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58Y1 -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58Y1
KR200450858Y1 KR2020080004478U KR20080004478U KR200450858Y1 KR 200450858 Y1 KR200450858 Y1 KR 200450858Y1 KR 2020080004478 U KR2020080004478 U KR 2020080004478U KR 20080004478 U KR20080004478 U KR 20080004478U KR 200450858 Y1 KR200450858 Y1 KR 200450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utton
wipes
wet tissue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259U (ko
Inventor
이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씨
Priority to KR2020080004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유아의 접촉에 의해 물티슈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뚜껑(10)을 닫을 때에는 뚜껑(10)에 마련된 이중 걸림턱(13a)(13b) 중 상부 걸림턱(13a)은 터널(12)의 상측 내면에 걸리고, 하측 걸림턱(13b)은 버튼(20)의 돌기(21)에 걸려 이중잠금에 의해 뚜껑(10)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뚜껑(10)을 개방할 때에는 버튼(20)을 터널(12)의 후방으로 후퇴시켜서 하측 걸림턱(13b)에 걸린 돌기(21)를 해제시킨 뒤 버튼(20)의 후미를 밑으로 누르면, 돌기(21)는 뚜껑(10)의 저면을 밀어올리는 작용에 의해 상측 걸림턱(13a)이 터널(12)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3)의 탄성에 의해 뚜껑이 개방된다. 본 고안의 물티슈 케이스는 부정확한 버튼조작에 의해서는 뚜껑(10)이 쉽게 열리지 않으므로 영/유아에게 안전하고, 또한 손에 묻은 오염물질이 물티슈 케이스와 물티슈에 접촉하지 않고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물티슈를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물티슈, 휴대용 물티슈, 물티슈 케이스, 물티슈 용기

Description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CASE OF DAMP TOWEL HAVING DUAL LOCK STEUCTURE}
본 고안은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에 의해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수분 및 소독약품 등이 포함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가정이나 야외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물티슈는 그 형태에 따라 비닐팩속에 소량의 물티슈를 포장하여 가방이나 핸드백에 넣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물티슈와 다량의 물티슈가 담긴 비치용 물티슈가 있다.
전술한 휴대용 물티슈는 비닐재질의 포장팩속에 수분을 함유한 적층형 물티슈가 포장되어 있고, 포장팩의 표면에 접착물질이 코팅된 필름형 덮개가 접착되어 있어, 필요시 필름형 덮개를 이형시킨 뒤 그 속에 포장된 물티슈를 꺼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몰론 사용후에는 물티슈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장팩속 으로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름형 덮개를 팩의 표면에 다시 접착시켜 포장팩을 밀봉시킨다.
한편, 전술한 용기타입의 물티슈는 많은 량의 물티슈가 담겨 있어 부피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하므로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병원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비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용기 타입의 물티슈는 용기의 상부에 뚜껑이 개폐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데, 물티슈를 사용할 경우에는 뚜껑을 열고 인출구에서 물티슈를 뽑아 쓰고, 사용 후에는 뚜껑을 닫아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그리고 용기속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뚜껑을 닫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외에도 휴대용 물티슈와 비치형 물티슈의 중간형태로서는 물티슈 용기부분은 방수재질의 비닐 포장팩으로 제조하고 뚜껑은 포장팩에 물리적으로 개폐가능한 뚜껑을 결합한 것도 개발되고 있다. 위와 같은 중간형 물티슈는, 비교적 많은 량의 물티슈가 포장되어 있으나 포장팩이 비닐소재로 제조되어 휴대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고, 포장팩에 부착된 뚜껑은 포장된 물티슈 모두를 사용하는 동안 뚜껑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휴대용 물티슈의 일 예는 국내 특허 제10-750069호 "물티슈용 비닐팩"(등록 : 2007. 08. 09)가 있고, 용기타입의 물티슈는 등록실용신안 제20-341779호 "물티슈 인출구조"가 있으며, 위 휴대용 물티슈와 용기형 물티슈의 혼합형 물티슈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22614호 "물티슈 케이스"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형 물티슈 혹은 휴대 및 비치용 물티슈의 혼합형태의 물 티슈는 위 종래기술의 해당공보의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뚜껑을 열고 닫을 때, 한 손은 용기(포장팩 포함)를 잡고, 나머지 한 손은 뚜껑을 잡고 뚜껑을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취급시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 이외도 물티슈는 손이나 얼굴 의류 등에 묻은 오염물질을 닦기 위해 사용되므로 물티슈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이미 오염된 상태에서 물티슈 용기나 뚜껑을 취급하게 되므로 오염원이 용기나 뚜껑 혹은 물티슈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티슈 용기나 뚜껑에 오염물질이 최대한 묻지 않도록 주의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물티슈 케이스는 대부분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위생적인 면에서도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 왔다.
또한 물티슈에는 수분과 소독약품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유아나 물티슈를 뽑아 입에 넣지 않도록 뚜껑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유아에 의해 물티슈 케이스 뚜껑이 쉽게 개방할 수 없도록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에 대한 구현수단은,
케이싱(1a)내에 적층형 물티슈가 수납되고, 수납된 물티슈를 낱장씩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11a)가 마련된 티슈 인출공간(11)을 갖추고, 상기 케이싱(1a)의 일측에 스프링(3)에 의해 개방되도록 탄성이 내재되고, 상기 티슈 인출공간(11)을 커버하는 뚜껑(10)을 갖춘 물티슈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a)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1)의 표면에 상기 티슈 인출공간(11)과 연결되는 터널(12)과, 측벽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장공(6)이 마련된 안착부(5)가 형성되며,
선단에는 상기 터널(12)에 삽입되는 돌기(21)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상기 장공(6)에 삽입되는 핀(22)이 형성되며, 전후 높이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20)이 상기 안착부에 조립되며,
상기 뚜껑(10)에는 터널(12)의 내면 상측에 걸어지는 상측 걸림턱(13a)과 상기 돌기(21)에 걸리는 하측 걸림턱(13b)이 이중으로 형성되는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는 뚜껑을 닫았을 때, 상측 걸림턱은 터널의 상측 내면에, 하측 걸림턱은 버튼의 돌기에 각각 이중으로 걸리면서 뚜껑이 닫힘상태로 유지되고, 뚜껑을 개방할 때에는 버튼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면서 밑으로 눌러야만 뚜껑이 개방되므로 뚜껑의 열기 위한 정확한 버튼조작이 어려운 영/ 유아의 단순 터치만으로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영/유아의 부정확한 버튼조작에 의해서는 물티슈 뚜껑이 열리지 않으므로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고, 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물티슈의 뚜껑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에 대한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물티슈 케이스이고, 10은 물티슈 케이싱(1a) 뚜껑이며, 20은 뚜껑을 개방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30은 케이스 바닥캡이다.
물티슈 케이스(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된 물티슈가 수납되는 케이싱(1a)과 케이싱(1a)의 하단에 핑거(finger) 결합에 의해 조립된 바닥 캡(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A, B 및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6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마련된 이중 걸림턱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개폐용 버튼의 평면도 및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는데, 케이싱(1a)의 상부에는 티슈 인출공간(11)을 덮고, 힌지축(12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뚜껑(10)과, 뚜껑(10)을 개방하기 위한 버튼(20)이 마련되어 있다.
뚜껑(10)의 하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40)를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도록 칼로 절개한 인출구(11a)와 인출되는 물티슈와 함께 딸려나오는 물티 슈를 보호하기 위한 티슈 인출공간(11)이 마련되어 있다.
티슈 인출공간(11)은 케이싱(1a)의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인출구(11a) 밖으로 노출된 물티슈가 건조해지거나 먼지나 기타 오염원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고, 사용시 즉시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도록 사용의 편의를 의한 공간으로 뚜껑(1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뚜껑(10)은 PE 재질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경도가 낮고 연질이며, 표면이 비교적 부드러운 질감을 지닌다. 상기 뚜껑(10)은 케이싱(1a)에 마련된 축공(2)에 피봇되는 힌지축(12a)이 결합되어 있어 뚜껑(10)이 축공(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이 결합되어 스프링(3)의 일단은 뚜껑(10)의 저면에, 타단은 케이싱(1a)에 접해져 뚜껑(10)이 항시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뚜껑(10)의 힌지축(12a)의 반대쪽 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 인출공간(11)에 마련된 터널(12)에 걸림되는 이중 걸림턱(13a)(13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중 걸림턱(13a)(13b)중 상측 걸림턱(13a)은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고, 하측 걸림턱(13b)은 이격된 상측 걸림턱 사이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 걸림턱(13a)(13b)은 뚜껑(10)을 닫았을 때, 터널(12)내의 위치하되, 상측 걸림턱(13a)은 터널(12)의 내측 상면에 걸리고, 하측 걸림턱(13b)는 버튼(20)의 돌기(21)에 걸리면서 뚜껑(10)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버튼(20)은 케이싱(1a)의 상부표면에 버튼 안착부(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그리고 버튼(20)의 중심(도 6b의 참조번호 P지점)을 기준으로 그 번튼의 앞뒤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안착부(5)에 조립되어 있다.
버튼(20)의 선단부에는 상기 터널(12)속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기(2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좌우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핀(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핀(22)은 안착부(5)의 측벽에 대칭적으로 마련된 장공(6)에 삽입되어 버튼(2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버튼(20)의 앞쪽(T2)과 뒤쪽(T1)의 높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T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제작되어 양측의 높이차(T1-T2)에 의해 버튼(20)이 시이소와 같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한 바닥 캡(30)은 연질 소재로 제작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면을 따라 케이싱(1a)의 하단부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통(31)이 마련되어 있다 바닥 캡(30)은 케이스속에 물티슈를 리필할 때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물티슈 케이스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케이스에 뚜껑이 닫힌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뚜껑(10)를 닫았을 때 터널(12)내에 이중 걸림턱(13a, 13b)이 삽입되면 뚜껑(10)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데, 상측 걸림턱(13a)은 터널의 내면 상측에 걸리고, 하측 걸림턱(13b)은 버튼(20)의 돌기(21) 밑에 위치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뚜껑(10)이 닫힌 상태에서는 이중 걸림턱(13a)(13b)은 각각 터 널(12)의 내부 상측과, 버튼(20)의 돌기(21)에 의해 걸리면서 뚜껑(10)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만일 뚜껑(10)을 개방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을 터널(12)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터널(12)속으로 삽입된 돌기(2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되면서 하측 걸림턱(13b)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버튼(20)의 후방을 밑으로 누르면, 버튼(20)은 피봇점(P, 도 6b 참조)을 중심으로 돌기(21)가 상승하면서 뚜껑(10)의 저면을 밀어 올린다.
따라서, 뚜껑(10)은 상측 걸림턱(13a)이 터널(12)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뚜껑(10)이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는 버튼을 뒤로 후퇴시킨 뒤 버튼의 후미를 밑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뚜껑이 개방되므로 이와 같은 버튼조작이 부정확한 영/유아의 버튼조작에 의해서는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으며, 또한 손에 오염물질이 묻어 있더라도 최소한의 접촉으로 물티슈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물티슈를 위생적으로 관리 및 사용할 수 있고, 사용면에서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마련된 이중 걸림턱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뚜껑을 닫은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뚜껑이 개방되는 초기상태를 예시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티슈 케이스 1a : 케이싱
2 : 축공 3 : 스프링
5 : 안착부 10 :뚜껑
11 : 티슈 인출공간 11a : 인출구
12 : 터널 12a : 힌지축
13a, 13b : 이중 걸림턱 20 : 버튼
21 : 돌기 22 : 핀
30 : 바닥캡 31 : 홈통
40 : 물티슈 T1 : 버튼의 뒤쪽 높이
T2 : 버튼의 앞쪽 높이

Claims (1)

  1. 케이싱(1a)내에 적층형 물티슈가 수납되고, 수납된 물티슈를 낱장씩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11a)가 마련된 티슈 인출공간(11)을 갖추고, 상기 케이싱(1a)의 일측에 스프링(3)에 의해 개방되도록 탄성이 내재되고, 상기 티슈 인출공간(11)을 커버하는 뚜껑(10)을 갖춘 물티슈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a)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1)의 표면에 상기 티슈 인출공간(11)과 연결되는 터널(12)과, 측벽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장공(6)이 마련된 안착부(5)가 형성되며, 선단에는 상기 터널(12)에 삽입되는 돌기(21)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상기 장공(6)에 삽입되는 핀(22)이 형성되며, 전후 높이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20)이 상기 안착부에 조립되며, 상기 뚜껑(10)에는 터널(12)의 내면 상측에 걸어지는 상측 걸림턱(13a)과 상기 돌기(21)에 걸리는 하측 걸림턱(13b)이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KR2020080004478U 2008-04-04 2008-04-04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KR200450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78U KR200450858Y1 (ko) 2008-04-04 2008-04-04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78U KR200450858Y1 (ko) 2008-04-04 2008-04-04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59U KR20090010259U (ko) 2009-10-08
KR200450858Y1 true KR200450858Y1 (ko) 2010-11-05

Family

ID=4153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78U KR200450858Y1 (ko) 2008-04-04 2008-04-04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5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77A (ja) 1997-12-08 1999-06-22 Zojirushi Corp 蓋付き容器のフック装置
KR200436955Y1 (ko) 2006-11-23 2007-10-19 김종원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77A (ja) 1997-12-08 1999-06-22 Zojirushi Corp 蓋付き容器のフック装置
KR200436955Y1 (ko) 2006-11-23 2007-10-19 김종원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59U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US5785179A (en) Container for wet wipes having an improved closure mechanism
WO2010151730A2 (en) Improved rodent bait station
KR200450858Y1 (ko) 이중 잠금구조를 지닌 물티슈 케이스
US20150021225A1 (en) Container for a pack of wet wipes
US8371764B2 (en) Handle sanitizer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AU2008296761A1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JP2013116753A (ja) ウェットシートの収納容器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JP4431206B2 (ja) 開閉自在容器
KR102013532B1 (ko) 구조 역학적 탄성력을 통한 포장팩 개폐구 자동 개방장치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JP2014105014A (ja) ロック機能付き容器
KR200246279Y1 (ko) 물티슈 겸용 분통
KR200337066Y1 (ko) 물티슈 케이스
KR20160086060A (ko) 발 매트
KR200478767Y1 (ko) 텀블러
JP2000238821A (ja) 飲料容器の蓋体
JP3645515B2 (ja) 弁当箱
KR101794513B1 (ko) 화장도구에 의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645800B1 (ko) 물티슈 팩을 수용하기 위한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