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66Y1 - 물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물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66Y1
KR200337066Y1 KR20-2003-0029738U KR20030029738U KR200337066Y1 KR 200337066 Y1 KR200337066 Y1 KR 200337066Y1 KR 20030029738 U KR20030029738 U KR 20030029738U KR 200337066 Y1 KR200337066 Y1 KR 200337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lid
cover
main body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균
Original Assignee
임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균 filed Critical 임태균
Priority to KR20-2003-0029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에 의하여 뚜껑과 연결되며, 상기 뚜껑의 하부면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결합편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는 보조덮개로 이루어지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 일측에 금속재질의 철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덮개의 상부면 적소에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뚜껑의 개폐가 편리하고,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케이스 내부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의 수량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물티슈 케이스{Case of wet tissue}
본 고안은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뚜껑의 개폐가 편리하며, 물티슈 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보다 간편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티슈, 두루마리 화장지 등의 티슈는 미용용, 세정용, 휴지용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티슈는 팝업구조로 티슈박스 내에 적층설치되고, 티슈박스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하여 한 장씩 개별 낱장으로 분리되어 간편하게 소비자에게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장지 등의 건조된 티슈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중에 오물 및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아 물기가 있는 수건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물로 씻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렇게 물기가 있는 수건으로 닦거나 물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티슈가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이 수분이 함유된 물티슈는 가정에서 신생아의 기저귀 교환시 또는 연약한 아기의 얼굴, 손, 발 등을 닦아주거나, 미용용, 세정용 등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용품 및 사무용품의 소독 및 청소에 사용되는 등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보다 광범위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티슈는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의 비닐포장팩 내부에 일정량이 수용되고, 인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인출구측에 접착성분이 부가된 접착부재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출구에 설치되는 접착부재를 탈거시키고, 인출구를 통하여 필요한 만큼의 물티슈를 뽑아서 사용한 다음 다시 접착부재로 인출구를 덮어 밀봉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물티슈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 및 먼지 등이 비닐포장팩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포장팩은 컴팩트한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지만, 비닐포장팩의 인출구를 덮는 접착부재가 잦은 탈착에 의하여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상실될 경우 비닐포장팩 내부에 수용되는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티슈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출구를 통하여 먼지나 이물질 등이 침투를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질의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일정량의 물티슈가 수용되고, 케이스의 상부에 인출구를 갖는 덮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덮개를 개방하고, 인출구를 통하여 필요한 만큼의 물티슈를 뽑아서 사용한 다음 다시 덮개를 덮어 밀봉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물티슈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케이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의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함에 있어서 수분이 함유된 물티슈가 건조되어 물티슈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덮개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아 개폐시 사용자의 무리한 힘의 부가로 인해 물티슈 케이스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거나, 바닥에 떨어진 상태에서 인출구를 통하여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침투하여 물티슈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팜업구조로 적층설치된 각각의 물티슈를 인출구를 통하여 한 장씩 개별 낱장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각각 연결적층된 물티슈의 연결 및 결합이 잘못되어 인출구를 통하여 한 장의 물티슈가 인출된 후에 뒤이어 또 다른 한장의 물티슈가 인출되지 않을 때 즉, 팝업구조로 상호 연결된 물티슈의 연결이 끊겨 한 장의 물티슈를 인출한 후 또 다른 한 장의 물티슈가 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물티슈 케이스의 내부에 손가락 및 기타 도구를 삽입하여 케이스 내부 하측에 적층구비되는 물티슈를 인출구의 외부로 꺼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뚜껑의 개폐가 편리하고,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케이스 내부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의 수량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물티슈 케이스, 3...물티슈,
10...본체, 11...수용공간,
13...판스프링, 15...조절판,
17...접착부재, 30...덮개,
31...단턱, 33...토출구,
50...보조덮개, 51...뚜껑,
53...철판, 54...자성체,
55...결합편, 56...결합홈,
57...고무패킹, 59...인출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에 의하여 뚜껑과 연결되며, 상기 뚜껑의 하부면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결합편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는 보조덮개로 이루어지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 일측에 금속재질의 철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덮개의 상부면 적소에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덮개의 중심측 적소에 삼지성형상의 인출구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탄성력이 내재된 판스프링이 상호교차하여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조절판이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물티슈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1)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본체(10)와 덮개(30)와 보조덮개(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물티슈(3)가 적층설치되기 위한 소정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물티슈(3)가 인출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 하측에는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탄성력이 내재된 판스프링(13)이 상호교차되게 각각 설치되는 판체형상의 조절판(15)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판(15)의 상부면에 물티슈(3)가 팝업형태로 적층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판(15)의 하부면에 탄성력이 내재된 판스프링(13)이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조절판(15)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조절판(1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다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1) 상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3)의 수분증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접착면이 구비되는 비닐재질의 접착부재(17)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재(17)는 물티슈 케이스(1)의 사용시 제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기 위하여 덮개(30)의 가장자리에는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와 끼움결합되도록 하향돌출되는 단턱(31)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31)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덮개(30)가 밀착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의 상부면 중심측 적소에는 수용공간(11) 내에 적층설치된 물티슈(3)를 외부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3)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33)가 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30)의 상부에는 보조덮개(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덮개(50)는 하부테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으로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진 뚜껑(51)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51)의 하부 일측에는 금속재질의 철판(53)이 구비되고, 상기 철판(53)과 대응되는 위치의 보조덮개(50)의 상부면 적소에는 자력이 구비되는 자성체(54)가 구비된다. 상기 철판(53)과 자성체(54)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뚜껑(51)이 보조덮개(50)와 상호 밀착결합될 뿐만 아니라, 뚜껑(51)과 보조덮개(50)의 개폐가 용이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51)과 보조덮개(50)의 전면부에철판(53)과 자성체(5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뚜껑(51)과 보조덮개(50)의 좌, 우측 소정위치에 철판(53)과 자성체(54)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51)의 하부 일측에 철판(53)이 구비되고, 상기 철판(53)과 대응되는 위치의 보조덮개(50) 상부면 적소에 자성체(54)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뚜껑(51)에 자성체(54)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덮개(50)에 철판(53)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뚜껑(51)의 하부 일측과 상기 보조덮개(50)의 상부면 적소에 자성체(54)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뚜껑(51)의 하부면 가장자리 적소에는 하향돌출되는 결합편(55)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조덮개(50)의 상부에는 결합홈(5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6)과 상기 결합편(55)은 상호 끼움결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56)은 상기 결합편(55)과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편(5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56)에는 상기 결합편(55)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밀봉 및 밀폐를 담당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질의 고무패킹(57)이 연장구비되며, 상기 고무패킹(57)에 의하여 상기 뚜껑(51)을 닫은 상태 즉, 상기 결합편(55)을 결합홈(56)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용공간(11) 및 뚜껑(51)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됨으로써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 등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3)의 수분 증발의 방지 및 물티슈(3)의 위생상태가 보존된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57)은 상기 보조덮개(50)에 뚜껑(51)을 덮을 때 상기뚜껑(51)을 상기 보조덮개(50)에 고정시켜주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무패킹(57)이 상기 결합홈(56)상에 연장형성되어 있으나,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덮개(50)의 중심측 적소에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적층구비되는 물티슈(3)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59)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구(59)는 상, 하부가 관통형성되는 삼지성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구(59)를 통한 물티슈(3)의 인출이 보다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조덮개(50)의 중심측에 삼지성형상으로 형성되는 인출구(59)는 상기 덮개(30)의 토출구(33)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팝업형태로 적층설치된 물티슈(3)가 상기 덮개(30)의 토출구(33)와 상기 보조덮개(50)의 인출구(59)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출구(59)가 삼지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와 조절판(15)과 덮개(30)와 보조덮개(50) 및 뚜껑(51)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1)의 수용공간(11)에 수분이 함유된 물티슈(3)가 내재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물티슈(3) 이외에 통상적인 화장지나 내프킨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때로는 손수건이나 물수건 등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물티슈 케이스(1)의 결합 및 사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30)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본체(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수용되는 물티슈의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상부에 접착설치되어 있는 접착부재(17)의 접착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1)에 팝업형태로 적층설치되는 물티슈(3) 중 최상부에 구비되는 한 장의 물티슈(3)를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토출구(33)를 통하여 그 하부에서 상부로 토출한 다음 상기 보조덮개(50)에 형성되는 삼지성형상의 인출구(59)를 통하여 그 하부에서 상부로 인출하여 일정 부분만 인출구(59)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덮개(30)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덮개(30)의 상부면에 보조덮개(50)를 부착시킨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30)와 보조덮개(50)가 결합가능하게 각각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조덮개(50)의 하부에 접착성분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30)의 상부면에 보조덮개(50)를 부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덮개(30)와 보조덮개(5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 및 설치된 물티슈 케이스(1)에서 물티슈(3)의 인출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보조덮개(50)에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으로 연결된 뚜껑(51)을 개방시킨다. 즉, 상기 뚜껑(51)의 하부 일측과 보조덮개(50)의 상부면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철판(53)과 자성체(54)의 자력을 해제하여 뚜껑(51)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삼지성형상의 인출구(59) 외측으로 노출되는 몰티슈(3)를 인출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는 물티슈(3)는 상호 연속적으로 겹쳐지는 팝업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인출구(59)를 통하여 한 장의 물티슈(3)를 인출하면 선 인출된 물티슈(3)에 이끌려 한 장씩 개별 낱장으로 분리되면서 연속적으로 인출구(59)의 외부로 인출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판(15)과 상기 조절판(15)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력이 내재된 판스프링(13)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3)의 위치가 가변된다. 즉, 사용자가 인출구(59)를 통하여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는 물티슈(3)를 계속적으로 인출하게 되면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는 물티슈(3)의 수량이 감소되고, 물티슈(3)의 수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그 중량이 감소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판(15)이 판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13)의 탄성력 및 물티슈(3)의 중량 감소로 인해 조절판(15)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는 물티슈(3)가 인출구(59)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기 유리할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절판(15)의 상부에 적층내재되는 물티슈(3)는 항상 인출구(59)와 근접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인출구(59)를 통하여 물티슈(3)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한 후에는 보조덮개(50)에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으로 연결된 뚜껑(51)을 덮는다. 이때, 상기 뚜껑(51)과 보조덮개(50)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철판(53)과 자성체(54)에 의하여 상기 뚜껑(51)이 보조덮개(50)와 밀착결합되어 뚜껑(51)과 보조덮개(5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이 뚜껑(51)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한다.
한편, 자력에 의하여 상기 뚜껑(51)을 덮음과 동시에 뚜껑(5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편(55)과 상기 보조덮개(50)의 상부면 적소에 구비되는 결합홈(56)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56)상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질의 고무패킹(57)에 의하여 상기 뚜껑(51)의 내부가 밀봉 및 밀폐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3)의 수분 증발은 물론 인출구(59)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물티슈의 수분증발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물티슈 케이스(1)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물티슈(3)를 반복적으로 교체함으로써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면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뚜껑의 개폐가 편리하고,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케이스 내부에 적층설치되는 물티슈의 수량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피버트형 경첩에 의하여 뚜껑과 연결되며, 상기 뚜껑의 하부면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결합편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는 보조덮개로 이루어지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 일측에 금속재질의 철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덮개의 상부면 적소에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덮개의 중심측 적소에 삼지성형상의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탄성력이 내재된 판스프링이 상호교차하여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조절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KR20-2003-0029738U 2003-09-19 2003-09-19 물티슈 케이스 KR200337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38U KR200337066Y1 (ko) 2003-09-19 2003-09-19 물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38U KR200337066Y1 (ko) 2003-09-19 2003-09-19 물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66Y1 true KR200337066Y1 (ko) 2003-12-31

Family

ID=4934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38U KR200337066Y1 (ko) 2003-09-19 2003-09-19 물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05B1 (ko) * 2005-05-12 2009-08-14 하수용 물수건 공급 장치
WO2014097076A1 (en) * 2012-12-20 2014-06-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9125532B2 (en) 2012-12-20 2015-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US10435229B2 (en) 2012-12-20 2019-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lip-resistant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05B1 (ko) * 2005-05-12 2009-08-14 하수용 물수건 공급 장치
WO2014097076A1 (en) * 2012-12-20 2014-06-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9125532B2 (en) 2012-12-20 2015-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US9889963B2 (en) 2012-12-20 2018-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10435229B2 (en) 2012-12-20 2019-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lip-resistant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1918C (en) A flexible pouch and re-usable dispensing device
US7416083B2 (en) Container for housing wet sheet package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JP4943469B2 (ja) 髭剃り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または他の被貯蔵物品のための貯蔵装置
KR101623613B1 (ko) 개폐 가능한 용기
USD443451S1 (en) Container with flexible opening
AU750534B2 (en)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package
ZA200208457B (en)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article.
KR100868394B1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CZ20011585A3 (cs) Pouzdro na zvlhčené utírací ubrousky
KR101280064B1 (ko) 물티슈 용 포장팩
KR200337066Y1 (ko) 물티슈 케이스
KR200386184Y1 (ko) 물티슈 비닐팩 구조
IL156431A (en) Dispenser for hygienic paper products or the like
KR200448323Y1 (ko) 하나의 용기에 뚜껑이 이중으로 부착된 물티슈 케이스
KR0129524Y1 (ko) 물티슈 수납용기
RU2779328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ытовой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KR200273954Y1 (ko) 물티슈용 비닐팩
KR20140121084A (ko) 사무실용 물티슈 겸용 휴지케이스
RU2775625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ытовой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JP3685858B2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JPH066792Y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240039702A (ko) 분할 구조를 가지는 팝업 케이스
KR200183637Y1 (ko) 칫솔케이스
KR200450858Y1 (ko)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