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05B1 - 물수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물수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05B1
KR100912205B1 KR1020050039642A KR20050039642A KR100912205B1 KR 100912205 B1 KR100912205 B1 KR 100912205B1 KR 1020050039642 A KR1020050039642 A KR 1020050039642A KR 20050039642 A KR20050039642 A KR 20050039642A KR 100912205 B1 KR100912205 B1 KR 10091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owel
supply
towel
wet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556A (ko
Inventor
하수용
Original Assignee
하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수용 filed Critical 하수용
Priority to KR102005003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26Mechanically-driven towel dispensers, e.g. with storing devices for soiled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물수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물수건을 마르지 않게 저장하여 살균하고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필요시 1개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문으로 된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물수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저장된 물수건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수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물수건을 마르지 않게 저장하여 살균하고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필요시 1개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수건, 살균, 광촉매, 자외선, 램프, 냉매수단.

Description

물수건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et Towel}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포장지에 쌓인 물수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물수건 공급 장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물수건 공급 장치 20 : 외통
22 : 덮개 24 : 자외선램프
30 : 내통 40 : 공급부
50 : 가이드부 60 : 냉매수단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물수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물수건을 마르지 않게 저장하여 살균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필요시 1개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수건은 식당 등의 유흥음식점에서 손님들이 손을 닦을 때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물수건은 물에 젖어 있으며 보냉된 상태이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포장지에 쌓인 물수건을 보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물수건(1)은 일회용 비닐포장(2)에 쌓여 음식점등에 배달되고 배달된 물수건(1)은 각각의 음식점에 구비된 냉장고에 차가운 상태로 보관된 후 손님들에게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가운 상태의 물수건을 사용하는 손님들은 시원함을 느끼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물수건은 음식점에 배달될 때 일정량만큼 배달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물수건이 냉장고의 일정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수건은 일회용 비닐포장에 포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물수건이 사용되고 난 후에는 비닐포장에 의해 쓰레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물수건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수건을 살균하면서 냉장 보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물수건을 1개씩 배출하여 냅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문으로 된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물수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저장된 물수건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수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는 그 저면에 상기 물수건을 멸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내통은 그 저면에 물수건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물수건이 공급되도록 그 저면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내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수건을 1개씩 공급할 수 있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는 물수건을 1개씩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수건이 상기 외통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되는 물수건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된 스토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와 외통 및 내통은 광촉매로 도포된다.
상기 외통은 상기 물수건이 차갑게 유지되도록 냉매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내통의 배출구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수건을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상기 공급 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힌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각각 배출구와 공급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된 공급 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상기 공급부재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재 상부 일단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물수건 공급 장치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 장치(10)는 크게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수건이 수용되는 내통(30)과, 상기 내통(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수건을 공급시킬 수 있는 공급부(40)와, 상기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물수건(11)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물수건 공급 장치(10)에 사용되는 물수건(11)은 그 길이가 원통형으로 말린 상태에서 12cm이고, 무개가 약 13~15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20)은 그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부는 덮개(22)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덮개(22)의 하부에는 물수건(11)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24)가 설치되며, 상기 외통(20)의 일 측에 형성된 토출구(28)를 개폐하는 토출문(2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22)와 토출구(28)의 둘레에는 각각 보습을 위해 고무패킹(21,23)이 설치된다.
상기 내통(30)은 그 저면에 물수건(11)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2)에 물수건(11)이 공급되도록 그 저면(34)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덮개(22)와 외통(20) 및 내통(30)의 내부는 광촉매로 도포되어 있어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공급부(40)는 회전축(42)이 내통(30)의 저면 외통(20)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2)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물수건(11)을 회전부재(44)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일단에는 외통(20)의 바깥에서 결합되는 손잡이(46)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44)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공급부(40)에 의해 공급된 물수건(11)이 상기 외통(2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52)과, 상기 경사판(52)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되는 물수건(11)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된 스토퍼(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20)에는 상기 내통(30)에 저장된 물수건(11)이 차갑게 유지되도록 냉매수단(6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물수건(11)을 공급하는 공급부(70)는 상기 내통(30)의 배출구(32)에 힌지(7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72)에 정회전하여 물수건(11)을 공급하도록 "」"형상으로 된 공급부재(74)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재(74)의 일 측에는 상기 공급부재(7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7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회전된 공급부재(74)를 역회전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78)가 힌지(72)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각각 배출구(32)와 공급부재(74)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재(74)의 상부 일단에는 배출구(32)에 공급된 물수건(11)의 다음에 오는 물수건(11)을 정지시킬 수 있는 돌기(7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물수건 공급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의 내부에 내통(30)을 수용시키고, 상기 내통(30)의 내부에 다수개의 물수건(11)을 저장한 후, 덮개(22)를 덮어 내통(30)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내통(30)에 저장된 물수건(11)은 상기 외통(20)과 내통(30)과 덮개(24)에 도포된 광촉매에 의해 항균 및 탈취되고, 상기 덮개(22)에 설치된 자외선램프(24)에 의해 멸균되며, 상기 외통(20)의 저면에 설치된 냉매수단(60)에 의해 차가운 상태를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통(20)의 외측에 구비된 손잡이(46)를 외통(20)의 전면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46)에 연결된 회전축(42)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42)에 설치된 회전부재(44)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4)에 형성된 홈(44a)에 물수건(11)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가이드부(50)에 전달된다.
상기 가이드부(50)에 공급된 물수건(11)은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판(52)에 의해 구름이동되면서 토출문(26)을 밀고 외통(20)의 외부로 토출되면서 스토퍼(54)에 의해 정지되게 된다.
상기 물수건(11)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었던 토출문(26)은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어 외통(20)의 토출구(28)를 폐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회전가이드부재(44)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멸균되고 차갑게 보관된 물수건(11)을 1개씩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물수건 공급 장치(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의 내부에 설치된 내통(30)에 다수개의 물수건(11)을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외통(20)의 외부에 구비된 샤프트(76)를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면 상기 샤프트(76)에 연결된 공급부재(74)가 힌지(72)를 축으로 하여 외통(20)의 전방부에 후방부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공급부재(74)에 놓여 있던 물수건(11)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공급부재(74)가 외통(20)의 후방부로 회전될 때 상기 공급부재(74)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75)는 공급된 물수건(11)의 다음에 오는 물수건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부재(74)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물수건(11)은 가이드부(50)에 전달되며, 상기 가이드부(50)에 공급된 물수건(11)은 경사판(52)에 의해 구름이동되면서 토출문(26)을 밀고 외통(20)의 외부로 토출되면서 스토퍼(54)에 의해 정지되게 된다.
상기 물수건(11)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었던 토출문(26)이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어, 외통(20)의 토출구(28)가 폐쇄된다.
상기 아래로 향한 샤프트(76)를 사용자가 놓게 되면 샤프트(76)는 상기 힌지(72)에 설치된 탄성부재(78)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샤프트(76)를 누를 때 마다 물수건(11)이 하나씩 공급됨으로 물수건(11)을 필요한 만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물수건 공급 장치는 다수개의 물수건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수건을 살균하면서 냉장 보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물수건을 1개씩 배출하여 냅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문으로 된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물수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저장된 물수건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수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내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수건을 공급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저면에 상기 물수건을 멸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그 저면에 물수건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물수건이 공급되도록 그 저면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원통의 외주 면에는 물수건을 1개씩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수건이 상기 외통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되는 물수건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된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외통 및 내통의 내부는 광촉매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물수건이 차갑게 유지되도록 냉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토출구는 수분증발을 방해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10.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문으로 된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물수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저장된 물수건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 공급되는 물수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부는 상기 내통의 배출구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수건을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상기 공급 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힌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각각 배출구와 공급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된 공급 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재 상부 일단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 장치.
KR1020050039642A 2005-05-12 2005-05-12 물수건 공급 장치 KR10091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42A KR100912205B1 (ko) 2005-05-12 2005-05-12 물수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42A KR100912205B1 (ko) 2005-05-12 2005-05-12 물수건 공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680U Division KR200374607Y1 (ko) 2004-10-20 2004-10-20 물수건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56A KR20060035556A (ko) 2006-04-26
KR100912205B1 true KR100912205B1 (ko) 2009-08-14

Family

ID=3714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642A KR100912205B1 (ko) 2005-05-12 2005-05-12 물수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72Y1 (ko) * 2022-01-25 2023-11-21 김희억 사우나용품 공급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37Y1 (ko) * 2001-06-21 2002-01-17 옌선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물티슈의 티슈원료와 그 제조장치
JP2002306362A (ja) * 2001-04-12 2002-10-22 Yen Sun Technology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94674A (ko) * 2001-06-12 2002-12-18 김재원 물수건 공급장치
KR200306777Y1 (ko) * 2002-12-11 2003-03-11 (주)이앤비코리아 위생용 칫솔걸이구
KR200331755Y1 (ko) * 2003-07-03 2003-11-01 김승호 즉석 물수건 제조 장치
KR200337066Y1 (ko) * 2003-09-19 2003-12-31 임태균 물티슈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362A (ja) * 2001-04-12 2002-10-22 Yen Sun Technology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94674A (ko) * 2001-06-12 2002-12-18 김재원 물수건 공급장치
KR200260937Y1 (ko) * 2001-06-21 2002-01-17 옌선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물티슈의 티슈원료와 그 제조장치
KR200306777Y1 (ko) * 2002-12-11 2003-03-11 (주)이앤비코리아 위생용 칫솔걸이구
KR200331755Y1 (ko) * 2003-07-03 2003-11-01 김승호 즉석 물수건 제조 장치
KR200337066Y1 (ko) * 2003-09-19 2003-12-31 임태균 물티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56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554B1 (ko) 젖은 수건과 마른 수건 디스펜서
US20140076916A1 (en) Toilet Paper Styled Wet Wipe Cartridge and Dispenser
US11180314B2 (en) Toilet paper holder and trash receptacle
KR101620492B1 (ko) 생리대 수거함
EP2114229B1 (en) Toilet brush and holder
EP2506748A1 (en) A dispenser for two different types of paper or nonwoven products
US7222747B1 (en) Multi-function sanitization system
US20020162848A1 (en) Wet toilet tissue dispenser combined with dry tissue roll
US20090066201A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Rolled Cleaning Wipes
KR100912205B1 (ko) 물수건 공급 장치
KR200374607Y1 (ko) 물수건 공급 장치
US20080135433A1 (en) Storage receptacle
CA2305110A1 (en) Dual toilet paper dispensing device
KR200403261Y1 (ko) 젓가락 배출기
KR200425321Y1 (ko) 수건보관함
KR200220690Y1 (ko) 칼,도마 살균건조기
KR200219938Y1 (ko)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KR100523533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KR102489010B1 (ko) 소독지 케이스
KR20020005518A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부설된 수저통
CN216970799U (zh) 一种具有粉碎杀菌功能的厨房用垃圾处理设备
KR20140006042U (ko) 칫솔 살균기
KR102587814B1 (ko) Uv 살균 기능성 타월장
KR20190001723U (ko) 칫솔 거치대
KR100529411B1 (ko) 신체청정용품 설치용 멀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