮개가 형성되어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70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68394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부를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물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에 물티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개폐부의 하면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보관시 상기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형지부재는,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하나씩 떼어내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형지부재는, 상기 접착제로부터 분리할 때 잡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개폐부의 테두리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 및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개폐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라인홈을 가지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밴드는,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를 삽입한 후에 압력을 가하면 반대쪽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수단;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개폐부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의 배출구 테두리 부분에 장착된 개폐부를 탈착하여 다른 케이스부의 배출구 테두리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케이스부에 개폐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생산비용의 절감 및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개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티슈 케이스(10)는, 케이스부(100), 개폐부(200), 탈부착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다수개의 물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보관된 물티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1)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부(100)는, 비닐, 합성수지재 등의 방수 효과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부(100) 내부에 적재된 물티슈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부(10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00)는,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어 보관 시에는 덮어서 수분이 증발되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고, 사용 시에는 열어서 물티슈를 꺼낼 수 있도록 배출구(101)를 개폐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200)는,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 시에는 탈부착부(300)를 통해 장착할 수 있으며, 탈착 시에는 탈부착부(300)를 통해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부(100) 내부에 적재된 물티슈를 모두 사용하면,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된 개폐부(200)를 탈착한 후에 다른 케이스부에 다시 장착하여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200)는, 배출구(10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힌지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부(300)는, 개폐부(200)를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300)는, 개폐부(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로 형성하여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탈부착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물티슈 케이스(10)는, 개폐부(200)를 탈부착부(300)를 통해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케이스부(100)의 배출구(101) 테두리 부분에 장착된 개폐부(200)를 탈착하여 다른 케이스부의 배출구 테두리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케이스부에 개폐부(20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생산비용의 절감 및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즉, 하나의 개폐부(200)만 있으면 다른 케이스부에 부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탈부착부(300)는, 이형지부재(310), 손잡이부재(320)를 포함한다.
이형지부재(310)는, 탈부착부(300)가 접착제로 형성된 경우, 개폐부(200)를 보관 시에 접착제가 다른 곳에 부착되거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형지부재(310)는,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하나씩 차례대로 떼어내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지부재(310)가 3개로 분리 형성된 경우에 먼저, 가장 안쪽에 형성된 첫 번째 이형지부재(310)를 떼어내어 배출구(101)의 테두리에 부착한다. 물티슈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탈부착부(300)를 배출구(101)의 테두리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케이스부의 배출구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접착제는 한번 접착한 후에는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두 번째로 형성된 이형지부재(310)를 떼어내어 첫 번째 부분과 함께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물티슈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탈부착부(300)를 배출구의 테두리로부터 분리하고, 세 번째로 형성된 이형지부재(310)를 떼어내어 첫 번째, 두 번째 이형지부재(310)가 형성된 위치의 접착제와 함께 접착시켜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재(320)는, 이형지부재(310)를 접착제로부터 분리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재(320)는, 이형지부재(310)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고 접착제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재(320)에는 접착제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바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탈부착부(300)는, 돌기(330), 고정홈(340)을 포함한다.
돌기(330)는, 개폐부(200)의 테두리 하부에 돌출 다수개로 형성되어 고정홈(340)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330)는,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330)는, 고정홈(34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홈(340)은, 돌기(330)에 대향하는 위치의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돌기(3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340)은, 개폐부(200)의 테두리 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330)를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340)은, 돌기(33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탈부착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부착부(300)는, 밴드(350)를 포함한다.
밴드(350)는, 개폐부(20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라인홈(351)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350)는,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라인홈(351)에 배출구(101)의 테두리를 삽입한 후에 압력을 가하면 반대쪽으로 휘어지면서 배출구(101)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350)는, 탄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개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슬라이드부재(21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재(21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배출구(101)를 개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21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210)는, 고정수단(211), 슬라이드 안내수단(212), 슬라이드수단(2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211)은,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11)은,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은, 고정수단(2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수단(213)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한다.
슬라이드수단(213)은,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배출구(101)를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드부재(210)는, 패턴부재(214), 슬라이드 고정부재(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재(214)는, 슬라이드부재(21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214)는, 슬라이드 고정부재(215)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슬라이드부재(21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215)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215)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에 형성되며, 패턴부재(214)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21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215)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슬라이드 안내수단(212)과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210)가 슬라이드 안내수단(2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214)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215)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물티슈 케이스
100 : 케이스부
101 : 배출구
200 : 개폐부
210 : 슬라이드부재
211 : 고정수단
212 : 슬라이드 안내수단
213 : 슬라이드수단
214 : 패턴부재
215 : 슬라이드 고정부재
300 : 탈부착부
310 : 이형지부재
320 : 손잡이부재
330 : 돌기
340 : 고정홈
350 : 밴드
351 : 라인홈

Claims (10)

  1. 물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에 물티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1)가 형성된 케이스부(100);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10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200); 및
    상기 개폐부(200)를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탈부착부(300)는, 상기 개폐부(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로 형성되어, 보관시 상기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부재(310)는,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하나씩 떼어내면서 사용하며,
    상기 개폐부(20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배출구(101)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21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10)는,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는 고정수단(211);
    상기 고정수단(2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수단(212);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배출구(101)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수단(213);
    상기 슬라이드부재(21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의 패턴부재(214);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212)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재(214)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고정부재(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부재(310)는,
    상기 접착제로부터 분리할 때 잡기 위한 손잡이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00)는,
    상기 개폐부(200)의 테두리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330); 및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3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홈(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00)는,
    상기 개폐부(20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라인홈(351)을 가지는 밴드(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350)는,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를 삽입한 후에 압력을 가하면 반대쪽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배출구(101)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KR2020150004280U 2015-06-25 2015-06-25 물티슈 케이스 KR200479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80U KR200479142Y1 (ko) 2015-06-25 2015-06-25 물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80U KR200479142Y1 (ko) 2015-06-25 2015-06-25 물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42Y1 true KR200479142Y1 (ko) 2015-12-23

Family

ID=5517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80U KR200479142Y1 (ko) 2015-06-25 2015-06-25 물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4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484A (ja) * 1995-08-04 1997-04-22 Yamada Chiyoe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H1170056A (ja) * 1997-08-29 1999-03-16 Kureshia:Kk 着脱自在蓋付ウェットティシュー包装袋
KR19990021999U (ko) * 1999-02-11 1999-06-25 최원석 종이면도기세트
KR100837067B1 (ko) 2007-03-16 2008-06-12 임장오 물티슈포대용 밀폐덮개
KR100868394B1 (ko)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20140045721A (ko) * 2012-10-09 2014-04-17 에이제이 주식회사 리필식 시트 패키지, 리필 카트리지용 리드 및 리필식 시트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484A (ja) * 1995-08-04 1997-04-22 Yamada Chiyoe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H1170056A (ja) * 1997-08-29 1999-03-16 Kureshia:Kk 着脱自在蓋付ウェットティシュー包装袋
KR19990021999U (ko) * 1999-02-11 1999-06-25 최원석 종이면도기세트
KR100868394B1 (ko)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100837067B1 (ko) 2007-03-16 2008-06-12 임장오 물티슈포대용 밀폐덮개
KR20140045721A (ko) * 2012-10-09 2014-04-17 에이제이 주식회사 리필식 시트 패키지, 리필 카트리지용 리드 및 리필식 시트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562B2 (en) Wet wipe packaging body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JP5905996B2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用蓋体及び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JP5512116B2 (ja) 開閉自在容器
KR200471314Y1 (ko)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KR20110091737A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US20160106273A1 (en) Wet wipe packaging body
KR200468993Y1 (ko)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JP2011025980A (ja) ウェットシート用包装体の蓋体
KR200473610Y1 (ko)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JP201111119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の取出口カバー
KR200479142Y1 (ko) 물티슈 케이스
KR101845623B1 (ko) 물티슈 용기용 인출브라켓
US20180184859A1 (en) Dispensing container
KR200487696Y1 (ko) 일회용봉투를 포함한 물티슈 케이스
JP4594431B1 (ja) 携行鞄
KR101193795B1 (ko) 물티슈용 비닐팩
KR200480270Y1 (ko) 물티슈 용기
JP3875376B2 (ja) 蓋装置
KR20170004352U (ko)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쓰레기통
JP4523202B2 (ja) 開閉自在容器
KR20130040323A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포장용기용 덮개
JP3685858B2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KR101645800B1 (ko) 물티슈 팩을 수용하기 위한 파우치
KR102418181B1 (ko) 밀폐유지기능을 갖는 물티슈 포장용기용 덮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