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72Y1 - 사우나용품 공급함 - Google Patents

사우나용품 공급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72Y1
KR200497472Y1 KR2020220000286U KR20220000286U KR200497472Y1 KR 200497472 Y1 KR200497472 Y1 KR 200497472Y1 KR 2020220000286 U KR2020220000286 U KR 2020220000286U KR 20220000286 U KR20220000286 U KR 20220000286U KR 200497472 Y1 KR200497472 Y1 KR 20049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na
storage box
supplies
outlet
tow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03U (ko
Inventor
김희억
Original Assignee
김희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억 filed Critical 김희억
Priority to KR202022000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7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Abstract

본 고안은 타올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저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구와 인출구를 제공하는 보관함체; 상기 보관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우나용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인출구로 쏠릴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유도판; 및 사우나용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우나용품 공급함{Dispenser Chamber For Necessities Of Sauna}
본 고안은 사우나용품 공급함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타올 등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에 관한 것이다.
목욕탕, 헬스클럽 등에는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우나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우나시설에서는 사용자에 대하여 타올이 제공된다.
한번 사용된 타올은 세탁 및 건조 후에 다시 공급되는데, 건조된 타올은 일정한 크기가 되도록 접어서 쌓아놓거나 아니면 접지 않더라도 일정하게 정렬하여 쌓아놓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인력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타올을 정리 및 공급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개입될 수도 있고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을 세탁 후, 사람의 손이 최소한으로 가해진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4624호과 같이 스팀타올 보관용 온장고가 제안되었지만, 이는 본 고안의 목적 내지 취지와는 상이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462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을 세탁한 다음, 사람의 손이 최소한으로 가해진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타올을 보관 및 공급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좀 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사우나용품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저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구와 인출구를 제공하는 보관함체;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우나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 상기 보관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우나용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인출구로 쏠릴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유도판;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살균을 위한 용도로 상기 보관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시창에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차단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출구는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판 하단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보관함체의 바닥판은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판으로부터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우나용품을 받칠 수 있는 연장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우나용품의 인출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인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판 내면에는 롤러봉이 축회전 가능하게끔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사유도판의 저부에는 오존살균기가 설치되며; 오존이 저장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유도판에는 확산공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청결을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 등에 의해 바이러스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일일이 타올을 정렬하거나 접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사우나용품 보관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우나용품 공급함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우나용품 공급함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사우나용품 공급함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우나용품 공급함의 롤러봉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되, 특히 필요한 곳에서는 특정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사우나용품 보관함은 보관함체(10), 경사유도판(16) 및 투시창(112)을 포함한다.
보관함체(10)는 사우나용품(M)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저장공간(S)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구와 인출구(111)를 제공한다. 보관함체(10)는 전면판(11), 측면판(12), 뒷판(13), 상판(14) 및 바닥판(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관함체(10)의 크기 역시 선택적 사항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결정하면 될 것이다.
상판(14)은 저장공간으로의 소통을 위한 개폐가능한 덮개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판(14)은 측면판(12), 뒷판 또는 프레임(미도시)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위로 들리면서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판(14)에는 손잡이(141)가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는 상판(14)을 열고 사우나용품(M)을 저장공간(S)에 투입할 수 있다.
보관함체의 뒷판(13) 역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내부공간으로 쉽게 접근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각 장치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관함체(10)는 바람직하게는 원목으로 제작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출구(111)는 보관함체의 전면판(11) 하단 중앙에 "" 형태로 절개함으로써 마련된다. 보관함체(10)는 다리체(20)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사용자에 의한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서이다.
보관함체의 바닥판(15)은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판(11)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됨으로써 인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사우나용품을 받칠 수 있는 연장받침대(151)를 제공한다.
경사유도판(16)이 보관함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경사유도판(16)은 사우나용품(M)이 자중에 의해 인출구로 쏠릴 수 있도록 인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경사유도판(16)의 상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주판알과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작은 롤러가 경사유도판(16)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경사유도판(16)은 측면판(12) 상에 고정됨으로써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저장공간(S)에 있는 사우나용품(M)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함체(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투시창(112)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면에 투시창(112)이 마련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우나용품(M)의 살균을 위한 용도로 보관함체(10)의 내부에 자외선램프(30)가 더 설치된다. 자외선램프(30)는 저장공간에 고르게 자외선(L)이 비칠 수 있도록 전면판(11) 또는 측면판(12)의 내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30)는 뒷판(13)이나 상판(14)을 개방할 때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투시창(112)에는 자외선(L)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차단필름이 부착(또는 코팅)될 수 있다.
보관함체(10)의 내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수단으로서 엘이디램프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함체(10)의 내부 공간으로서 경사유도판(16)의 저부에 있는 하부공간(T)에 오존살균기(40)가 설치될 수 있다. 오존(O3)을 이용한 살균작용을 위한 것이다. 발생된 오존이 저장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경사유도판(16)에는 다수의 확산공(161)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함체의 하부공간(T)에는 제습을 위한 제습장치(미도시됨)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사우나용품(M)의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건조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우나용품(M)의 인출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인출구(111)가 마련되어 있는 보관함체의 전면판(11) 내면에는 롤러봉(50)이 축회전 가능하게끔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롤러봉(50)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봉축(52)에 끼워짐으로써 도 4의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회전될 수 있다. 봉축(52)은 브래킷(53)에 의해 전면판(11)의 내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롤러봉(50)은 인출구(111)의 상부에서 구름운동함으로써 사우나용품(M)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사우나용품(M)을 잡아당길 때 회전하면서 쉽게 빠져나오도록 도울 수 있다.
롤러봉(50)의 표면에는 요철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우나용품(M)을 파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봉(50)의 표면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보관함체의 전면판(11) 또는 측면판(12)의 내면에는 저장공간(S)을 향해 복수 개의 이격봉(미도시됨)이 군데군데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이격봉은 도 4에 도시된 브래킷(53)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격봉은 적재된 사우나용품(M)의 사이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격봉은 매끄러운 금속봉으로서 10 ~ 30cm 의 길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티슈 또는 냅킨을 뽑아서 한장씩 사용하듯이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M)을 인출구(111)를 통해 도 3의 화살표(K) 방향으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탁과 건조를 마친 타올 등의 사우나용품(M)을 상판(14)을 열고서 무작위로 보관함체(10)의 저장공간(S)에 쏟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보관함체 11 : 전면판
12 : 측면판 13 : 뒷판
14 : 상판 15 : 바닥판
16 : 경사유도판 20 : 다리체
30 : 자외선램프 40 : 오존살균기
50 : 롤러봉 51 : 요철부
52 : 봉축 53 : 브래킷
111 : 인출구 112 : 투시창
141 : 손잡이 151 : 연장받침대
161 : 확산공
L : 자외선 M : 사우나용품
S : 저장공간 T : 하부공간

Claims (5)

  1. 타올과 같은 사우나용품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저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구와 인출구를 제공하는 보관함체;
    상기 보관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우나용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인출구로 쏠릴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유도판; 및
    사우나용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며,
    상기 사우나용품의 인출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인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보관함체의 전면판 내면에는 롤러봉이 축회전 가능하게끔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살균을 위한 용도로 상기 보관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시창에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차단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도판에는 주판알 방식의 다수의 작은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봉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봉의 표면에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용품 공급함.
  5. 삭제
KR2020220000286U 2022-01-25 2022-01-25 사우나용품 공급함 KR200497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286U KR200497472Y1 (ko) 2022-01-25 2022-01-25 사우나용품 공급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286U KR200497472Y1 (ko) 2022-01-25 2022-01-25 사우나용품 공급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03U KR20230001603U (ko) 2023-08-01
KR200497472Y1 true KR200497472Y1 (ko) 2023-11-21

Family

ID=8756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286U KR200497472Y1 (ko) 2022-01-25 2022-01-25 사우나용품 공급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54B1 (ko) * 2013-12-02 2015-06-17 유하정판 주식회사 제품 인출이 용이한 포장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055A (ja) * 1995-03-14 1996-09-24 Tokai Kakoshi Kk ペーパータオルアダプター
KR100912205B1 (ko) * 2005-05-12 2009-08-14 하수용 물수건 공급 장치
KR200444624Y1 (ko) 2008-01-28 2009-05-26 곽헌영 스팀타올 보관용 온장고
KR20100012580U (ko) * 2009-06-10 2010-12-20 황미애 수건 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54B1 (ko) * 2013-12-02 2015-06-17 유하정판 주식회사 제품 인출이 용이한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03U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8882B (zh) 封隔帘幕以及包括该封隔帘幕的系统和设备
KR101017596B1 (ko)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US9322124B1 (en) Portable drier for personal articles
KR100839519B1 (ko) 의류용 먼지제거장치
KR101397409B1 (ko)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KR200497472Y1 (ko) 사우나용품 공급함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101639063B1 (ko)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KR20200079358A (ko) 쇼핑카트 uvc 살균 소독장치
KR101086832B1 (ko) 지폐 전용 소독기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NL2018622B1 (en) A shoe handling and washing system.
KR200447821Y1 (ko) 칼도마 소독기
KR20020047720A (ko) 신발용 자외선 소독기
US20070028854A1 (en) Cabinet for pets
US1643528A (en) Bath cabinet
KR200471377Y1 (ko)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CN213431946U (zh) 多功能消毒柜
JPH03244416A (ja) 足拭きマツト乾燥殺菌装置
CN106725000A (zh) 一种多功能卫浴柜
CN110074562A (zh) 一种档案存储柜
CN219661545U (zh) 一种多用卫浴柜
KR20110001230U (ko) 주방용 살균 건조기
KR102243940B1 (ko)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방역장치
US11872353B2 (en) Storage apparatus for elongat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