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873A -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873A
KR20110095873A KR1020117012440A KR20117012440A KR20110095873A KR 20110095873 A KR20110095873 A KR 20110095873A KR 1020117012440 A KR1020117012440 A KR 1020117012440A KR 20117012440 A KR20117012440 A KR 20117012440A KR 20110095873 A KR20110095873 A KR 2011009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container
spring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853B1 (ko
Inventor
히로오 하야시
다케시 반도
다카히로 우에다
마사호 하야시
히로시 우에마츠
도시히코 우에니시
노리오 오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83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leaf or similar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취출구(24)를 갖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에 기단(23a) 측의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취출구(24)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 설치된 판고무(탄성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스프링체(34)를 설치하고, 용기 본체(11) 측에, 스프링체(34)가 접촉하는 슬로프부(제동부)(43)를 마련하고 있다. 스프링체(34)는, 개폐 덮개(23)가 폐쇄일 때의 상태에서 개방일 때의 상태로 향해서, 서서히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FREELY OPENED/CLOSED CONTAINER}
본 발명은, 예컨대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 가능한 개폐 덮개를 갖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웨트 티슈를 내부에 수납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는, 웨트 티슈 등을 수납하고 웨트 티슈 등의 취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취출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밀폐하는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시에서는, 용기 본체의 취출구에 대하여 개폐 덮개가 열려, 용기 본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티슈 등이 1장씩 빼내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170950호 공보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시에서는 개폐 덮개를 요동시켜, 용기 본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티슈 등을 빼내고 있다.
그런데,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3-170950호 공보에도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와 개폐 덮개 사이에는, 개폐 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용기 본체의 정면 측에는, 개폐 덮개를 열기 위한 누름 버튼이 마련되어 있어, 누름 버튼을 조작했을 때, 압박 수단에 의해서 개폐 덮개가 열리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에 있어서, 누름 버튼을 조작한 후, 개폐 덮개는, 완전 개방으로 될 때까지 감속되지 않고 단숨에 열려, 완전 개방 위치에서 스토퍼에 접촉하여 급정지된다. 이 때, 개폐 덮개가 스토퍼에 접촉하여 정지한 후,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동안에, 개폐 덮개는 흔들흔들 진동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완전 개방으로 되기 바로 전에 개폐 덮개를 감속시켜, 개폐 덮개를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기단 측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본체와 개폐 덮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스프링체를 설치하고, 본체 측에 스프링체가 접촉하는 제동부를 형성하여,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로 향하여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제동부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靜止)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개구부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만곡되는 궁상(弓狀)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대략 コ자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수평으로 뻗는 선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체의 일부가 절결되고, 이 절결된 부분이 개구부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 중, 스프링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개폐 덮개와 본체 사이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제동부는, 측면에서 보아, 안쪽으로 향해 만곡된 호상(弧狀)의 내면을 갖는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측부에 있어서 요동축의 주위를 둘러싸 형성된 C자형 부재를 포함하고, 이 C자형 부재 중 개폐 덮개 측의 일부가 절결되고, 제동부는, 스프링체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체를 포함하고,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로 향하여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제동부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C자형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체의 외주에, 통형상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1쌍의 슬릿이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1쌍의 슬릿 사이에 형성된 설편(舌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설편을 포함하는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기단 측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본체와 개폐 덮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스프링체를 설치하고, 본체 측에, 개폐 덮개의 열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설치하여,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으로 향하여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스토퍼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은,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L자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L자 형상의 슬릿을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뻗는 측편(側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으로 되기 전에, 개폐 덮개의 스프링체가, 본체의 제동부의 내면을 따라서 서서히 압축됨으로써, 개폐 덮개를 조금씩 감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체가 스토퍼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충돌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개폐 덮개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덮개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함몰 단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작동체(조작 버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작동체(조작 버튼)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작동체(조작 버튼)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작동체(조작 버튼)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배면 측에서 본 부분사시도이다.
도 12는 개폐 덮개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스프링체가 슬로프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로프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a)-(d)는 개폐 덮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b)는 개폐 덮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취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배면 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개폐 덮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도 2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스프링체(C자형 부재) 및 통형상체(제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의 (a), (b)는 각각 완전 폐쇄 상태 및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스프링체(C자형 부재)와 통형상체(제동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웨트 티슈 수납용 용기(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내부에 내용물로서의, 예컨대 웨트 티슈(41)를 수납하는 아래쪽 개구형의 용기 본체(본체)(11)와, 용기 본체(11)의 아래쪽 개구를 밀폐하는 바닥 덮개(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는, 웨트 티슈(41)를 빼내기 위한 취출구(24)가 형성된 상판(27)과, 상판(27)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측판(13)을 갖고 있다. 용기 본체(11)의 측판(13)에는, 상판(27)의 취출구(24)를 밀폐하는 개폐 덮개(23)가 기단(23a) 측의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측판(13)의 아래쪽에는 바닥 덮개(12)에 접촉하는 플랜지(14)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닥 덮개(12)에는 측판(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손가락을 걸치는 걸침편(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하는 1쌍의 측판(13a, 13b)은 바깥쪽으로 R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의 상판(27)은 그 대략 중앙부의 제1 상판(제1 박판)(27a)과, 제1 상판(27a)의 외측에 중앙 단부(28)를 통해 형성되고, 제1 상판(27a)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 상판(제2 박판)(27b)을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취출구(24)는 제1 상판(27a)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상판(27a)에는 오목부(9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94) 내에 환상 리브(95)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취출구(24)는 환상 리브(9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23)의 이면에는, 개폐 덮개(23)를 폐쇄로 했을 때, 오목부(94) 내부이며 환상 리브(95)의 외측으로 들어가는 프레임(37)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자유단(23e)에는 계지편(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 중 개폐 덮개(23)의 자유단(23e) 측이며 측판(13) 상단 근방에, 상판(27)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 단부(58)가 형성되고, 이 함몰 단부(58) 내에 작동체(조작 버튼)(55)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조작 버튼(55)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조작 버튼(55)은, 용기 본체(11)의 함몰 단부(58)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은 용기 본체(11) 중 조작 버튼(55)의 부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조작 버튼(55)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조작 버튼(55)은 천판부(天板部)(65)를 지니고, 천판부(65)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기 위한 조작면(6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면(65a)은 중앙이 오목한 곡면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65)의 후단측(도 7에 있어서의 상측)의 외주(65b)는 호상으로 만곡되고, 전단측의 외주(65c)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천판부(65)의 후단부의 중앙에는, 개폐 덮개(23)의 계지편(32)과 맞물리기 위한 조부(爪部)(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65)의 이면측에는 1쌍의 장착 리브(67, 67)가 돌출 형성되고, 장착 리브(67, 67)에는 각각 힌지축(68, 68)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68)은 서로 동축이다. 또한, 천판부(65) 이면의 전단 측에는 궁상의 스프링부(6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의 함몰 단부(58)는, 바닥판(71)과, 이 바닥판(71)과 오목부(94) 사이에 배치된 측판(72)과, 바닥판(71)과 제2 상판(27b) 사이에 배치되는 측판(73)으로 둘러싸여 있다. 측판(73)의 양단 근방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1쌍의 단부(74, 74)가 형성되고, 단부(74, 74)에는, 각각 조작 버튼(55)의 힌지축(68, 68)을 받아들이기 위해 힌지 받침 구멍(78, 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71)에는, 조작 버튼(55)의 스프링부(69)를 받아들이기 위한 스프링 받침 홈(79)이 형성되고, 스프링 받침 홈(79) 내에는 스프링부(69)의 중앙을 상하 방향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리브(8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55)은, 그 스프링부(69)를 스프링 받침 홈(79)에, 또한 힌지축(68)을 힌지 받침 구멍(78, 78)에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함몰 단부(58) 내에 힌지축(68)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프링부(69)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 버튼(55)의 조부(66)는, 힌지축(68)을 중심으로 하여 오목부(94)에 접근하는 방향(아래쪽)으로 압박되고 있다.
개폐 덮개(23)가 닫히면, 그 개폐 덮개(23)의 계지편(32)을 피하도록 하여 조작 버튼(55)이 회전한다. 그리고, 계지편(32)이 조부(66)를 타고 넘으면, 스프링부(69)의 힘으로 조작 버튼(55)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계지편(32)과 조부(66)가 서로 맞물려, 개폐 덮개(23)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개폐 덮개(23)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버튼(55)의 조작면(65a)을 사용자가 누르면, 조작 버튼(55)의 조부(66)는 힌지축(68)을 중심으로 하여 오목부(9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계지편(32)과 조부(6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 개폐 덮개(23)를 개방 방향으로 향해 압박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판고무(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11)에는, 판고무(50)의 일단을 수평 방향으로 끼워서 수납하는 수납부(75)가 형성되고, 또한 개폐 덮개(23)에는 판고무(50)의 타단을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용기 본체(11) 및 개폐 덮개(23)는, 모두 폴리프로필렌(PP)을 이용한 인젝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데, 이밖에 PE, PS, ABS, 엘라스토머, PET, PVC,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성형하더라도 좋다. 또한 바닥 덮개(12)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또한 판고무(50)로서는 실리콘 고무가 이용된다. 또한 고착부(76)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도 11에 의해,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배면 측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를 배면 측에서 본 부분사시도이며, 편의상, 개폐 덮개(23)를 용기 본체(11)로부터 떼어내어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배면벽(2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측부(23b)에는, 각각 원주 형상의 원주 돌기(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23)의 배면벽(23c)에,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개구부(31)가 2개 형성되고, 각 개구부(31)의 아래쪽에는 스프링체(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체(34)는, 개구부(31)의 외주부로 구성되어,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만곡되는 궁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쌍의 스프링체(34) 사이 및 각 스프링체(34)의 외측(양측부(23b) 측)에,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를 덮는 커버(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35)를 형성함으로써,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의 간극을 막아,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 중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는, 개폐 덮개(23)의 배면벽(23c)을 수용하는 배면측 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면측 단부(25)는 요동축(X-X)에 대략 평행하게 뻗고 있다. 또한 배면측 단부(25)의 양측면에는, 각각 삽입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요동축(X-X)은 2개의 삽입 구멍(29)끼리를 연결한 직선에 상당한다. 그리고 개폐 덮개(23)의 각 원주 돌기(26)를 이 삽입 구멍(29)에 끼워 붙임으로써, 개폐 덮개(23)가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면측 단부(25)의 양단 근방에는, 각각 배면측 단부(25)의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스토퍼(3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0)는,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그 기단 가장자리부(23d)를 걸어 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판고무(50)에 의해서 압박된 개폐 덮개(23)가 소정 위치에 정지된다.
더욱이 배면측 단부(25) 중 개폐 덮개(23)의 스프링체(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로프부(제동부)(43)가 설치된다. 슬로프부(43)는, 개폐 덮개(23)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가지고 갈 때, 스프링체(34)가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도 12 내지 도 14에 의해, 슬로프부(제동부)(4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개폐 덮개(23)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부분 단면도(요동축(X-X)에 수직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부분 단면도(요동축(X-X)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스프링체(34)가 슬로프부(43)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요동축(X-X)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슬로프부(43)는, 측면 방향에서 보아 용기 본체(11) 안쪽(도 12 및 도 13의 좌측 방향)으로 향해서 만곡된 호상의 내면(43a)을 갖는 리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슬로프부(43)는, 그 내면(43a)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가, 개폐 덮개(23)가 폐쇄일 때의 상태에서 개방일 때의 상태로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슬로프부(43)의 하단부(43b)와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를 d1로 한다. 또한,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상태(도 13 참조)로 되었을 때에 스프링체(34)가 접촉하는 슬로프부(43)의 위치를 부호 43c(이하, 완전 개방점(43c)이라고도 함)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완전 개방점(43c)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를 d2로 한다.
이 경우, 슬로프부(43)의 내면(43a)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는, 하단부(43b)에서부터 완전 개방점(43c)에 걸쳐서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즉, 하단부(43b)와 완전 개방점(43c) 사이의 위치(43d)와,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를 d3으로 한 경우, d1>d3>d2의 관계가 성립되고 있다.
한편, 슬로프부(43)는, 완전 개방점(43c) 직전까지 스프링체(34)가 내면(43a)에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폐 덮개(23)를 폐쇄에서 개방으로 할 때,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완전 개방점(43c))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혹은,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슬로프부(43)의 내면(43a)을 원호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한편 취출구(24)(마우스부)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상판(27a)에 형성된 오목부(94) 내에 있어서, 취출구(24) 주위에 플랩(39)이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웨트 티슈(41)를 사용할 때, 우선 사용자가 조작 버튼(55)의 천판부(65)를 누른다. 이에 따라, 계지편(32)과 조부(6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덮개(23)가 개방으로 된다.
즉, 개폐 덮개(23)는, 판고무(50)에 압박되어, 요동축(X-X)을 중심으로 개방 방향(도 12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동안, 스프링체(34)와 슬로프부(43)와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도 12에 도시하는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체(34)는,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 및 슬로프부(4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어서, 개폐 덮개(23)가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이에 따라서 스프링체(34)도 슬로프부(43) 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체(34)가 슬로프부(43)의 내면(43a)에 접촉한다(도 14 참조).
이어서 개폐 덮개(23)가 더욱 회동함으로써, 스프링체(34)는, 슬로프부(43)의 내면(43a)을 따라서 완전 개방점(43c)으로 향해서 상승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로프부(43)의 내면(43a)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는, 하단부(43b)에서부터 완전 개방점(43c)에 걸쳐서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체(34)는, 슬로프부(43)를 따라서 상승함에 따라 서서히 압축되어 간다(도 14 참조). 이와 같이 스프링체(34)가 압축됨으로써, 판고무(5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개폐 덮개(23)의 회동 속도가 억제된다.
그 후,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에 달하면,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가 스토퍼(30)에 걸려 멈춰 개폐 덮개(23)가 정지한다(도 13 참조).
이 때,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체(34)의 실제의 형상(실선으로 도시함)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원래의 스프링체의 형상(부호 34X)과 비교하여 압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체(34)가 슬로프부(43)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개폐 덮개(23)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여,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1)의 취출구(24)로부터 웨트 티슈(41)를 손가락으로 잡아 위쪽으로 당겨 빼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으로 되기 전에, 개폐 덮개(23)의 스프링체(34)가, 용기 본체(11)의 슬로프부(제동부)(43)의 내면(43a)을 따라서 서서히 압축된다. 이에 따라 개폐 덮개(23)를 조금씩 감속시킬 수 있어,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23)가 스토퍼(30)에 접촉한 후, 개폐 덮개(23)를 진동시키지 않고서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다. 즉, 스프링체(34)는, 개폐 덮개(23)와 일체 성형할 수 있고, 슬로프부(43)는, 용기 본체(11)와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 16의 (a)-(d) 및 도 17의 (a)-(b)에 의해 설명한다. 도 16의 (a)-(d) 및 도 17의 (a)-(b)에 도시하는 각 변형예는,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변형예 1
우선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1을 도 16의 (a)에 의해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변형예 1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A)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A)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대략 コ자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즉 스프링체(34A)는, 요동축(X-X)에 평행한 수평부(34a1)와, 수평부(34a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뻗는 1쌍의 연결부(34a2, 34a3)를 포함하고 있다.
변형예 2
이어서,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2를 도 16의 (b)에 의해 설명한다.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변형예 2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B)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B)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를 따라서 수평으로 뻗는 선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즉 선형의 스프링체(34B)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와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3
이어서,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3을 도 16의 (c)에 의해 설명한다. 도 16의 (c)에 도시하는 변형예 3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C)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C)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를 따라서 수평으로 뻗는 선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부가 절결되고, 이 절결된 부분(34c1)이 개구부(31)와 연통하고 있다.
변형예 4
이어서,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4를 도 16의 (d)에 의해 설명한다. 도 16의 (d)에 도시하는 변형예 4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D)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D)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대략 L자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즉 스프링체(34D)는, 요동축(X-X)에 평행한 수평부(34d1)와, 수평부(34d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뻗는 연결부(34d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수평부(34d1)의 타단측은 절결되어 있고, 이 절결된 부분(34d3)이 개구부(31)와 연통하고 있다.
변형예 5
이어서,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5를 도 17의 (a)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a)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대략 잎 형상을 갖는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만곡되는 궁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변형예 5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 중, 스프링체(3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 구체적으로는 1쌍의 스프링체(34) 사이에,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를 덮는 커버(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35)를 설치함으로써,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의 간극을 막아,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커버(35)는, 각 스프링체(34)의 외측(양측부(23b)측)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변형예 6
이어서, 개폐 덮개(23)의 변형예 6을 도 17의 (b)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의 (b)에 있어서, 상술한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변형예 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스프링체(34A)는 개구부(31)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체(34A)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대략 コ자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변형예 6에 있어서,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 중, 스프링체(34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 구체적으로는 1쌍의 스프링체(34A) 사이에,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를 덮는 커버(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35)를 설치함으로써,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 사이의 간극을 막아,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커버(35)는 각 스프링체(34A)의 외측(양측부(23b)측)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링체(34)는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를 따라서 2개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스프링체(34)를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더라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취출구(24)를 갖는 용기 본체(본체)(11)와, 취출구(24)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23)를 갖고 있지만,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부착되고 취출구를 갖는 덮개 본체(본체)와, 이 덮개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덮개 본체의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는, 스프링체 및 제동부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9 내지 도 23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에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 설치된 판고무(탄성 부재)(50)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1) 및 개폐 덮개(23)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대략 같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측부(23b)에 각각 스프링체(4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체(45)는 각각 개폐 덮개(23)의 측부(23b)에 설치되고, 측면에서 보아 C자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 스프링체(45)는, 요동축(X-X)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체(45)를 구성하는 C자형 부재(이하, C자형 부재(45)라고도 함)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즉 C자형 부재(45) 중 개폐 덮개(23)의 측부(23b)에 인접하는 부분이 절결되고, 여기에 공간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C자형 부재(45)는, 그 상측에 개폐 덮개(23)에 직접 연결되는 고정부(45a)를 갖고 있다. 한편, C자형 부재(45)의 하측 부분은, 절결된 공간부(46)를 통해 개폐 덮개(23)로부터 이격된 탄성부(45b)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동축(X-X)을 중심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고정부(45a)의 각도는 약 180°이며, 탄성부(45b)의 각도는 약 140°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C자형 부재(45)의 외주(45c)에, 후술하는 통형상체(47)의 내면(47c)과 접촉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돌기(48a-4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48a-48c)는 각각 요동축(X-X)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단면이 대략 반원인 형상을 갖고 있다. 한편, 3개의 돌기(48a-48c) 중, 돌기(48a)는 탄성부(45b)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돌기(48b), 돌기(48c)는 고정부(45a)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돌기(48a-48c)의 수 및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C자형 부재(45)의 외주(45c)에 돌기(48a-48c)가 형성됨으로써, 개폐 덮개(23)를 개폐 동작시킬 때에, C자형 부재(45)가 통형상체(47) 내에서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 덮개(23)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 측에는 C자형 부재(45)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체(제동부)(47)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체(47)는, 요동축(X-X)에 평행하게 뻗고, 내부에 개폐 덮개(23)의 C자형 부재(45)가 끼워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체(47)는, 상술한 돌기(48a-48c)가 접촉하는 내면(47c)을 갖고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형상체(47)는, 요동축(X-X)을 중심으로 하여 균일한 반경(R1)을 갖는 등경부(等徑部)(47a)와, 요동축(X-X)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이 R1에서 R2(<R1)까지 서서히 축소되는 축경부(縮徑部)(47b)를 포함하고 있다. 즉 이 축경부(47b)에 있어서는, 내면(47c)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가, 개폐 덮개(23)가 폐쇄일 때의 상태에서 개방일 때의 상태로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동축(X-X)을 중심으로 한 경우의 등경부(47a)의 각도는 약 260°이며, 축경부(47b)의 각도는 약 100°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버튼(55)을 누름으로써, 계지편(32)과 조부(6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도 1 참조).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덮개(23)가 개방으로 된다.
이 때, 개폐 덮개(23)는 판고무(50)에 압박되어, 요동축(X-X)을 중심으로 개방 방향(도 23의 (a), (b)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도 23의 (a)는,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C자형 부재(45)와 통형상체(47)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3의 (b)는,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C자형 부재(45)와 통형상체(47)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동안에, C자형 부재(45)와 통형상체(47)와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도 23의 (a)에 도시하는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C자형 부재(45)의 탄성부(45b)는 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어서, 개폐 덮개(23)가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이에 따라서 C자형 부재(45)도 통형상체(47) 내에서 개방 방향(도 23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C자형 부재(45)의 외주(45c)에 마련된 각 돌기(48a-48c)가 통형상체(47)의 내면(47c)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한다.
이어서 개폐 덮개(23)가 더 회동함으로써, C자형 부재(45)의 탄성부(45b)에 마련된 돌기(48a)가 축경부(47b)에 도달한다. 또한 탄성부(45b)의 돌기(48a)는 축경부(47b)를 따라서 통형상체(47)의 내면(47c)을 미끄럼 이동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체(47)의 축경부(47b)에 있어서, 내면(47c)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는, 개폐 덮개(23)가 폐쇄일 때의 상태에서 개방일 때의 상태로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C자형 부재(45)의 탄성부(45b)는, 탄성부(45b) 상의 돌기(48a)가 축경부(47b)의 내면(47c)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서서히 안쪽으로 휘어져 간다(도 23의 (b) 참조). 이와 같이 C자형 부재(45)가 휨으로써, 판고무(5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개폐 덮개(23)의 회동 속도가 억제된다.
그 후,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가 스토퍼(30)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23)가 정지한다.
이 때, 도 23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탄성부(45b)의 실제의 형상(실선으로 도시함)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원래의 탄성부(45b)의 형상과 비교하여 휘고 있다. 이와 같이 C자형 부재(45)의 탄성부(45b)가 통형상체(47)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개폐 덮개(23)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여,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1)의 취출구(24)에서 웨트 티슈(41)를 손가락으로 잡아 위쪽으로 당겨 빼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으로 되기 전에, 개폐 덮개(23)의 C자형 부재(45)의 탄성부(45b)가, 용기 본체(11)의 통형상체(47)의 내면(47c)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서서히 안쪽으로 휜다. 이에 따라 개폐 덮개(23)를 조금씩 감속시킬 수 있어,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23)가 스토퍼(30)에 접촉한 후, 개폐 덮개(23)가 진동하지 않고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다. 즉, C자형 부재(45)는 개폐 덮개(23)와 일체 성형할 수 있고, 통형상체(47)는 용기 본체(11)와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통형상체(47)는,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통형상체(47)는, 배면측 단부(25)의 측면 내에 형성된 통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C자형 부재(45) 및 통형상체(47)는 개폐 덮개(23)의 양측부(23b) 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C자형 부재(45) 및 통형상체(47)를 한 쪽의 측부(23b) 측에만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는, 스프링체 및 제동부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에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 설치된 판고무(탄성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1) 및 개폐 덮개(23)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대략 같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단에, 각각 세로 방향(요동축(X-X)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뻗는 1쌍의 슬릿(52a, 5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1쌍의 슬릿(52a, 52b) 사이에, 각각 설편을 포함하는 스프링체(53)(이하 설편(53)이라고도 함)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설편(53)은,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측부(23b)에, 각각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원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의 양 측면에는, 각 원주 돌기(26)에 대응하는 원형의 삽입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23)의 각 원주 돌기(26)를 용기 본체(11)의 각 삽입 구멍(29)에 끼워 붙임으로써, 개폐 덮개(23)가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면측 단부(25)에 스토퍼(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30)는,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개폐 덮개(23)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면측 단부(25) 중 적어도 개폐 덮개(23)의 설편(53)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로프부(제동부)(54)가 설치된다. 이 슬로프부(54)는, 개폐 덮개(23)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가져 갈 때, 설편(53)이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다.
이 슬로프부(54)는, 측면 방향에서 보아, 안쪽으로 향해 만곡된 호상의 내면(54a)을 갖고 있다. 또한, 슬로프부(54)는, 그 내면(54a)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가, 개폐 덮개(23)가 폐쇄일 때의 상태에서 개방일 때의 상태로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5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를 정면 쪽에서 보고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편의상, 개폐 덮개(23)를 용기 본체(11)에서 떼어내어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버튼(55)을 누름으로써, 계지편(32)과 조부(6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도 1 참조).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덮개(23)가 개방으로 된다.
이 때, 개폐 덮개(23)는 판고무(50)에 압박되어, 요동축(X-X)을 중심으로 개방 방향(도 2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동안, 설편(53)과 슬로프부(54)와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개폐 덮개(23)를 완전 폐쇄로 한 상태에 있어서, 설편(53)은,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 및 슬로프부(5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어서, 개폐 덮개(23)가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이에 따라서 설편(53)도 슬로프부(54) 측으로 이동하여, 설편(53)이 슬로프부(54)의 내면(54a)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개폐 덮개(23)가 더 회동함으로써, 설편(53)은 슬로프부(54)의 내면(54a)을 따라서 완전 개방점(54c)으로 향해서 상승한다.
이 경우, 슬로프부(54)의 내면(54a)과 요동축(X-X) 사이의 거리는, 하단부(54b)에서부터 완전 개방점(54c)에 걸쳐서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설편(53)은, 슬로프부(54)를 따라서 상승함에 따라 서서히 휘어져 간다. 이와 같이 설편(53)이 휨으로써, 판고무(5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개폐 덮개(23)의 회동 속도가 억제된다.
그 후,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가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30)에 걸려 멈춰 개폐 덮개(23)가 정지한다. 이 때, 설편(53)은 슬로프부(54)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설편(53)이 슬로프부(54)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개폐 덮개(23)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여,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1)의 취출구(24)에서 웨트 티슈(41)를 손가락으로 잡아 위쪽으로 당겨 빼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으로 되기 전에, 개폐 덮개(23)의 설편(53)이, 용기 본체(11)의 슬로프부(제동부)(54)의 내면(54a)을 따라서 서서히 휜다. 이에 따라 개폐 덮개(23)를 조금씩 감속시킬 수 있어,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23)가 스토퍼(30)에 걸려 멈춘 후, 개폐 덮개(23)를 진동시키지 않고서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다. 즉, 설편(53)은 개폐 덮개(23)와 일체 성형할 수 있고, 슬로프부(54)는 용기 본체(11)와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편(53)은 개폐 덮개(2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설편(53)을 개폐 덮개(23)의 1곳에만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제4 실시형태는, 스프링체 및 스토퍼부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에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덮개(23)와,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 설치된 판고무(탄성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1) 및 개폐 덮개(23)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단에, 각각 L자 형상의 슬릿(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L자 형상의 슬릿(61)을 따라서, 가로 방향(요동축(X-X)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측편을 포함하는 스프링체(62)(이하 측편(62)이라고도 함)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측편(62)은, 각각 개폐 덮개(23)의 기단 가장자리부(23d)를 따라서 수평으로 뻗고, 개폐 덮개(23)의 양측부(23b) 측으로 향해서 돌출되고, 탄력성(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 덮개(23)의 기단(23a) 측의 양측부(23b)에, 각각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원주(圓柱)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의 양측면에는, 각 원주 돌기(26)에 대응하는 원형의 삽입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23)의 각 원주 돌기(26)를 용기 본체(11)의 각 삽입 구멍(29)에 끼워 붙임으로써, 개폐 덮개(23)가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요동축(X-X)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의 배면측 단부(25) 위이며, 각 측편(6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단면 역L자 형상을 갖는 스토퍼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63)는,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측편(62)이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개폐 덮개(23)의 열림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버튼(55)을 누름으로써, 계지편(32)과 조부(6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도 1 참조).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덮개(23)가 개방으로 된다.
이 때, 개폐 덮개(23)는 판고무(50)에 압박되어, 요동축(X-X)을 중심으로 개방 방향(도 27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후, 개폐 덮개(23)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덮개(23)의 측편(62)이 스토퍼부(63)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23)가 정지한다. 이 경우, 측편(62)이 스프링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측편(62)이 스토퍼부(63)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측편(62)이 스토퍼부(63)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측편(62)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1)의 취출구(24)로부터 웨트 티슈(41)를 손가락으로 잡아 위쪽으로 당겨 빼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프링체(측편)(62)가 스토퍼부(63)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개폐 덮개(23)가 충돌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23)가 스토퍼부(63)에 걸려 멈춘 후, 개폐 덮개(23)를 진동시키지 않고서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폐 덮개(23)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만히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다. 즉, 측편(62)은 개폐 덮개(23)와 일체 성형할 수 있고, 스토퍼부(63)는 용기 본체(11)와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편(62) 및 스토퍼부(63)는 개폐 덮개(23)의 양측에 마련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측편(62) 및 스토퍼부(63)를 개폐 덮개(23)의 일측에만 설치하더라도 좋다.

Claims (14)

  1.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기단(基端)측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본체와 개폐 덮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
    를 구비하고,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스프링체를 설치하고, 본체 측에, 스프링체가 접촉하는 제동부를 설치하고,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로 향하여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제동부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개구부의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만곡되는 궁상(弓狀)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コ자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수평으로 뻗는 선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체의 일부가 절결(切缺)되고, 이 절결된 부분이 개구부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개폐 덮개의 기단 가장자리부 중, 스프링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개폐 덮개와 본체 사이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제동부는, 측면에서 보아, 안쪽으로 향해 만곡된 호상(弧狀)의 내면을 갖는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측부에 있어서 요동축의 주위를 둘러싸 형성된 C자형 부재를 포함하며, 이 C자형 부재 중 개폐 덮개 측의 일부가 절결되고,
    제동부는 스프링체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체를 포함하고,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로 향해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제동부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C자형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체의 외주에, 통형상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1쌍의 슬릿이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1쌍의 슬릿 사이에 형성된 설편(舌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설편을 포함하는 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기단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13.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기단 측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와,
    본체와 개폐 덮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
    를 구비하고,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스프링체를 설치하고, 본체 측에, 개폐 덮개의 열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설치하여,
    개폐 덮개를 열었을 때,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로 향하여 회동하여 스프링체가 스토퍼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개폐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개폐 덮개의 기단 측에 L자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스프링체는, L자 형상의 슬릿을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뻗는 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KR1020117012440A 2008-11-14 2009-10-29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KR101577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2490A JP5349915B2 (ja) 2008-11-14 2008-11-14 開閉自在容器
JPJP-P-2008-292490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873A true KR20110095873A (ko) 2011-08-25
KR101577853B1 KR101577853B1 (ko) 2015-12-15

Family

ID=4216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440A KR101577853B1 (ko) 2008-11-14 2009-10-29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309098A1 (ko)
EP (1) EP2351692B1 (ko)
JP (1) JP5349915B2 (ko)
KR (1) KR101577853B1 (ko)
CN (1) CN102216167B (ko)
AU (1) AU2009314995B2 (ko)
MY (1) MY159649A (ko)
WO (1) WO2010055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0139B2 (ja) * 2012-03-30 2017-10-25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8733859B2 (en) * 2012-06-11 2014-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EP2900305B1 (en) 2012-09-25 2017-07-05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Lid construction for breathing apparatus
JP6550265B2 (ja) * 2015-05-21 2019-07-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部を有する収納容器
GB201515735D0 (en) * 2015-09-04 2015-10-21 Dubois Ltd Closure for aperture
WO2018057640A1 (en) * 2016-09-22 2018-03-29 Berry Global, Inc. Fitment
JP6738260B2 (ja) * 2016-11-11 2020-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機構、包装体及び分与容器
US10501239B2 (en) 2016-11-11 2019-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US10793324B2 (en) 2016-11-11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US10577156B2 (en) 2016-11-11 2020-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CN112313155A (zh) * 2018-06-29 2021-02-0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曲线弹簧激活的弹开式盖的盖组件及具有该组件的容器
JP6622865B2 (ja) * 2018-07-17 2019-12-18 株式会社パロマ 圧力フライヤー
DE102018127294A1 (de) * 2018-10-31 2020-04-30 Ese World B.V. Befestigungseinrichtung und Abfallsammelbehälter mit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JP7338968B2 (ja) * 2018-12-28 2023-09-05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18177B2 (ja) * 2018-12-28 2023-0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300837B2 (ja) * 2019-01-25 2023-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179636B2 (ja) * 2019-02-13 2022-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9627B1 (fr) * 1990-03-15 1992-05-22 Rg Plastiques Couvercle de barquette en matiere plastique.
JPH0639607Y2 (ja) * 1990-06-13 1994-10-1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開閉蓋の制動装置
DE4140266C1 (ko) * 1991-12-06 1993-03-18 Draegerwerk Ag, 2400 Luebeck, De
EP0680888B1 (en) * 1994-05-04 2000-0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containing a stack of wet wipes comprising a hinging cover
JP2000142842A (ja) * 1998-10-30 2000-05-23 Pigeon Corp ウエット材料の収容容器
JP4354141B2 (ja) * 2001-12-07 2009-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6857538B2 (en) * 2002-04-25 2005-02-22 Tsong-Yow Lin Garbage bin with cover
JP4105476B2 (ja) * 2002-05-23 2008-06-25 株式会社コーセー コンパクト容器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5032144B2 (ja) * 2007-02-16 2012-09-2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容器
CN201046806Y (zh) * 2007-05-14 2008-04-16 卢同升 盛装湿巾纸的塑料容器
US8206058B2 (en) * 2008-07-15 2012-06-26 East Jordan Iron Works, Inc. Manhole cover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1692A4 (en) 2012-11-07
US20110309098A1 (en) 2011-12-22
KR101577853B1 (ko) 2015-12-15
AU2009314995A1 (en) 2010-05-20
EP2351692B1 (en) 2014-12-24
JP2010116198A (ja) 2010-05-27
CN102216167B (zh) 2013-05-22
JP5349915B2 (ja) 2013-11-20
AU2009314995B2 (en) 2016-05-12
WO2010055778A1 (ja) 2010-05-20
CN102216167A (zh) 2011-10-12
EP2351692A1 (en) 2011-08-03
MY159649A (en)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5873A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JP3276532B2 (ja) 容器用キャップ
KR100868394B1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CZ2003287A3 (cs) Uzavírací zařízení
JP2005289426A (ja) 自開式キャップ機構
KR20110091737A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JP2013116752A (ja) ウェットシート収納容器
JP2009023712A (ja) 飲料容器用蓋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JP4766307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4105476B2 (ja) コンパクト容器
CN113302135B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JP4990674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KR101482773B1 (ko) 차량의 도어 키이 홀 커버 조립체
KR102377871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EP3907154A1 (en) Household tissue paper container
CN210408058U (zh) 电饭煲
JP2006035975A (ja) 開閉式ポケットの支持構造
JP5220336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6084360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4049019B2 (ja) カップホルダ
KR930004497Y1 (ko) 슬라이더를 개선시킨 콤팩트 용기
JP2021070484A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